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驗論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經驗論 (經驗論, 英語 : empiricism )이란 哲學에서 感覺의 經驗을 통해 얻은 證據들로부터 비롯된 知識을 强調하는 理論이다. 合理主義 가 認識 源泉을 오직 異性 에서만 追求하는 것과 對立한다. 經驗論은 認識論 으로 알려진 人間의 知識에 關한 學問 中 가장 널리 퍼진 觀點이기도 하다. 經驗論에서는 觀念의 形成 過程에서 生得觀念이나 慣習 보다는 經驗과 證據, 特히 感覺에 依한 知覺 을 强調한다.

같은 脈絡에서, 科學哲學 에서의 經驗論은 證據와 密接하게 關聯된 科學的인 知識, 特히 實驗 에 그 土臺를 두고 있는 觀點들을 强調한다. 이는 모든 假說과 理論들은 오로지 演繹的인 推論 이나 直觀 , 또는 啓示 가 아니라 自然界에서의 旣存의 觀察에 半(反)하여 檢證되어야 한다는 것을 內容으로 하는 科學的 方法 의 基礎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科學은 完全히 方法論的으로 實證的인 學問이라고 할 수 있다.

어원 [ 編輯 ]

經驗論이라는 用語는 두 가지 語源을 지니고 있다. 이 單語는 經驗이라는 單語를 끌어올 수 있는, 라틴語 experientia로 飜譯되는 그리스語 ?μπειρ?α에서 由來하였다. 또 다른 見解는 古代 그리스 또는 로마에서 empirics의 具體的인 活用 用例로부터 由來했다는 것인데, 이 用例에 依하면 이 單語는 理論에 登場하는 說明과 相反된, 實用的인 經驗들로부터 우러나온 技術을 蓄積한 意思를 의미하는 것이다. [1]

經驗論과 哲學 [ 編輯 ]

英國에서의 經驗論을 創始한 존 로크 .

經驗論이라는 單語는 獨斷的인 原則( Dogmatic school )을 固守하는 것을 拒否함과 同時에 經驗으로 얻어진 現象에 對한 觀察에 依存하였던 몇몇 古代 그리스의 醫療職 從事者들을 가리키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1] 이 醫療職 從事者들은 피론主義 와 깊은 關聯이 있다.

個人은 어떠한 精神的인 內容 없이 태어나며 이들의 知識은 經驗과 遲刻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라는 意味를 담고 있는 陀佛라 라사 의 槪念은 아리스토텔레스 時代에 定立되었으며 이븐 詩나 [2] 에 依해 그 意味가 改良되었다. 이븐 투파일 은 이 單語의 뜻을 思考 實驗 으로 表現하였다. 經驗論이 담는 原則은 後日 17世紀 존 로크 에 依해 明快하게 表現되었다. 존 로크에 따르면 마음은 陀佛라 라사(그는 '白紙'라는 表現을 使用하였다.)와 같아서 經驗이 이 위에 痕跡을 남기고 간다고 한다. 이와 같은 意味에서의 經驗論은 人間의 生得觀念 이라든지 經驗을 參照하지 않고 알 수 있는 그 모든 것을 否定한다.

經驗論者의 觀點에 依하면 그 어떤 知識도 適切히 推論되거나 類推되려면, 窮極的으로 누군가의 感覺에 기초한 經驗으로부터 얻어져야 한다. [3] 歷史的인 脈絡에서, 哲學的인 經驗論은 一般的으로 많은 知識들이 感覺과는 獨立的으로 異性 에 依해 說明될 수 있다고 强調하는 合理主義 와 背馳되는 槪念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對照는 데카르트 , 스피노자 , 라이프니츠 와 같은 많은 合理主義者들이 同時에 經驗에 기초한 "科學的인 方法"의 擁護者이기도 하였기 때문에 이들 理論이 包含하는 槪念들을 過度하게 單純化한 것으로 看做하고 있다. 더 나아가, 로크는 神의 存在에 關한 證明같은 몇몇 知識은 直觀 과 推論만으로 얻어질 수 있다고 主張하였다. 實用主義 에서 特히 존 듀이 는 經驗(實驗)으로서의 行動을 지·政·義(知情意)의 統一體, 過去·現在·未來의 接合點으로 보아 거기에서 認識의 源泉을 追求한다.

