•  


人間의 根據는 무엇인가 AI는 ‘國家市民’인가|신동아

特輯 | Google쇼크!

人間의 根據는 무엇인가 AI는 ‘國家市民’인가

‘알파고 파란’이 던진 哲學的 質問들

  • 백종현 | 서울대 名譽敎授, 韓國포스트휴먼學會 會長 paekch@snu.ac.kr

    入力 2016-05-12 17:15:22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힘이냐, 暴力이냐… ‘境界’에 선 科學技術
    • 人間을 ‘物理的’ 存在로 보는 近代 文明
    • 포스트휴머니즘의 疾走…哲學的 課題부터 풀자
    2016年 3月 구글의 알파고가 서울에 出現한 것을 契機로 많은 韓國人이 人工知能(AI)을 새롭게 의식하게 된 것 같다. 이제 進步에 加速이 붙은 人工知能, 로봇, 드론, 事物인터넷, 自律走行 自動車, 그리고 腦科學, 醫生命科學 等 科學技術은 自然生命體人 人間의 삶 全般을 根本的으로 變革하기 始作했다. 나아가 이들 技術은 ‘理性的 動物’로 規定되던 ‘人間’ 槪念 自體의 變更까지 慫慂하고 있다.

    알파고의 活躍에서 보듯 人工知能은 이미 어떤 面에서는 自然人間의 知能을 뛰어넘으며 旣存의 知識 槪念을 흔들고 있다. 人工知能처럼 날로 發展하는 生命科學 技術 亦是 生命의 誕生과 維持 및 終結 方式에 持續的으로 介入하면서 ‘生命이란 무엇인가?’에 對한 根本的인 省察을 거듭 要求한다.

    人間의 勞動을 機械的으로 代身하는 單純한 로봇의 時代는 지났다. 情報通信, 生命科學, 人工知能 技術이 融合한 사이보그가 登場하고, 오래지 않아 自己算出 能力을 가진 類似人間 種(Post Homo Sapiens)까지 마주한다면 우리 自然人間들은 ‘人間다움’ ‘人間의 尊嚴性’ ‘人格’이라는 人間의 本質 規定을 再檢討해야 할 狀況에 놓일 것이다. ?

    人間에 對한 傳統的인 槪念에서 人間 尊嚴性의 가장 强力한 根據는 人間의 自律性이다. 이 自律性의 本部로는 ‘精神’李 上程됐다. 이름하여 人間은, ‘精神的 存在者’다.

    그런데 이런 생각은 近代 文明의 形成과 함께 그 氣力이 稀微해져갔다. 近代 文明의 核心要素는 市民社會와 科學技術이다. 市民社會의 土臺인 民主主義와 科學技術의 基礎인 自然科學은 近代人의 最高 成就라 할 것인데, 이 둘은 ‘精神’의 犧牲을 代價로 要求한다.



    其實 近代 文明은 精神과 身體의 分裂로 始作돼 身體의 漸進的 優位로 進展돼갔다. 많은 이가 ‘사람은 마음과 몸으로 이뤄져 있다’는 精神-物體 二元論에 同意한 것은, 그래야만 人間의 人間다움의 背景인 倫理世界를 自然科學의 物理世界로부터 分離·保存할 수 있겠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포스트 호모 사피엔스

    하지만 近代 文化와 함께 ‘精神’은 두 方面에서, 卽 政治社會와 自然科學의 挾攻을 받아온 게 事實이다. 民主主義는 主權在民(主權在民)의 理念에서 出發한다. 主權在民은 投票權으로 表象된다. 그런데 投票權은 ‘1人 1票’로 實現된다. 이때 ‘1人’은 ‘하나의 몸’을 單位로 한다. 사람은 누구나 本來的으로 자유롭다고 宣言하면서 主張한 첫 番째 自由의 權利가 ‘身體의 自由’다. 卽, 民主主義의 基底를 이루는 것은 身體的 存在者로서 人間인 것이다. 民主主義 社會에서 人間은 ‘精神的’ 存在者라기보다는 ‘身體的’ 存在者다.

    이는 人間이 人間임은 그 身體가 아니라 精神에 있다는 普通의 생각과 相衝된다. 그런데 이러한 相衝에서 自然科學은 民主主義 基調의 便에 선다. 自然科學이 理解하는 自然 世界의 事物들과 事件들은 모조리 因果關係 가운데 있다. 그러니까 自然 안에 자유로운 存在者란 있을 수 없다.

    人間도 自然物들의 因果關係 속에 있는 하나의 物體일 따름이다. 自然科學의 觀點에서 人間은 身體인데, 身體란 物體 以上의 것이 아니다. 무릇 物體의 움직임에 무슨 責任을 물을 수 있겠는가. 人間은 더 以上 行爲의 主體, 人格으로 看做될 수가 없다.



