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學生 自信感 북돋는 大學 苦痛 딛고 ‘알찬 大學’으로|신동아

學生 自信感 북돋는 大學 苦痛 딛고 ‘알찬 大學’으로

이순자 경주대 總長의 美學(美學) 리더십

  • 이권효 │東亞日報 大邱慶北取材本部長, 哲學博士 boriam@donga.com

    入力 2014-05-21 11:36: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就任 5年 동안 强力한 構造調整…새 出發 土臺 마련
    • ‘바람직하고 반듯하고 純粹한가’ 美學(美學) 리더십 追求
    • 外國人 敎授 比率 50% 全國 最高 水準
    • 全校生 7個國 15個 大學에서 한 學期 遊學 人物探究
    학생 자신감 북돋는 대학 고통 딛고 ‘알찬 대학’으로
    요즘 경주대를 보면서 ‘憂慮 半 期待 半’ 느낌이 들었다. ‘저렇게 해서 果然 大學이 正常的으로 維持될 수 있을까’ 하는 憂慮와, ‘저렇게 해야 비로소 새 出發을 위한 眞正한 土臺를 마련하겠다’는 기대다. 競走대는 最近 3年 사이 敎授 170餘 名 가운데 折半假量인 80餘 名을 減員하고, 代身 그만큼 外國人 敎授를 採用했다. 또 正規職 行政職員 80餘 名 가운데 40餘 名이 退職했다. 경주대에서 일어나는 이런 소용돌이를 깊이 들여다보지 않고 皮相的으로 보면 도무지 ‘生存’ 可能性이 있을까 싶은 생각이 스친다.

    構造調整은 大學이든 企業이든 이미 日常 用語가 됐지만 大體로 職員을 좀 줄이거나 部署나 學科를 統廢合하는 程度로 進行되는 境遇가 많다. 그러나 競走대는 이런 次元이 아니라 大學 구석구석 모든 것을 거의 허물고 새로 짓는 水準이다. 部分的이고 一時的인 構造調整이 아니라 ‘再建築’과 마찬가지다.

    2012年 隨時募集 中 發表된 敎育部의 政府財政支援 制限에 이어 지난해 經營不實 大學에 包含되는 致命的 事態 後 벌어지는 風景이다. 그동안 100% 新入生 充員을 해왔지만 지난해는 1400餘 名의 新入生 定員 가운데 折半도 채우지 못하는 超非常 事態를 맞았다. 觀光特性化 大學으로서 쌓아온 名譽와 自尊心은 바닥으로 곤두박질했다.

    全面的인 再建築

    어떤 大學이라도 連續으로 이 같은 致命打를 맞으면 주눅이 들어 그냥 모든 걸 抛棄하고 될 대로 되라는 式으로 손을 놔버리기 쉽지 않을까. 그런데 競走대는 모질게도 ‘根本的인 새로운 길’을 찾는 데 모든 힘을 쏟아 붓는다. 外國人 敎授를 많이 採用하고 어느 때보다 外國 協力大學과의 交流가 活潑하다. 바닥을 確實하게 친 만큼 舊態依然한 經營 行態를 벗어던지고 完全히 새로운 土臺와 自生力을 쌓겠다는 意志다.



    競走대는 只今이 오히려 國內 첫 觀光特性化大學이라는 正體性을 明確하게 하고 새로운 競爭力을 쌓는 轉禍爲福 機會가 될 것으로 본다. 競走대는 1997~2000年 4年 連續으로 敎育部 觀光特性化 最優秀大學에 選定됐을 程度로 觀光 分野 競爭力이 높다.

