個人主義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個人主義者 에서 넘어옴)

에고이스트 哲學者 막스 슈티르너는 원生存注意 哲學者로 불리며 同時에 個人主義的 아나키즘 의 中心 理論家이다.

個人主義 (個人主義, individualism)는 個人의 道德的 價値를 重視하는 道德的 立場, 이데올로기, 政治哲學, 社會的 視角 等을 의미한다. [1] [2] 個人主義者는 自身의 目標와 欲望을 行使하는 것을 促進하며, 따라서 個人의 獨立과 自立에 [3] 價値를 두고 個人의 利益이 國家나 社會集團 보다 優先視 되어야 한다고 主張한다. [3] 그들은 社會나 政府의 機關같은 外部 要素들이 個人의 行動에 影響力을 行使하는 것에 反對한다. [3] 個人主義는 全體主義, 集團主義, 權威主義, 共同體注意, 國家主義, 世界市民主義, 部族主義 等에 對照되는 것으로서 定義되기도 한다. [4] [5]

個人主義는 個人을 重要視하기 때문에 그 傍點을 찍기 때문에 [1] 다음과 같은 主張과 함께 始作된다 “人間 個人은 解放을 위한 鬪爭에서 가장 重要하다는 根本 前提를 가지고 있다". [6] 古典的 自由主義, 實存主義 그리고 아나키즘은 人間 個人을 分析의 中心 單位로 삼는 運動의 例示다. [6] 따라서 個人主義는 “自由와 自己 實現에 對한 個人의 權利”와 聯關된다. [7]

歷史 [ 編輯 ]

르네상스 以後 文明 發展 더불어 個人主義가 主要한 흐름 이 되었다. 宗敎 面에서는 中世的인 敎會 中心的 體制에 反對하여 各 個人의 信仰의 內面化를 主張하고, 가톨릭 普遍主義 에 對抗해 個人主義的인 反逆을 꾀한 프로테스탄티즘 으로서 나타났다. [8] 마르틴 루터는 칭의교리 곧 하느님이 人間의 믿음을 의롭게 여기신다는 稱醫敎理를 主張했는데, 그의 神學은 個人의 良心과 思想을 尊重하는 人權思想으로 자랐다. 暴力에 反對하는 良心에 따라 戰爭을 拒否하는 良心的 兵役拒否 代替服務制 로써 尊重하거나, 멕시코 戰爭에 反對하여 良心的 租稅拒否를 한 데이비드 소로우의 良心이 그것이다. 個人의 良心과 思想을 尊重하는 個人主義의 登場으로 人間의 尊嚴 과 意義가 明白하게 되었다. 그러나 個人과 社會의 相互關係를 어떻게 規定해야 하는가의 問題를 두고 제 學說이 紛紛하다. 다양한 個人的인 價値나 行動을 認定하는 것이 民主的이고 成熟한 社會를 擔保한다는 主張과, 社會와 共同體의 利益에 配置될 수 있다는 主張이 婚材한다.

어원 [ 編輯 ]

英語에서 “個人主義”라는 用語는 1830年代 社會主義者인 오언의 思想을 尊重하는 오언주의者 들에 依해서 輕蔑的 用語로서 使用되기 始作했다. 다만 이것이 그들이 獨立的으로 생각해 낸것인지 생시몽주의者들에게서 影響을 받은 것인지는 不分明하다. [9] 좀더 肯定的인 意味에서의 使用은 제임스 엘리샤마 스미스(James Elishama Smith ) 著作에서 登場한다. 그는 初期 오언주의者였지만, 結局에는 所有의 集團的 槪念을 拒否했고 個人主義에서 “獨創的인 特質”을 發展하게 하는 普遍主義를 發見했다. 그는 個人主義 없이는 個人이 財産을 모음으로써 幸福을 키울 수 없다고 主張했다. [9] 윌리엄 脈칼 ( William Maccall )은 유니테리언 主義者이자 스미스의 知人이었는데 1847年 그의 著作 "Elements of Individualism"에서 類似한 主張을 한다. [10]

個人 [ 編輯 ]

個人은 사람이거나 集合體 안에서의 特定한 客體다. 15世紀 以前, 그리고 오늘날의 統計와 形而上學 分野에서 個人은 “나누어질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典型的으로 數値上 單一한 것을 말하지만, 때로는 사람을 의미한다. 17世紀부터 個人은 個人主義에서처럼 分離됨을 의미하게 된다. [11] 個性은 다른 사람들과 分離되어 있고 自身의 必要, 目標 및 欲求를 所有하고 있는 사람 個個人의 狀態 또는 質을 意味한다.

個人主義와 社會 [ 編輯 ]

個人主義는 社會 構成員이 社會 構造의 利益을 推定하지 않고 個人的으로 自身의 利益이 무엇인지 배우고 發見하려고 試圖한다고 主張한다. 個人主義者들은 특정한 하나의 哲學에 따르지 않으며 다양한 要素를 混合하고, 特定 側面에서 그/女의 個人的인 關心事를 基盤으로 하는 立場을 取한다. 社會的 段階에서 個人主義者는 個人的으로 構築한 政治, 道德의 領域에 參與한다. 獨立的인 思考와 意見은 個人主義者의 共通된 特徵이다. 狀 자크 루소 는 그의 社會契約 안에서의 一般 意志의 槪念은 但只 個人 意志의 合이 아니라 個人의 利益을 增進시킨다고 主張했다. 社會와 集團은 그들이 行爲에 있어서 타자 高麗(集團志向)의 行爲 보단 自己 高麗(個人主義的)의 程度의 面에서 다를 수 있다. 루스 베니딕트는 이런 脈絡에서 內的 參照 基準을 가진 罪責感 社會(中世 유럽)와 外的 參照 基準을 가진 數値 社會(日本)를 區分한다. 後者의 境遇에 사람들이 行爲가 “受容可能한지”의 與否의 反應을 同僚들과 比較한다.( 集團事故 ) [12]

個性化의 原則 [ 編輯 ]

個性化 原則 또는 principium individuationis는 [13] 어떤 것이 다른것들과 區別되는 方式을 說明한다. [14] 칼 융에게 있어서 個性化는 個人的, 集團的 無意識이 意識에 이르게 되어 穩全한 性格과 同化되는 變形의 過程이다. 이것은 精神의 統合을 위해 必要한 完全히 자연스러운 過程이다. [15] 융은 個性化가 人間 開發의 核心 過程이라고 看做했다. [16] 질베르 시몽洞은 L'individuation psychique et collective에서 個別 主體는 原因이 아닌 個性化의 效果로 看做된다는 個人과 集團的 個性化에 大亂 理論을 開發했다. 그러므로 個別 原子는 個性化의 끝없는 存在論的 過程으로 代替된다. 個性化는 언제나 不完全한 過程이며 언제나 “前(前)個別”이며 殘滓다. 이것은 未來의 個性化를 可能하게 하는 그 自體다. [17] 베르나르 스티글러는 질베르 시몽同意 作業을 니체와 프로이트의 비슷한 아이디어의 形態로 修正했다. “ 精神的 個人인 나는 集團的 個人인 우리와의 關係에서만 생각할 수 있다. 나는 集團的 傳統의 採擇으로 構成되며, 이를 相續받은 復讐의 나는 서로의 存在를 認定한다.” [18]

方法論的 個人主義 [ 編輯 ]

方法論的 個人主義란 現象은 오직 個別 行爲者의 動機와 行動에서 그것이 어떻게 發生했는지 檢討함으로써만 理解될 수 있다는 觀點이다. [19] 經濟學에서 사람들의 行爲는 價格과 所得에 依해 制約을 받는 合理的인 選擇의 觀點으로 說明된다.