    오래된 懷疑

    현대의 ‘科學’과 自然科學主義는 人格의 基盤인 人間의 自律性, 그리고 自由意志에 對해 否定的이다. 物理學注意이든 生物學主義이든 같은 結論에 이른다. ‘自然 안에 있는 모든 存在者의 運動은 物理 法則에 따른다’는 物理學主義와, ‘人間의 行爲는 腦 運動의 外現인데 腦의 運動은 無秩序하다’는 生物學主義는 人間의 自由意志論에 깊은 懷疑를 表明한다.

    人間(homo)李 한낱 自然物인지, 그 以上의 品格을 갖고 있는지에 對한 오랜 論難을 더욱 격화시키고, 人間 位格(位格, humanism)의 根本을 뒤흔드는 狀況을 빚은 것은 포스트 호모 사피엔스, 有史人種의 出現이다. 人間의 知能 못지않은, 아니 오히려 그것을 凌駕하는 人工知能이 開發되고 그에 힘입어 從來에 人間이 해내던 일을 더욱 더 效果的으로 해내는 로봇이 곳곳에서 活動하고, 生命工學이 追求하는 사이보그가 登場하는 局面 말이다.

    이러한 狀況에서 人間의 壽命 延長과 能力 增强에 對한 欲求가 科學技術을 부추기면, 아마도 自然人으로 태어난 人間도 終局엔 모두 사이보그가 될 것이다. 낡은 心臟은 機械펌프로 交替되고, 不實한 伸張과 血管은 여느 動物의 腎臟과 血管으로 代替된다. 破壞된 한쪽 腦는 人工知能이 代身할 可能性이(또는 憂慮가) 漸漸 커진다. 生命工學的 造作으로 多數의 同一人이 大體(代替)的으로 生을 이어갈 수도 있다. 그래서 “사람 壽命이 1000歲에 到達할 수 있다”는 展望도 나온다. 當初 人間이 製作하고 操縱하던 로봇이 精巧化를 거듭해 마침내 스스로 로봇을 製作하고 操縱해 人間을 制壓하는 局面이 到來할지도 모를 일이다.

    “知識이야말로 힘이다”(프랜시스 베이컨)라는 魅力的인 標語는 科學技術이 前近代的 삶의 苦楚들로부터 人類를 解放시키고, 나아가 衣食住를 求하는 데 매인 人類의 삶에 自由와 餘暇를 줌으로써 充分한 信賴를 確保했다. 그러나 知識은 他人을 支配하고, 自然을 改作하고, 世界를 征服하고, 需要가 있는 곳에서는 制限 없이 利用된다. 知識은 技術에든, 資本에든, 權力에든, 戰爭에든, 가리지 않고 힘이 된다.



    갈수록 自然科學이 大勢로 자리 잡고 眞理로 讚揚받는 것은 우리가 “自然과 人間을 完全히 支配하기 위해 自然[과 人間]을 利用하는 知識”(호르크하이머, 아도르노), 卽 힘을 自然科學을 통해 얻을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科學技術의 進步는 自然, 卽 對象(客體)들을 支配할 힘을 增大해간다. 그러나 그 結果는 자칫 人間의 人間다움을 威脅하거나 毁損할 수도 있다.

    産業的으로나 軍事的으로 그 有用性이 確認되는 마당에 로봇의 機能은 急速度로 向上될 것이다. 人間의 끝없는 生命 延長 欲求를 充足시키는 醫療技術과 함께 生命工學은 秦始皇의 所望 成就를 向해 疾走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正當化하는 論理 또한 開發될 것이다. 이른바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은 그러한 軌道를 달린다.

    人間이 自然物이라면 自然物의 産出 또한 自然物인 만큼, 人間의 知能과 손을 거쳐 나온 人工知能과 온갖 人工的 造作 亦是 실은 一種의 自然물이라 해야 할 것이다. 이쯤 되면 ‘人工的(人工的, artficial)’이라는 말이 適用될 對象은 없다. 自然 안에 있는 모든 것은 다 ‘自然的(自然的, natural)’인 것이니까.

    이로써 自然因果 人工人間의 本質的인 區別도 사라진다. 그러니까 自然人이 人格體라면 로봇도 사이보그度 人格體다. 自然人이 代替 不可能性을 根據로 ‘尊嚴性’을 主張하는 것은 根據를 喪失한다. 自然人이든 로봇이든 사이보그든 모두 複製도 可能할 것이고, 同一한 것으로 代替도 可能할 것이다.



