믿음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信念 에서 넘어옴)

遺骨에서 나오는 피닉스의 傳說은 西歐 文明에 刻印된 復活에 對한 믿음으로, 象徵的인 文學的 平面을 지나갔다.

믿음 (Belief, Faith)은 어떠한 價値觀, 宗敎 , 사람 , 事實 等에 對해 다른 사람의 同意와 關係 없이 確固한 眞理 로서 받아들이는 個人的인 心理 狀態이다. 國立國語院 標準國語大辭典 에는 ‘어떠한 事實이나 사람을 믿는 마음’으로 說明되어 있다. 哲學 , 社會 , 政治 等의 分野에서는 一般的으로 信念 (信念)이라 하며, 宗敎 에서는 信仰 (信仰), 信心 (信心), 信仰心 (信仰心) 等으로 불리며, 神과 神이 주신 말을 믿는 것이다. 盲目的 믿음이 紛爭과 葛藤을 招來하기도 한다.

認識論 [ 編輯 ]

知識 과 믿음은 큰 相關 關係 가 있으나 반드시 一致하는 것은 아니다. 例를 들어 太陽 이라고 믿는 사람은 太陽이 信任을 안다고 主張할 것이나 그러한 믿음에 同意하지 않는 사람의 立場에서 그것은 眞理가 아닌 잘못된 知識이다. 이런 理由에서 哲學 知識 과 믿음을 別個의 槪念으로 다룬다.

知識과 믿음을 다루는 哲學 의 分野는 認識論 이다. 플라톤 은 그의 著書 《 테他이테토스 》에서 知識이란 참으로 判斷된 믿음이라 正義(定意)하였다.

科學 [ 編輯 ]

知識에 對한 認識論 의 正義는 科學 에 導入되어, 科學은 經驗 的 知識만을 다루며 立證될 수 없는 믿음은 論議에서 除外한다.

心理學 [ 編輯 ]

社會心理學 에서는 個人의 특정한 믿음이 社會 關係에 對한 個人의 態度 를 決定하거나, 固定 觀念 을 形成하게 된다고 說明한다.

宗敎 [ 編輯 ]

宗敎 에서 믿음은 앞서 言及한 바와 같이, 信仰 , 信心 , 信仰心 等으로도 불리며 과 같은 崇拜의 對象이나 敎理 와 같은 宗敎的 가르침, 戒律 과 같은 宗敎的 規範 , 聖地 와 같은 특정한 場所 等이 믿음의 對象이 된다. 原始 時代에는 한 集團에 屬한 男女 모두가 妊娠과 出産의 메커니즘을 理解할 수 없었으므로, 生殖이 超地上的人 것이라 생각했고, 삶을 누릴 수 있다는 믿음이 그들 集團에서는 첫 番째 前提가 되었다. 어머니에게서 子息으로 傳해져 몇 世代 동안이나 사람들의 觀念 속에 守護神으로 생생하게 자리잡아 崇拜된 토템 外에, 밤이나 낮이나, 그들이 어디에 있든 自然의 神祕한 힘이 그들에게 影響을 미쳐 愉快하거나 不快한 感情을 일으키게 했다. 그러한 힘을 理解하고 또한 自身을 理解하도록 하려고 이미 原始人들은 이러한 善惡의 힘들을 人間化하고, 超自然的으로 偉大해진 人性을 附與했다. 그들은 自然의 힘을 神으로 드높였다. [1]

基督敎 [ 編輯 ]

예수 天國 不信 地獄이라는 말로 象徵되는 믿음이란 基督敎에서 많이 使用하는 單語이다. 믿음은 반드시 對象이 있다. 基督敎에서 믿음이란 예수 에 對하여 單純히 "歷史的 事實에 對한 指摘으로 同意한다"는 意味가 아니라 지, 情, 義가 作用하는 信賴를 말한다. 믿음이 成長할수록 "예수에 對한 信賴가 穩全하여지고, 삶의 安定感을 누릴 수 있다"고 한다. 믿음은 人間이 스스로 決定하기 보다는 " 하느님 또는 하나님 의 恩惠의 膳物로 理解해야 하며, 聖靈님으로 말미암아 마음에 거듭나서 예수를 舊株로 믿음으로 救援을 받는다"고 한다.

한便 基督敎 에서 信仰 또는 믿음(faith)이란 낱말에 對한 正義에 關해서는 論難이 되곤 한다. 系統的 敍述에 依하면 히브리서 에 있는 "希望하는 것에 對한 確信, 보지 않은 것에 對한 確信"으로 본다. [2] 大部分의 基督敎 理論들이 歷史的으로 이 聖經的 敍述을 따라왔다. 다른 아브라함界 宗敎 와 마찬가지로 神에 對한 믿음을 包含하여 神이 그의 자비로운 意志, 또는 人間에 對한 計劃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世界에 對해 管理한다는 - 現實을 超越한 領域을 實際로 믿음을 包含한다.

