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城西戊午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城西戊午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聖經戊午說 에서 넘어옴)

城西戊午說 (聖書無誤說, 英語 : Biblical inerrancy ) 또는 聖經戊午說 (聖經 無誤說)은 人類 舊怨 을 위한 福音 을 담은 聖經 의 權威를 强調하는 基督敎 普遍敎會 傳統의 主要 槪念이다. 初代敎會부터 聖經이 救援의 指針으로 完全하고 戊午하다는 意味로 使用되었으며, 이미 4世紀 神學的 槪念으로 活用했다.

20世紀에 와서는 傳統的인 聖書戊午說 以外에도 逐字靈感說 의 城西戊午說이 登場하며 元來 意味와 全혀 다르게 混用하기도 하는 基督敎 用語이다. 城西戊午說 用語는 現在, 傳統的 城西戊午說과 逐字靈感說적 城西戊午說을 區分하여야만 한다.

普遍敎會(公敎會) 時節부터, 11世紀 敎會 大分裂 以後 東方敎會 西方敎會 에서도 聖經의 權威를 두는 表現으로 使用되었다. 16世紀에는 西方敎會의 宗敎改革 思想에서 神學 敵 用語로 主로 使用되었다. 現在는 改新敎會 에서 特히 强調하는 用語다. 傳統的인 聖書戊午說은 하나님의 福音 을 담은 聖經 이 人類를 舊怨 에 이르도록 하기에 完全함을, 欠 없음을 强調하는 神學的 槪念 이다.

城西戊午說의 槪念은 이미 4世紀 普遍敎會 ( 公敎會 ) 時節부터 내려왔고 [1] , 16世紀 西方敎會 宗敎改革 을 支持한 改革 贊成派人 現在의 改新敎會가 强調한 神學理論으로 發展하였다. 聖經 의 敎會內 權威 回復을 强調하며 16世紀 西方敎會 問題가 制度注意, 卽 '敎皇中心注意'였으므로 이를 克服하고자 提示한 基督敎의 原形, 卽 '福音中心注意'를 支持하는 槪念이다. 마틴 루터 를 包含한 改革 思想家들 亦是 聖經 의 絶對性을 强調하였다. 城西戊午說은 ‘人類 救援’의 福音 聖經 에 쓰였고, 敎會 聖經 을 기초하므로 그 最高 權威를 認定하는 槪念의 表現으로, 初期 改新敎 神學 의 重要한 神學的 主題에서 出發하여 現代까지 正統 改新敎 敎會 들의 重要한 人類 救援을 이루기에 聖經의 欠없음을 强調하는 聖經 理解의 方式이다. [2] 같은 西方敎會人 天主敎會 敎皇戊午설 을 더 支持한다.

이에 反해, 20世紀 以後에는 改新敎 保守派인 基督敎 根本主義者 들이 逐字靈感說 敵 城西戊午說을 主張하여, 自然科學的 證明까지 包含한다고 主張하며 그 用語의 意味가 變形되어, 元來 意味와 다르게 刻印된 基督敎 用語 中의 하나로, 逐字靈感說과 聖經 文字主義 와 混用되어 本來의 意味와 全혀 다른 用例로도 使用된다.

槪要 [ 編輯 ]

基督敎의 初期 政經 形成 時期인 4世紀 公敎會 初期 時期에 이미 聖經은 人類의 救援을 위해서 欠이 없으며, 敎會活動과 神學 硏究에 絶對的異人 基準으로 政經, 卽 舊約과 新約聖經이 完全하다는 主張은 存在했다. [3] 敎會內에서 聖經 의 重要性이 平價切下된 時期와 場所는 11世紀 以後 로마敎會 地域, 卽 西方敎會 地域에 敎皇制度가 導入되는 時期부터이다. 이 時期에 東方敎會 聖經 사도 의 戰勝, 福音 中心柱의 槪念은 變更되지 않았다. 西方敎會 의 政治的 狀況下에서 敎皇 을 中心으로 形成한 敎理와 主張으로 聖經 自體보다, 사도 의 戰勝보다도 敎皇制度가 重要하게 여겨지기 始作했다. [4] 結局 西方敎會의 敎皇制度는 國家 規模의 領地를 다스렸고, 16世紀에는 西유럽地域의 大型 國家를 이루는 政治 集團化하였고, 宗敎的 敬虔과 聖職者의 姿勢는 言及하기 어려운 狀態가 되었다. [5]