政治的 個人主義 [ 編輯 ]

個人主義者들은 社會機關(國家, 宗敎的 道德性 等)의 强制力에 맞서 個人의 自律權 을 保護하는 것을 重視한다. L. 수잔 브라운( L. Susan Brown)은 다음과 같이 主張한다. “自由主義(Liberalism)와 아나키즘은 個人의 自由를 强調하는 政治 哲學이지만, 매우 다른 方式으로 서로 區別된다. 아나키즘은 自由主義의 個人의 自由에 對한 急進的 獻身을 共有하지만 自由主義의 競爭的 所有 關係는 拒否한다.” [6]

市民 自由至上主義 는 市民의 自由를 强調하거나 모든 種類의 權威(國家, 企業, 同調壓力에 依한 社會規範)에 맞서 個人의 自由와 權利를 擁護하는 政治 傾向을 의미한다. [20] 市民 自由至上主義는 穩全한 이데올로기라기 보단, 市民의 自由와 權利에 關한 意見의 集合이다. 이런 特徵 때문에 市民 自由至上主義의 見解는 여러 政治哲學과 互換되며 現代 政治의 左右翼에서 모두 나타날 수 있다. [21] 엘렌 메이신스 우드(Ellen Meiksins Wood)는 다음과 같이 言及한다. “로크式 個人主義에 反對하는 個人主義의 敎理가 있으며… 非로크的 個人主義는 社會主義를 包括할 수 있을 것이다.” [22]

自由主義 [ 編輯 ]

自由主義(Liberalism)는 個人의 自由에 對한 信條를 强調한다. 이런 믿음은 特히 啓蒙時代 以後 많은 西歐 哲學者들에 依해 重要한 價値로 認識 되었다. 이것은 西아시아와 中央아시아의 이슬람 文化圈이나 東아시아의 集團主義에 依해 자주 거부당한다. [23] 이런 觀念은 로마 皇帝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 依해 讚美 되었다. “同等한 權利와 平等한 表現의 自由 그리고 統治 下의 모든 이들의 自由를 尊重하는 理想的인 統治에 對한 아이디어”. [24]

여기서 말하는 自由主義란 現代 美國의 自由主義 와 混同되어서는 안되며 [25] , 分明하게 古典的 自由主義로 認識 되어야한다.

自由主義는 啓蒙時代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王權神授說, 世襲 地位, 國校 等의 旣存 統治 理論의 根本 家庭들을 否定했다. 존 로크는 種種 古典的 自由主義 哲學의 基礎를 定立한 人物로 看做된다. 그는 다음과 같이 言及한다. “누구도 他人의 生命, 健康, 自由, 財産에 害를 입혀서는 안된다.” [26]

17世紀에 自由主義에 對한 아이디어는 네덜란드, 英國, 스위스, 獨逸 等地의 유럽 國家들의 統治體制에 影響力을 주기 始作했지만, 君主制와 宗敎의 權威를 重視하는 이들에 依해 剛하게 反對 받았다. 18世紀 아메리카에서 君主制와 相續 貴族制의 影響力이 없는 最初의 近代 自由主義 國家가 設立되었다. [27] 美國 獨立 宣言文에는 다음과 같은 文章(로크에 影響을 받은듯 한)이 登場한다.”모든 사람은 平等하다. 그들은 創造主로부터 讓渡할 수 없는 權利를 附與 받았다. 이것엔 生命, 自由 幸福의 追求가 包含된다. 이 權利를 保障하기 위해 사람들 사이에 政府가 設立되고, 被治者(被治者)의 同意로부터 正當한 權限을 이끌어낸다.” [28]

自由主義는 여러 形態로 나타난다. 존 그레이 (John N. Gray)에 따르면 自由主義의 本質은 좋은 삶을 構成하는 다양한 생각과 믿음에 對한 寬容이다. [29]

아나키즘 [ 編輯 ]

아나키즘은 國歌는 해롭고 바람직하지 않으며 不必要하다는 新潮아래 [30] [31] 國家의 解體를 主張하는 政治 哲學이다. [32] [33] [34] [35] 反國家主義 가 中心的인 事案이지만 [36] 이것은 權威와 人間 關係에서의 계층적 組織 亦是 反對한다. [37] [38] [39] [40] [41] [42] [43]

影響力있는 이탈리아의 아나키스트인 에리코 말라테스타 는 다음과 같이 言及한 적이 있다. “모든 아나키스트들은 그들이 어떤 傾向에 屬해있든지 間에 一種의 個人主義者들이다. 그러나 그 反對의 境遇는 決코 事實일 수 없다. 그러므로 個人主義者들은 두個의 個別的 範疇로 區別된다. 하나는 그 自身과 他人을 包含한 모든 이들이 完全히 人間 自身의 個性을 開發할 權利가 있다고 主張하는 이들이다. 또 다른 部類는 自身의 個性만을 생각하며 他人의 個性을 犧牲시키길 躊躇하지 않는 이들이다. 차르 는 後者의 個人主義者의 類型에 屬하지만, 우린 電子에 屬한다." [44]

個人主義的 아나키즘 [ 編輯 ]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은 아나키스트 運動에서 集團, 社會, 傳統 그리고 이데올로기 體系와 같은 外部的 決定에 맞서 個人과 그의 意志를 强調하는 여러 아나키즘의 傾向을 의미한다. [45] [46]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은 單一한 哲學이 아니며 때로는 衝突하기도 하는 個人主義 哲學의 集合이다.

