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승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기대승 (奇大升, 1527年 12月 21日 ( 陰曆 11月 18日 ) ~ 1572年 12月 15日 ( 陰曆 11月 1日 ))은 朝鮮 中期의 文臣이자 性理學者 이다. 己卯名賢人 基準(奇遵)의 조카이자 [1] 조찬한의 妻祖父이다. [2]

全羅道 광주목 광산면 小고룡리 出身으로, 本館 행주 이며, 는 名言(明彦), 는 高峯(高峰)·存在(存齋), 諡號는 文獻(文憲)이다. 退溪 李滉 과의 四端七情(四端七情) 및 利器(理氣) 論爭 을 통해 朝鮮 性理學 水準의 提高에 寄與했다. 光州廣域市 月俸서원(月峰書院) 에 祭享되었다.

生涯 [ 編輯 ]

1527年 (中宗 22) 光州 光山區 小고룡리(現 光州廣域市 光山區 신룡동)에서 아버지 氣盡(奇進)과 어머니 晉州 姜氏(晉州姜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高麗 時代의 宰相 基순우 의 14代孫이며, 順帝 의 皇后 기황후 의 親庭아버지 기자오 는 그의 11代祖 基弼善 의 둘째 兄 기윤숙 의 曾孫子였다.

1534年 (中宗 29) 어머니 喪을 當하였는데, 매우 슬퍼하며 어른처럼 哀痛해하였다. 1537年 鄕塾(鄕塾)에 나아가 《 대학장구 (大學章句)》를 배웠는데, 學友들이 배우는 것까지 아울러 通達하였으며, 數學 과 六甲(六甲)과 五行盛衰(五行盛衰)의 理致에도 精通하였다.

1546年 (明宗 元年) 가을 鄕試(鄕試) 進士科(進士科)에 合格하고, 1549年 (明宗 4) 司馬試(司馬試)에 合格하였다. [3] 1555年 (明宗 10) 父親 물재공(勿齋公)李 死亡하자 廬墓살이를 하였다. 1557年 走者大展(朱子大全)을 拔萃해 주자문록 3卷을 編纂했다.

1558年 (明宗 13) 7月 過去 試驗에 應試하기 爲해 서울로 가던 途中 將星 의 河西 김인후 태인 의 逸才 이항 을 拜謁하고 太極圖說(太極圖說)을 論하였다.

그해 10月 式年 文科 乙科에 及第하여 權知承文院副正字(權知承文院副正字)가 되었다. 그 달에 서울에서 錘만 정지운 의 千名도(天命圖)를 얻어 보고, 京邸(京邸)에 와 있던 退溪 李滉 을 찾아가 意見을 나누었다.

1558年 (明宗 13) 11月 休暇를 얻어 歸鄕하면서 다시 逸才 이항 을 拜謁하고는 前에 議論했던 것을 再次 論하다가 미처 結果에 이르지 못하였다. [4] 以後 河西 김인후 를 배알(拜謁)하고 分別하기 어려움을 들어 質問하니, 김인후는 『이와 基는 混合되어 있으므로 太極이 陰陽을 떠나서 存在한다고 할 수는 없지만, 도와 氣의 區分은 분명하므로 太極과 陰陽은 逸物이라고 할 수는 없다.』고 하며 그의 主張이 옳다하고 하루내 講論하다 罷하였다.

1559年 (明宗 14) 1月 退溪 李滉 의 發送 서(書)를 받아보고, 3月에는 退溪에게 저설(著說) 및 答書(答書)를 올려 四七이기설(四七理氣說)을 論辯(論辨)했다. 8月에 退溪에게 便紙를 올려 出處(出處)와 去就(去就)의 義理에 對하여 論하고, 性定說(性情說)을 主張하였다. 10月에 退溪의 答書(答書) 및 辯舌(辨說)을 받아 보았다. 그해 겨울 隣近에 살던 河西 김인후 에게 매양 나아가 이기(理氣)를 講論했는데, 李滉의 『四端七情 理氣互發說』에 對해서도 깊이 疑心하여 質問하니 河西 金麟厚가 細密한 分析과 辯論을 透徹하고 精密하게 해주었다.