基督敎가 다른 아브라함界 宗敎와 區分되는 것은 예수의 役割에 焦點을 맞추는 것과 그가 苦難과 復活 이 豫言에 따라 立證된 救援者(그리스도, 크라이스트)라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新約聖書 의 믿음에 包含되는 內容이다. 基督敎의 大部分 傳統에 依하면 基督敎 信仰(믿음)은 예수가 그의 아버지 聖靈 에 依해 復活했음을 믿는다. [3]

正確한 “믿음”이란 單語에 對한 理解는 多樣한 基督敎 敎派 의 傳統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差異點에도 不拘하고, 基督敎人은 普遍的으로 예수가 基督敎의 中心에 자리하고 있고, 基督敎人이 되기 위해 이러한 믿음이 必要하다는 믿음에는 共通點을 보인다. 基督敎의 傳統은 예수에 對한 믿음이 매우 中心이 되기 때문에 “믿음의 宗敎”라 불리기도 한다. 信仰 또는 믿음(faith)과 믿음(belief)이란 槪念은 基督敎人들이 ‘믿는 사람’으로 看做되듯 頻繁히 同義語로 여겨진다.

佛敎 [ 編輯 ]

佛敎의 敎學에 따르면 믿음 (信)은 그 定義가 單純히 특정한 敎義 또는 存在를 '믿는 것'은 아니다. [4]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의 敎學에 따르면, 믿음은 마음이 淸淨한 것 이다. 卽, 淸淨 (?淨)은 믿음의 다른 말이다. 《 大勝五蘊론 》과 《 대승광오온론 》에 따르면, 믿음 또는 淸淨은 (業)  · (果)  · 眞理 [諦]  · 보배 [寶]와 至極하게 서로 契合 하고 따르는 狀態[極相符順]를 말한다. 또는 이러한 契合 의 狀態를 可能하게 하는 淸淨한 마음 或은 이러한 契合 의 狀態가 일어나고 있을 때의 바로 그 淸淨한 마음 을 말한다. [5] [6] [7] [8] 그리고 傳統的인 佛敎 用語로는 이러한 意味에서의 淸淨한 마음 또는 맑은 마음 믿음 心情 (心淨: 마음이 맑음, 마음이 깨끗함, 마음이 淸淨함) 또는 審懲丁 (心澄淨: 마음이 맑고 깨끗함)이라 한다. [5] [6] [9] [10]

部派佛敎 大乘佛敎 믿음 (信)에 對한 正義와 說明들에서 다른 共通되는 事項은, 믿음(信)은 모든 (善)韓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과 恒常 함께 일어나는 마음作用 (心所法)이며,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 마음作用 이며, 涅槃 에 이르는 길로서의 불도 (佛道)로 들어가는 첫걸음이 되는 마음作用 이라는 것이다. [11]

이슬람 [ 編輯 ]

宗敎에 强要는 없나니 眞理는 暗黑으로부터 區別되노라.

?  꾸란 , 2:256

主님의 뜻이 있었다면 地上에 있는 그들 모두가 믿음을 가졌을수도 있었으리라 그대는 强要하여 百姓들로 하여금 믿게하려 하느뇨.

?  꾸란 , 10:99

너희에게는 너희의 宗敎가 있고 나에게는 나의 宗敎가 있을 뿐이라.

?  꾸란 , 109:6

이슬람 에서는 알라 를 神으로 섬기며, 經典인 꾸르안 에서도 볼 수 있듯 이슬람 社會에서는 信仰과 宗敎 를 所重히 생각하기 때문에 元來 가졌었던 믿음을 배반하는 것이 禁止되 背敎者 를 處刑하기도 한다.

그래서 元來부터 無神論 이었거나, 다른 宗敎를 믿고 있었던 他人에게 改宗을 强要 하는 行爲도 禁止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슬람 에서 말하고자 하는 信仰의 原理가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國家 IS 나 알카에다 等의 이슬람 極端主義 團體에 依해 歪曲 誤解 를 사기도 한다.

이슬람 에서 말하는 信仰의 原理가 歪曲 되는 그 原因이 뉴스 에 報道된 이슬람 에 對한 안 좋은 事件들과 함께 사람들이 旣存에 담고 있었던 이슬람 에 對한 偏狹 된 視角에서 影響을 받기도 한다.

기타 [ 編輯 ]

無批判的인 믿음에 對해 比喩的인 批判의 用法으로 使用되는 境遇도 있다.

