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T와 만난 K-콘텐츠 ‘文化 빅뱅’|週刊東亞

週刊東亞 1342

..

IT와 만난 K-콘텐츠 ‘文化 빅뱅’

世界市場 先占 네이버·카카오 웹툰, BTS가 낳은 文化 플랫폼 ‘위버스’

  • 김지현 테크라이터

    入力 2022-06-09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방탄소년단(BTS)과 네이버 웹툰의 컬래버레이션으로 탄생한 웹툰 ‘세븐페이츠: 착호(7FATES: CHAKHO)’. [사진 제공 · 하이브, 네이버웹툰]

    防彈少年團(BTS)과 네이버 웹툰의 컬래버레이션으로 誕生한 웹툰 ‘세븐페이츠: 착號(7FATES: CHAKHO)’. [寫眞 提供 · 하이브, 네이버웹툰]

    2000年代 初盤 韓國은 超高速 인터넷 强國으로 불렸다. 全國에 設置된 인터넷網 德分에 사람들은 다음 카페와 네이버 知識인, 싸이월드 같은 플랫폼 서비스를 즐길 수 있었다. 2010年代 들어 韓國 情報技術(IT) 産業은 美國 실리콘밸리의 웹 2.0 革新과 中國의 IT 굴기로 예전의 位相을 잃은 것처럼 보였다. 그리고 2022年, 韓國은 强力한 韓流(韓流) 콘텐츠를 바탕으로 다시금 IT 强國으로 注目받고 있다.

    當場 눈에 띄는 것은 온라인 動映像 서비스(OTT)에서 人氣를 謳歌한 콘텐츠들이다. 最近 넷플릭스를 통해 韓國 드라마 ‘킹덤’ ‘스위트홈’ ‘오징어 게임’ 等이 世界的으로 注目받았다. 다만 이들 콘텐츠는 主로 海外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을 통해 流通되고 있다. 높은 스마트폰, 스마트TV 普及率 德分에 韓國은 그 어느 나라보다 OTT 콘텐츠를 빠르게 즐길 수 있는 좋은 環境이긴 하다. 다만 글로벌 OTT를 통해 流通되는 國産 콘텐츠의 流行이 곧 韓國이 IT 强國이라는 根據는 아니다.

    美國·日本 制霸한 K-웹툰

    IT 플랫폼과 콘텐츠 競爭力이 結合한 새로운 形態의 韓流는 따로 있다. 韓國의 代表 포털사이트인 카카오와 네이버는 우리 안房이 아닌 美國, 日本, 東南아시아 等 世界 웹툰市場에서 1, 2位를 다투며 成長하고 있다.

    韓國 웹툰 産業의 胎動은 인터넷 普及과 脈을 같이했다. 1990年代 後半부터 韓國에는 世界的으로 類例없는 速度와 規模로 超高速 인터넷網이 깔리고 PC(個人用 컴퓨터)가 普及됐다. 그 德分에 韓國 웹 서비스는 2000年 初盤까지 다른 나라들이 배워갈 만큼 强力한 롤모델이었다. 多種·다양한 웹 플랫폼이 登場했고 國內 웹툰 서비스도 이때 始作됐다. 한동안 韓國 웹툰 서비스는 世界的 水準으로 成長하지 못했지만 國內 市場에서는 命脈을 維持했다. 2010年代 스마트폰 普及으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市場이 急成長한 以後 새로운 機會가 찾아왔다. 웹툰은 時間과 場所에 拘礙받지 않고 使用할 수 있는 스마트폰에 最適化된 콘텐츠였다. 디지털 플랫폼과 親和力은 韓國 웹툰이 漫畫 宗主國으로 불리는 日本, 世界 最大 콘텐츠 市場인 美國에 進出할 수 있는 根源的 原動力이 됐다.

    네이버는 2014年 ‘라인 웹툰’ 브랜드로 美國에서 서비스를 始作했다. 國內 아마추어 웹툰 作家의 登龍門으로 통하던 ‘挑戰漫畫’를 ‘캔버스(Canvas)’라는 이름의 플랫폼으로 美國에서 론칭했다. 最近 네이버 웹툰 서비스는 北美市場에서 宣傳하고 있다. 지난해 라인 웹툰은 美國 구글 플레이의 漫畫 애플리케이션(앱) 가운데 收益 1位를 達成했다. 다른 콘텐츠 企業과 合從連橫도 活潑하다. 지난해 1月 네이버 側은 會員 9000萬 名을 거느린 世界 最大 웹小說 플랫폼 ‘왓패드’를 6億 달러(藥 7600億 원)에 引受했다. 같은 해 3月 韓國 웹툰을 飜譯해 190個國에 서비스하는 ‘태피툰’ 運營社 콘텐츠퍼스트의 持分 25%를 引受하기도 했다.



