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서서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서서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서서 (徐庶, ? ~ 234年 [1] )는 中國 後漢 末期 ~ 曺偉 의 官僚로, 元職 (元直)이며 醴酒 永川郡 사람이다. 本來 이름은 徐福 (徐福)이었다.

이름 서서(徐庶)
時代 後漢 ~ 三國 時代
生沒 ? ~ 靑龍 2年( 234年 ) [1]
元職(元直)
本館 · 出身 醴酒 永川郡
官職 팽성上(彭城相)
· 禹中郞將(右中郞將)
· 御史中丞(御史中丞)〔危〕
作爲
所屬 劉備 曹操 조비 造詣

生涯 [ 編輯 ]

서서

그의 집안은 單價(單家) [2] 였다.

擊劍(擊劍)의 名手였으며, 義俠心이 强하여 親舊의 怨讐를 갚아주다가 官員에게 붙잡혔다. 親舊의 도움으로 풀려났고, 以後 칼을 버리고 學問에 精進하였으며 이때 同鄕인 石島 (石韜)와 交際하였다.

衆評 (中平) 年間에 戰亂을 避하여 石島와 함께 형주(荊州)로 갔고, 사마휘 (司馬徽)의 밑에서 學問을 익혔다. 이때 諸葛亮 (諸葛亮) · 맹건 (孟建)과 交際하였다.

서서 · 맹건 · 石島는 學問을 깊이 理解하려 하였으나, 諸葛亮은 要點을 익히는 데에 注力하였다. 그는 "서서 · 맹건 · 石島는 任官하면 自社(刺史)나 태수(太守) 程度는 될 것이다" 라고 말하였으나, 自身에 對해서는 이야기하지 않았다.

이때 즈음에 劉備 (劉備)는 晨夜(新野)에 駐屯하고 있었다. 서서는 劉備를 만났고, 劉備는 그를 有能한 者라고 생각하였다. 서서는 諸葛亮을 薦擧하였고, 劉備가 自身이 諸葛亮을 데려오도록 하자 "저는 그를 만날 수는 있지만, 데려오지는 못합니다" 라고 말하며 固辭하였다. 이로써 劉備가 直接 가 諸葛亮을 데려왔다.

以後 曹操는 劉備에게 敗하였고, 이때 서서의 母親이 曹操軍의 捕虜가 되었다. 서서는 劉備에 作別 人事를 하고 曹操에게 갔고, 位(魏) 建國 後에는 팽성上(彭城相)을 지내는 한便 [3] 禹中郞將(右中郞將) · 御史中丞(御史中丞)까지 昇進하였으며 石島는 태수와 全農敎委(典農校尉)를 歷任하였다. 맹건은 정동將軍(征東將軍) · 洋酒自社(凉州刺史)에 任命되었다.

後날 諸葛亮은 北伐(北伐)을 할 때, 서서와 石島의 官職을 듣고는 "위에 人材가 그렇게 많은가? 어찌하여 두 사람이 쓰이지 않는 것인가!" 라고 말하며 恨歎하였다고 한다.

靑龍 (靑龍) 2年( 234年 ), 서서는 팽성(彭城)에서 病으로 숨을 거두었다. [1]

改名 時期 [ 編輯 ]

서서는 御史中丞 在任 時에도 徐福 이라 하였기 때문에, 末年에 改名한 것으로 보인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偉略(魏略)》
  2. '寒微한 家門'이라는 뜻. 《 三國志演義 (三國志演義)》의 著者 羅貫中 (羅貫中)은 이 單語를 "先(單)氏 家門" 이라고 잘못 解釋하여, 서서의 옛 이름인 (福)과 合쳐 서서가 船腹 (單福)이라는 耳鳴을 使用하였다는 內容을 小說에 添加하였다.
  3. 《水經注(水經注)》 卷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