    大學 總長들을 만나보면 “大學만큼 바꾸기 어려운 곳도 없다”고들 한다. 敎授들이 大體로 높은 自尊心과 함께 自己中心的 性向이 剛해 어지간한 衝擊으로는 꿈쩍도 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 大學街는 곧 닥칠 新入生 資源 減少로 不安感이 높지만 如前히 ‘神의 職場’으로 여기는 雰圍氣도 적지 않다. 總長이나 設立者, 財團은 學生 減少에 따른 危機를 强調하면서도 敎職員들과 妥協해 몇몇 學科를 統廢合하거나 入學 定員을 조금 줄이는 程度의 構造調整을 하는 境遇가 많다. 反撥을 堪當하기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雰圍氣를 考慮하면 경주대의 ‘再建築’ 中心에 서 있는 이순자(64) 總長의 리더십은 興味로운 側面이 있다. 이 總長은 2009年 6月 總長(9臺)에 就任한 後 財政支援 制限과 經營不實 大學이라는 直擊彈을 맞았지만 이를 發展을 위한 뼈아픈 大轉換의 契機로 삼아 確實하게 바꿔야 할 무거운 責任을 지게 됐다. 女性이어서 이런 골치 아픈 課題를 잘 解決해내지 못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先入觀이다. 賢明하고 强靭한 어머니나 며느리가 엉망이 된 집안을 바로세우는 境遇처럼, 이 總長의 獨特한 리더십은 뒤엉킨 大學을 快刀亂麻海 ‘非正常을 正常으로’ 바꾸는 女丈夫 모습이다.

    最近 總長室에서 만난 그는 “내가 就任하기 以前에 10餘 年 동안 쌓인 不實이 곪아 터진 結果”라며 “敎育部의 判斷(經營不實 等)에 아쉬운 部分이 있지만, 重要한 건 大學을 完全히 새롭게 만드는 데 모든 힘을 쏟아 成果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總長은 “부끄러운 面이 많지만 眞正한 새 出發을 위해서는 그동안 大學이 얼마나 엉망이었는지 率直하게 밝히겠다”고 했다. 그는 경주대를 設立한 김일윤 前 國會議員의 夫人이다.

    “學生 위한 大學”

    이 總長이 경주대 救援投手로 登場하게 된 것은 2008年 敎職員 橫領事件이 불거지면서였다. 그는 “그동안 財團은 大學 經營에 거의 關與하지 않았다. 橫領事件을 契機로 몇몇 敎職員이 大學의 非理와 不條理 資料를 가져왔더라. 仔細히 살펴보니 이건 學校가 아니었다. 學校 豫算은 敎授들의 ‘私金庫’나 다름없었다. 當時 在學生이 書類上으로는 6000餘 名인데 實際 在學生은 4000餘 名이었다. 敎授들은 授業과 硏究가 엉망이었다. 當然히 學生 管理는 뒷전이어서 2000餘 名이 없는 荒唐한 일이 생겨 있었다”고 말했다.

    이 總長은 “경주대가 ‘敎授들의 놀이터’였다”고 말했다. 2004年 當時 敎授 160名 가운데 140名이 敎授協議會를 構成해 大學 經營을 左之右之하면서 大學이 想像할 수 없는 不實 狀態로 轉落하기 始作했다는 것. 1988年 設立 後 15年假量 ‘좋은 時節’을 보내면서 財團은 經營에 疏忽하고 敎授들은 講義와 硏究, 學生管理는 뒷전인 最惡의 狀況에 빠져들었다는 것이다.

    그는 就任 後 敎授 80名을 減員했다. 그 자리는 外國人 敎授 87名을 採用해 메웠다. 現在 경주대의 外國人 敎授 比率을 보면 50%假量으로 全國 大學 가운데 最高 水準이다. 이 總長은 “學生들이 日常에서 자연스럽게 外國人 敎授들과 授業을 하며 부대끼면 就業뿐 아니라 大學生活에서 自信感을 가질 수 있다. 大學 雰圍氣를 刷新하기 위해 外國人 敎授 採用으로 눈을 돌렸다”고 말했다.

    敎授 折半을 交替하는 것은 現實的으로 거의 不可能한 일이다. 自尊心 剛한 敎授들이 이를 그냥 받아들일 수 있었을까. 이 總長은 敎授들을 無能, 無責任, 怠慢, 硏究 剽竊 等을 基準으로 嚴格하게 評價했다. 이 總長은 이 같은 基準으로 敎授들을 評價하는 過程에서 깜짝 놀랐다고 했다.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는 것이다. ‘敎育’은 完全히 失踪되고 ‘놀자판’이 蔓延했다고 한다.

