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燭 (佛敎)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燭 (佛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3化生觸설 에서 넘어옴)

spar?a의 飜譯
韓國語 燭, 接觸
( 로마字 : chok )
英語 contact,
contacting awareness,
rapport,
sense impression,
touch,
etc.
산스크리트語 spar?a, sparsha
팔리어 phassa
中國語 觸 or ?
日本語 soku
티베트語 ??????
( Wylie : reg pa;
THL : rekpa
)
베트남語 xuc
佛敎 用語 目錄
  12延期
혹: 朱黃
業: 파랑
고: 노랑
 
① 無名
② 行
③ 式
④ 名色
⑤ 6입
⑥ 燭
⑦ 수
⑧ 애
⑨ 取
⑩ 有
⑪ 生
⑫ 勞使
v   ?   d   ?   e   ?   h

(觸, 接觸 , 3士禍합  · 分別  · 變異, 산스크리트語 : spar?a , 팔리어 : phassa , 英語 : contact )은 初期佛敎 12延期說 (十二緣起說)의 6番째 持分이며,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5位 75法 에서 心所法 (心所法: 46가지) 中 垈地法 (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法相宗 5位 100法 에서 心所法 (心所法: 51가지) 中 徧行心所 (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다. [1] [2] 觸이라고 飜譯되는 산스크리트語 스파르社(spar?a) 또는 팔리어 派싸(phassa)의 다른 譯語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 印本辱生硬 》에서는 鏃을 (更)이라 하고 있고, 《 遂行本騎警 》과 《 증일아함경 》 《 중아함경 》에서는 갱落 (更樂)이라 하고 있다.

初期佛敎 12延期說 에 따르면, 燭(觸)은 5番째 持分인 6입 (六入: 感官 , 卽 根, 卽 六根 )과 4番째 持分인 名色 (名色: 精神과 物質, 모든 精神的  · 物質的 事物, 卽 對象 , 卽 境, 卽 無爲法 을 除外한 六境 )과 3番째 持分인 (識: 마음 ,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接觸 하는 것이다. [3]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大乘佛敎 의 敎學에 따르면, 燭(觸)은 3話 (三和) 卽 3士禍합 (三事和合)에서 생겨나는, 卽 近(根) · 警(境) · 式(識)의 和合 에서 생겨나는, 卽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和合하여 생겨나는 마음作用 (心所法)으로, 燭(觸)의 마음作用 이 發生함으로써 비로소 마음 對象 接觸 하게 된다. [4] [5] [6] [7] [8] [9] [10] (觸)이 成立됨과 同時에 다른 마음作用 (受, 遲刻)  · (想, 表象)  · (思, 意志)가 생겨난다. [11] [12] [13] [14]

품류족론 》 第2卷에 따르면, (觸)은 (觸: 3士禍합 · 燈燭 (等觸: 平等한 3士禍합 · 促成 (觸性: 3士禍합 性質 · 等促成 (等觸性: 平等한 3士禍합 性質 · 이촉 (已觸: 過去 3士禍합 · 觸類 (觸類: 3士禍합 等類 )를 統稱한다. [15] [16] 한便, 嚴格히 말하자면, 설일체유부 有識유가행派 의 敎學人 3化生觸설 에 따르면, 3士禍합 (三事和合)과 (觸)은 서로 別個의 이다. 이러한 事項을 念頭에 둔 狀態에서, 說明上의 便宜를 위해 一般的으로 種種 (觸)을 3士禍합 또는 3和合 (三和合)이라고 한다.

燭(觸)李 垈地法 또는 徧行心所 에 屬한다는 것은 燭(觸)이 없으면 認識對象 에 對한 經驗이 不完全해지거나 또는 不可能하다는 것을 意味한다. 燭(觸)이 없으면 認識對象 遲刻 [受]하거나 表象 [想]하거나 認識對象 에 對해 欲求 [思]나 意志 [思]를 가지는 等의 認識作用 을 위한 基盤이 存在하지 않는 것이므로 그 認識對象에 對한 經驗 自體가 不可能하게 된다. 따라서 그 認識對象 에 對한 經驗 知識 을 얻을 수 없게 된다. [17]