1560年 (明宗 15) 3月 世上을 버린 河西 김인후 靈前에 글을 지어 전(奠)을 올렸다. [5] 5月에는 書信으로 秋晩 정지운 과 千名도(天命圖)에 對해 論하였다. 8月에는 그동안 河西 김인후 로부터 얻은 所得을 바탕으로 「四七설」(四七說) 및 「藏書」(長書)를 著述하여 退溪 李滉에게 드렸으며, 退溪와 「四七毫髮(四七互發)」에 對해 講論할 때 이를 밝히니 數萬 言(言)에 이르렀다.

1559年 (明宗 13) 3月부터 李滉 과 12年에 걸쳐 書信을 주고받았다. 그 가운데 1566年 까지 8年間의 걸쳐 이루어진 四七理氣論爭(四七理氣論爭) 의 書信이 有名한데, 이것이 世上에 傳하는 '退溪ㆍ高峯'의 「四七 往復서」이다. 이 論爭은 朝鮮 柳學士에 至大한 影響을 끼친 論爭으로 評價받고 있다. 이때 그는 李滉의 '理氣二元論'(理氣二元論)에 反對하고 '四端七情이 모두 다 情(情)이다'.고 하여 '主情說'(主情說)을 主張했다.

1566年 (明宗 21) 그동안 河西 김인후 를 통해 얻은 傳說(前說)을 다 버리고, 結論에서 形式的으로 退溪 李滉 의 설에 自身의 설을 合致시키며 李滉을 스승으로 받들었다. 이러한 그의 行動은 論理의 一貫性을 잃어 버리게 되었다는 評價를 받았다.

1562年 (明宗 17) 藝文館 檢閱 兼 春秋館 記事官을 任命되고, 1563年 (明宗 18) 讀書堂(讀書堂)에 選拔되어 賜暇讀書(賜暇讀書)를 하였다. 그해 3月 承政院 州서(注書)와 事情(司正)에 任命되었다. 8月 신진사類 의 領袖(領袖)로 指目되어 勳舊派 및 外戚이었던 明宗 인순왕후 의 外三寸 이량 의 主導下에 削職(削職)되고, 門外黜送(門外黜送)을 當하였으나, 從兄 기대항 (奇大恒. 卜재 基準 아들)의 上疏로 12月 復職하여 弘文館 副修撰이 되었다. 이듬해 2月 檢討觀이 되어 言論의 開放을 力說하였다.

1565年 (明宗 20) 兵曹佐郞, 李朝正郞을 거쳐, 이듬해 司憲府地平·弘文館敎理·司憲府獻納·議政府사인을 歷任하였다. 1567年 (明宗 22) 遠接使(遠接使)의 從事官(從事官)에 充用(充用)되고, 이어서 掌令, 議政府 死因, 弘文館 應敎가 되었다.

1567年 (宣祖 卽位年) 10月 司憲府 執義(執義), 弘文館 傳한(典翰)겸 藝文館 應敎(應敎)에 除授되어, 己卯士禍 와 양재역 壁書事件으로 죽임을 當한 조광조 · 이언적 等에 對한 追尊을 建議하였다.

1568年 (宣祖 1) 直提學(直提學), 同副承旨(同副承旨)에 侍讀官(侍讀官)을 兼職하였다. 1570年 (宣祖 3) 2月 乙巳僞勳(乙巳僞勳)을 論할 때, "乙巳(乙巳)의 錄勳(錄勳)李 偉勳(僞勳)李 아닐 뿐더러 또 先王이 이미 定한 것이니 削奪할 수 없다"고 하여 削奪을 主張한 사람들의 反撥을 사 大司憲(大司憲)에서 물러나 故鄕으로 돌아왔다.

1571年 (宣祖 4) 4月 弘文館 副提學(副提學), 吏曹參議(吏曹參議)에 任命되었으나 모두 辭讓하고 赴任하지 않았다.