英國 經驗論 [ 編輯 ]

英國 經驗論은 비록 그 當時에 使用된 用語는 아니지만 17世紀 初期 近代 哲學과 近代 科學에서 派生되었다. 이 用語는 經驗論의 創始者인 프랜시스 베이컨 과 合理論의 創始者인 르네 데카르트 사이의 差異를 描寫하기 위하여 有用하게 使用되었다. 다음 世代인 토머스 홉스 바뤼흐 스피노자 는 各各 經驗論者와 合理論字로 描寫된다. 존 로크 , 조지 버클리 , 데이비드 흄 은 主로 18世紀 啓蒙主義 時代 經驗論의 主要 主唱者이며, 존 로크가 一般的으로 經驗論의 立場을 集大成 해서 强調했던 最初의 人物로 알려져 있다.

조지 버클리 는 認識 主體 바깥의 實體를 認定한 로크의 見解를 批判하며 經驗論을 極端的인 觀念論 으로 變形시켰다.

17世紀 超中企 大陸 合理論 에 對한 應答으로, 존 로크는 《 人間 知性論 》에서 人間이 얻을 수 있는 知識은 오직 아 포스테리오리 (a posteriori)하다는, 卽 經驗에 基盤을 둔다는 매우 影響力 있는 見解를 提示하였다. 로크는 人間의 마음은 感覺 引上으로부터 派生된 經驗이 쓰여지는 陀佛라 라사 , 卽 빈 書板, 또는 로크의 用語로는 白紙(白紙)라는 家庭을 堅持하였다. 우리의 觀念에는 感覺과 反映이라는 두 個의 源泉이 있다. 두 狀況에서 區別은 單純 觀念과 複合 觀念 사이에서 만들어진다. 前者는 分析할 수 없고, 主된 性質과 種된 性質로 나뉜다. 主된 性質은 客體에 必要하다. 특정한 主된 性質 없이 客體는 그것일 수 없다. 例를 들어, 沙果는 그것의 原子的 救助의 配列로 인하여 沙果가 된다. 謝過의 構造가 달라진다면, 그것은 더는 謝過가 아니다. 種된 性質은 우리가 主된 性質로부터 認識할 수 있는 種된 情報이다. 例를 들어 謝過는 다양한 色, 크기, 感觸으로 認識될 수 있으나 그것은 如前히 謝過이다. 그러므로 主된 性質은 客體가 무엇인지 決定하는 反面, 種된 性質은 그것의 屬性을 定義한다. 複合 觀念은 單純 觀念을 結合하여, 그것을 本質(substances), 形態(modes), 關係(relations)로 나눈다. 로크에 따르면 우리의 事物에 對한 認識은 서로에 對해 關聯되어 있거나 關聯되어 있지 않은 觀念의 認識이다.

한 世代 뒤, 아일랜드의 聖公會 主敎인 조지 버클리 는 로크의 見解가 無神論 으로 이어지는 門을 열었다고 보았다. 로크에 對한 應答으로, 《人間 知識의 原理에 關한 論文》( Treatis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Human Knowledge )에서 事物은 오직 認識된 結果로서 存在하거나 認識하는 存在라는 事實의 德澤으로 存在한다고 主張하였다. (버클리에게 '存在하는 것은 곧 知覺된 것'으로서, 神은 人間이 어떤 對象을 遲刻하기 위해서 存在하지 않을 때에도 代身 對象을 知覺함으로써 그것이 客觀的으로 存在하는 것과 같은 結果를 가져온다.) 《알치프론》( Alciphron )에서 버클리는 人間이 自然에서 볼 수 있는 秩序는 神의 言語나 敍述이라고 主張하였다. [4] 버클리의 經驗論에 對한 接近은 後에 主觀的 觀念論 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5] [6]

데이비드 흄 로크 에 對한 버클리 의 批判을 受容하면서 經驗論을 새로운 段階의 懷疑主義 로 이동시켰고, 흄의 經驗論은 以後 多數의 哲學 學派로 이어졌다.