16世紀, 宗敎改革 時期, 西方敎會 全體의 改革을 主張하며, 制度나 傳統이 아닌 基督敎의 本質인 福音 과 이를 담은 聖經 을 中心으로 하는 改革을 主張하였던 '宗敎改革者'인 改革 贊成派가 登場하였다. 西方敎會 의 旣存 制度를 支持하고, 改革 反對派인 '敎皇中心主義者'들이 改革 贊成派를 福音主義 字로 불렀다. 結局 西方敎會 는 改革 反對派 敎皇中心主義인 '制度主義者’와 改革 贊成派 聖經에 根據한 福音中心主義인 ‘福音主義者’들로 分離되어 西方敎會는 只今의 ‘ 天主敎會 ’와 ‘ 改新敎會 ’의 敎團 敎會로 變化하게 되었다. [5]

따라서 敎會 敎會 答機 위해서는 그 어떤 制度보다 聖經 으로 充分하다는 聖書戊午說은 西方敎會 의 ‘制度注意’를 支持하는 ‘敎皇中心注意’에 맞서는 西方敎會 改革 贊成派人 '福音中心注意', 卽 初期 改新敎 神學 의 聖經 重要性을 强調하는 神學的 理論이었다. 城西戊午說은 初期 改新敎 神學에서 改新敎의 正體性을 나타내는 正統的 福音主義 를 나타내는 重要한 神學的 用語로 發展하였다. 城西戊午說은 西方敎會 改革 反對派의 敎皇中心主義인 制度的 敎會와 그 不條理를 批評하는 改革 贊成派의 核心 理論 中 하나였고, 福音中心注意를 支持하는 모든 改新敎 에게 支持되는 神學 理論이다.

20世紀 에 와서 正統 改新敎를 反對한 保守主義人 基督敎 根本主義 者들에 依해서 意味가 變形되어 여러 意味가 混在된 用語가 되었다. 正統 改新敎의 聖經이 救援의 指針으로 欠없음을 말하는 '傳統的 城西戊午說'과 基督敎 根本主義 의 劇保守的 主張을 支持하는 ' 逐字靈感說 敵 城西戊午說'은 全혀 다른 用例로 使用된다.

主要 神學者의 聖經 槪念 [ 編輯 ]

宗敎改革 의 代表的 神學者로서 마틴 루터 大韓民國 에서 가장 影響力이 큰 2名의 神學者 章 칼뱅 존 웨슬리 [週 1] 의 聖經에 對한 槪念으로서 '傳統的 城西戊午說'을 살피고자 한다.

마틴 루터의 聖經 [ 編輯 ]

마틴 루터 는 聖經의 權威를 說明하기 위해 聖書戊午說의 表現을 使用한다. 中世 末의 14世紀 神學者 오컴의 윌리엄 聖經 을 基盤으로 西方敎會의 問題를 攻擊한 事實을 잘 알고 있었고, 루터는 絶對的 聖經의 權威를 說明하기 위해 하나님의 말씀으로 說明하였다. 이 하나님의 말씀은 絶對的 意味의 城西戊午說의 表現이다. 루터에게 이 聖經이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表現은 文字的 意味가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은 聖經 안에 있고, 聖經은 그분의 가르침이며, 贖罪의 犧牲, 罪의 容恕, 救援의 使役이라는 意味이다. [6] 루터는 聖經 이 人類 文明 을 위한 倫理 , 靈性 을 알려주는 絶對的인 것으로 理解하고 主張하였다.