1793年 種種 最初의 아나키스트라 言及되는 윌리엄 고드윈은 [47] 그의 著書 “政治的 正義”에서 아나키즘의 最初의 表現이라고 看做되는 主張을 했다. [48] [49] 고드윈은 哲學的 아나키스트로서 合理主義와 功利主義의 觀點에서 革命을 排擊하고 最小 國家를 “必要 악”으로 言及했으며 知識의 擴散에 依해 漸進的으로 無力해질 것이라고 主張했다. [48] [50]

가장 影響力있는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의 類型은 “에고이즘” [51] 或은 에고이스트的 아나키즘이라고 불리는데 初期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의 가장 잘 알려진 主唱者인 막스 슈티르너 에 依해 提示 되었다. [52] 슈티르너의 咀嚼 唯一者와 그 所有(1844)는 이 哲學의 基礎를 提示했다. [52] 슈티르너에 따르면 個人의 權利에 對한 唯一한 制約은 新, 國家, 또는 道德과 關係 없이 自身이 欲望하는 것을 取하고자 하는 힘의 크기다. [53] [54] 슈티르너에게 權利의 槪念은 人間의 마음속을 돌아다니는 幽靈(Spook)에 不過하며, 社會란 存在하지 않고 “個人이 現實”이라고 主張했다. [55] 슈티르너는 自己主張과 에고이스트 聯合이라는 것을 擁護했다. 이는 슈티르너가 國家를 代身할 組織으로서 提案한 것이며, 構成員들의 支持에 依해 持續的으로 更新되는 非體系的 協會로 看做된다. [56] [57] 에고이스트 아나키스트들은 에고이즘이 個個人 間의 鎭靜하고 自發的인 結合을 誘發할 것이라고 主張한다. [58] 슈티르너의 哲學은 19世紀 後半 獨逸의 아나키스트이자 LGBT 活動家인 존 헨리 맥케이에 依해 再發掘 되어서 아나키스트들 사이에 大大的으로 普及되었다.

조시아 워렌(Josiah Warren)은 美國 最初의 아나키스트로 看做되며 [59] 1833年 아나키스트 刊行物인 The Peaceful Revolutionist를 發行했었다. [60] 美國의 아나키스트 歷史가 유니스 메넷 슈스터( Eunice Minette Schuster)는 다음과 같이 言及한다. “프루동주의적 아나키즘이 적어도 1848年의 美國에서 나타났다는 것은 分明하다… 그리고 이것은 조시아 워렌과 스티븐 펄 앤드류스(Stephen Pearl Andrews)의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에 對한 親和力을 認識하지 않았다… 윌리엄 B. 그린(William B. Greene)은 프루동의 相互主義를 그것의 가장 純粹하고 體系的인 形態로서 提示했다". [61] 헨리 데이비드 소로 는 影響力있는 初期 美國의 個人主義的 아나키스트다. [62] 그의 著作 월든 에서 自然環境에서의 單純한 生活의 省察에 對한 言及을 했으며, 그의 에세이 市民 不服從에서는 不當한 國家에 對한 個人的 抵抗에 對한 主張을 했다. 벤자민 터커는 以後 슈티르너의 에고이즘을 워렌과 프루동의 經濟觀과 混合해서 그의 刊行物 Liberty에서 提示했다.

이런 初期 個人主義的 아나키즘들은 여러 나라에서 작지만 다양한 보헤미안 藝術家와 知識人들을 魅惑시켰다. [63] 自由戀愛 家族 計劃에 對한 擁護 [64] [65] , 個人主敵 環境主義者와 누드主義者들 [66] [67] [68] , 自由思想 가와 反敎權 運動家들 [69] 그리고 一理걸리즘 個人의 收復 이라는 活動에 從事한 靑年 아나키스트 無法者들과 [70] [71] 같은 많은 움직임이 있었다. 이런 運動과 關聯된 作家와 活動家들에는 오스카 와일드 , 에밀 아망드(Emile Armand), 한 라이너(Han Ryner), 앙리 지즐里(Henri Zisly), 렌조 노바토레 , 미구엘 기메네즈 이구아라다(Miguel Gimenez Igualada), 아돌프 브랜드(Adolf Brand) 그리고 레프 체르니 같은 이들이 있었다. 오스카 와일드는 그의 “社會主義 아래서 人間의 靈魂”이라는 에세이에서 自由至上主義的 社會主義 를 個人主義를 保障하는 方法으로서 擁護했다. “私有財産을 廢止함으로써 우린 眞正하고 아름다우며 健康한 個人主義를 享有하게 될것이다. 누구도 象徵的인 것들을 蓄積하기 위해 人生을 虛費하지 않게 될것이다.” [72] 아나키스트 歷史가 조지 우드콕(George Woodcock)은 다음과 같이 主張했다. “와일드의 社會主義 아래서 人間의 靈魂은 藝術家에게 가장 友好的인 社會를 찾고자 하는 目的을 追求하고 있다… 와일드에게 있어서 藝術은 다른 모든 目的에 앞서는 것이며 그안에 啓蒙과 再生을 包含하는 最終的 目的이다… 와일드는 아나키스트를 唯美主義者 로서 表現했다." [73]

哲學的 個人主義 [ 編輯 ]

倫理的 에고이즘 [ 編輯 ]

倫理的 에고이즘은 [74] 道德的 行爲者가 自身의 利益에 奉仕하는 行動을 해야 한다는 規範 倫理다. 이것은 사람이 自身의 利益에 符合하는 行動만을 한다고 主張하는 心理的 에고이즘과는 區別된다. 倫理的 에고이즘은 또한 自身의 利益에 따라 行動하는 것이 合理的이다고 主張하는 合理的 에고이즘과도 다르다. 그러나 그런 敎理들은 種種 倫理的 에고이즘과 混合되기도 한다.

倫理的 에고이즘은 道德的 行爲者가 他者에게 도움과 奉仕를 提供해야 한다고 主張하는 倫理的 利他主義와는 對照된다. 에고이즘과 利他主義는 모두 功利主義와 對照를 이루는데, 公理主義는 그自身(主體)을 打者보다 優先해서(에고이즘이 그러하듯)는 안된다고 主張하며, 他者를 돕는 것이 그 自身의 利益(그의 欲望과 안녕)과 同等하지 않는 以上 自身을 犧牲(利他主義가 그러하듯)하지 않아야 한다고 主張하기 때문이다. 에고이즘, 功利主義, 利他主義는 모두 結果主義이지만 差異點에 存在 하는데, 에고이즘과 利他主義는 行爲者에 中心을 둔 結果主義人 反面, 功利主義에선 行爲 中立的인 存在라고 부르며 主體에게 特別性을 附與하지 않기 때문이다.

倫理的 에고이즘이 그런걸 의미하지는 않지만, 이것은 道德的 行爲者가 道德的 熟考를 進行함에 있어서 他者의 利益이나 安寧에 害를 끼칠 수도 있다. 卽 行爲者의 利益에 符合하는 것이 附隨的으로 他人에게 해롭거나, 利益을 줄 수도 있으며 中立的을 影響을 끼칠 수도 있다. 個人主義는 行爲者가 選擇한 것이 그의 利益을 만족시키는 限, 他人의 利益과 安寧이 輕視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行爲를 許容할 수 있게 한다. 倫理的 에고이즘은 自身의 利益을 追求함에 있어서 언제나 그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卽 長期的으로 봤을 때 短期的인 欲求의 充足은 自身에게 害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瞬間的인 즐거움은 에우다이牟尼아 를 뒤로 밀려나게 한다. 제임스 레이첼스(James Rachels)가 말하길 “倫理的 에고이즘은 利己心을 支持하지만, 어리석음을 支持하는 것은 아니다.” [75]

倫理的 에고이즘은 種種 自由至上主義와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을 支持하는 哲學的 基盤이 되기도 한다.

