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Schleiermacher
1838년에 제작된 슐라이어마허의 초상
1838年에 製作된 슐라이어마허의 肖像
學者 情報
出生 1768年 11月 21日 ( 1768-11-21 )
프로이센 王國 브레슬라우
死亡 1834年 2月 12日 ( 1834-02-12 ) (65歲)
프로이센 王國 베를린
職業 哲學者 , 神學者 , 譯者 , 大學 敎授 , 作家 , 敎育學者
言語 獨逸語
國籍 프로이센 王國
學歷 할레 비텐베르크 마르틴 루터 大學校
學派 獨逸의 理想主義
主要 作品
Christian Faith
墓碑
墓所 Dreifaltigkeitskirchhof II

프리드리히 다니엘 에른스트 슐라이어마허 ( 獨逸語 : Friedrich Daniel Ernst Schleiermacher , 1768年 11月 21日 ~ 1834年 2月 12日 ) 또는 슐라이에르마허 獨逸 改新敎 神學者 , 哲學者 이다. 그는 啓蒙主義 , 敬虔主義 , 그리고 浪漫主義 의 影響을 통해 現代 自由主義 神學 을 탄생시켜 그를 自由主義 神學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그는 또한 普遍 解析學 發展에 큰 影響을 끼쳤다.

改新敎 正統主義 에서 主張한 聖書靈感설 에 따른 聖經 本文의 意圖를 把握하는 神學 이 아니라 信仰 을 받아들이는 人間의 經驗을 바탕으로 直觀과 感情을 根據한 神學 方法論 을 構築하였다. [1] 그의 神學 接近法과 方法論이 現代 基督敎 思想에 끼친 그의 깊은 影響力 때문에, 그를 " 自由主義 神學 의 아버지"로 보기도 하며, 또한 改新敎 神學을 슐라이어마허 以前과 以後로 區分하며, 17世紀 改新敎 正統主義 를 克服한 改新敎 近代 神學의 門을 열었다고 본다. 칼 바르트 로 대표되는 20世紀의 新正統主義 運動은, 그의 影響力을 넘어서기 위한 여러 方式의 試圖 中 하나이었다.

生涯 [ 編輯 ]

실레시아 에 있는 브레슬라우 에서, 改革敎會 (The Reformed Church, 칼뱅주의 改新敎)에 所屬된 프로이센 軍牧 人 고틀리프 슐라이어마허의 아들로 태어났다. 할레 近處의 바르비 상루사티아 北部의 니스키 에 있는, 모라비아 學校에서 敎育 받았다. 그러나 敬虔主義 性格의 모라비아 神學은 날로 늘어만가는 그의 懷疑를 解消시키지 못했고, 그의 아버지는 마지못해서 그에게 할레 大學校 에 들어가는 것을 許諾해주었다. 當時 할레 大學校는 이미 敬虔主義를 抛棄했고,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 (Friedrich August Wolf)와 요한 잘老母 젬러 (Johann Salomo Semler)의 理性的인 精神을 採擇하였다.

神學生으로서 슐라이어마허는 敎科課程과는 別途로 나름의 冊읽기에 專念했으며 舊約聖書 中東 地域의 言語에 對한 工夫를 無視했었다. 그러나 제믈러의 講義에 參席하면서 新約聖書 에 對한 歷史批評 [2] 을 工夫하게 되었고, 요한 아우구스투스 에버하르트 의 講義를 통해서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의 哲學에 깊은 關心을 갖게 되었다.

1796年 獨逸 루터교 牧師가 되어 베를린 으로 옮겨 갔으며, 그곳에서 哲學者 슐레겔 等 浪漫派 學者와 文學家들의 影響을 받았다. 그는 《宗敎論》에서 宗敎의 本質은 行爲도 理性도 아닌 感情이라고 主張하였다. 나폴레옹 戰爭 當時 獨逸 民族 精神을 불러일으키는 說敎로 루터 以後 最大의 說敎者로 알려졌다. [3] 베를린 大學校 設立에 參與했으며, 베를린大學校 神學敎授를 歷任하기도 했다.

宗敎 體系 [ 編輯 ]

슐라이어마허는 近代神學의 아버지로 불린다. 무엇보다도 注目해야 할 作品은 《宗敎論》( 1799年 , 基督敎 辨證서)과 《信仰론》(1821/22; 2板: 1830/31)이다. 于先 그의 《宗敎論》에서 近代神學이 定礎해 놓은 새로운 方向正位를 살펴볼 수 있다. 20世紀의 새로운 神學的 思想들은 슐라이어마허와 批判 對話를 試圖했으며, 이를 克服하고자 努力했다. 그러나 오늘날 슐라이어마허의 神學은 새로운 活力을 얻고 있다.

슐라이어마허의 神學的 重要性을 다음과 같이 要約 할 수 있다.