章 칼뱅의 聖經 [ 編輯 ]

章 칼뱅 聖經 에 對한 主張은 絶對的 權威의 聖經을 說明하며, 그는 聖經 聖靈 의 口述( 聖經 令監說 )로서 이루어졌다는 主張을 包含하여 聖經 聖靈 을 통해 쓰여졌다고 主張한다. 흔히 이를 칼뱅이 逐字靈感說 을 主張한 것이라 여기지만 이는 잘못된 理解이다. 칼뱅 사도 들이 舊約 新藥 에서 그리스도 를 說明하기 위한 窮極的 目的으로만 記錄했고, 聖經 記錄者의 人間的 差異를 理解했고, 칼뱅 은 單純히 聖經 句節을 引用하는 句節 活用의 主席 方式을 拒否했다. 그리고 그가 主張한 ‘聖靈의 靈感’은 西方敎會 改革 反對派, 聖經보다 敎皇과 關聯 制度를 重要視하는 敎皇主義者와의 論爭에서만 聖經 의 權威를 說明하며 使用하였다. [7]

칼뱅 이 說明限 聖靈의 口述은 基督敎 根本主義者 나 改新敎 保守主義 에서 말하는 逐字靈感說 이 아니다. 칼뱅 이 傳한 聖靈의 口述 表現은 神學이 聖經에 依存하였고 [6] , 當時 西方敎會 改革 主張 亦是 聖經에 根據한다는 說明이다.

존 웨슬리의 聖經 [ 編輯 ]

존 웨슬리 聖經 에 對한 見解 亦是 人間의 말로 記錄된 ‘하나님의 말씀’임을 力說한다. 强力한 聖經 의 權威를 主張하고, 聖經 聖靈 의 靈感으로 쓰여졌다고 說明하며, 聖經 의 戊午함을 披瀝한다. 그러나 웨슬리 는 하나님의 靈은 聖經文獻을 記錄한 사람에게 靈感을 준 것만이 아니라 '眞摯하게 祈禱하며 聖經을 읽는 사람들에게도 恒常 靈感을 준다'는 主張을 同時에 하였다. 聖經 聖靈 을 통해 記錄한 하나님 말씀의 蒐集이 아니라 하나님이 人間과 함께 한다는 ‘歷史의 證言’이라고 보았다. [8]

웨슬리 의 聖經理解는 聖經 을 읽고 解釋하는 段階를 重要하게 여겼고, 文字的인 聖經 理解를 警戒하였다. 웨슬리 는 聖經, 傳統, 異性, 體驗의 觀點에서 聖經 안에 있는 하나님 말씀에 다가설 것을 强調했다. 聖經 解釋을 위해서는 첫째로 聖經 自體가 聖經을 解釋하기 위한 重要한 助力者로 理解했으며, 둘째, 初代敎會 의 解釋이 聖經을 理解하는 도움이라고 紹介했고, 셋째, 人間 의 思考能力은 하나님의 恩師 로 理解하여 하나님의 靈은 異性 使用을 통해 '聖經解釋'을 하도록 하며, 넷째, 聖經 은 體驗을 통해서 確認하고 實踐的으로 하나님 을 따라 行動해야 한다는 聖經 理解를 밝혔다. [9]

宗敎改革 神學의 聖書戊午說 [ 編輯 ]

初期 宗敎改革 思想에서 聖書戊午說은 人類 舊怨 을 위한 福音 을 담은 聖經 의 權威를 强調하는 基督敎 敵 表現인 神學 敵 用語이다. 宗敎改革 者 亦是 聖經 內部의 意見 對立과 記錄者의 時代的 差異, 同一 事件에 對한 다른 意見을 充分히 理解했으나 聖經 權威에는 全혀 問題가 없었다, 그들은 敎會 人類 舊怨 에 欠없이 戊午韓 聖經 의 바탕 위에 굳건하게 있을 때 바른 敎會가 된다고 보았고, 西方敎會 宗敎改革 도 그러한 聖經 의 바탕 위에 튼튼히 버틸 때 그 意味를 지닌다고 보았다.

宗敎改革 思想의 聖經 理解는 그리스도 몸인 敎會 의 바탕이며 기둥으로서 聖經 은 어느 敎會制度보다, 社會制度보다도, 學問보다, 科學보다 偉大한 欠 없는 冊으로, 人類를 舊怨 福音 이 담긴 聖經을 意味하는 聖書戊午說이었다.

