宗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宗會 (鍾會, 225年 ~ 264年 1月 18日 )는 中國 三國時代 위나라 將軍 으로 는 沙溪(士季)이며 醴酒 永川郡 장사현(長社縣) 사람 이다. 太尉 鍾繇 의 아들이다.

倍잠론(裴潛論)에서 宗會는 最高 權力者였던 司馬所 의 무정後(武亭侯)였으며 蜀나라 를 征伐한 軍事라 評했다.

生涯 [1] [ 編輯 ]

全般 [ 編輯 ]

宗會는 鍾繇 의 아들로서 熱心히 學問을 익혀 아는 것이 많았기에 名聲을 얻었다. 蜀나라 에 降伏했던 下朽敗 姜瑜 에게 宗會가 나중에 政權을 잡을 境遇 두 나라의 걱정거리가 될 것이라고 豫測했다. 官職에 나아간 後 조某 에 依해 管內後(關內侯)에 封해졌으며, 學問에 能한 여러 臣下들과 함께 祖母와 學問을 論議하기도 했다.

255年 에는 中書侍郞(中書侍郞)의 자리에 있었는데, 毌丘儉 이 社馬氏에 對抗하여 蜂起하자 私馬社 는 病이 심해졌기 때문에 直接 討伐에 나서는 것을 망설이고 있었다. 이때 宗會는 部下 와 함께 私馬社가 直接 나서서 鎭壓할 것을 勸告하였다.

毌丘儉 의 蜂起가 鎭壓된 지 얼마 안 되어 私馬社 가 죽어 私馬社의 아우 司馬所 가 大將軍이 되고 宗會는 皇門侍郞(黃門侍郞)에 任命되었는데, 司馬所 는 宗會를 거느리고 다닐 때가 많았다. 이 때문에 宗會가 교만해져 이를 警戒하는 部下의 忠告를 받았다.

257年 第褐炭 司馬所 의 野心에 反撥해 蜂起하자, 宗會는 司馬所 를 따라 第褐炭과의 全面戰에 나섰다. 이때 吳나라 에서 第褐炭 을 도우러 온 轉役 (全?)에게 위나라에 降伏했던 轉役 의 조카 前徽 (全輝)와 全義 (全儀)의 이름으로 便紙를 보내 吳나라에서 轉役 을 죽이려 한다고 傳하자 轉役 은 위나라에 降伏했다. 이것은 司馬所 가 宗會의 提案을 實行에 옮긴 것이었다. 第褐炭 의 蜂起가 鎭壓된 後 司馬所 는 더욱 宗會를 아꼈으며 事例敎委(司?校尉)로 승진시켰다. 周圍 사람들은 宗會를 乳房 의 參謀 丈量 에 比喩하였다.

宗會는 竹林七賢 中 하나인 惠岡 을 찾아간 적이 있었는데, 惠岡 이 宗會를 倨慢한 態度로 對하자 怏心을 품고 돌아갔다가 262年 惠岡 毌丘儉 을 도우려 했다고 謀陷하여 죽게 만들었다. 그해 司馬所 가 蜀나라를 征伐할 計劃을 세우자 調整 臣下들은 大部分 成功하기 어렵다고 생각했으나 宗會는 司馬所 의 意見에 贊同했다. 蜀나라 征伐이 確定된 後 眞書將軍(鎭西將軍)李 되었다.

蜀나라 征伐 [ 編輯 ]

