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載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張載 (張載: 1020年 ~ 1077年 )는 中國 宋나라 時代의 思想家이다. [1] 性理學 의 基礎를 닦았다.

字는 自後(子厚)이다. [1] 棒狀迷眩의 횡거眞(橫渠鎭) 出身이었기 때문에 횡거 先生(橫渠先生)이라고 呼稱된다. [1] 尊稱하여 長子 (張子)라고 불린다. [1]

生涯 [ 編輯 ]

張載

어렸을 때에 縣의 知事職(知事職)으로 있던 父親을 잃었다. [1] 젊었을 때 范仲淹 을 會見하고 兵士(兵事)에 對해 말하였다. [1] 그때 范仲淹 은 "柚子(儒者)에게는 自然히 名敎 (名敎: 人倫의 名分에 對한 가르침)를 즐길 만한 것이 있다. 어찌하여 兵談(兵談) 같은 것을 좋아하는가"라고 하면서 《 重用 (中庸)》을 그에게 주었다. [1] 횡거는 거기서 비로소 (道)를 求할 것을 決心하고 한때 佛敎   · 노장思想 에 들어갔으나 오래지 않아 6景 (六經)의 學問으로 돌아왔다. [1] 進士試驗에 合格한 後에 地方官으로서 여러 가지 功績을 쌓았다. [1] 그때의 皇帝인 北送 新種 은 그를 크게 登用하려고 하였으나 當時의 執政 (執政: 內閣의 最高 責任者)이었던 王安石 과 意見이 맞지 않아서 身柄을 理由로 鄕里에 돌아와 學問과 敎育에 힘을 다하였다. [1]

史上 [ 編輯 ]

將材에 依하여 세워진 基(氣)의 宇宙論(宇宙論) 또는 基의 哲學은 當時의 제家들의 思想과 比較하여 매우 特色있는 것이었다. [1] 장재의 徹底한 "劉(有)의 理論"은 언뜻 보기에는 周敦頥   · 邵雍   · 2亭子(二程子)의 思想이 《 (易)》의 精神을 基礎로 하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처럼 보인다. [1] 그러나 그렇지 않으며, 장재의 "留意 理論"의 根底에는 《 (易)》의 "1音(一陰) 1陽(一陽), 이것을 도(道)라고 한다"를 中心으로 하는 《 (易)》의 思考方式이 있다. [1]

將材는 存在하고 있는 것은 實際로는 뿐이며 現象의 個體는 氣가 凝聚한 客감(客感) 또는 客型(客形)이라고 主張하였다. [1] 또한 氣의 本來의 模樣, 卽 者(姿: 아직 個體를 形成하지 않은 狀態의 基)는 泰和(太和) 또는 太虛(太虛)라고 하였다. [1] 그리고 이 泰和(太和) 또는 太虛(太虛)는 사람에게 感覺되지 않는 것, 卽 有(幽)로, 基의 指定한(至靜: 至極히 고요한) 狀態라고 하였다. [1]

장재의 著述은 《長子戰서(張子全書)》에 收錄되어 있는데, 《同名(東銘)》 · 《署名(西銘)》  · 正夢 (正蒙)》  · 《經學理屈(經學理窟)》  · 《逆說(易說)》  · 文集  · 語錄 等이 이 속에 들어 있다. [1]

著書 [ 編輯 ]

正夢 [ 編輯 ]

《正夢(正蒙)》은 將材가 鄕吏 로 내려간 後의 著作으로, 그의 晩年인 50歲 以後의 것으로 推定된다. [2] 《長子戰서(張子全書)》에 收錄되어 있다. [2] 前 9卷이며 閣圈은 2篇으로 되어 있다. [2] 全體를 통하여 가장 重要한 便은 1卷에서 4卷 程度까지인데, 그 中에서도 〈泰和便(太和篇)〉 · 〈聲明便(誠明篇)〉은 그의 思想의 核心이다. [2]

一般的으로 장재의 宇宙論 (宇宙論, 形而上學的 事由)李 氣一元論 (氣一元論)이라고 命名되고 있는 것은 路資 의 " (有)는 (無)에서 生(生)한다"라고 하는 말을 正面으로 反對하고 있기 때문이다. [2] (有)가 (無)에서 生(生)하지 않는다고 하면 (有)는 (有)에서 生(生)하는 것인데, 將材는 이와 같은 생각으로 徹底한 (有)의 宇宙論 을 展開하였다. [2] 그에 依하면 現象 世界의 모든 個體는, 사람까지도 陰陽 2期 (陰陽二氣)의 同情(動靜)  · 承康(昇降)  · 浮沈(浮沈) 等에 依한 運動의 結果로 해서 生成된 것이다. [2] 陰陽 2期 도 實際는 氣(氣), 卽 1期 (一氣)이므로 이 氣가 客감(客感)  · 客型(客形)을 取한다고 하는 것이 現象의 成立이며, 이 世界의 萬變漫畫家 생하는 까닭이라고 將材는 보았다. [2] 이와는 反對로, 基(氣)가 흩어지면 無形無感이어서 사람에게 感覺되지 않게 된다고 하였다. [2]