參考 文獻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파울 프리샤우어 (1991年 1月 15日) [1968]. 《世界風俗史(上)》. 이윤기 飜譯. 서울: 圖書出版 까치. 22쪽. ISBN   89-7291-011-2 . 한 集團에 屬한 男女 모두가 說明할 수 없는 肖像的인 生殖力 德分에, 生을 누릴 수 있다는 信仰이 그들 集團에서는 첫 番째 前提가 되었다. 그러나 어머니에게서 子息으로 傳해져 몇 世代 동안이나 사람들의 觀念 속에 守護神으로 생생하게 자리잡아 崇拜된 토템 外에, 밤이나 낮이나, 그들이 어디에 있든 自然의 神祕한 힘이 그들에게 影響을 미쳐 愉快하거나 不快한 感情을 일으키게 했다. 그러한 힘을 理解하고 또한 自身을 理解하도록 하려고 이미 原始人들은 이러한 善惡의 힘들을 人間化하고, 超自然的으로 偉大해진 人性을 附與했다. 그들은 自然의 힘을 神으로 드높였다.  
  2. Cf. "Faith". Encyclopaedia Britannica. 9. London-Chicago-Geneva-Sydney-Toronto: W. Benton. 1964. p. 40.
  3. The importance of a belief in the resurrection is substantiated in several ways: (1 Corinthians 15:1-4) '... the gospel I preached to you... Otherwise, you have believed in vain...'. The same book says, in 15:14: "And if Christ has not been raised, our preaching is useless and so is your faith" (see also Acts 2:32; Philippians 3:10; John 11:25).
  4.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164 / 1397 쪽.
  5. 世親 兆, 現場 漢譯 & T.1612 , p. T31n1612_p0848c21 - T31n1612_p0848c22 . 新(信)
    "云何?信。謂於業果諸諦寶中。極正符順心淨?性。"
  6. 世親 지음,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 K.618, T.1612 , p. 3 / 12 . 新(信)
    "어떤 것이 神(信)인가. 業(業)과 과(果), 모든 眞理[諦]와 보배[寶] 等에 對해 至極히 바르게 符合하여 마음이 淸淨함을 自省으로 삼는 것이다."
  7.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 T.1613 , p. T31n1613_p0852a10 - T31n1613_p0852a16 . 新(信)
    "云何信。謂於業果諸諦寶等。深正符順。心淨?性。於業者。謂福。非福。不動業。於果者。謂須陀洹。斯陀含。阿那含。阿羅漢果。於諦者。謂苦集滅道諦。於寶者。謂佛法僧寶。於如是業果等。極相符順。亦名?淨。及希求義。與欲所依?業。"
  8.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 K.619, T.1613 , p. 7 / 24 . 新(信)
    "무엇을 믿음[信]이라고 하는가?
    業  · 果報  · 모든 眞理[諦]  · 보배 等에 對하여 깊고 바르게 따르는 마음의 淸淨함을 性質로 삼는다. 業에 對하여 福(福)  · 福이 아님(非福)  · 不同業(不動業)을 말한다. 果報에 對하여 수다원(須陀洹)  · 사다함(斯陀含)  · 阿那含(阿那含)  · 阿羅漢(阿羅漢)의 果報를 말한다. 眞理에 對하여 괴로움의 眞理[苦諦]  · 執着의 眞理[集諦]  · 執着을 없애는 眞理[滅諦]  · 깨달음에 이르는 眞理[道諦]이다. 보배에 對하여 佛寶(佛寶)  · 法寶(法寶)  · 僧寶(僧寶)의 삼보이다. 이와 같은 業  · 果報 等에 對하여 至極히 맞게 따르는 것을 淸淨(淸淨)이라고 한다. 懇切히 바라는 뜻에 이르러서는 바람이 나타나는 行動樣式이다."
  9. 細雨 兆, 現場 漢譯 & T.1542 , 第1卷. p. T26n1542_p0693a19 - T26n1542_p0693a20 . 新(信)
    "信云何。謂心澄淨性。"
  10. 細雨 지음,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 K.949, T.1542 , 第1卷. p. 5 / 448 . 新(信)
    "新(信)이란 무엇인가? 마음이 맑고 깨끗한 性品[澄淨性]이다."
  11. 星雲 , " ". 2012年 9月 26日에 確認.
  12. 科學의 境遇 「科學 信仰」 「科學 崇拜」또는 「科學 注意」等으로 불린다. 醫療의 境遇 「醫療 信仰」라고 불리는 게 普通.
  13. 「學歷 信仰」이나 「學歷 崇拜」라고 불리고 있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