263年 宗會는 10餘萬 軍士를 거느리고 蜀나라를 攻擊했다. 예전 姜瑜 가 韓中의 防禦體系를 바꿔 漢城(漢城)과 落城(樂城)을 據點으로 삼고 韓中 駐屯軍은 南쪽으로 물린 後 各 關門을 지키게 했다. 이는 韓中으로 들어오는 敵軍을 깊숙이 끌어들인 後 끝내 要塞를 突破하지 못한 敵軍이 退却할 때 攻擊해 전멸시키는 것을 노린 것이었다. [2] 이에 答中의 剛柔를 妨害하기 위해 情緖將軍 等愛 와 翁主自社 諸葛서 가 各各 3萬餘 軍士를 이끌고 剛柔를 앞뒤에서 攻擊했고, 宗會가 그 틈에 韓中 防禦線을 突破하는 것이었다. 宗會는 軍隊를 나누어 夜曲(斜谷)과 落穀(駱谷)으로 進入했는데, 이 過程에서 아문장 虛儀(許儀)가 먼저 길을 닦았으나 自身이 뒤따르다 다리가 꺼져 말이 빠지자 虛儀를 벴다. 虛儀는 허저 의 爵位를 繼承한 아들이었으나 容恕받지 못했으므로 全君은 모두 두려워했다. 觸軍은 싸움을 避하고 兵力을 漢城과 落成으로 물려들였는데 落成은 減軍 王函(王含)李, 漢城은 護軍 장빈 이 5千 名씩으로 지켰다. 宗會는 落成을 攻擊했으나 陷落시키지 못했다. 그런데 一部 兵力으로 量안관구(陽安關口)를 攻擊하게 하니 羊안관구 長壽 中 藏書 가 不滿을 품다 城을 나와서는 宗會의 先鋒 中 護軍 好熱 에게 投降해, 位軍이 附添 을 죽이고 量案管區를 陷落하는 일이 벌어졌다. [2] [3] 宗會는 諸葛亮 의 墓에 祭祀지내고 兩岸管區로 進擊하는 한便 護軍 純個 에게 漢城을, 前將軍 이보(李輔)에게 落成을 1萬 名씩으로 包圍하게 했다.

한便 諸葛書가 剛柔에게 속아, 剛柔는 諸葛書를 따돌리고 音坪에 다다른 後 兩岸管區를 救援하려다가 그곳이 陷落되었음을 알고 장익·妖花와 함께 檢角 (劍閣)으로 옮겨갔다. 等애는 音坪에서 姜瑜(江油)를 攻擊해 面죽·성도를 노리려고 했으나 諸葛서는 剛柔를 攻擊하라는 本來의 命令을 지키려고 宗會에게 合流했다. 宗會는 檢角으로 가던 中 兵士들을 손에 넣을 目的으로 諸葛서 가 敵을 두려워하여 나아가지 않았다고 謀陷하였다. 結局 諸葛서 는 벼슬에서 쫓겨나 罪人이 되었고, 宗會는 諸葛서 가 指揮하던 3萬 軍士까지 거느리게 되었다.

나아가 檢角을 攻擊했으나 姜瑜 가 決死的으로 抵抗했기 때문에 별다른 所得을 거두지 못했다. 더구나 遠征으로 因해 軍糧이 到達하기가 어려워저 退却까지도 議論하고 있었다. [2] 그러나 等愛 (鄧艾)가 險峻한 곳을 거쳐 聖徒 (成都)로 進軍하여 有線 의 降伏을 받았기 때문에, 姜瑜 는 宗會를 찾아와 降伏했다. 宗會는 姜瑜 를 厚하게 待接했으며, 姜瑜 를 얻은 것을 매우 기뻐하였다. 宗會는 當時 自身의 部下였던 杜預 (杜預)에게 하후현 (夏候玄)과 第褐炭 姜瑜 에게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12月, 朝廷에서는 詔書를 내려 宗會를 師徒에 任命하고, 食邑 1萬 號를 증가시켰으며 두 아들을 정후로 봉하고 各各 1千 號를 주었다.

半 司馬所 蜂起 [ 編輯 ]

宗會는 隱密히 司馬所 에게 對抗할 마음을 품고 있었고, 姜瑜 도 蜀나라를 부흥시키려고 하였기에 宗會를 부추겼다. 이 때문에 宗會와 姜瑜 는 매우 가까워졌다.