正統 改新敎 神學의 傳統的 城西戊午說 [ 編輯 ]

正統 改新敎 傳統을 따르는 改新敎會 의 城西戊午說에서 聖經 敎會 를 위해, 聖徒의 舊怨 을 위해, 福音 을 理解하기 위해 完全하다는 意味이다. 初期 宗敎改革 神學者들의 聖經 理解와 比較해 時代的 範疇의 差異는 있지만 基本 槪念的 差異는 다르지 않다. 西方敎會 天主敎會 改新敎會 로 나뉜 宗敎改革 以後 17世紀 유럽 改新敎 神學 正統主義 가 登場하는 時期에도 이미 聖經 의 內容이 相互 配置 또는 差異를 지닌다는 事實을 잘 알고 있었고, 로마書 의 主張과 야고보서 의 主張이 다르다는 事實도 이미 잘 理解하였으며, 舊約 新藥 의 分明한 視角 差異도 理解했었다. 유럽 敬虔主義 時期에도 그 差異點들과 內容的 衝突을 充分히 認知했으나 聖經의 絶對的 權威에 아무런 影響力을 끼치지 못했다. [10] 이런 聖經 內部의 差異와 文字的 表現의 差異로 改新敎 內에서 聖經의 絶對性을 强調하는 성도와 敎會 福音 을 위한 城西戊午說의 意味는 全혀 退步하지 않았다.

이 時期에도 聖書戊午說은 聖經 글字나 劃數에 對한 槪念이 아니라 오직 믿음 恩寵 을 理解하고 舊怨 을 이르기에 聖經만이 唯一한 길이며, 福音 을 받아들이는 唯一한 길로서 聖經 을 强調하는 用語였다. 卽 聖書戊午說은 基督敎 信者가 福音의 길에 들어서고 하나님 나라 에 들어가게 하는 指針으로 不足함이 없는 唯一한 通路이다. 그 어떤 人間의 制度도 方式도 이와 比肩할 價値를 지닐 수 없다는 意味였다.

大韓民國의 主要 改新敎團의 聖經理解 [ 編輯 ]

大韓民國 代表 改新敎 敎壇의 神學을 形成하는 神學者 칼뱅 웨슬리 亦是 聖經 의 戊午함을 强調하였다. [週 2] 칼뱅 은 聖經을 記錄이 아닌 하나님 信託 으로 여겼으며, 웨슬리 聖經 의 誤謬가 있다면 宇宙天帝에 誤謬가 있다는 말과 같다고 했다. 이 强調點은 聖經 基督敎 내 價値를 强調하는 表現이며, 어떤 敎會 의 制度보다 優先한다는 意味로 表現한 것이다. 이들 또한 舊約 新藥 의 時點 差異와 聖經 內部의 論點들을 充分히 理解하고 受容했었다. 다른 神學的 背景을 지닌 正統 改新敎團 亦是 이와 神學的으로 다를 바 없다.

正統 改新敎 神學을 따르는 칼뱅 神學 系列의 敎團들이나 웨슬리 神學 系列의 敎團들은 舊怨 을 위한 聖經 의 穩全함, 戊午함을 認定하며, 同時에 聖經 에 對한 다양한 硏究인 文獻分析硏究와 歷史的 硏究, 修辭的 硏究 等의 各種 硏究와 聖經神學 의 統合과 各 內容의 獨特性을 硏究하며, 考古學 敵 硏究까지도 竝行한다. 正統 改新敎 敎團들은 聖經 의 權威를 絶對的으로 支持하고, 聖經 이 人類 舊怨 敎會 에 欠 없이 完全하고, 戊午함을 支持한다.

現在의 正統 改新敎 神學의 聖經 理解 [ 編輯 ]

啓蒙主義 를 받아들인 改新敎會 神學者의 聖書 分析과 批評은 17世紀 舊約 新藥 의 立場 差異, 로마書 야고보서 의 內容 差異 等의 理解를 細心하게 分析한 結果에 가까우며, 聖經 을 文書 批評學으로 硏究하는 神學者에게도 如前히 基督敎 聖經 의 價値가 變質된 것은 아니었다. 萬一 그들에게 聖經 의 權威가 崩壞되었다면 그들은 聖經이 아닌 古代 文獻을 硏究했을 것이지만, 如前히 聖經 을 唯一한 硏究의 對象으로 하여 近代 聖經神學 을 發展시켰다.

