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論宗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三論學 에서 넘어옴)

三論宗 (三論宗)은 《 衆論 · 十二門論 · 百論 》의 三論 (三論)에 依據한 中國 佛敎 論宗 (論宗)이다 [1] [2]

三論 (三論)은 도안 (道安: 312-385)의 勸誘로 쿠차國 에서 招聘된 鳩摩羅什 (鳩摩羅什: 344-413)李 漢譯한 《 代품반야 · 小品반야 》 等의 初期 大乘經典 과 이에 立脚한 用水 (龍樹: c.150-c.250) 系統의 中觀派 논서들 가운에, 用水 의 《 衆論 (中論)》 4卷(409年에 漢譯)과 《 十二門論 (十二門論)》1卷(409年에 漢譯) 그리고 用水 의 弟子인 제바 (提婆  · Aryadeva : 170-270)의 《 百論 (百論)》 2卷(404年에 漢譯)을 가리킨다. [2] [3]

鳩摩羅什 門下의 秀才(秀才)들에 依해 三論이 硏究되면서 三論學派(三論學派)가 形成되었다. [2]

반야공 (般若空)의 思想을 敎理의 根幹(根幹)으로 삼고 있어 重關種 (中觀宗)  · 空宗 (空宗)  · 無相宗 (無相宗)  · 無得정관종 (無得正觀宗) 等으로도 불린다. [2]

中國 佛敎 의 三論宗은 印度 佛敎 中觀派 에 對한 中國側 名稱에 該當한다. [3] 中國 佛敎 의 三論宗은 印度 佛敎 中觀派 와는 달리 《 涅槃經 》의 如來藏史上 을 受容하여 " 眞空묘유 (眞空妙有)"의 思想을 展開시킨 것에 特色이 있다. [4]

成立 [ 編輯 ]

衆論 · 十二門論 · 百論 》의 三論이 언제부터 用水 系統의 반야中觀史上 (般若中觀思想)을 代表하는 核心的인 논서로 看做되었는지는 確實하지 않다. [3] 그럼에도 不拘하고, 三論學은 승랑 (僧朗: fl. 6世紀)을 거쳐 吉藏 (吉藏: 549-623)에 이르러서는 中國 佛敎 의 重要한 宗派 中 하나인 三論宗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3] 이때부터 三論宗이라는 名稱은 印度 佛敎 中觀學派 ( Madhyamika )에 對한 中國側 名稱으로 通用되었다. [3]

三論宗에서 7對上昇(七代相承)이라 하며 내세우는 人物은 鳩摩羅什 (鳩摩羅什)  · 勝숭 (僧嵩)  · 法도 (法度)  · 승랑 (僧朗)  · 勝戰 (僧詮)  · 琺瑯 (法朗)  · 吉藏 (吉藏)의 7社(師)를 말한다. [5]

高句麗의 僧侶인 승랑 (僧朗)은 일찍이 中國에 들어가 鳩摩羅什 (鳩摩羅什)에서 乘組 (僧肇)로 이어지는 三論學(三論學)을 배웠다. [5] 當時의 三論學은 《 誠實論 (成實論)》이란 小乘的(小乘的) 油思想 (有思想)에 影響을 받고 있어 本來의 三論學의 眞意(眞意)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었다. [5] 승랑 은 이런 思想鳥類를 脫皮하여 새로운 三論(三論)을 設立하였는데, 이 일은 三論學에서 分水嶺을 이루어 過去의 三論學을 高三論 (古三論)이라 부르고 승랑 의 純粹三論學을 新三論 (新三論)이라 부르게 되었다. [5]

三論의 吳의(奧義)를 깊이 攄得한 승랑은 中國 南方으로 떠나 會稽山 (會稽山) 江山使 (岡山寺)에 머물렀고, 다시 宗山 (鐘山) 超黨舍 (草堂寺)에 와서는, 政界로부터 隱退해 그곳에 머물고 있던 周翁 (周?)에게 三論學을 가르쳐 周翁 (周?)李 《 三從론 (三宗論)》이란 冊을 著述하는 契機가 되었다. [5]

晩年에 섭山 (攝山) 徐下士 (棲霞寺)로 와서 그의 스승이며 住持였던 法度畫像 (法度和尙)의 地位를 繼承(500)하였다. [5] 兩廡制 (梁武帝)는 그의 學德을 높이 評價하여 天監(天監) 11年(512)에 優秀한 學僧(學僧) 10名을 選拔하여 승랑 의 門中(門中)에서 工夫를 시켰는데 그때 學僧 中 한 名인 勝戰 (勝詮)은 스승의 學問을 繼承하여 섭山 (攝山 或은 攝嶺)에 머물렀고, 또 勝戰을 繼承한 琺瑯 (法朗)李 興黃沙 (興皇寺)에 있었으므로 승랑 의 三論學 學統(學統)을 섭령흥황 (攝嶺興皇) 또는 섭令上昇 (攝嶺相承)이라 불렀다. [5]