初期佛敎 [ 編輯 ]

잡아함경 》 第13卷에 收錄된 第306景 〈인경(人經)〉에서 고타마 붓다 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眼、色緣生眼識, 三事和合觸,觸俱生受、想、思,此四無色陰、眼、色, 此等法名?人,於斯等法作人想、?生、那羅、 摩??、摩那婆、士夫、福伽羅、耆婆、禪頭。

眼根 [眼]과 색경 [色]을 年(緣)하여 安息 (眼識)이 생긴다. 이 3가지[三事]의 和合이 燭(觸)이다 (또는 이 3가지의 和合으로부터 鏃이 생겨난다). 燭(觸)과 함께 (受, 遲刻)와 (想, 表象)과 (思, 意志, 卽 )가 [同時에(?) 또는 順次的으로(?)] 일어난다. [水  · 上  · 社  · 式의] 이 4가지 無色音(無色陰, 卽 無色온)과 眼根 [眼]과 색경 [色]과 같은, 이같은 을 [總稱하여] 사람[人]이라고 명명하며, 이러한 에 對해 사람이라는 (想, 表象, 槪念, 생각)을 지어 中生 (衆生)  · 나라 (那羅)  · 마누社 (摩??)  · 마나바 (摩那婆)  · 四部 (士夫)  · 復價라 (福伽羅)  · 기바 (耆婆)  · 先頭 (禪頭)라고 부른다.

? 《 잡아함경 》 第13卷 第306景 〈인경(人經)〉. 漢文本 한글本

위의 引用文을 비롯한 《 阿含經 》 等의 初期佛敎 經典 上의 內容에 따르면, 燭(觸)은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6式 또는 8式, 卽 心王]의 3가지의 和合 그 自體, 或은 그 和合으로부터 생겨나는 마음作用 을 말한다. 그리고 燭(觸)은 5溫 에 屬한 (受, 遲刻)와 (想, 表象, 槪念, 생각)과 (思, 欲求, 意志, 卽 )의 마음作用 들이 發生하게 하는 作用을 한다.

이러한 初期佛敎 고타마 붓다 의 가르침들에 根據하여 部派佛敎 大乘佛敎 에서는 이 가르침들을 解釋함으로써 自身들의 法體系 5溫 에 對한 敎學을 樹立하였는데, 燭(觸)의 境遇에는 特히 意見 差異가 發見된다.

部派佛敎 [ 編輯 ]

설일체유부 (3化生觸설) [ 編輯 ]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의 敎學을 批判的으로 集大成한 《 俱舍論 》에 따르면, 燭(觸)은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6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和合하여 생겨나는 마음作用 으로, 感官 [根]과 마음 (6式, 卽 心王, 卽 心法)으로 하여금 對象 을 接觸하게 하는 마음作用 이다. [1] [18] [19]

觸謂根境識和合生。能有觸對。



燭(觸)이란 이를테면 近(根)  · 警(境)  · 式(識)이 和合하여 생겨나는 것으로, 능히 對象과 接觸[觸對]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 《俱舍論》, 第4卷. 漢文本 & 한글本

卽, 설일체유부 에서는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6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和合이 原因이 되어 이 和合과는 別途의 마음作用 으로서의 燭(觸)李 생겨난다는 3化生觸설 (三和生觸說: 3社의 和合이 鏃을 낳는다는 敎義)을 主張하였다. 그리고 細部的으로는 初期佛敎 의 가르침과 同一하게 6가지의 (觸)들, 卽 안鏃 (眼觸)  · 이촉 (耳觸)  · 非觸 (鼻觸)  · 설촉 (舌觸)  · 新觸 (身觸)  · 依囑 (意觸)의 6鏃身 (六觸身) 또는 6燭 (六觸)이 있다고 본다. 6燭 이 있다는 敎義는, 설일체유부 外에도 部派佛敎 經量部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等 佛敎 全般에서, 初期佛敎 經典에 나타난 고타마 붓다 의 가르침에 따라 모두가 認定하는 敎義이다.