    네이버는 ‘라인’으로 日本 메신저 서비스 市場을 制霸한 바 있다. 그 餘勢를 몰아 2013年 ‘라인망가’로 일찌감치 日本 웹툰 市場도 先占했다. 이처럼 네이버 웹툰은 美國과 日本을 발板 삼아 유럽, 東南아시아 等 글로벌市場 開拓에 나서고 있다. 네이버는 웹툰 서비스 部門을 2017年 株式會社 네이버웹툰으로 噴射했다. 2020年에는 韓國 네이버웹툰과 美國 ‘웹툰엔터테인먼트’, 日本 ‘라인디지털프론티어’ 等으로 나뉘어 있던 웹툰 關聯 系列社를 웹툰엔터테인먼트로 統合했다.

    한便 카카오는 2016年 日本에서 ‘픽코마’를 出市해 네이버 라인망가를 追擊했다. 픽코마는 韓國 人氣 웹툰을 日本市場에 선보이면서 웹, 모바일 인터페이스에 最適化된 새로운 포맷의 漫畫를 紹介했다. 아직까지 製本된 冊 中心으로 漫畫를 消費하던 日本 讀者에게 新鮮한 衝擊을 준 것이다. 카카오도 네이버처럼 知識財産權(IP) 統合 管理를 試圖하고 있다. 지난해 旣存 웹툰 서비스와 카카오페이지의 웹小說, 音樂 콘텐츠 서비스 멜론을 統合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를 出帆했다. 지난해 웹小說 플랫폼 ‘래디시’와 웹툰 플랫폼 ‘타파스미디어’를 引受하는 等 콘텐츠 企業으로서 세 불리기에도 나선 모습이다.

    아티스트와 팬 連結하는 새로운 플랫폼

    방송인 유재석이 출연하는 카카오TV 웹예능 ‘플레이유’. [사진 제공 · 카카오TV]

    放送人 유재석이 出捐하는 카카오TV 웹藝能 ‘플레이油’. [寫眞 提供 · 카카오TV]

    글로벌市場 攻掠에 나선 웹툰 말고도 K-콘텐츠와 플랫폼의 鎭火는 現在進行形이다. 아예 特定 아티스트나 콘텐츠에 最適化된 專用 플랫폼을 出市하는 境遇도 있다. 假令 위버스는 防彈少年團(BTS)의 所屬社 빅히트엔터테인먼트(現 하이브)의 子會社 비엔엑스(現 위버스컴퍼니)가 2019年 론칭한 글로벌 팬 커뮤니티 플랫폼이다. 팬과 아티스트의 疏通은 勿論 앨범 購買, 팬클럽 運營, 콘텐츠 販賣를 仲介하는 것이 核心 機能이다. BTS뿐 아니라, 國內外 아티스트와 팬을 連結하는 새로운 形態의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優秀한 IT 인프라와 大衆的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를 바탕으로 韓國 IT 産業은 콘텐츠와 플랫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面에서 새로운 歷史를 쓰고 있다. 이 過程에서 造成된 IT 生態系는 競爭과 協力 속에서 시너지 效果를 發揮할 수 있다. 假令 넷플릭스에서 開封한 ‘킹덤’ ‘스위트홈’ 같은 콘텐츠는 웹툰 IP를 活用한 作品들이다. 最近 人氣몰이 中인 위버스 等 플랫폼은 BTS라는 아티스트의 强力한 文化 競爭力이 없었다면 存在할 수 없었을 것이다. 앞으로 IT라는 포맷에 어떤 韓國型 콘텐츠가 담겨 ‘文化 빅뱅’을 일으킬지 注目된다.

    *유튜브와 포털에서 各各 ‘매거진東亞’와 ‘투벤저스’를 檢索해 팔로剩하시면 記事 外에도 動映像 等 多彩로운 投資 情報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