1572年 (宣祖 5) 3月 成均館(成均館) 大司成(大司成)이 되고, 이어 宗系辨誣(宗系辨誣) 駐請負社奏請副使)로 選拔되어 注文(奏文)을 썼다. 9月에 大司諫(大司諫)·工曹參議(工曹參議)를 지내다가 病을 얻어 歸鄕하던 中 11月 初하루날에 46歲의 나이로 全羅北道 古阜 에서 別世했다.

弟子로는 정운룡(鄭雲龍)· 鄭澈 · 고경명 ·幼根(柳根)· 최경회 ·최시망(崔時望) 等이 있으며, 著書로는 《고봉집》, 《주자 門錄》, 《論思錄》, 《往復서(往復書)》 等이 있다.

家族 關係 [ 編輯 ]

  • 曾祖父 : 己丑(奇軸)
  • 曾祖母 : 海州鄭氏(海州鄭氏)
    • 祖父 : 기찬(奇?)
    • 조某 : 파평尹氏(坡平尹氏)
      • 伯父 : 畸形(奇逈)
      • 伯父 : 起源(奇遠) - 錦江 기효간 祖父
    • 조某 : 安東權氏(安東金氏)
      • 伯父 : 基괄(奇适)
      • 叔父 : 基準(奇遵) - 기대항 의 아버지
      • 아버지 : 氣盡 (奇進)
      • 어머니 : 강영수(姜永壽)의 딸(晋州姜氏)
        • 否認 : 咸豐李氏(咸豊李氏)
          • 長男 : 기효증(奇孝曾, 1550~1616)
            • 孫子 : 起程헌(奇廷獻, ?~?)
            • 孫女 : 조찬한(趙纘韓)에게 出家
            • 孫女 : 한이겸(韓履謙)에게 出家
          • 次男 : 基효민(奇孝閔 ,1561~1597) - 丁酉再亂 卒(卒)
            • 孫子 : 奇穎헌(奇齡獻, 1581~1655)
            • 孫子 : 機動헌(奇東獻, 1584~1647)
          • 三南 : 基梟猛(奇孝孟, 1572~1597) - 無後(无后)
          • 長女 : 蔚山 金氏 김남중(金南重)에게 出家 - 河西 김인후 孫子

著書 [ 編輯 ]

  • 《고봉집》
  • 《주자 門錄》
  • 《論思錄》

學問 世界 [ 編輯 ]

  • 逸才 이항 , 河西 김인후 , 退溪 李滉 門下에서 受學하였으며, 禪學(先學)들을 놀라게 하는 새로운 學說을 많이 提示하였다.
  • 特히 退溪 李滉 과 8年間에 걸쳐 四七理氣論爭(四七理氣論爭)은 朝鮮 柳學士에 깊은 影響을 끼친 論爭으로 有名하다. 以後 退溪 李滉 도 그의 理論을 相當 部分 받아들여 따르게 되었다.
  • 어려서부터 獨學으로 工夫하며 苦戰 에 能通하였고, 文學 으로 이름을 떨쳤으며, 文章에도 재주가 뛰어나 宗系辨誣(宗系辨誣)의 注文(奏文)을 썼다.
  • 沙巖(思菴) 朴淳 (朴淳)  · 晦齋(懷齋) 박광옥 (朴光玉)  · 월계(月溪) 조희문 (趙希文)  · 錦江(錦江) 기효간 (奇孝諫)  · 옥봉(玉峯) 백광훈 (白光勳) 等과 交遊하였다.

賞勳과 追慕 [ 編輯 ]