이런 氣(氣)의 無形無感의 狀態가 基의 이요, 또 그것을 太虛 (太虛) 또는 泰和 (太和)라고 하였다. [2] 따라서 太虛   · 泰和 는, 機가 現象으로서의 客감  · 客型을 取하면서 變化하기 以前 根本의 穩全한 (靜)의 狀態이므로 이 世界의 모든 것의 原因 이라고 主張하였다. [2] 이러한 思考方式의 問題, 卽 道德論에 電話되면 " (虛)와 基(氣)가 合하여 (性) (名)이 있다"고 한 것같이 太虛   · 泰和 는 또 사람 本來의 姿態의 (性)李 된다. [2] 은 사람에게 一般的인 것이요, 具體的으로는 知性 (至誠)이다. [2] 그래서 (誠)을 얻는다는 것, 卽 知性 (至誠)에 이른다는 것이 (性)을 얻는 것이며 (性)을 다하는 것이 된다고 하였다. [2]

《正夢》은 走者 가 重要視한 文獻이었으며, 明나라 末期와 淸나라 初期의 王船山 (王船山)李 《 長子정몽주 (張子正蒙註)》을 지었다. [2] 《正夢》은 이러한 履歷이 있는 著書로, 中國의 思想史 에서 있어서 異色的인 著書들 中 하나이다. [2]

署名 [ 編輯 ]

將材는 書齋의 東쪽과 西쪽에 글을 써놓고 있었다. 왼便 東쪽 글을 ‘貶禹’(?愚), 오른便 西쪽 글, 卽 署名(西銘)을 ‘貞婉’(訂頑)이라고 불렀다. 貶우는 ‘鈍함을 바로잡는다’는 뜻이고, 貞婉은 ‘어리석음을 물리친다’는 뜻이다. [3]

《署名》은 《 正夢 》과 같이 장재의 晩年의 著作일 것으로 여겨진다. [4] 《署名》은 《 同名 (東銘)》과 함께 대단히 짧은 文章이지만, 《署名》에 담긴 思想的 內容은 深奧하여 2亭子 (二程子)는 《署名》을 매우 稱頌하였다. [4]

《署名》의 글 全體는 겨우 253字(한便 《 同名 (東銘)》은 112字 이다)에 지나지 않지만 담겨진 主題는 要컨대 "天地萬物"과 "나"라는 存在 와의 一切 에서 얻어지는 " (仁)"이다. [4] 《署名》은 다음과 같은 內容을 담고 있다. [4]

(乾)은 나의 富(父)이며 (坤)은 나의 某(母)이다. 나는 天地 (天地)의 者(子)로서 天地 (天地)의 中間에 萬物 과 함께 있다.
그런 까닭으로 나의 (體)는 但只 나의 形體 (形體)에 그치는 것이 아니다. 사람   · 山川   · 草木   · 禁輸   · 昆蟲 에 이르기까지 무릇 天地 의 사이에 存在하는 것은 全部 나의 이다.
나의 (性)도 또한 萬物의 이다. 天地 는 나와 그리고 萬物 도 生成하기 때문에 나와 마찬가지로 天地 사이에 있는 것은 모두 나의 同胞 다.
天地 萬物 을 養育하는 것은 天地 인덕 (人德)이요, 天地 의 이 運行을 본받고 天地 의 存在形式에 服從하면 天地 인덕 을 나의 마음 으로 삼을 수가 있다.
天地 의 作用은 "火(化)한다"고 하는 것이며, 天地 運行의 뜻(志)은 헤아려 알 수가 없다. 그런 까닭으로 "火(化)"를 알고 (神)을 窮通(窮通)하면 天地 의 運用과 그 向하는 바 뜻을 밝혀 이것을 繼承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해야 비로소 天地 마음 을 나의 마음 으로 삼고 天地 을 나의 으로 삼을 수가 있어 天地 인덕 과 나의 인덕 이 하나가 된다.

走者 의 《 署名해 (西銘解)》가 있다. 走者 에 依하면 " 亭子 (程子) 學派는 大體로 《署名(西銘)》으로 學者에게 開始(開示)하였다"고 했는데, 그만큼 《署名(西銘)》에 담긴 思想은 2亭子 (二程子)에게 큰 影響을 끼쳤다. [4]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