21世紀 正統 改新敎會 의 城西戊午說은 그 意味가 그대로 維持된다. 如前히 예수 그리스도 福音 을 따르는 改新敎會 神學과 活動의 中心에는 聖經 이 있다. 卽 聖經 이 敎會 內에서 使用하는 어떤 制度보다 人類 舊怨 을 위해 絶對的이라는 意味이다. 基督敎 人들에게 聖經 은 올바른 人類의 現在와 未來를 위해 科學 技術 制度 보다도 優先하는 ‘ 舊怨 福音 ’이 담긴 冊이다. 聖經 은 그러므로 科學과 技術과 制度도 뛰어넘는 人類 舊怨 을 위해서 가장 偉大하고 完全하며 誤謬가 없는 福音 의 冊이다. 聖經 은 언제나 基督敎 敎會 聖徒 들에게 福音 의 基準이고, 敎會 活動과 神學 硏究와 人類 舊怨 을 위한 偉大하고 絶對的인 基準으로 如前히 情景으로 ‘聖經은 戊午’하다는 4世紀 普遍 敎會 의 決定을 如前히 따르는 것이다. [3]

正統 改新敎會 의 城西戊午說은 聖經 이 人類를 向한 福音 을 담은 唯一한 것이며, 이 聖經 은 성도가 舊怨 에 이르게 하는데 全혀 不足함도, 誤謬도 存在하지 않는다. 그래서 더욱 聖經 內部의 立場과 差異點과, 時代 敵 背景을 熱心히 硏究하고, 그 內容을 明確히 알도록 註釋하고 分析해야 한다.

基督敎 根本主義의 逐字令監적 城西戊午說( 逐字靈感說 聖經文字主義 ) [ 編輯 ]

20世紀 初에 登場한 改新敎 의 急進的 保守主義 勢力인 基督敎 根本主義 者들의 聖書戊午說은 '文字主義的이고 逐字靈感說 敵 城西戊午說'(以下, 逐字靈感說 )로 表現된다. 基督敎 根本主義 19世紀 啓蒙主義 를 受容한 正統 改新敎 神學의 反對派로 19世紀 末에서 20世紀 初에 形成되었고, 16世紀와 17世紀 初期 改新敎會의 神學 槪念을 本來 意味와 달리 活用하며 劇保守的 槪念을 主張하는 改新敎 極保守主義 勢力이다. 基督敎 根本主義者 들은 初期 宗敎改革 神學者들이 反對하고 17世紀 改新敎 正統主義 神學에서도 廢棄한 '逐字靈感說'과 '文字的 聖經 理解'를 20世紀 初에 再活用하여 改新敎 聖經神學 과 正統 改新敎 神學 에 反旗를 들었다.

19世紀 正統 改新敎 神學에 對한 極保守主義的 反應 [ 編輯 ]

20世紀 초의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은 안타깝게도 城西戊午說을 16世紀와 17世紀의 制度主義的이고 敎皇 主義的 西方敎會 問題를 克服하기 위한 理論이 아니라 啓蒙主義 影響의 正統 改新敎 神學 과 近代的 聖經神學 , 自由主義 神學 을 拒否하기 위한 改新敎 內部의 極保守主義의 道具으로 변화시켰다.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改新敎 神學 에서 啓蒙主義 를 認定, 受容하는 要素를 모두 排除하기 위한 重要 理論으로 再使用되었다.

現代的 理解와 對立 [ 編輯 ]

現代의 基督敎 神學, 特히 改新敎 神學에서 啓蒙主義的 自由主義 神學은 더 以上 影響力이 없으며, 現代 神學은 基督敎 傳統과 歷史를 强調하는 形態의 神學으로 變化하였다. 그러나 根本主義 가 引用하는 칼뱅 의 主張 [週 3] 을 따라 逐字靈感說 聖經 에 擧論되지 않는 槪念인 啓蒙主義를 包含한 다양한 近代 神學的 槪念에 神學 敵 無價値를 證明하기 위한 基準으로 活用되기 始作하였고, 現代 神學이 더 以上 啓蒙主義와 自由主義的 神學에서 벗어났는데도 如前히 逐字靈感說을 主張한다.