  • 1578年 (宣祖 11) 長男 艦載 기효증(奇孝曾)李 先親의 偉業을 기리기 위해 高馬蜂(叩馬峯) 아래 낙암(樂菴. 現 광산군 신룡동)가에 사우 '網天使'(望川祠)를 創建하고 位牌를 모심 [6]
  • 1590年 (宣祖 23) 光國功臣 (光國功臣) 3等에 錄勳되고, 덕원군(德原君)에 封해짐, 水蟲익모 光國功臣 正憲大夫 吏曹判書 兼 弘文館大提學 藝文館大提學 지 競演義禁府 成均館 春秋館社에 追贈되고, 文獻(文憲)의 諡號가 下賜됨
  • 1592年 (宣祖 25) 壬辰倭亂 後에 망월봉(望月奉) 아래 洞天(桐川)으로 社友를 移建함 (現 光山區 산월동)
  • 1646年 (仁祖 24) 너브실 마을로 移建함 (現 光州 光山區 광산동 狂曲)
  • 1654年 (孝宗 5) 8月 儒林들의 訴請(疏請)으로 月俸 (月峯)이라 賜額이 내려짐
  • 1655年 (孝宗 6) 4月 扁額을 맞이 函. 禮曹(禮曹)의 郎官(郞官) 遠隔(元格)李 祭文을 받들고 와서 致祭함
  • 1669年 (玄宗 10) 書院을 重創함
  • 1671年 (玄宗 12) 門間共 눌제 박상 , 문충공 沙巖 朴淳 을 異香(移享)艦
  • 1683年 (肅宗 9) 문원공 沙溪 김장생 秋享하고 聞慶공 愼獨制 金集 을 追加 配享함
  • 1788年 (正祖 12) 4月 禮曹佐郞 박흥복(朴興福)李 命을 받들어 致祭함
  • 1868年 (高宗 5) 흥선 大院君 書院 撤廢 때 毁撤됨
  • 1938年 講堂 빙月當 (氷月堂) 5칸을 復元函 ( 1979年 8月 光州廣域市記念物 第9號 登錄)
  • 1972年 高直射(庫直舍) 4칸을 建立函
  • 1982年 祠堂(祠堂) 숭덕사(崇德祠)와 內三門(內三門)을 建立函
  • 1983年 章板刻(藏板閣)을 建立函
  • 1990年 명성재(明誠齋) 4칸과 존성재(存省齋) 4칸 및 外三門(外三門)을 建立函

關聯 文化財 [ 編輯 ]

各州 [ 編輯 ]

  1. 정홍명, 《奇巖집》 卷10, 高峯 基 先生 行長
  2. 박세채, 《남계집》 卷74, 承政院 左承旨 兆 공 墓碣銘
  3. 1551年 謁聖試(謁聖試)에 合格했으나, 己卯名賢(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卜재 基準(奇遵)의 조카라는 事實을 안 當時의 試驗管 윤원형 의 妨害로 落榜했다고 한다.
  4. “지난番 서로 講究할 때에는 各自의 主張이 서로 달랐습니다. 太極은 이(理)와 氣(氣)를 겸한다고 말한 것은 先生의 要旨였고, 저는 天地萬物(天地萬物)의 理致를 들어 太極이라고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른바 ‘太極’이라는 것은 다만 이일 뿐이어서 기와는 關聯되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비록 하루終日 갖가지로 反復해서 論爭하였지만 그 要點은 이것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5. 祭文(祭文) : 庚申年 3月 7日 後學 高峯 奇大升은 삼가 酒果(酒果)로써 近者에 作故하신 河西 先生 影幀에 올리며 아뢰옵니다. 아아 先生이시여 이 地境에 이르셨단 말입니까, 隱微(隱微)韓 聖言(聖言)을 將次 뉘가 들어 찾아내며, 後學들을 將次 뉘가 들어 깨닫게 하오리까. 너무도 하옵니다. 우리 道가 衰退함이여! 世上에 어찌 다시 先生 같으신 분이 계시오리까. 제가 病으로 인해 故鄕에 돌아온 것은 先生에게 依支하여 疑惑亂 肺혹(蔽惑)을 除去하리라 바라고 있었사온데, 갑자기 이 地境에 이를 줄을 뉘 일렀겠사옵니까, 어찌하여 하늘도 믿지 못할 것이 이와 같단 말입니까. 아아! 先生께서 진택(眞宅: 幽宅)으로 돌아가시리니 이제는 종유(從遊)의 즐거움과 思慕하고 우러르던 所懷는 이로서 마지막이라, 어찌하오리까. 어찌하오리까. 공경히 한 盞을 올리오며 永訣終天(永訣終天)하옵니다 아! 슬프옵니다.
  6. 全羅監司 황강(黃岡) 김계휘(金繼輝)가 힘을 많이 썼고, 또한 康津의 言答 30餘석지를 書院으로 넣어 주었다.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