    꼬리 무는 質問들

    이제 포스트휴머니즘의 人間觀이, 포스트휴먼의 社會가 우리에게 時急하게 던지는 물음이 한둘이 아니다. 于先 人間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물음이 있을 것이다.


    -果然 ‘人間’은 무엇인가?

    -都大體 ‘生命’이란 무엇인가?

    -‘人間的 삶’, ‘人間답게 산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이제까지 人間은 ‘知(知)·政(情)·義(意)의 마음 能力을 바탕에 갖는 理性的 動物’로 規定돼왔다. 動物的 特性으로는 生命性(基礎欲求: 食慾[生存本能], 性慾[繁殖本能]), 自己運動性, 有限性(죽음, 疲勞)李, 理性的 特性으로는 自我意識 곧 自己意識(主體意識, 利己心, 自尊心, 有限性意識, 죽음意識, 蹤跡 連帶意識[歷史意識])과 他者意識(客體意識, 同情心, 共感, 利他心, 時期, 蔑視, 競爭心, 尊敬心), 橫的 連帶意識([社會意識]), 그리고 이에 더해 人格性(自律性, 自己企劃, 自己責任, 倫理意識, 良心)李 꼽혔다. 무릇 이러한 人間像의 變化가 不可避하다면 倫理的이고 法律的인 물음들이 뒤따르지 않을 수 없다.


    -人間은 어느 地點까지 醫療技術에 依支해 生命을 이어가야 하는가?

    醫療技術이 할 수 있는 한 生命을 이어간다면, 自然人으로 태어난 人間도 終局에는 사이보그로 生存할 것이다.

    -人間의 遺傳子 變形·複製·成形 施術을 (어디까지) 許容할 것인가?

    이를 人間의 技術能力이 미치는 限 許容한다면 結局 優生學的 措置를 하는 셈이 될 것이다.

    -‘同一人’ 槪念은 언제까지 維持될 수 있는가?




    사이보그의 나라

    거듭되는 施術에 依해 自然人이 變形되어가면 어느 地點까지 ‘同一人’으로 看做해야 할까. 이에 對한 判定은 수많은 法律 問題를 隨伴한다.
    보다 現實的이고 具體的인 물음도 뒤따른다.


    ?-勞動 現場에서 로봇과 사이보그에게 일자리를 넘겨주고 人間은 但只 閑暇함을 즐길 수 있을까?


    自然人 勞動者가 退職 後에 로봇의 勞動力에 依해 年金을 받는 것이 좋기만 할까. 로봇이 配置되면서 줄어드는 일자리를 사람에게 어떻게 分配해야 合理的일지의 論議는 急先務 中의 하나가 된다.


    -戰爭터에서 自然人 部隊와 로봇 部隊가 戰鬪를 벌이는 局面은 避할 수 있을까?


    이미 이런 初期 局面을 우리는 맞고 있다.
    그리고 끝내는 ‘포스트휴먼 社會’의 本質的 물음에 이를 것이다.


    -自然因果 로봇 또는 사이보그의 社會的 關係는?

    -로봇, 사이보그度 自然人과 똑같은 ‘國家市民’인가?

    -自己算出 能力과 自治 能力을 갖춘 로봇, 사이보그들이 獨自的 國家를 세운다면?



    포스트휴먼 社會는 近代 文明의 寵兒인 科學技術의 進步와 그 德分에 廣範圍한 贊同을 얻은 自然科學主義的 人間觀의 延長線上에서 나왔다. 이런 社會가 惹起하고 提起하는 이러한 問題들에 對한 省察은 只今 우리가 當面한 哲學的 課題가 아닐 수 없다.

    人工知能, 로봇, 生命科學 等이 人類에게 福(福)李 되려면, 人間이 創出한 科學技術 一般이 人間의 品格을 高揚하는 데 쓰여야 함은 當然하다. 따라서 科學技術의 成果가 人間性을 持續的으로 高揚할 수 있는 方案이 늘 함께 講究돼야 한다. 人間 文明의 成果가 人間 文明을 破壞할 危險을 防止하고, 人間이 애써 取得한 힘이 人間을 窮地로 내모는 暴力이 되지 않도록 말이다. 只今, 바로 論議를 始作하자.?

    百 種 現


    ● 1950年 全北 扶安 出生
    ● 獨逸 프라우부르크大 博士(哲學)
    ● 서울대 哲學科 敎授, 人文學硏究員腸
    ● 著書 : ‘存在와 眞理’ ‘倫理 槪念의 形成’
    ?? ‘社會運營原理’ ‘哲學의 槪念과 主要問題’ ‘칸트와 헤겔의 哲學’ 等
    ● 現 서울대 名譽敎授, 韓國哲學會 會長·理事長, 韓國포스트휴먼學會 會長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