基督敎 根本主義의 聖經 理解 根據 [ 編輯 ]

結局 逐字令監적 城西戊午說은 極 保守主義 改新敎 勢力인 基督敎 根本主義 者가 意圖대로 聖經 을 再編輯 活用하는 根據 基準으로 變化하였다. 正統 改新敎 神學 이 眞摯하게 考慮하였던 유럽 啓蒙主義 自然科學 硏究를 拒否하고, 오직 文字的인 聖經 의 本文과 句節 活用을 主張하였고, 이를 根據로 近代的 聖經 主席 論과 文獻 批評 理論을 拒否하였으며, 近代 科學的 硏究 結果를 無視하는 活動을 展開하였다.

基督敎 根本主義 를 위한 聖經理解 [ 編輯 ]

聖經 의 文字的 活用과 舊約 新藥 의 時代的 差異, 視角 差異를 考慮하지 않은 無差別的 聖經 引用과 活用은 人類 에게 열린 福音 을 위한 聖經이 아니라 基督敎 根本主義 를 위한 聖經 理解가 되었다.

基督敎 根本主義 에서 모든 聖經 글字에까지 英이 담겼다는 '逐字靈感說'과 文字的으로 聖經을 따라야 한다는 '文字的 聖經 理解'의 城西戊午說은 自身들의 保守的 主張을 支持하는 裝置로서 매우 重要하다. 正統 改新敎의 神學을 攻擊하기 위해서는 正統 改新敎와 다른 形態의 聖經 根據提示가 必要했으나 正統改新敎의 聖經硏究 方式을 뛰어넘을 수 없었고, 結局 宗敎改革 과 改新敎 正統主義 時節 廢棄된 逐字靈感說 과 文字的 聖經理解를 正統 改新敎會 가 回避한 것이라는 理由를 들어 再活用하였다. [週 4]

逐字靈感說 과 文字的 聖經理解는 基督敎 根本主義 者들이 自身들의 保守的 主張에 어울리는 聖經 句節들을 無作爲로 採擇할 수 있는 方便이 된다. 例를 들어 舊約 요나서 에서 요나 의 不平 記錄과 하나님 의 命令 記錄을 同一한 價値이므로 根本主義者들의 意圖에 맞게 얼마든지 再配列, 再編輯할 수 있다. 同一한 價値인 理由는 모든 聖經 글字까지 靈이 깃들어 무슨 文章이라도 靈的인 文章이라는 逐字靈感說 의 支持를 받는 탓이다. 이런 論理 構造를 지닌 逐字靈感說과 文字的 聖經理解는 이미 17世紀 改新敎에서 危險한 聖經理解로 廢棄되었다.

改新敎 保守主義人 基督敎 根本主義 聖經 을 人類를 向한 ‘完全한 福音의 聖經’이 아니라 '逐字靈感說'과 '文字的聖經理解'로 덧漆된 基督敎 根本主義의 聖經으로 弘報하는 役割을 하였다.

自然科學을 利用하는 聖經證明 [ 編輯 ]

基督敎 根本主義者 들이 逐字靈感說 을 基準으로 時代的 背景과 神學 敵 根據 없이 聖經 의 句節을 再構成하며 ‘反正統 改新敎’ 史上, ‘反啓蒙主義’, ‘反科學主義’, ‘半現代注意’를 主張하였다. 近代 敎育을 받고 人文 , 自然科學 敵 常識을 지닌 一般人과 信徒들에게서 逐字靈感說의 主張이 지성과 常識을 拒否한다는 批判을 받았다. 反知性的이라는 非難에 反應하여 逐字靈感說 을 따라 펼친 主張들을 科學的으로 證明하고자 試圖하여, 結果的으로 根本主義者들이 拒否하던 自然科學 聖經 의 文字 內容을 證明하는 基準으로 삼는 非論理的이고 言語道斷的 行動을 하였다.

聖經의 欠없음에 對한 一般大衆의 問題 提起 [ 編輯 ]

基督敎 와 關聯이 적은 他宗敎人이나 無宗敎人들의 基督敎 聖經 의 戊午說을 批判하는 大部分은 基督敎 根本主義 의 城西戊午說인 逐字靈感說 에 對한 批判的 問題 提起이며, 正統 改新敎會 성도와 神學에서 主張하는 正統的 城西戊午說에는 問題 提起되지 않는다. 가장 흔히 膾炙되는 批判 4個를 보면 아래와 같다.

