公孫淵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公孫淵
公孫淵
연왕
在位 237年 ~ 238年
이름
問議(文懿)
爵號 坪곽후? [1] → 樂浪공
身上情報
出生地 요동군 楊平
死亡日 238年 8月( 陰曆 )
國籍 위나라
經歷 요동태수 兼 양렬將軍 → 거機張郡 → 大司馬
其他 親姻戚 恭遜도 (할아버지)

公孫淵 (公孫淵, ? ~ 238年 )은 中國 三國 時代 搖動 의 勢力家로 問議 (文懿)이며 幼主 요동군 楊平縣(襄平縣) 사람 이다. 叔父 恭遜공 을 몰아내고 政權을 强奪하였다. 吳나라 의 러브콜에도 不拘하고 纏帶와 마찬가지로 위나라 에 協助하였다. 그러나 위나라에게 있어 公孫淵은 꺼림칙한 存在였다. 結局 四魔의 에게 討伐당하면서 半世紀를 存續했던 搖動의 공손氏 政權은 幕을 내렸다.

生涯 [ 編輯 ]

魏나라와 吳나라 사이에서 [ 編輯 ]

아버지 公孫康 할아버지 恭遜도 에 이어 搖動 태수 로서 讀者 勢力을 營爲하였다. 아버지가 죽었을 때 恭遜黃 이나 公孫淵이나 아직 나이 가 어려 그 자리는 작은아버지 恭遜공 이 承繼하였다. 228年 ( 泰和 2年) 叔父를 威脅하여 요동태수를 차지하였다. 위나라 皇帝 造詣 는 이를 追認하고 양렬將軍(揚烈將軍)을 얹어주었다.

229年 吳나라 皇帝 孫權 이 敎委(校尉) 長江(張剛)과 管督(管篤)을 派遣해 接近해왔다. [2] 230年 造詣가 거機張郡 으로 棺위를 올려주었다. [3] 232年 公孫淵이 吳나라와도 가까이 지내자 아직 貢物을 끊지 않았음에도 造詣가 이를 征服하고자 했다. 여남 태수 [4] 揃刈 淸州 에서 西海 를 건너고 [5] 幼主 自社 王웅 이 陸路로 進攻하려다 成果 없이 돌아갔다. [6] 公孫淵은 주하(周賀) 等 이미 와있던 吳나라 使臣들에 對한 答禮로 敎委 숙서(宿舒)와 낭중령(?中令) 손종(孫綜)을 보냈다. 담비 들을 獻上하며 칭번하니 孫權이 기뻐서 靑 注目 이란 官職을 더해주고 연왕(燕王)이란 作爲 도 授與하였다. [2]

233年 ( 靑龍 元年) 숙서와 손종이 오나라 將兵 約 10,000名의 大規模 護衛를 받으며 그 使節團과 함께 答眞(沓津)에 到着하였다. 吳나라 使節團은 冊封 調書와 關聯 什器는 勿論 金銀寶貨에 구석 (九錫)까지 가져왔으며 附隨的으로는 말들을 社가려 하였다. 太上 薔薇 , 執金吾 허안(許晏), 中郞將 萬態(萬泰), 敎委 倍잠(裴潛)李 隨行員 400餘 名을 데리고 치소人 楊平으로 向하고 下達(賀達)과 愚者(虞咨)는 에 남았다. 公孫淵은 孫權이 너무 멀리 있어 依支하기 어렵다 判斷하였다. 薔薇 等 4人을 斬首 하고 그 隨行員들을 拘束했으며 寒氣(韓起)에게는 君을 맡겨 答眞意 吳나라軍까지 무찔렀다. 沒收한 物品과 需給은 서조연(西曹?) 恭遜型(公孫珩)으로 하여금 造詣에게 바쳤다. [7] 이 공으로 大司馬 와 樂浪공(樂浪公)을 받고 요동태수度 維持했지만 위나라는 公孫淵을 不便히 여겼다.

위나라와의 全面戰 [ 編輯 ]

結局 造詣는 公孫淵을 밀어버리기로 決心하고 毌丘儉 을 유주刺史에 임명하였다. [8] 237年 ( 勁草 元年) 楊平으로 進擊해오는 毌丘儉을 要수현(遼隧縣, 遼隊縣)에서 逆擊하여 물리쳤다. 마침 열흘間 道 내려 夭壽 (遼水)가 너무 불어났으므로 毌丘儉이 물러났다. [3] 公孫淵은 年號 小寒 (紹漢)이라 定하는 한便 孫權이 봉했었던 연왕을 自處하며 吳나라에 을 벌리고 선비 도 懷柔하려 하였다. 孫權은 讓渡(羊?)의 進言을 받아들여 지난 일은 덮어두고 그 支援을 約束하였다. [9]