觸何?義。

頌曰。
 觸六三和生
論曰。觸有六種。所謂眼觸乃至意觸。
此復是何。三和所生。謂根境識三和合故有別觸生。

燭(觸)은 무슨 뜻인가?
偈頌으로 말하겠다.
 燭(觸)은 여섯 가지로서, 세 가지가 和合하여 생겨난다.
論하여 말하겠다. 燭(觸)에는 여섯 가지 種類가 있으니, 이른바 안鏃(眼觸) 乃至 依囑(意觸)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다시 무슨 뜻인가? 세 가지의 和合으로 생겨나는 것이니, 말하자면 近(根)  · 警(境)  · 式(識)의 세 가지가 化合하기 때문에 個別的으로 存在하는 燭(觸)李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 《俱舍論》, 第10卷. 漢文本 & 한글本

經量部 (3火星觸설) [ 編輯 ]

部派佛敎 經量部 에서는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6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社(三事: 3가지 要素)의 和合과는 別途로 燭(觸)이라는 마음作用 이 생긴다는 설일체유부 의 主張과는 달리, 이들 3社의 和合이 바로 燭(觸)이며 別途로 새롭게 燭(觸)李 생겨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電子의 설일체유부 의 主張을 3化生觸설 (三和生觸說: 3社의 和合이 鏃을 낳는다는 主張)이라고 하고 後者의 經量部 의 主張을 3火星觸설 (三和成觸說: 3社의 和合이 곧 鏃을 이룬다는 主張)이라 한다.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에서는 설일체유부 와 同一하게 三火生觸說을 主張하였다. [20]

大乘佛敎 (3化生觸설) [ 編輯 ]

印度 佛敎 唯識學 의 歷史는 3期로 나누기도 하는데, 彌勒 과 더불어 唯識學 의 時調 또는 主唱者라고 할 수 있는, 引渡의 唯識學 第1基의 無着 [21] 은 《 大勝阿毘達磨집론 》 에서, 燭(觸)이란,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和合함에 依支하여, 모든 感官 [根] 卽 6斤 (六根)으로 하여금 變異(變異)하게 하고 分別(分別)하게 하는 것을 그 本質的 性質[體]로 하고 다른 마음作用 (受, 遲刻)의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그 本質的 作用[業]으로 하는 마음作用 이라 定義하고 있다.

何等?觸。謂依三和合諸根變異分別?體。受所依?業。



燭(觸)이란 무엇인가? 세 가지[三]가 和合함[和合]에 依支하여 모든 感官[根]李 變異(變異)하게 하고 分別(分別)하게 하는 것을 體性[體]으로 삼고 수(受)의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業(業)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 《大勝阿毘達磨집론》, 第1卷. 漢文本

印度 佛敎 唯識學 의 第2基의 世親 은 《 大勝五蘊론 》에서, 燭(觸)이란,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和合(和合)하게 하고 分別(分別)하게 하는 것을 그 本質的 性質[性]로 하는 마음作用 이라 定義하고 있다.

云何?觸。謂三和合分別?性。



燭(觸)이란 무엇인가? 세 가지[三]가 和合[和合]하게 하고 分別(分別)하게 하는 것을 體性[體]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 《大勝五蘊론》. 漢文本

印度 佛敎 唯識學 의 第3期에 該當하는 《 成唯識論 》에서는 第1基의 無着 과 第2基의 世親 의 正義와 類似하게 그러나 差異가 나게 燭(觸)을 定義하고 있다.

成唯識論 》에 따르면, 燭(觸)은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3가지가 和合하여 생겨나는 마음作用 으로, 마음 (6式, 卽 心王, 卽 心法)과 마음作用 으로 하여금 對象 을 接觸하게 하는 것을 그 本質的 性質 [性]로 하고, 徧行心所 에 屬한 다른 마음作用 (受, 遲刻)  · (想, 表象)  · (思, 意志) 等을 일으키는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그 本質的 作用[業]으로 하는 마음作用 이다.

觸謂三和。分別變異。令心心所觸境?性。受想思等所依?業。



'蜀(觸)心所'는 세 가지가 和合[三和]하여, 달라지는 데서[變異] 分別(分別)하는 것을 말한다. 心王과 心所로 하여금 對象에 接觸하게 하는 것을 體性[性, 體性]으로 삼고, 수(受)  · 上(想)  · 社(思) 等의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業(業)으로 삼는다.