이렇게 繼承된 승랑 의 三論學은 琺瑯 의 弟子인 吉藏 (吉藏: 549-623) 때에 와서 獨立된 宗派인 三論宗(三論宗)으로 成立되었다. [5] 吉藏 (吉藏: 549-623)은 三論學派에 몸을 담아 琺瑯 (法朗)의 弟子가 되어 三論에 各其 註釋을 붙이는 한便, 《 삼론현의 (三論玄義)》를 지어 三論宗을 大成하였다. [2] 假想大使 (嘉祥大師)라고 불린 吉藏 加賞賜 (嘉祥寺)에 거(居)하면서 用水 (龍樹)의 公館佛敎 (空觀佛敎)를 中國式으로 發展시켰다. [2]

史上 [ 編輯 ]

三論宗은 單純히 三論의 思想을 綜合 敍述한 것이 아니라, 三論을 바탕으로 하면서 "無得(無得)의 定款(正觀)"이라는 아무것에도 拘礙받지 않는 立場에 선 새로운 佛敎 統一論을 主張하였다. [2]

이제合命中度說 [ 編輯 ]

이제合命中度說(二諦合明中道說)은 승랑이 提唱한 認識 方法으로 그의 代表的인 思想이다. [6] [7] "李禔합 命中度 설"로 띄어 읽는데, [8] 文字 그대로의 뜻은 " 이제 (二諦)를 綜合하여 中道 를 밝힌다"이다. 中道 (中道)는 佛敎 의 窮極的인 眞理를 의미하는데, 이 中道 를 밝히는 方法으로 稅制 (世諦)와 眞際 (眞諦)의 이제 (二諦)를 合名(合明)하는 方法, 卽 正反合止揚(正反合止揚)시키는 方法을 쓴 것을 이제合命中度說(二諦合明中道說)이라 한다. [7] [8]

승랑의 活動 當時, 三論과 함께 《 誠實論 》을 工夫하고 있던 當時의 學僧들은 모두 이제 를 重視하여, 部處 는 恒常 이제 에 依하여 說法했으며, 모든 經典 이제 를 벗어나지 않으며, 이제 를 밝히면 모든 經典 을 解得하게 된다는 見解를 가졌다. 승랑度 이 見解에는 같은 立場을 가졌다. [7] 그러나 승랑은 이제 가 무엇인가에 對해서는 이들과 見解가 달랐다.

當時의 學僧들은 《 誠實論 》의 影響을 받아 이제 (二諦)를 이(理: 眞理) 또는 警(境: 境地)으로 보는 藥理이제설 (約理二諦說)의 見解를 가지고 있었다. [9] 反面 승랑은 이제 (二諦)를 校(敎: 方便 또는 手段)로 보는 藥餃飴除雪 (約敎二諦說)의 見解를 가지고 있었다. [9] 藥理이제설(約理二諦說)은 이제 를 어떤 高貴한 "李"(理: 眞理) 또는 "卿"(境: 境地)으로 봄으로써 이제 를 어떤 固定된 實體로 여기게 되고 이에 執着하게 되는 缺陷을 가지고 있었다. [9] 反面 승랑의 約校이제설에서는 이제 "교" , 卽 固定된 性品이 있다는 執着을 打破하여 中道 를 밝히는 "方便"으로 보기 때문에, 이제 를 實體로 여기는 缺陷 없이 이제 를 통해(즉, 이제를 使用하여) 固定된 性品이 있다는 執着을 除去함으로써 第1議題 (第一義諦)인 中道 , 卽 眞正한 이(理: 眞理)가 밝히 드러나게 할 수 있었다. [9]

當時에 승랑의 約校이제설은 中道 에 對한 用水 의 見解에 眞實로 合致하는 것이라고 여겨졌으며, 當時의 中國의 三論學界에 큰 影響을 미쳤다. 그리하여 승랑을 起點으爐하여 승랑 以前의 學派를 高三論(古三論)이라고 부르고 승랑 以後의 學派를 新三論(新三論)이라 부르게 되었다. 新三論에서는 《 誠實論 》을 함께 工夫하던 苦蔘論의 態度를 버리고 오직 三論 에 依據하여 中觀 (中觀)을 展開하게 되었다.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