  • 슐라이어마허는 人間을 “主體”로 생각한 最初의 神學者 이다. 여기서 主體(subjectum)은 모든 것을 支撐하는 根源을 뜻한다. '主體'로서의 人間은 모든 삶과 思惟의 中心이면서, 모든 것은 바로 그 自身에 依해 이끌어져야 한다. 따라서 主體로서 人間에게 宗敎란 外部의 어떤 힘에 屈服하거나 順服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 이 點에서 슐라이어마허의 宗敎는 敎理를 重要視하는 正統主義와 訣別한다. 이로써 그는 19世紀 自由主義 神學 의 아버지가 된다.
  • 슐라이어마허는 當時의 哲學的 思想을 受容한다. 스피노자 汎神論 敵 事由를 要約하는 '自然과 함께 하는 하나님'(deus sive natura, 데우스 시베 나투라)를 그는 肯定的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그는 ‘神’에 對해 말하기보다는 ‘宇宙’에 對해 말한다. 또한 그는 ‘世界精神’, ‘人間性’, ‘歷史發展’과 같은 當時의 精神史의 普遍 基盤을 確保하고 있던 槪念들을 受容한다.
  • 그러나 슐라이어마허는 但只 時代의 아들만은 아니었다. 그는 當時의 槪念들과 精神史 作業들을 受容하면서도 그들이 무엇을 誤解하고 있는지 날카롭게 指摘하고 있다. 이로써 슐라이어마허에게서 始作되는 近代神學은 近代精神을 受容, 批判하는 神學이다.
  • 슐라이어마허는 宗敎 를 人間의 宗敎 體驗과 感情으로 생각하였으며, 基督敎 의 傳統 敎理와 信仰告白(Creeds)를 절대시하지 않았다. 神學 보다 人間의 宗敎 體驗과 感情을 더 優先視한 슐라이어마허의 神學은 近代 自由主義 神學 의 主要 特徵中 하나이기도 하다.

解析學 [ 編輯 ]

近代에 ‘普遍的 解析學’李 定立되는 過程에서 斷然 中心人物로 擧論되는 사람이 슐라이어마허이다. [5] 解析學의 歷史에서 特히 슐라이어마허의 普遍 解釋學에 注目하는 理由는 以前의 神學的 解析學 이나 文獻學的 解釋學 과 같은 解析學의 좁은 視野에서 벗어나 좀 더 普遍的인 地盤에서 解釋과 理解의 問題를 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近代 以前 필론 , 오리게네스 , 아우구스티누스 , 루터 에 이르기까지 聖書 解析學의 方法으로 널리 活用되었던 比喩的인 解釋 方式에 슐라이어마허는 懷疑를 품게 되었다. 比喩的 解釋은 텍스트의 本來的 意味 以外에 非本來的 意味를 받아들이는 限界를 露呈하고 있는 것이다. 萬人을 위해 쓰인 聖書 를 더 以上 信仰과 恩寵이 아니라 文法的이고 心理的으로 解釋할 必要性을 切感한 슐라이어마허는 以前의 傳統과 同時代人들과의 活潑한 知的 交流를 통하여 解釋學과 批判의 體系를 樹立하게 된다. [5]

빌헬름 딜타이 는 슐라이어마허의 解釋學을 硏究하여 다음과 같이 적었다. [5] 슐라이어마허에 依하면 解釋은 하나의 構成 過程이다. 構成은 規則(Regeln)을 잘 適用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解釋者의 才能(Talent)에도 相當 部分 依存하고 있다. 解釋에서 가장 基礎가 되는 것은 바로 文法的 解釋이다. 이것은 著者의 言語 領域權 안에서 텍스트를 理解해야 한다는 것과 單語의 意味는 全體的인 文脈(Kontext)으로부터 理解되어야 한다는 前提를 背後에 깔고 있다. 텍스트의 解釋에서 著者의 意圖를 把握하는 일이 또한 重要하다. 心理的 解釋은 著者의 基本 생각과 本來 意圖에 비추어 텍스트를 살펴보아야 한다는 要請이다. 著者에게서 우리는 自我, 品位, 自律, 自由, 自發性과 같은 心理的인 根源을 發見할 수 있다. 解釋者의 豫感(Divination)은 解釋者의 根源을 追跡하기 위한 方法으로 著者의 心理的 狀態 把握은 勿論 著者의 全體的 著述에 비추어 하나의 作品을 洞察함으로써 理解를 促進시킬 수 있다. 슐라이어마허의 ‘著者가 自己 스스로를 理解한 것보다 훨씬 더 잘 理解해야 한다’는 主張은 이러한 根據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關聯 資料 [ 編輯 ]

  • 최신한 (2009). 《地平 擴大의 哲學》. 한길사.
  •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2006). 최신한 驛, 編輯. 《基督敎信仰》. 한길사.
  • 슐라이어마허 (2002). 최신한 驛, 編輯. 《宗敎論》. 大韓基督敎敍懷 .  

같이 읽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판넨베르크 組織神學I》. 신준호, 안희철 옮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7)
  2. 聖書 의 歷史的 背景과 歷史的 事實與否를 確認하는 聖書解釋 方法論
  3.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4. F. W. Kantzenbach, Programm der Theologie , 199에서 再引用|Karl Barth| Briefe, hr. von Jurgen Fangmeier und Hinrich Stoevesandt , Zurich 1975, 466
  5. 內容의 出處: 지만지 苦戰選集, "解析學의 誕生", 빌헬름 딜타이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外部 링크 [ 編輯 ]

본 文書에는 知識乙만드는지식 에서 CC-BY-SA 3.0 으로 配布한 冊 紹介글을 基礎로 作成된 內容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