? 《成唯識論》, 第3卷. 漢文本 & 한글本

위의 《 成唯識論 》의 引用文에서 세 가지의 和合 [三和] 또는 3和合 (三和合)은 '近頃式(根境識) 3士禍합 (三事和合)', 卽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8式, 卽 心王, 卽 心法]李 最初로 接觸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 3社和合이 原因이 되어 이 和合과는 別途의 燭(觸)이라는 마음作用 이 생긴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見解를 3化生觸설(三和生觸說: 3社의 和合이 鏃을 낳는다는 主張)이라고 하는데, 설일체유부 와 同一한 見解이다. [20]

위의 《 成唯識論 》의 引用文에서 달라지는 것 [變異]은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8式, 卽 心王, 卽 心法]李 和合하기 以前에는 이들 3가지는 아무런 作用을 일으키지 않으며, 이들 3가지가 和合함으로써 비로소 各自의 作用을 일으키게 된다는 것을 말한다. 卽, 이들 3가지는 和合 以後의 樣相이 和合 以前의 樣相과는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위의 引用文의 定義에서 '變異(變異)', 卽 '달라진다'고 말한 것이다. [22]

위의 《 成唯識論 》의 引用文에서 分別하는 것 [分別] 卽 3分別 (三分別) 또는 3社分別 (三事分別)은 認識   · 識別   · 要별 과 같은 의 意味가 아니라 '비슷한 作用을 한 다' 는 上司(相似)의 뜻이다. 卽, 感官 [根]과 對象 [境]과 마음 [識: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和合에 依해 燭(觸)李 생겨나고 그렇게 되면 이들 3가지의 樣相이 和合 以前과는 크게 달라져 各自의 作用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全體的인 作用과 類似[相似]韓 作用이 다시 일어난다는 것을 말한다. 이 비슷한 作用은 2가지로 나뉘는데, 첫 番째는 생겨난 燭(觸)이 다시 이들 3가지의 和合을 强化시켜서 確實한 接觸이 形成되게 하는 것이다. 이 境遇에는 燭(觸)李 原因이 되고 確實한 和合 또는 强化된 和合이 結果가 된다. 두 番째는 和合으로부터 燭(觸)李 생겨난 것과 類似하게 燭(觸)으로부터 徧行心所 에 屬한 다른 마음作用 (受)  · (想)  · (思)가 일어난다는 것이다. [23] 그런데, 여기서 '燭으로부터 일어난다'는 것은 燭(觸) 다음에 (受)  · (想)  · (思)가 順序대로 일어난다는 뜻이 아니라 燭(觸)이 成立됨과 同時에 (受)  · (想)  · (思)가 일어난다는 것으로, 이러한 同時發生說 (同時發生說)은 설일체유부 와 同一한 見解이며, 契機發生說 (繼起發生說)을 主張한 經量部 의 見解와는 다르다.

受生與觸?後?俱。毘婆沙師說。俱時起觸受展轉俱有因故。



'水(受)'는 '蜀(觸)'보다 뒤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구시(俱時, 卽 同時)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비바私私(毘婆沙師)는 說하기를, "舊時에 生氣하니, 鏃과 數는 輾轉 相續하며 서로에 對해 俱有因(俱有因)이 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 《俱舍論》, 第10卷. 漢文本 & 한글本