238年 , 위나라에서는 太尉 四魔의 于今 , 戶主 等을 거느리고 步兵 起兵 4萬 名으로 討伐에 나섰다. 苦竹(孤竹)과 갈석(碣石)을 지나 6月( 陰曆 )에는 夭壽(遼水)에 到達하였다. 公孫淵度 비연 釀造 等 數萬 名을 夭壽縣으로 出擊시켜 垓子 等의 障礙物을 20餘 [10] 에 걸쳐 設置하며 맞섰다. 司馬懿의 軍勢가 東南쪽 方向으로 守備網을 뚫으려 하는 것 같아 거기에 神經을 쏟았는데 되레 司馬懿는 北쪽으로 迂廻하여 을 건너고 一部 兵力만을 대치시킨 채 그대로 楊平을 向해 내달렸다. 釀造 等은 애써 構築한 陣地를 버리고 急히 死力을 다해 司馬懿를 攻擊했지만 水産(首山)도 뚫리고 楊平이 포위당했다.

敗亡 [ 編輯 ]

30餘 간 비가 繼續되어 江이 마구 汎濫하는데도 司馬懿는 還軍하지 않았다. 날이 개자 孔性 이 始作되어 土産, 땅窟 , 樓居(樓車), 襏襫거 , 涓奴 等으로부터 連日 화살 이 빗발쳤다. 食糧 이 바닥나 人肉 을 먹어야 했으며 죽은 者도 매우 많았다. 釀造 等 投降하는 者들도 생겨났다. 8月, 數十 張(丈) 길이 儒城 까지 東南쪽 方面에 떨어지면서 사람 들이 두려워 하였다. 高句麗 동천왕 도 數千 名을 보내 司馬懿를 돕고 있었는데 [11] 孫權이 援軍으로 派兵한 井州(鄭?)는 아직 當到하지 않았다. [12] 어쩔 수 없이 相國 王建 御史大夫 流布 (留保)를 보내 包圍를 풀어줄 것을 懇請하였으나 모두 萬 날아갔다. 다시 市中 (侍中) 위연 을 통해 볼모 를 보내겠단 뜻을 殿下였지만 司馬懿는 “軍事엔 다섯 길이 있으니 나와서 싸울 수 있다면 싸우고, 싸울 수 없다면 지켜야 하며, 지킬 수도 없다면 避해야 한다. 남은 두 가지는 降伏과 죽음 뿐이다. 公孫淵이 直接 와서 降伏을 請하지 않는 것은 죽음을 覺悟한 것일 터 姪子를 보낼 必要는 없다.”라 答할 뿐이었다.

끝내 아들 公孫樹 와 數百 欺瞞을 거느린 채 東南쪽 包圍網을 突破하고 逃走하다가 위軍에 잡혀 斬首당했다. 15歲 以上 男子 7,000餘 明과 將軍 필성(畢盛) 等 恭敬 以下 2,000餘 名도 處刑 當해 그 屍體 로 景觀(京觀)이 만들어졌으며 公孫淵의 머리 洛陽 으로 보내졌다. 恭遜공 時節부터 洛陽에 人質로 가있던 兄 恭遜黃道 목숨 을 잃었다. [7] 189年 ( 衆評 6年) 以來 搖動, 大房 , 樂浪 , 玄도 等 東北方 邊方에서 君臨해오던 공손氏 政權은 이렇게 滅亡하였다.

三國志演義 [ 編輯 ]

司書가 아닌 小說 三國志演義 》에서도 登場한다.

섬긴 사람들 [ 編輯 ]

家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配送地 가 《三國志》오주展에 引用한 《강표傳》에서는 評落後(平樂侯)라 하였는데 山羊群 평락현은 이미 없어졌다. 恭遜共의 爵位가 坪곽후(平郭侯)였으므로 그 傲氣가 아닌가 한다. 老筆 篇, 《三國志集解》
  2. 《三國志》47卷 五署 第2 五洲 孫權
  3. 《三國志》3卷 魏書 第3 命題 造詣
  4. 사마표 의 《前略》(戰略)에서는 平柱 自社(平州―)라 하였으나 《三國志》 前예전을 따른다.
  5. 《三國志》26卷 魏書 第26 揃刈
  6. 《前略》 ; 配送地 主席, 《三國志》14卷 魏書 第14 章帝 에서 引用
  7. 御患(魚?), 《 偉略 》 ; 配送地 主席, 《三國志》8卷 魏書 第8 공손탁에서 引用
  8. 《三國志》28卷 魏書 第28 毌丘儉
  9. 습착치 , 《 韓進春秋 》 ; 配送地 主席, 《三國志》8卷 魏書 第8 공손탁에서 引用
  10. 《陳書》 善提起에서는 六七十 里라 하였으나 《三國志》 公孫淵前科 《 資治通鑑 》74卷을 따른다.
  11. 《三國志》30卷 魏書 第30 東이 高句麗
  12. 《文辭典》(文士傳) ; 配送地 主席, 《三國志》47卷 五署 第2 五洲 孫權에서 引用

參考 文獻 [ 編輯 ]

  • 三國志 》8卷 魏書 第8 공손탁
  • 陳書 》1卷 提起 第1 古朝鮮第 司馬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