에고이스트的 아나키즘 [ 編輯 ]

에고이스트的 아나키즘은 19世紀 헤겔주의 哲學者이자 가장 잘알려진 初期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의 主唱者인 막스 슈티르너의 哲學에서 派生된 아나키스트 思想中의 하나다. [52] 슈티르너에 따르면 個人의 權利에 對한 唯一한 制約은 新, 國家, 또는 道德과 關係 없이 自身이 欲望하는 것을 取하고자 하는 힘의 크기다. [53] [54] 슈티르너는 自己主張과 에고이스트 聯合이라는 것을 擁護했다. 이는 슈티르너가 國家를 代身할 組織으로서 提案한 것이며, 構成員들의 支持에 依해 持續的으로 更新되는 非體系的 協會로 看做된다. [76] [77] 에고이스트 아나키스트들은 에고이즘이 個個人 間의 鎭靜하고 自發的인 結合을 誘發할 것이라고 主張한다. [58] 슈티르너의 哲學은 19世紀 後半 獨逸의 아나키스트이자 LGBT 活動家인 존 헨리 맥케이에 依해 再發掘 되어서 아나키스트들 사이에 大大的으로 普及되었다. 존 베벌리 로빈슨(John Beverley Robinson)은 “에고이즘”이라는 에세이에서 다음과 같이 主張했다. “슈티르너와 니체에 依해 提示되고 입센과 쇼를 비롯한 여러 이들에 依해 說明된 現代 에고이즘은 그 以上의 것이다. 이것은 個人을 個人으로서 깨닫는 것이다. 그들이 激情하는 限, 그들은 唯一한 個人이다." [78] 니체와 슈티르너는 프랑스의 文學界 아나키스트들에 依해 자주 比較 되었으며 니체에 對한 아나키스트的 解釋은 美國에서도 相當한 影響力이 있었다. [79] 에고이즘에 執着하는 아나키스트들로는 벤자민 터커, 에밀 아망드, 존 베벌리 로빈슨, 아돌프 브랜드, 스티븐 T. 바잉턴(Steven T. Byington), 렌조 노바토레 , 제임스 L. 워커(James L. Walker), 엔리코 아리고니( Enrico Arrigoni), 비오필로 판클라스打(Biofilo Panclasta), 준 츠地(Jun Tsuji), 張 르네 솔리에르(Jean-Rene Sauliere) 같은 이들이 있었고, 現代人들로는 하킴 베이( Hakim Bey), 밥 블랙 , 蔚피 랜드스트라이커(Wolfi Landstreicher) 같은 이들이 있다.

實存主義 [ 編輯 ]

實存主義는 그 敎理에 여러 差異가 있을 수 있지만 [80] [81] , 一般的으로 個人의 存在 條件과 感情, 行動, 責任 그리고 事故에 集中하는 哲學들을 일컫는 말이다. [82] [83] 19世紀 初盤 哲學者 쇠렌 키르케고르 는 後날 實存主義의 아버지로 看做되는데 [84] [85] , 그는 個人은 絶望, 不安, 不條理, 疏外 그리고 지루함에 이루기까지 많은 實存의 障礙物과 不和에도 不拘하고, 自身의 삶에 意味를 附與하고 그 삶을 熱情的이고 眞實되게 살아갈 責任이 있다고 主張했다. [86] [87] [88]

以後 나타난 實存主義 哲學들은 個人에 中心을 두지만 그것들은 다양한 角度에서 差異가 存在한다. 이런 差異에는 成就있는 삶을 構成하는 것은 무엇인가, 무엇이 克服되어야할 障礙物인가, 어떤 內外部敵 要因이 關聯되어 있는가, 神은 存在하는(유신론적 實存主義)가 [89] [90] 그렇지 않는가(무신론적 實存主義) [91] [92] 等이 있다. 많은 實存主義 哲學者들은 傳統的 體系的 或은 學界의 哲學이 스타일과 內容 모두에 있어서 抽象的이고 實際 人間의 經驗과는 距離가 먼 것으로 看做했다. [93] [94] 實存主義는 2次大戰 以後 人間 個性과 自由의 重要性을 再確認하는 方法으로 流行하게 된다.

自由思想 [ 編輯 ]

自由思想이란 사람이 知識과 理性에서 비롯되지 않은 그저 眞理로서 여겨지는 觀念을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立場이다. 그러므로 自由思想家들은 論理的 誤謬, 權威에 依한 知識의 制限, 確證偏向 , 認知偏向 , 社會的 通念, 大衆文化 , 偏見 , 宗派主義, 傳統과 都市傳說을 비롯된 모든 도그마에서 距離를 두고 事實과 科學的 硏究, 論理的 原則을 基盤으로 한 意見을 세우고자 努力한다. 宗敎에 對하여, 自由思想家들은 超自然的 現象의 存在를 科學的으로 立證할 證據가 不充分하다고 主張한다. [95]

人本主義 [ 編輯 ]

人本主義는 人間의 尊嚴性, 關心事, 力量, 理性을 重視하는 다양한 倫理的 立場을 의미한다. 이 用語에는 많은 意味가 있지만, 超自然的인 것과 對照되거나 權威에 呼訴하는 것 等에 集中할 때, 많은 意味가 派生된다. [96] [97] 19世紀부터 人本主義는 18世紀 啓蒙主義 哲學의 遺産을 물려받아 反敎權 運動 과 聯關되어왔다. 21世紀엔 人本主義는 再生産의 權利, 性平等, 社會 正義 그리고 正校 分離와 같은 人權 問題를 剛하게 支持하는 傾向을 가지고 있다. 이 用語는 組織化된 非신학전 信仰(宗敎的 人本主義), 世俗的 人本主義 그리고 人本主義的인 삶을 가리키기도 한다. [98]

快樂主義 [ 編輯 ]

快樂主義는 기쁨만이 本質的으로 善한 것이며 苦痛만이 本質的으로 나쁜 것이라고 主張하는 價値에 對한 메타 倫理 理論이다. [99] 快樂主義的 思想의 基本的인 아이디어는 기쁨만(모든 本質的으로 바람직한 感情에 對한 包括的인 用語)이 그自體로 或은 本質的으로 禪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特定 行爲가 그것이 만들어 내는 苦痛보다 더 많은 기쁨을 만들 境遇에 道德的 價値를 둔다는 것을 暗示한다.