위의 《 成唯識論 》의 引用文에서 (性) 또는 體性 (體性)은 本質的인 性質 또는 直接的인 作用을 뜻하고, (業) 또는 業用 (業用)은 本質的인 作用 또는 間接的인 作用을 뜻한다. [24]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권오민 2003 , 69?81쪽.
  2. 星雲 , " ". 2012年 9月 21日에 確認.
  3.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根本佛敎의 思想 > 12因緣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4. 星雲 , " 三和 ". 2012年 12月 31日에 確認
    "三和: 指根、境、識三者和合而生觸之心所。成唯識論卷三(大三一?一一中):「根、境、識更相隨順,故名三和,觸依彼生。」然諸師對此說法亦有不同觀點,有說「別法與心相應三和所生」者?觸;故前述之以根、境、識三和?觸者,則引契經所說之「三和?名?觸」作其證。此外,說一切有部以「三和生觸」立其宗義,經量部亦以根、境、識三者和合?觸,而無別體,稱?「三和成觸」。〔俱舍論卷十、成唯識論卷六〕(參閱「觸」)"
  5.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4卷. p. T29n1558_p0019a19 . 燭(觸)
    "觸謂根境識和合生。能有觸對。"
  6.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4卷. p. 4 / 1397 . 燭(觸)
    "蜀(觸)이란 이를테면 近(根)·警(境)·食(識)이 和合하여 생겨나는 것으로, 능히 對象과 接觸[觸對]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7.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10卷. p. T29n1558_p0052b05 - T29n1558_p0052b09 . 燭(觸)
    "觸何?義。頌曰。
      觸六三和生
    論曰。觸有六種。所謂眼觸乃至意觸。此復是何。三和所生。謂根境識三和合故有別觸生。"
  8.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10卷. pp. 462-463 / 1397 . 燭(觸)
    "'蜀(觸)'은 무슨 뜻인가? 偈頌으로 말하겠다.
      蜀은 여섯 가지로서, 세 가지가 和合하여 생겨난다.
      觸六三和生
    論하여 말하겠다. 鏃에는 여섯 가지 種類가 있으니, 이른바 안鏃(眼觸) 乃至 依囑(意觸)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다시 무슨 뜻인가? 세 가지의 和合으로 생겨나는 것이니, 말하자면 近(根)·警(境)·食(識)의 세 가지가 化合하기 때문에 個別的으로 存在하는 鏃이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9.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 T.1585 , 第3卷. p. T31n1585_p0011b19 - T31n1585_p0011b28 . 燭(觸)
    "觸謂三和。分別變異。令心心所觸境?性。受想思等所依?業。謂根境識更相隨順故名三和。觸依彼生令彼和合。故說?彼。三和合位皆有順生心所功能說名變異。觸似彼起故名分別。根變異力引觸起時。勝彼識境。故集論等但說分別根之變異。和合一切心及心所。令同觸境是觸自性。?似順起心所功能。故以受等所依?業。起盡經說受想行蘊一切皆以觸?緣故。"
  10.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3卷. pp. 119 / 583 . 燭(觸)
    "‘蜀(觸)心所’ 5) 는 세 가지가 和合하여, 6) 달라지는 데서[變異] 7) 分別(分別)하는 것을 8) 말한다. 心王과 心所로 하여금 對象에 接觸하게 하는 것을 體性(體性)으로 삼고, 수(受)  · 上(想)  · 社(思) 等의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業(業)으로 삼는다. 9)
    感覺器官  · 對象  · 食餌 다시 서로 手順하기 때문에 세 가지의 和合[三和]이라고 이름한다. 燭(觸)心所가 그것(根  · 境  · 識)에 依해서 생기(生起)하고, 그것으로 하여금 和合하게 한다. 10) 그러므로 (성스러운 가르침에서) 그것(三四和合)으로 말씀한다. 11)