이때 等愛 익주 를 다스리고 吳나라를 征伐할 方案을 담은 글을 司馬所 에게 올렸으나, 司馬所 는 이를 탐탁치 않게 생각했다. 이것을 利用하여 部下 尉官 (衛瓘)과 함께 等愛 가 叛亂을 일으키려 한다고 謀陷했다. 宗會는 다른 사람의 글씨를 模倣하는 것에 뛰어났는데, 等愛 가 調整과 司馬所 에게 보내는 글을 가로채고 自身이 等愛 의 글씨를 模倣하여 傲慢不遜한 內容으로 고쳐 보냈다. 그리고 司馬所 等愛 에게 보내는 答狀을 自身이 만들어서 보내자, 司馬所 等愛 를 疑心하게 되었다.

마침내 264年 1月에 司馬所 等愛 를 잡으라는 命令을 내리자, 宗會는 尉官 을 보내어 等愛 富者를 잡아들였다. 이로써 唯一하게 꺼리던 等愛 가 除去되자 本格的으로 反 司馬所 蜂起를 일으키기로 하고 姜瑜 를 先鋒으로 삼아 夜曲(斜谷)으로 가게 했으며, 衛戍(渭水)와 黃河 를 거쳐 短時日 內에 洛陽 을 占領할 計劃을 세웠다.

그러나 司馬所 는 宗會 亦是 疑心했기에 大軍을 거느리고 弔環 (曹奐)과 함께 長安 (長安)에 駐屯하고 이를 宗會에게 알렸다. 宗會는 自身의 野心이 看破당한 것을 알았으나 最小限 익주에서 獨立할 수 있을 것으로 여기고 部下 官吏들을 招請한 다음, 263年 말에 죽은 곽太後 (郭太后)가 自身에게 司馬所 를 除去하라는 密命을 내렸다고 主張하고 그들을 모두 가두었다. 姜瑜 가 위나라에서 온 장수들을 모두 죽이라고 建議했으나 쉽게 決定을 내리지 못했다.

한便 宗會에 依해 갇혀 있던 好熱 (胡烈)李 아들 호연(胡淵)에게 便紙를 보내 宗會가 自身들을 죽이려 한다고 알리자, 好演은 아버지를 求하기 위해 18日 好熱 의 部下들을 이끌고 宗會가 있는 곳으로 攻擊해 왔다. 結局 宗會는 姜瑜 와 함께 싸우다 好熱 의 軍士들에게 화살에 맞아 죽고 半 司馬所 蜂起는 失敗로 돌아갔다.

以後 宗會의 部下였던 上웅(向雄)李 宗會를 葬事지냈다.

著述 [ 編輯 ]

어머니 張氏의 前을 지었으며, 배송지가 《三國志》에 註釋을 달면서 宗會展에 引用한 것이 남아 있다.

그의 著述로 《社本論》은 위진時代의 論爭 主題인 재와 性에 對한 네 가지 主張을 記錄한 것으로 재성사本論이라고도 한다. 네 가지 主張은 部下, 異風, 宗會, 왕광의 것으로, 簿하는 재와 性이 같음[재성동]을, 異風은 재와 姓이 다름[재성이]을, 宗會는 재와 性이 合함[재성합]을, 왕광은 재와 性이 有利됨[재성이]을 代表했다. 이들의 主張은 政治的 位置에 充實한 것으로, 阻擋人 異風과 왕광은 曹操의 구현령·유재시거를 繼承해 재와 性의 關係를 否定했고 社마당인 部下와 宗會는 재와 性을 聯關시켰다. 이 冊에 關한 逸話로, 著者 宗會는 이걸 惠岡 에게 보여주려 했으나, 敢히 보여주지 못하고 門 밖 멀리에 던져두고 달아났다는 말이 남아 있다. [4]

家計 [ 編輯 ]

關聯 人物 [ 編輯 ]

鍾繇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王冠救濟葛藤終戰(王?丘諸葛鄧鍾傳)
  2. 진수: 《三國志》 卷44 蜀黍14 中 姜瑜
  3. 습착치: 《韓進春秋》 (陳壽의 《三國志》 卷44 中 剛柔에서 再引用)
  4. 유의경, 《世說新語》 〈文學〉 5
前任
怔忡
曺偉 의 사도
263年 12月 19日 ~ 264年 1月 18日
後任
下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