自由奔放注意(Libertinism) [ 編輯 ]

蕩兒(libertine)는 社會에서 收容되는 道德과 巨大 社會가 讚美하는 行動 形態와 같은 大部分의 道德的 制約을 無視하거나 떨쳐내 버리는 사람을 의미한다. [100] [101] 蕩兒는 感覺을 통해 經驗한 物質的 쾌략을 重視한다. 哲學으로서 自由奔放注意(Libertinism)는 特히 프랑스와 英國에서 17世紀, 18世紀 19世紀에 새로운 支持者들을 얻었다. 이 中 注目할만한 사람들로는 존 윌모트(John Wilmot), 마르키 드 사드 같은 이들이 있다. 바로크 時代 프랑스엔 libertinage erudit라고 알려진 自由思想家들의 서클이 있었는데 가브리엘 老데 , 엘리 디오다티(Elie Diodati), 프랑수아 드 라 모트 르 바이에르(Francois de La Mothe Le Vayer) 같은 이들이 關聯되어 있었다. [102] [103] 批評家 비비안 데 솔라 핀土(Vivian de Sola Pinto)는 윌 모트의 自由奔放注意를 홉스注意 의 唯物論과 聯關시켰다. [104]

客觀主義 [ 編輯 ]

客觀主義는 哲學者이자 小說家인 아인 랜드 에 依해 誕生한 哲學 體系로, 現實은 意識에서 獨立的으로 存在한다고 主張한다. 人間은 歸納的이고 演繹的인 論理 槪念 形成 過程을 통해 合理的인 知識을 얻으며, 사람 自身의 삶의 道德的 目的이란 自身의 幸福이나 合理的 利己心을 追求하는 것이다. 랜드는 이런 道德 觀念에 符合하는 唯一한 社會 制度는 個人의 權利에 對한 完全한 尊重이며, 이것은 純粹한 自由放任 資本主義에 依해 具體化 된다고 여겼다. 여기서 人間 삶에서의 藝術의 役割은 現實을 選擇的 再現하여 人間의 넓은 形而上學的 觀念을 그가 理解할 수 있고 感情的으로 反應할 수 있는 物理的 形態의 藝術作品으로 變形시키는 것이다. 客觀主義는 人間을 그 自身의 英雄으로서 讚美한다. “그의 삶의 道德的 目的으로서의 自身의 幸福이며, 그의 高貴한 活動으로서의 生産的인 成就者 그리고 그의 唯一하게 絶對的인 理由.” [105]

哲學的 아나키즘 [ 編輯 ]

哲學的 아나키즘은 아나키스트 思想中에서 [106] 다른이들과 마찬가지로 國家는 道德的 正當性이 없다고 主張하지만, 革命的 아나키스트들과 같이 暴力的 革命을 통한 國家의 除去를 追求하지 않으며, 代身 그것을 除去하기 위한 平和的인 進化를 擁護한다. [107]

主觀主義 [ 編輯 ]

主觀主義는 主觀的인 經驗에 對한 優先權을 모든 尺度와 法則의 根本으로서 삼는 哲學的 信條다. 唯我論과 같은 極端的인 形態의 境遇, 모든 物體의 本質과 存在가 어떤 사람의 主觀的인 認識에 달려있다고 主張한다. 例를 들어서, 비트겐슈타인 은 論理哲學論考에서 다음과 같이 言及한 적이 있다. “主觀은 世界에 屬하지 않으며, 世界의 限界다”(proposition5.632).

唯我論 [ 編輯 ]

唯我論(Solipsism)은 오직 그 自身의 精神만이 存在한다고 主張하는 哲學的 觀念이다. 이 用語는 라틴語 solus(혼자)와 ipse(自信)에서 비롯되었다. 認識論的 立場에서의 唯我論은 自己 精神 밖의 어떤 知識도 確實하지 않다고 主張한다. 外部 世界와 他者의 精神을 알 수 없으며, 精神 밖에 있는 것으로서 存在하지 않을 지도 모른다. 形而上學的 意味에서 唯我論은 더욱 나아가서 世上과 다른 精神은 存在하지 않는다고 主張한다. 이런 理由로 이것은 그 自體의 家庭에 依해 같은 方式으로 反駁할 수 없고 批判할 수 없는 唯一한 認識論的 立場이다.

經濟的 個人主義 [ 編輯 ]

經濟的 個人主義는 關聯된 個人이 經濟的 意思決定을 할 때 外部의 强制力에서 벗어난 自律性이 있어야 한다고 主張하는 信條다.

自由主義 [ 編輯 ]

古典的 自由主義는 19世紀 英國, 西유럽, 美國 等地에서 開發된 政治 理論이다. 이것은 個人의 自由와 對中 政府에 對한 獻身에서 自由主義의 初期 形態를 따르지만, 自由 市場과 古典 經濟學에 對한 獻身에서 自由主義의 初期 形態와 區別된다. [108] 注目할만한 19世紀 古典的 自由主義者들로는 章바티스트 歲 , 토마스 맬서스 , 데이비드 리카르도 같은 이들이 있다. 古典的 自由主義는 20世紀에 루트비히 폰 미제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에 依해 復活했으며, 밀턴 프리드만 , 로버트 老職 , 로렌 로마스키(Loren Lomasky), 盞 나비슨(Jan Narveson)에 依해 더욱 開發되었다. [109] 古典的 自由主義란 用語는 20世紀 以前의 모든 自由主義들을 包括하는 用語로 使用되기도 한다.

個人主義的 아나키즘과 經濟 [ 編輯 ]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의 經濟觀에는 相互主義(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 에밀 아망드, 初期 벤자민 터커), 自然權 立場(初期 벤자민 터커, 라이샌더 스푸너, 조시아 워렌) 그리고 에고이스트로서 私有財産과 市場을 幽靈으로서 否定하는 立場( 막스 슈티르너 , 존 헨리 맥케이, 레프 체르니 , 後記 벤자민 터커, 렌조 노바토레 , 一理걸리즘 )이 存在한다. 現代 個人主義的 아나키스트인 케빈 카슨(Kevin Carson)은 美國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의 特徵을 다음과 같이 描寫했다. “다른 社會主義 運動들과는 달리, 個人主義的 아나키스트들은 自由市場에서의 自然的인 賃金은 그 勞動의 生産物 이라고 믿었다. 그리고 經濟的 搾取는 오직 資本主義者와 賃貸主들이 그들의 利益을 지키기 위해 國家의 權力을 利用할 때만이 나타나는 것 이라고 看做했다. 그러므로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은 國家主義 를 强化시키는 主流 社會主義 運動 과 大企業의 橫暴에 對한 單純한 辨明만을 일삼는 古典的 自由主義 運動에 對한 代案이였다.” [110]

相互主義 [ 編輯 ]

相互主義(Mutualism)는 프루동의 著作에서 비롯된 아나키스트 思想 中의 하나이며, 各 個人이 個人的으로든 集團的으로든 生産手段을 所有한 社會를 擁護하며 勞動價値論에 基盤을 둔 自由市場을 主張한다. [111] 이 計劃의 必須 要素에는 生産 費用을 充當할 수 있는 最小 利子率로만 生産者에게 빌려주는 相互 信用 銀行의 設立이 있다. [112] 相互主義는 勞動價値論에 基盤하기에, 交換에 있어서 “生産하는데 있어서 正確히 비슷하고 同等한 有用性이 必要한” 物件이나 서비스를 提供 받아야 한다. [113] 그것보다 적다면 그들은 이를 搾取, 도둑질, 高利貸金業으로 看做한다.