    세 가지가 和合하는 段階[位]에서 모두 手順하여 心所를 일으키는 作用[功能]李 있는 것을 變異(變異)라고 이름한다. 鏃이 그것(三四和合)에 비슷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分別이라고 이름한다. 感覺器官의 變異(變異)의 힘이 鏃을 이끌어 일어나게 할 때에, (根의 作用이) 그 式  · 對象보다 뛰어나다. 그러므로 『집론(集論)』 等에서 다만 感覺器官의 變異(變異)에서 分別할 뿐이라고 말한다. 12)
    모든 心王과 心所를 化合하여 다 같이 對象에 接觸하게 하는 것이 鏃의 自省이다. 이미 手順해서 心所를 일으키는 作用 13) 에 비슷하게 됨으로써 數(受) 等의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業으로 삼는다. 14) 『基眞景(起盡經)』에서 水溫(受蘊)  · 常溫(想蘊)  · 行蘊(行蘊)의 모두 15) 가 한결같이 鏃을 緣(緣)으로 한다고 말씀하기 때문이다.
    5) 燭(觸, spar?a) 心所는 ‘近頃式(根境識) 三四和合(三事和合)’, 卽 感覺器官  · 對象  · 式의 最初의 接觸에 該當되며, 이로써 認識의 場(場)李 열리게 된다. 眼根(眼根)과 색경(色境)李 年(緣)李 되어 安息을 일으키고, 세 가지(根  · 境  · 識)의 和合이 있고, 그것은 決定的으로 燭心所를 일어나게 하며, 반드시 燭心所에 依해 心王  · 心所가 和合하여 하나의 對象에 接觸하게 된다.
    6) 세 가지의 和合[三和]이란 感覺器官[所依根]  · 式[能緣識] 認識對象[所緣境]의 세 가지가 和合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燭(觸, spar?a)心所가 生起한다. 따라서 여기서 蜀은 結果[果]이고, 세 가지의 和合은 原因[因]이다. 세 가지가 和合하는 곳에서 鏃이 생겨난다고 하는 三火生觸설(三和生觸說)은 설일체유부에서도 主張된다. 經量部는 三火聖燭설(三和成觸說)을 主張하여, 세 가지가 和合하는 곳이 바로 觸이며 別途로 새롭게 鏃이 생겨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7) 여기서 變異(變異)의 뜻은 다음과 같다. 感覺器官[根]  · 對象[境]  · 式[識]李 各各 別途로 있어서는 어떤 作用을 일으키지 않으며, 셋이 和合하여[三和] 비로소 各自의 作用을 顯顯할 수 있다. 이 세 가지가 和合될 때는 뛰어난 作用을 일으켜서 以前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여기서 그것을 變異(變異)라고 말한다.
    8) 여기서 分別(分別)은 上司(相似)의 意味로서, 一般的인 思惟分別에서의 分別이 아니다. 本文에서 變異(變異)韓 데서 分別한다는 뜻은 다음과 같다. 卽 세 가지(根  · 境  · 識)가 和合하여 鏃이 생겨나고, 이때의 셋은 和合 以前과 크게 다르다[變異]. 생겨난 蜀은 다시 셋의 和合을 强化시켜서 모두 對象에 接觸하게 한다. 이때는 鏃이 原因이고 셋의 和合은 結果가 된다. 本文에서 分別, 卽 上司(相似)란 첫째, 세 가지의 化合된 狀態와 비슷하게 되는 것이고, 둘째, 세 가지의 和合으로써 鏃을 생겨나게 한 것과 비슷하게 수(受) 等을 일으키는 依支處[所依]가 되는 作用을 가리킨다.
    9) 體性[性]은 直接的인 作用을, 業用[業]은 間接的인 作用을 말한다. 以下 心所의 解說에 있어서 모두 이 體性과 業의 두 作用으로 나누어 說明한다. 10) 燭(觸)을 세 가지의 和合[三事和合]이라고 말하는 뜻을 다시 敷衍 說明한다. 첫째, 鏃이 그것(根  · 境  · 識)에 依해 생겨나는 境遇는 셋의 和合을 原因[因]으로 한다. 둘째, 그것으로 하여금 和合하게 하는 境遇는 셋의 和合을 結果[果]로 한다. 이와 같이 因果(因果)에 따라서 鏃을 세 가지의 和合[三和]이라고 말한다.
    11) 『阿含經』에서 “感覺器官  · 對象  · 式의 셋이 化合된 것이 觸이다[根境識 三事和合 觸]”라고 말씀하는 것을 가리킨다.
    12) 다른 논서와의 差異點을 會通한다. 세 가지의 和合 作用에 비슷하게 됨으로써 變異(變異)하여 分別하게 한다고 말하면, 어째서 『집론(集論)』 等에서 感覺器官[根]의 變異에 있어서 分別하는 것으로써 체(體)로 삼는다고 말하겠는가라는 質問에 對하여, 只今 여기서 答辯한다. 卽 事實은 感覺器官  · 對象  · 式의 셋이 모두 鏃을 이끌어 내지만, 그 中에서 感覺器官의 變異의 힘이 가장 뛰어나기 때문에 『집론』 等에서는 다만 그 뛰어난 側面에서 말한 것뿐으로서, 본 논서와 違背되는 것은 아니라고 會通한다.