聖經 事件들의 科學的 證明 可能性 問題 [ 編輯 ]

聖經 內容의 殘酷性 問題 [ 編輯 ]

  • 正統 改新敎會: 聖經 事件의 理解는 예수 그리스도 의 ' 福音 '을 基準으로 判斷하고 그 ‘時代的 意味’를 理解한다. 舊約 新藥 聖經 中에 特히 舊約 의 歷史서 內容에는 殘酷한 戰爭 事件과 殺害 事件이 記錄되었다. 이 戰爭事件을 現在에도 適用할 수 있는가에 對해서는 그리스도 福音 을 基準할 때 이에 맞지 않으며, 記錄 內容은 當時의 狀況的 限界를 지닌 事件이다. 그러므로 現在 敎會 活動에 實際 適用하지 못하는 內容으로 分類하고, 그 事件의 時代的 狀況에서 脈絡을 따라 그 意味를 찾아 理解해야 한다.
  •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聖經 本文의 ‘時代的 背景’, 聖經 記錄者의 '삶의 자리'를 拒否하고 聖經 의 모든 句節을 永久的인 同一 價値로 判斷하여 戰爭 이 必要할 境遇 戰爭 을 支援하는 聖經 句節을 活用하고, 平和 를 위한 句節을 提示하지 않는다. 이런 無視對敵 聖經 接近과 取捨選擇 問題에 對해서 持續的인 批判이 있다.

禁止하는 飮食의 問題 [ 編輯 ]

  • 正統 改新敎會: 舊約 의 飮食 制限은 時代的 狀況에 따라 共同體 의 生存과 關聯된 問題였다. 돼지고기 禁止의 舊約 記錄은 舊約 時代에 하나님을 따르는 猶太人 에게 共同體 的 意味가 있었다. 遊牧民 人 猶太人에게 돼지 는 穀食을 먹는 家畜으로 人間과 食糧을 競爭하는 家畜 이었고, 遊牧 生活의 잦은 移動에 거추장스러운 家畜이었으며, 特히 農耕 文明의 他宗敎에서 豐饒의 新 象徵으로 活用된 家畜이었다. 차라리 어려운 이들에게 穀食 을 먹이고 돼지고기 는 먹지 않는 共同體 가 遊牧民으로 生存 可能하며, 서로에게 사랑 을 實踐하는 共同體 였다. 그러나 그리스도 以後 基督敎 人들에게 特權層의 律法的 飮食制限은 이미 新約聖經에서 旣得權의 資格 要件으로 活用된다고 批評하였고, 그리스도 福音 을 基準으로 그 飮食 制限의 意味는 이미 사도 時代부터 世上에 許諾하신 飮食에 對한 理解로 바뀌어, 돼지고기와 祭祀 고기도 먹어왔다. 基督敎에서 舊約 의 飮食 制限은 聖經 의 實際 意圖인 奉仕 와 나눔의 意味로 認識하였고, 이에 따라 地域 共同體 를 위한 社會 奉仕 , 飮食 나눔으로 實踐하는 것은 基督敎 初代敎會 부터의 傳統이 되었다.
  •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逐字靈感說 을 따르는 一部 團體와 敎團 은 舊約의 禁止 飮食 條項 適用의 拒否 說明 없이 이를 따르지 않으며, 一部 極端的인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을 主張하는 團體 敎團 에서는 舊約 聖經의 禁止 飮食을 禁忌로 삼는다.

聖經의 男女差別 問題 [ 編輯 ]