自由至上主義的 社會主義 [ 編輯 ]

自由地上的 社會主義 (自由至上的社會主義, Libertarian socialism, 或은 社會主義的 自由至上主義 또는 左派 自由至上主義 )란 國家에 依한 中央 集權的 國家 所有化와 經濟 統制 그리고 國家마저 拒否하는 反權威主義 敵 政治哲學的 그룹을 일컫는다. 이들은 職場에서의 賃金 勞動 關係 를 批判한다. 이들은 代身 職場의 勞動者 自主 管理 와 政治 組織의 分權化 를 强調한다. 이들은 生産手段 을 統制하는 權威主義 敵 機關과 大衆을 종속시키는 所有 階級, 政治的, 經濟的 엘리트 들의 除去를 통해 平等하고 정의로운 社會를 達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自由地上的 社會主義者들은 直接 民主主義 聯邦主義 , 聯合 等을 바탕으로 分權化 된 構造의 自由地上的 自治州의 나 市民 어셈블리 勞動 組合 , 勞動者 評議會 等을 擁護한다. [114] [115] 이 모든 것들은 人間의 삶에서 모든 不合理한 權威를 解體하는 것을 통하여 [116] [117] [37] [118] [119] [41] [120] [121] 自由 [122] 그리고 自發的 人間 關係等을 [123] 目標로한다.

過去와 오늘날의 自由地上的 社會主義의 運動들은 一般的으로 아나키즘을 包含(特히 婀娜코 코뮤니즘 , 婀娜코 콜렉티비즘 , 婀娜코 생디칼리즘 [124] , 그리고 相互主義 아나키즘 [125] )하며, 自律主義 , 코뮤널리즘 , 參與主義 , 길드 社會主義 , [126] 革命的 생디칼리즘 그리고 議會 共産主義 [127] 룩셈부르크注意 같은 [128] 自由地上的 맑시즘 等을 包含하며, 몇몇의 空想的 社會主義 [129] 個人主義的 아나키즘을 包括한다. [130] [131] [132] [133]

左派 自由至上主義 [ 編輯 ]

左派 自由至上主義는 [主席 1] 個人의 自由와 함께 社會的 平等을 强調한다. 左派 自由地上主義者들은 右派 自由地上主義者들과 달리, 天然資源에 勞動力을 합치는 것이 完全한 私有財産權을 形成하지는 못한다고 믿는다. [134] [135] 그들은 天然資源이 平等主義的인 形態로 누구도 所有해선 안되거나 共有되어야 한다고 主張한다. [136] 私有財産權을 支持하는 左派 自由地上主義者들은 地域 社會에 補償을 提供한다는 制約아래 그런 立場을 取한다. [137]

左派 自由至上主義라는 用語는 다음과 같은 思想들을 指稱할 수 있다.

  • 社會主義 運動에서의 다양한 反權威主義 左翼政治, 卽 自由至上主義的 社會主義 [138]
  • 地空自由至上主義(Geolibertarianism) 自由至上主義 지공주의 의 混合 [139] [140]
  • 스타이너-발렌타인(Steiner?Vallentyne) 學派, 支持者들은 古典的 自由主義나 市場 自由의 前提로부터 平等主義的 結論을 이끌어낸다. [141]
  • 左翼 市長 아나키즘(Left-wing market anarchism), 國家가 提供하는 特權에서 벗어난 反資本主義的인 解放된 市場(freed markets) 强調 [142]

右派 自由至上主義 [ 編輯 ]

右派 自由至上主義라는 用語는 非集産主義的 自由至上主義(左派 自由至上主義와 對照되는)를 의미하거나 [143] 酒類 自由至上主義에 依해 “右翼”이라고 꼬리票가 붙여지는 “自由至上主義的 保守主義” 같은 여러 自由至上主義 傾向을 의미한다.

스탠포드 哲學 百科事典은 이것을 “右派 自由至上主義’’라고 부르지만, 다음과 같이 明示한다. “ 自由至上主義 는 자주 右翼의 思想으로 看做된다. 하지만 이는 最小限 두가지 理由에서 誤謬이다. 첫番째로, 經濟보다 社會 이슈에 있어서 自由至上主義는 左翼的 傾向을 나타낸다. 이것은 合意를 一部 制限하는 法을 反對하며 成人들 間의 私的인 性關係(同姓 섹스, 婚外 섹스, 特異한 섹스 等)와 藥물 使用을 一部 制限하는 法을 反對하고, 個人에게 宗敎的 見解나 慣行을 强制하는 法에 反對하며, 徵兵制 를 反對한다. 둘째로, 美國에서 잘 알려진 右派 自由至上主義 以外에 左派 自由至上主義가 存在한다는 것이다. 이 둘 모두 自己所有를 支持하지만, 天然資源(토지, 空氣, 물 等)이 어떻게 所有되는가에 對하여 다른 見解를 가진다.” [144]

韓國에서의 個人主義 [ 編輯 ]

韓國 에서는 個人主義나 利己主義 에 對한 否定的인 認識이 剛하다. 이는 20世紀 初까지 存續했던 王朝 體制, 性理學 적 世界觀, 朴正熙 의 民族國家 至上主義的 思考方式 等의 影響이기도 하다.