    “公開授業을 해보니 珍島조차 모르는 敎授, 10年 동안 論文 한 篇 없는 敎授, 冊 한 卷 펴낸 적 없는 敎授, 論文 剽竊한 敎授, 一週日에 이틀 授業하고 5日은 學校에 나오지 않는 敎授가 수두룩했습니다. 授業과 硏究가 이 模樣이니 學生 面談 같은 데 무슨 關心이 있었겠습니까. 그런데도 年俸은 8000萬~9000萬 원 받아 챙겼습니다. 이런 過程에서 學生들이 보았을 被害를 생각하면 잠을 잘 수 없었어요.”

    行政職員度 80名에서 40名으로 줄였다. 業務 成果를 嚴格히 評價하고 年俸에 비해 하는 일이 적은 職員을 中心으로 減員했다. 財政을 考慮할 때 敎授 人件費는 32%, 職員은 8%를 넘지 않아야 大學 經營이 可能하다는 基準을 必死的으로 맞추기 위해서였다. 學科도 36個에서 19個로 줄였다. 이 總長은 “참으로 힘든 過程이었지만 반드시 이겨내야 할 成長痛이라고 생각한다”며 “이 程度로 하지 않고 그저 듣기 좋은 이야기를 하면서 대충 妥協하는 線에서 構造調整 흉내를 냈다가는 벌써 廢校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2009年 6月 總長에 就任해 難破船 같던 大學을 허물고 다시 쌓기 始作한 지 꼭 5年. 敎授들의 講義와 硏究, 學生 管理는 正常으로 돌아왔고 行政職員들의 學事管理度 透明하고 效率的으로 바뀌었다. 그는 “世上살이가 그렇겠지만 ‘스스로 믿고 하나씩 解決해나가는 自己 競爭力이 없으면 말라 죽는다’는 平凡한 敎訓을 얻는 데 엄청난 犧牲을 치렀다”고 했다.

    7+1 海外學期制

    캠퍼스도 快適하게 바뀌었다. 就任 後 學校 구석구석을 살피면서 ‘이래서 어떻게 學生들에게 愛校心이 생길까’ 하는 속상한 現實을 化粧室에서부터 目擊했다. 校內 化粧室 250個가 하나같이 지저분했기 때문이다. 그는 化粧室을 깔끔하게 리모델링하는 것을 始作으로 講義室 壁을 琉璃로 바꾸고 椅子도 고급스럽게 交替했다. 그는 “講義室이나 化粧室은 學生과 敎職員을 위한 所重한 生活空間인데도 그동안 放置돼 있어 짜증스럽고 未安한 생각이 많았다”고 말했다.

    그는 ‘경주대 다시 쌓기’라는 힘겨운 戰鬪를 하는 中에도 2011年 導入한 ‘7+1 海外學期制’라는 國際化 프로그램으로 탄탄하게 內實을 다졌다. 學生들이 4年 8學期 가운데 1學期는 義務的으로 外國 姊妹大學 等에서 工夫하도록 하는 制度다. 모든 經費는 大學이 支援한다. 外國人 敎授 大擧 採用과 함께 學生들의 國際 感覺을 키우기 위한 核心 프로그램이다. 스위스의 有名한 料理學校와도 이 프로그램을 進行한다. 100億 원을 들여 全國 最高 水準의 調理敎育龍 施設도 지었다.

    海外學期制는 泰國, 필리핀, 英國, 中國, 뉴질랜드, 日本, 캐나다 等 7個國 15大學에서 이뤄진다. 2011年부터 只今까지 442名이 海外學期를 履修했거나 履修 中이다. 每年 110餘 名이 參與한다. 該當 大學에서 正規 學點을 받는 프로그램이어서 單純한 語學硏修와는 次元이 다르다.