스코틀랜드의 哲學者 데이비드 흄 은 認識 바깥에 있는 實體를 認定한 로크에 對한 버클리의 批判에 對答하면서, 經驗論을 새로운 段階의 懷疑主義 로 이동시켰다. 흄은 모든 知識은 感覺的 經驗으로부터 由來한다는 經驗論的 見解를 維持하였으나 이것이 哲學者들에게 一般的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렵다는 것도 認定하였다. 例를 들어, 흄은 "로크는 모든 論證을 '論證的인' 것과 '蓋然的인' 것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見解에서 우리는 '모든 人間은 죽는다'나 '來日 太陽이 떠오를 것이다'는 蓋然的이라고 하여야 한다. 이것들은 모두 論證的이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의 言語를 一般的 使用에 一致시키기 위해서는 우리는 論證을 疑心이나 反證의 餘地를 남기지 않은 經驗으로부터 派生된 論證을 의미하는 "證據"(proofs)에 依하여 論證的인 것들(demonstrations), 檢證된 것들(proofs), 蓋然的인 것(probabilities)들로 나누어야 한다."라고 하였다. [7]

흄은 人間의 모든 知識을 觀念의 關係(relations of ideas)와 事實의 問題(matters of fact), 두 個의 範疇로 나누었다. 數學的, 論理學的 前提는 첫 番째의 例이며, 世界에 對한 偶然한 觀察, 例를 들어 "太陽은 東쪽에서 뜬다"를 包含하는 前提는 두 番째의 例이다. 사람들의 모든 "觀念(ideas)"은 "引上(impressions)"에서 派生된다. 흄에게 引上은 우리가 感覺이라고 부르는 것과 거칠게 聯關되어 있다. 이러한 印象을 記憶하거나 想像하는 것이 "觀念"을 갖는 것이다. 觀念은 그러므로 感覺의 稀微한 服制이다. 흄은 모든 知識 甚至於 自然的 世界에 對한 大部分의 基本的 믿음조차도 理性으로 成立되지 않는다고 主張하였다. 代身 우리의 믿음은 蓄積된 感覺的 經驗에 應하여 發展된 蓄積된 習慣의 結果라고 主張하였다. [8]

各州 [ 編輯 ]

  1. Sini, Carlo (2004), "Empirismo", in Gianni Vattimo et al. (eds.), Enciclopedia Garzanti della Filosofia.
  2. Dr. Abu Shadi Al-Roubi (1982), "Ibn Al-Nafis as a philosopher", Symposium on Ibn al-Nafis ,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slamic Medicine: Islamic Medical Organization, Kuwait (cf. Ibn al-Nafis As a Philosopher Archived 2008年 2月 6日 - 웨이백 머신 , Encyclopedia of Islamic World )
  3. Markie, P. (2004), "Rationalism vs. Empiricism" in Edward D. Zalta (ed.),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Eprint .
  4. Thornton, Stephen (1987) "Berkeley's Theory of Reality" in The Journal of the Limerick Philosophical Society, UL.ie
  5.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1969), "George Berkeley", vol. 1, p. 297.
  6. Macmillan Encyclopedia of Philosophy (1969), "Empiricism", vol. 2, p. 503.
  7. Hume. "Of Probability". Enquiries Concerning the Human Understanding and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
  8. Hume, D.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 in Enquiries Concerning the Human Understanding and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Morals , 2nd edition, L.A. Selby-Bigge (ed.),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UK, 1902[1748].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