    13) 感覺器官 對象  · 式의 和合의 作用[三和功能]을 가리킨다.
    14) 앞에서 말한 內容을 다시 具體的으로 敷衍 說明한다. 鏃의 自省[體性], 卽 直接的인 作用은 感覺器官  · 對象  · 式의 和合을 强化해서 對象에 接觸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鏃의 業用(業用), 卽 間接的인 作用은, 세 가지의 和合이 鏃의 心所를 생겨나게 했듯이, 鏃이 이미 手順해서 그 作用에 비슷하게 됨으로써[相似, 卽 分別], 수(受) 等의 依支處[所依]가 되는 것을 말한다."
  11.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T.99 , 第11卷, 第273景 〈守城유경(手聲喩經)〉 p. T02n0099_p0072c09 - T02n0099_p0072c10
    "如是緣眼.色。生眼識。三事和合觸。觸俱生受.想.思。"
  12.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K.650, T.99 , 第11卷, 第273景 〈守城유경(手聲喩經)〉 p. 394 / 2145
    "引用: 이와 같이 눈과 빛깔을 引延하여 安息이 생긴다. 이 세 가지가 和合한 것이 感觸[觸]이니, 感觸이 함께 하면 느낌[受]  · 생각[想]  · 意圖[思]가 생긴다."
    "編輯者 飜譯: 이와 같이 眼根과 색경을 引延하여 安息이 생긴다. 이 세 가지가 和合한 것이 燭(觸)이다. 燭(觸)과 함께 數(受)  · 上(想)  · 社(思)가 同時에 생겨난다. "
  13.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10卷. p. T29n1558_p0053a02 - T29n1558_p0053a04
    "受生與觸?後?俱。毘婆沙師說。俱時起觸受展轉俱有因故。"
  14.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10卷. p. 468 / 1397
    "'水'는 '蜀'보다 뒤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구시(俱時, 卽 同時)에 생겨나는 것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비바私私(毘婆沙師)는 說하기를, "舊時에 生氣하니, 鏃과 數는 輾轉 相續하며 서로에 對해 俱有因(俱有因)이 되기 때문이다"고 하였다."
  15. 細雨 兆, 現場 漢譯 & T.1542 , 第2卷. p. T26n1542_p0699c11 - T26n1542_p0699c12 . 燭(觸)
    "觸云何。謂觸等觸觸性等觸性。已觸觸類。是名?觸。"
  16. 細雨 지음,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 K.949, T.1542 , 第2卷. p. 42 / 448 . 燭(觸)
    "蜀(觸)은 무엇인가? 接觸[觸]이고 平等한 接觸[等觸]이며 接觸하는 性品[觸性]이요 이미 지나간 接觸[已觸]이며 接觸의 種類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蜀’이라 한다."
  17. Guenther, Herbert V. & Leslie S. Kawamura 1975 , 409?414쪽.
  18.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4卷. p. T29n1558_p0019a19 .
  19.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4卷. p. 163 / 1397 .
  20.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3卷. p. 119 / 583 . 三四和合(三事和合)
    "蜀(觸, spar?a) 心所는 ‘近頃式(根境識) 三四和合(三事和合)’, 卽 感覺器官  · 對象  · 式의 最初의 接觸에 該當되며, 이로써 認識의 場(場)李 열리게 된다. 眼根(眼根)과 색경(色境)李 年(緣)李 되어 安息을 일으키고, 세 가지(根  · 境  · 識)의 和合이 있고, 그것은 決定的으로 燭心所를 일어나게 하며, 반드시 燭心所에 依해 心王  · 心所가 和合하여 하나의 對象에 接觸하게 된다.