    이 總長은 “海外學期制를 위해 外國의 有名 大學을 訪問하면 韓國의 有名 大學이 아니라는 理由로 시큰둥한 反應을 보이는 곳도 많았다. 그러나 경주대가 學生들에게 좋은 敎育을 하기 위해 努力한다는 眞情性에 共感하는 大學이 많아 可能했다”고 말했다. 그는 就任 後 50餘 個 外國 大學을 訪問해 海外學期制를 위한 協約을 締結했다. 아끼고 아낀 大學 財政에 敎授들이 月給의 10%를 보탠다. 이 總長도 就任 後 個人 財産을 處分해 只今까지 15億 원假量을 寄附했다. 月給은 써본 적이 없어 얼마인지도 모른다.

    경주대가 새로운 비전을 達成하기 위해 얼마나 體系的으로 努力하는지는 ‘경주대 大學 비전 및 發展戰略 報告書’에 잘 나타나 있다. 지난해 8月 內部用으로 發刊한 400餘 쪽 보고서는 경주대가 處한 狀況, 中長期 發展戰略, 學科別 發展計劃, 敎授와 學生의 競爭力 强化, 大學 全體 特性化 戰略, 創造的 國際化, 投資計劃과 財政確保 等 40個 戰略課題와 133個 細部 實踐課題로 構成돼 있다.

    報告書는 경주대의 現在 狀況을 ‘開校 以後 最大 危機’로 規定하고 構成員들의 團合된 意志를 特別히 强調했다. 敎職員이 한 名도 빠짐없이 獻身的 努力을 통해 새로운 大學을 만드는 責任을 지는 게 土臺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觀光特性化 경주대’의 位相을 높이고 國際化 敎育을 强化해 學生들의 自負心과 競爭力을 높인다는 것이 主要 方向이다. 이 總長은 報告書 앞쪽에 “우리 大學의 座標를 徹底히 點檢하고 反省해 經營不實 大學이라는 汚名을 迅速히 벗어나도록 모든 構成員이 한마음으로 努力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작지만 알찬 大學’으로서 새로운 競爭力을 確固하게 쌓아 경주대의 實力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혔다.

    競走대는 觀光特性化 大學으로 競爭力을 强化하기 위해 首都圈 分校 設立도 積極 推進한다. 現在 仁川市와 敷地 確保 等을 위한 具體的인 協議를 하는 狀態다. 경주대의 觀光 分野 人材 育成은 全國 最高 水準이다. 觀光公社와 主要 호텔 等 全國의 觀光 事業 分野에서 두드러진 活躍을 한다.

    학생 자신감 북돋는 대학 고통 딛고 ‘알찬 대학’으로

    競走대는 敎授 折半이 外國人이어서 學生들이 자연스럽게 國際的 力量을 키운다.



    학생 자신감 북돋는 대학 고통 딛고 ‘알찬 대학’으로

    이순자 總長은 2011年 7月 캐나다 세네카臺를 訪問해 交流 協約을 맺었다.

    美學 리더십

    고름을 짜내고 썩은 部位는 도려내야 生存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痛症이 겁나 머뭇거리는 게 人之常情이다. 그러다 때를 놓치면 살아나기 어렵고 살더라도 正常的인 生活을 하기 어려울 수 있다. 경주대의 最近 5年은 바로 이런 狀況과 큰 差異가 없다.

    重病에 걸려 死境을 헤매던 경주대를 대충 어루만지는 水準이 아니라 癌 덩어리를 完全히 도려내는 大手術을 위해 집도(執刀)한 그의 리더십 實體는 무엇일까. 언뜻 軟弱해 보이는 그가 敎職員을 大規模로 減員하는 同時에 學生 國際化 敎育이라는 어려운 일을 헤치고 나아가는 힘의 바탕은 무엇일까. 周邊에서는 6男妹를 키운 母性(母性) 리더십을 입에 올리는 사람이 적지 않지만 이런 基準으로 說明하는 것은 不足하다.