韓國學者 박노자 朴正熙 의 國家主義的 思考方式 [145] , 帝國主義에 對한 敗北意識, 個人主義에 對한 비틀린 認識 等 때문에 個人主義가 否定的인 것처럼 描寫되었다고 主張했다. 박노자의 主張은 다음과 같다. [145]

帝國主義에 對한 敗北意識은 더 큰 問題를 몰고 왔다. 初期 開化派들 가운데 一部는 人權과 自由와 平等 等을 近代化의 指標로 받아들였지만, 이들의 關心은 곧바로 國家와 國民 같은 ‘集團’으로 기울었다. 帝國의 힘에 對抗하려면 國家의 힘을 키우고 國民을 訓育하는 ‘富國强兵’의 길밖에 없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따라왔던 것이다. 그리하여 國民의 썩은 精神을 뜯어고치지 않고는 獨立도 自主도 없다는 李光洙流의 民族改造論, 그러니까 끝내는 狂的인 親日로 빠져들 指摘 私生兒가 태어났다. 國家와 民族을 들먹이며 近代化 旗手로 나섰던 朴正熙의 國家主義的 思考方式이 여기에 닿아 있음은 勿論이다. [145]

박노자는 또한 左派든 右派든 個人主義를 非正常的인 것처럼 몰고 왔다고도 指摘했다. 박노자는 "右派든 左派든 影響力 있는 主要 論客들은 個人主義를 非社會的이거나 反社會的인 現象으로 보는 것이 훨씬 더 一般的인 雰圍氣였다. [145] 假令, 初期 마르크스주의자였던 朴英熙는 左翼的 雜誌였던 <開闢>의 1924年 7月號에 쓴 글에서 個人主義를 極端的 利己主義, 反社會的 自己中心主義와 同一視했다. 그에게 男便과 아이를 버리고 집을 나간 <人形의 집>의 노라는 ‘悖倫’의 代名詞일 뿐이었다 [145] "라고 말했다. 그리고 박노자는 韓國 社會의 代表的인 個人主義者로 윤치호 를 指目했는데, "日常生活에서 個人主義를 尊重했던 尹致昊 같은 開化派 知識人들도 政治的 自由를 위한 싸움에는 無感覺했고, 結局엔 買辦 知識人으로 轉落했다. 그 結果, 眞正한 個人主義는 流行을 좇고 安逸을 擁護하는 似而非 個人主義에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145] "라고 말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Related, arguably synonymous, terms include libertarianism , left-wing libertarianism , egalitarian-libertarianism , and libertarian socialism .

參考 書籍 [ 編輯 ]