    세 가지의 和合[三和]이란 感覺器官[所依根]  · 式[能緣識]  · 認識對象[所緣境]의 세 가지가 和合하는 것을 말하며, 여기서 燭(觸, spar?a)心所가 生起한다. 따라서 여기서 蜀은 結果[果]이고, 세 가지의 和合은 原因[因]이다. 세 가지가 和合하는 곳에서 鏃이 생겨난다고 하는 三火生觸설(三和生觸說)은 설일체유부에서도 主張된다. 經量部는 三火聖燭설(三和成觸說)을 主張하여, 세 가지가 和合하는 곳이 바로 觸이며 別途로 새롭게 鏃이 생겨나지 않는다고 말한다."
  21. 황욱 1999 , 16?17쪽
    "唯識學에서는 그 學說의 內容에 따라 印度의 唯識學을 3期로 나누어 說明하기도 한다. 第1期는 彌勒과 無着의 唯識學을 말하고, 제2기는 世親의 唯識學을 말하며, 第3期는 護法[Dharmap?la]과 安慧[Sthitamati] 等 十大論師들의 唯識學을 意味한다. 한便 第1基와 第2基를 합쳐서 初期唯識學이라고도 부른다. 이런 觀點에서 볼 때 처음으로 唯識學의 理論的 體系를 세운 無着이 唯識學에 끼친 貢獻은 實로 대단한 것이다. 그것은 彌勒이 實存人物인지 아니면 無着 自身인가에 對한 論難과는 別個로 그가 唯識學의 主唱者로 자리매김 되어도 조금도 不足함이 없기 때문이다.
    吳亨根, ?初期唯識의 心意識思想과 八識思想 硏究?, 《唯識과 心識思想 硏究》(서울: 佛敎思想社, 1989), pp.14~15 參照. 이에 依하면 “第1基의 唯識學은 草創期의 唯識學으로서 後世의 發達된 唯識學에 비하여 原始的인 學說로 取扱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時代의 唯識學을 原始唯識期라고도 하며 이때의 主要 논서는 《瑜伽師地論》과 《攝大乘論》·《顯揚聖敎論》과 《大勝阿毘達磨집론》 等을 들 수가 있다. 다음 第2基의 唯識學은 世親논사가 無着과 彌勒의 唯識學을 잘 整理하고 組織化한 것을 말하는데 이때의 唯識學을 組織唯識學이라고도 한다. 이 組織唯識學의 代表的인 논서는 《大勝백法明文론》과 《有識三十론송》을 들 수가 있다. 그리고 다음 第3基의 唯識學은 世親논사 以後에 호법과 안혜 等 十代논사들이 世親의 《唯識三十論》을 훌륭한 理論으로 註釋하여 唯識學을 크게 발달시킨 時期로 이때의 唯識學을 發達唯識期라고 한다. 이때의 代表的인 著述로 《有識三十론송》을 註釋한 《成唯識論》을 들 수 있으며, 《成唯識論》은 中國에서 飜譯되어 法相宗의 宗學에 크게 이바지한 논서이기도 하다.”라고 說明하고 있다."
  22.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3卷. p. 119 / 583 . 變異(變異)
    "여기서 變異(變異)의 뜻은 다음과 같다. 感覺器官[根]  · 對象[境]  · 式[識]李 各各 別途로 있어서는 어떤 作用을 일으키지 않으며, 셋이 和合하여[三和] 비로소 各自의 作用을 顯顯할 수 있다. 이 세 가지가 和合될 때는 뛰어난 作用을 일으켜서 以前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여기서 그것을 變異(變異)라고 말한다."
  23.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3卷. p. 119 / 583 . 分別(分別)
    "여기서 分別(分別)은 上司(相似)의 意味로서, 一般的인 思惟分別에서의 分別이 아니다. 本文에서 變異(變異)韓 데서 分別한다는 뜻은 다음과 같다. 卽 세 가지(根  · 境  · 識)가 和合하여 鏃이 생겨나고, 이때의 셋은 和合 以前과 크게 다르다[變異]. 생겨난 蜀은 다시 셋의 和合을 强化시켜서 모두 對象에 接觸하게 한다. 이때는 鏃이 原因이고 셋의 和合은 結果가 된다. 本文에서 分別, 卽 上司(相似)란 첫째, 세 가지의 化合된 狀態와 비슷하게 되는 것이고, 둘째, 세 가지의 和合으로써 鏃을 생겨나게 한 것과 비슷하게 수(受) 等을 일으키는 依支處[所依]가 되는 作用을 가리킨다."
  24.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3卷. p. 119 / 583 . 性(性)과 業(業)
    "體性[性]은 直接的인 作用을, 業用[業]은 間接的인 作用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