  • 正統 改新敎會: 特히 ‘舊約’聖經의 男女差別的 表現과 一夫多妻制 內容은 그리스도 의 福音을 따르는 基督敎人 에게 그리스도 以前의 '習俗'으로 따를 必要가 없고, 古代 時代에 弱者의 生存을 保障하는 中東地域 風習 中 하나로 理解해야 하는 內容이다. 이미 新藥 聖經에는 男女 區分 없이 敎會 를 섬겼던 記錄이 나오며, 사도 바울 이 女性 同役者에게 感謝 글을 傳한 記錄도 있다. 따라서 正統 改新敎會는 盛饌 補佐와 禮拜 祈禱, 救濟, 宣敎, 敎會 任職 等의 敎會 活動에서만이 아니라 牧師 按手에서도 男女의 差別이 없다.
  • 根本主義 逐字戊午說: 聖經 에 나온 男女 差別을 따르고, 女性은 祭壇 에 오를 수 없다는 舊約 의 本文을 尊重한다. 特히 女性의 敎會 活動 參與와 盛饌 補佐 等의 禮拜 禮式의 主要 職務는 徹底히 制御된다. 基督敎 根本主義 改新敎會 敎團의 大部分은 女性 에게 牧師 職 資格을 制限한다.

逐字靈感說의 聖經 理解 批判 [ 編輯 ]

基督敎 聖經과 聖經에 따른 主張에 對한 非難 中 多數를 차지하는 위의 4 가지 非難은 ‘正統 改新敎會’의 聖經 理解에 對한 非難으로 볼 수 없으며, 基督敎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의 聖經理解에 對한 非難으로 認識해야 한다. 기타 非難의 大部分 亦是 基督敎 根本主義 逐字靈感說 로 試圖한 聖經 說明에 對한 非難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註解 [ 編輯 ]

  1. 大韓民國 改新敎의 敎團 神學은 크게 칼뱅 神學 系列과 웨슬리 神學 系列로 나뉜다. 칼뱅 神學 系列은 長老敎會와 浸禮敎會, 會衆敎會의 等이고, 웨슬리 神學 系列은 監理敎會와 聖潔敎會, 순복음교회, 救世軍敎會 等이다.
  2. 大韓民國 改新敎의 敎團의 神學은 크게 칼뱅 系列 神學과 웨슬리 系列 神學으로 나뉜다.
  3. 칼뱅 神學 硏究에서는 정작 칼뱅이 聖經을 强調하기 위해 聖經이 하나님의 令에 따른다는 表現을 使用했으나 逐字靈感說을 主張한 적이 없음을 보여준다.
  4. 西方敎會가 8世紀에 廢棄된 '필리오케' 問題를 11世紀에 다시 再活用하여 公敎會 制度를 끝내고 西方과 東方敎會로 分離된 것과 類似한 흐름이다.
  5. 人間의 모든 硏究와 學問이 限界를 지니듯 自然科學徒 그 限界가 분명하다. 事實에 對한 正確한 分析을 結論 짓기에는 自然科學과 工學이 有效하지만, 個人 삶의 意味와, 人間의 行動 意味와, 社會制度 基盤 思想의 意味를 把握하기에는 自然科學은 無效하다.

各州 [ 編輯 ]

  1. 큄멜. 《新藥聖書神學: 主要證人들에 따른》. 박창건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1985.
  2.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판넨베르크 組織神學1》. 신준호, 안희철 옮김.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5.
  3. 큄멜. 《新藥聖書神學: 主要證人들에 따른》. 박창건 옮김. 서울: 성광문화사, 1985.
  4. 한스 큉. 《偉大한 그리스도교 思想家들》. 이양호 옮김. 서울: 크리스천헤럴드, 2006.
  5. 한스 큉. 《그리스도교: 本質과 歷史》. 이종한 옮김. 倭館:분도출판사, 2002.
  6. 폴 틸리히. 《폴 틸리히의 그리스도교 思想史》. 헤넬 엮음. 송기득 옮김.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3.
  7. 빌헬름 니젤. 《칼빈 神學 講義: 칼빈 神學에 對한 福音的 理解》. 이형기, 조영석 옮김. 서울: 한들出版社, 2011.
  8. 클라이버, 마르쿠바르트. 《監理敎會 神學》. 조경철 옮김. 서울: 監理敎出版局, 2006.
  9. 케네스 콜린스. 《존 웨슬리의 神學》. 이세형 옮김. 서울: 監理敎出版局, 2012.
  10. 카터 린드버그. 《敬虔主義 神學과 神學者들》. 李恩宰 옮김. 서울: 基督敎文書宣敎會, 2009.
  11. 한스 게오르크 가다머. 《眞理와 方法1》. 이길우, 이선관, 임호일 옮김. 서울: 文學동네,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