    이 總長의 獨特한 리더십은 美學(美學)과 美術에 對해 오랫동안 쌓은 關心과 實力에서 돋아난 것으로 보인다. 그는‘순수한가’ ‘바람직한가’ ‘반듯한가’ 하는 美的 基準으로 世上을 본다. 그의 이런 情緖는 美術인 집안의 家庭環境 影響을 받아 어릴 때부터 形成됐다.

    8男妹의 넷째인 이 總長은 美術家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이기인(96·大邱 居住) 氏는 書藝家이며, 서울대 美大를 나온 오빠 이강소 氏는 ‘이인성美術賞’을 받은 有名 西洋畫家다. 언니 이강자 氏도 서울대 美大를 나와 彫刻家로 活動한다. 女同生 이화자 氏는 美國에서 美術活動을 하고 있으며, 이남홍 氏는 프랑스에서 畫家로 活動한다.

    이 總長은 慶北女高를 다닐 때 排球팀 主張과 娛樂部長을 할 程度로 快活하고 運動을 좋아했지만 大學은 서울대 美學科로 進學했다. 外交官을 하고 싶었지만 오빠(이강소)가 “너는 美術批評 工夫를 하는 게 좋겠다”며 半强制的으로 願書를 냈다고 한다. 유홍준 명지대 敎授가 67學番 動機다.

    大學生 때 家庭敎師를 10年 하면서 혼자 밤늦게 다니는 境遇가 많아 柔道를 배운 일도 그의 스타일을 엿보게 해준다. 골목길을 혼자 가면서 怯을 먹을 게 아니라 癡漢과 마주치면 업어쳐서 制壓하겠다는 態度다. 誘導 3段인 그는 “어려운 일과 마주하면 避하는 게 아니라 正面對決하면서 最善을 다한다는 信念이 이 때 생긴 것 같다”고 했다.

    이 總長은 自身의 性格에 對해 “반드시 改善해야 할 現實을 마주하면 물불을 가리지 않는다. 어정쩡하게 대충 解決하려는 姿勢는 스스로 罪를 짓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總長은 2009年 한 敎授가 急性 炎症으로 慶州의 病院 重患者室에 실려 갔다는 消息을 듣고 달려갔다. 醫療陣이 “葬禮 準備를 하는 게 낫다”며 退勤해버린 狀態였다. 그는 “아직 숨이 붙어 있으니까 이대로 죽게 할 수는 없다. 大邱의 큰 病院으로 데려가자”고 했다. 病院과 家族은 “가는 途中에 죽을 수 있다”며 反對했지만 그는 “於此彼 죽을 거라면 最善을 다해봐야 한다”며 急히 移送해 結局 목숨을 救했다. 2年 前에는 눈을 다친 한 學生이 學校生活에 適應하지 못하고 自退했다. 이 總長은 學生의 집으로 찾아가 父母를 說得하고 學校로 데려왔다. 이 學生은 現在 필리핀의 姊妹大學에서 工夫한다. 어정쩡한 狀態를 매우 싫어하는 그의 性格을 잘 보여주는 事例다.

    臥薪嘗膽

    이 總長은 ‘바람직하고 반듯하고 純粹한가’를 ‘米(美)’의 基準이라고 했다. 경주대 經營에 嚴格하게 適用하는 ‘大原則’도 이 같은 그의 美學的 價値와 맞물려 있다. 그는 “重患者室에서 酸素呼吸器로 延命하다 大手術을 하고 健康을 찾은 모습이 只今의 경주대라고 할 수 있다. 生死의 갈림길에 섰다가 다시 태어나면 世上이 以前과는 아주 다르게 보이지 않느냐. 아픔을 딛고 반듯하게 成長하는 경주대 모습을 하나씩 차근차근 보여주겠다”고 했다. 不實 大學에서 알찬 大學으로 틀을 다시 만드는 이 總長과 경주대의 臥薪嘗膽은 期待 半 憂慮 半이 아니라 ‘期待 半’ 可能性이 높아 보인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