  • 박노자, 《나를 배반한 歷史》 (人物과사상사, 2003)
  • 박찬욱, 《21世紀 美國의 거버넌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1. "Individualism" on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 Ellen Meiksins Wood . Mind and Politics: An Approach to the Meaning of Liberal and Socialist Individualism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972. ISBN   0-520-02029-4 . p. 6
  3. " individualism" on The Free Dictionary” . 2019年 5月 1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7日에 確認함 .  
  4. Biddle, Craig. “Individualism vs. Collectivism: Our Future, Our Choice” . 《The Objective Standard》 7 (1). 2017年 6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7日에 確認함 .  
  5. Hayek, F.A. (1994). 《The Road to Serfdom》.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37?48쪽. ISBN   0-226-32061-8 .  
  6. L. Susan Brown . The Politics of Individualism: Liberalism, Liberal Feminism, and Anarchism . Black Rose Books Ltd. 1993
  7. Ellen Meiksins Wood . Mind and Politics: An Approach to the Meaning of Liberal and Socialist Individualism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972. ISBN   0-520-02029-4 pp. 6?7
  8. 個人主義 두산百科
  9. Claeys, Gregory (1986). “ " Individualism," "Socialism," and "Social Science": Further Notes on a Process of Conceptual Formation, 1800?1850”.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7 (1): 81?93. doi : 10.2307/2709596 . JSTOR   2709596 .  
  10. Swart, Koenraad W. (1962). “ " Individualism" in the Mid-Nineteenth Century (1826?1860)”.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3 (1): 77?90. doi : 10.2307/2708058 . JSTOR   2708058 .  
  11. Abbs 1986, cited in Klein 2005, pp. 26?27
  12.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Patterns of Japanese Culture." Rutland, VT and Tokyo, Japan: Charles E. Tuttle Co. 1954 orig. 1946.
  13. Reese, William L. (1980). 《Dictionary of Philosophy and Religion》 1板. Atlantic Highlands, New Jersey: Humanities Press. 251쪽. ISBN   0-391-00688-6 .  
  14. Audi, Robert, 編輯. (1999).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2板.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4쪽. ISBN   0-521-63136-X .  
  15. Jung, C. G. (1962). Symbols of Transformation: An analysis of the prelude to a case of schizophrenia (Vol. 2, R. F. C. Hull, Trans.). New York: Harper & Brothers.
  16. Jung's Individuation process Archived 2018年 2月 23日 - 웨이백 머신 Retrieved on 2009-2-20
  17. Gilbert Simondon . L'individuation psychique et collective (Paris, Aubier, 1989; reprinted in 2007 with a preface by Bernard Stiegler)
  18. Bernard Stiegler: Culture and Technology Archived 2015年 10月 15日 - 웨이백 머신 , tate.org.uk, 13 May 2004
  19. Heath, Joseph (2015年 1月 1日). Zalta, Edward N., 編輯.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經由.  
  20. “the definition of civil libertarian” .  
  21. Compass, The Political. “The Political Compass” .  
  22. Ellen Meiksins Wood . Mind and Politics: An Approach to the Meaning of Liberal and Socialist Individualism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1972. ISBN   0-520-02029-4 . p. 7
  23. The Ancient Chinese Super State of Primary Societies: Taoist Philosophy for the 21st Century, You-Sheng Li, June 2010, p. 300
  24. Marcus Aurelius, Meditations ,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ISBN   978-0-19-954059-4 .
  25. John C. Goodman, “Classical Liberalism vs Modern Liberalism and Modern Conservatism” . 2018年 6月 1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7日에 確認함 .  
  26. Locke, John (1690). 《Two Treatises of Government (10th edition)》 . Project Gutenberg . 2009年 1月 21日에 確認함 .  
  27. Paul E. Sigmund, editor, The Selected Political Writings of John Locke , Norton, 2003, ISBN   0-393-96451-5 p. iv "(Locke's thoughts) underlie many of the fundamental political ideas of American liberal constitutional democracy...", "At the time Locke wrote, his principles were accepted in theory by a few and in practice by none."
  28. Thomas Jefferson,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July 4, 1776.
  29. John Gray, Two Faces of Liberalism , The New Press, 2008, ISBN   978-1-56584-678-4
  30. Malatesta, Errico . “Towards Anarchism” . 《MAN!》 (Los Angeles: International Group of San Francisco). OCLC   3930443 . 2012年 11月 7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Agrell, Siri (2007年 5月 14日). “Working for The Man” . 《 The Globe and Mail 》. 2007年 5月 16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4月 14日에 確認함 .   “Anarchism” .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Premium Service. 2006. 2006年 12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8月 29日에 確認함 .   “Anarchism”. 《The Shorter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 14. 2005. Anarchism is the view that a society without the state, or government, is both possible and desirable.   The following sources cite anarch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Mclaughlin, Paul (2007). 《Anarchism and Authority》. Aldershot: Ashgate. 59쪽. ISBN   0-7546-6196-2 .   Johnston, R. (2000).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Cambridge: Blackwell Publishers. 24쪽. ISBN   0-631-20561-6 .  
  31. Slevin, Carl. "Anarchism."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Politics . Ed. Iain McLean and Alistair McMillan.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32. "ANARCHISM, a social philosophy that rejects authoritarian government and maintains that voluntary institutions are best suited to express man's natural social tendencies." George Woodcock. "Anarchism" at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33. "In a society developed on these lines, the voluntary associations which already now begin to cover all the fields of human activity would take a still greater extension so as to substitute themselves for the state in all its functions." Peter Kropotkin. "Anarchism" from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Archived 2012年 1月 6日 - 웨이백 머신
  34. "Anarchism." The Shorter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5. p. 14 "Anarchism is the view that a society without the state, or government, is both possible and desirable."
  35. Sheehan, Sean. Anarchism, London: Reaktion Books Ltd., 2004. p. 85
  36. "Anarchists do reject the state, as we will see. But to claim that this central aspect of anarchism is definitive is to sell anarchism short." Anarchism and Authority: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to Classical Anarchism by Paul McLaughlin. AshGate. 2007. p. 28
  37. "The IAF - IFA fights for : the abolition of all forms of authority whether economical, political, social, religious, cultural or sexual."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of Anarchist Federations Archived 2012年 1月 5日 - 웨이백 머신 ]"]
  38. "Authority is defined in terms of the right to exercise social control (as explored in the "sociology of power") and the correlative duty to obey (as explored in the "philosophy of practical reason"). Anarchism is distinguished, philosophically, by its scepticism towards such moral relations ? by its questioning of the claims made for such normative power ? and, practically, by its challenge to those "authoritative" powers which cannot justify their claims and which are therefore deemed illegitimate or without moral foundation." Anarchism and Authority: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to Classical Anarchism by Paul McLaughlin. AshGate. 2007. p. 1
  39. "Anarchism, then, really stands for the liberation of the human mind from the dominion of religion; the liberation of the human body from the dominion of property; liberation from the shackles and restraint of government. Anarchism stands for a social order based on the free grouping of individuals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real social wealth; an order that will guarantee to every human being free access to the earth and full enjoyment of the necessities of life, according to individual desires, tastes, and inclinations." Emma Goldman . "What it Really Stands for Anarchy" in Anarchism and Other Essays .
  40. Individualist anarchist Benjamin Tucker defined anarchism as opposition to authority as follows "They found that they must turn either to the right or to the left, ? follow either the path of Authority or the path of Liberty. Marx went one way; Warren and Proudhon the other. Thus were born State Socialism and Anarchism ... Authority, takes many shapes, but, broadly speaking, her enemies divide themselves into three classes: first, those who abhor her both as a means and as an end of progress, opposing her openly, avowedly, sincerely, consistently, universally; second, those who profess to believe in her as a means of progress, but who accept her only so far as they think she will subserve their own selfish interests, denying her and her blessings to the rest of the world; third, those who distrust her as a means of progress, believing in her only as an end to be obtained by first trampling upon, violating, and outraging her. These three phases of opposition to Liberty are met in almost every sphere of thought and human activity. Good representatives of the first are seen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Russian autocracy; of the second, in the Protestant Church and the Manchester school of politics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third, in the atheism of Gambetta and the socialism of Karl Marx." Benjamin Tucker . Individual Liberty.
  41. Ward, Colin (1966). “Anarchism as a Theory of Organization” . 2010年 3月 2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3月 1日에 確認함 .  
  42. Anarchist historian George Woodcock report of Mikhail Bakunin 's anti-authoritarianism and shows opposition to both state and non-state forms of authority as follows: "All anarchists deny authority; many of them fight against it." (p. 9) ... Bakunin did not convert the League's central committee to his full program, but he did persuade them to accept a remarkably radical recommendation to the Berne Congress of September 1868, demanding economic equality and implicitly attacking authority in both Church and State."
  43. Brown, L. Susan (2002). 〈Anarch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of Existential Individualism: Implications for Feminism〉. 《The Politics of Individualism: Liberalism, Liberal Feminism and Anarchism》. Black Rose Books Ltd. Publishing. 106쪽.  
  44. “Anarchy and Organization: The Debate at the 1907 International Anarchist Congress - The Anarchist Library” .  
  45. "What do I mean by individualism? I mean by individualism the moral doctrine which, relying on no dogma, no tradition , no external determination, appeals only to the individual conscience." Mini-Manual of Individualism by Han Ryner
  46. "I do not admit anything except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as a condition of his sovereignty. To say that the sovereignty of the individual is conditioned by Liberty is simply another way of saying that it is conditioned by itself." "Anarchism and the State" in Individual Liberty
  47. Everhart, Robert B. The Public School Monopoly: A Critical Analysis of Education and the State in American Society. Pacific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1982. p. 115.
  48. (英語) 個人主義 - 스탠퍼드 哲學 百科事典
  49. Adams, Ian. Political Ideology Toda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1. p. 116.
  50. Godwin, William (1796) [1793]. 《Enquiry Concerning Political Justice and its Influence on Modern Morals and Manners》. G.G. and J. Robinson. OCLC   2340417 .  
  51. Goodway, David. Anarchist Seeds Beneath the Snow . Liverpool University Press, 2006, p. 99.
  52. (英語) 個人主義 - 스탠퍼드 哲學 百科事典
  53. The Encyclopedia Americana: A Library of Universal Knowledge. Encyclopedia Corporation. p. 176.
  54. Miller, David. "Anarchism." 1987. The Blackwell Encyclopaedia of Political Thought . Blackwell Publishing. p. 11.
  55. "What my might reaches is my property; and let me claim as property everything I feel myself strong enough to attain, and let me extend my actual property as fas as I entitle, that is, empower myself to take..." In Ossar, Michael. 1980. Anarchism in the Dramas of Ernst Toller . SUNY Press. p. 27.
  56. Nyberg, Svein Olav. "The union of egoists" (PDF). Non Serviam. Oslo, Norway: Svein Olav Nyberg. 1: 13?14. OCLC 477584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7 December 2012. Retrieved 1 September 2012
  57. Thomas, Paul (1985). Karl Marx and the Anarchists. London: Routledge/Kegan Paul. p. 142. ISBN 0-7102-0685-2 .
  58. Carlson, Andrew (1972). 〈Philosophical Egoism: German Antecedents〉 . 《Anarchism in Germany》. Metuchen: Scarecrow Press. ISBN   0-8108-0484-0 . 2008年 12月 1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12月 4日에 確認함 .  
  59. Palmer, Brian (2010-12-29) What do anarchists want from us? , Slate.com
  60. William Bailie, “Archived copy” (PDF) . 2012年 2月 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6月 17日에 確認함 .   Josiah Warren: The First American Anarchist ? A Sociological Study , Boston: Small, Maynard & Co., 1906, p. 20
  61. Native American Anarchism: A Study of Left-Wing American Individualism by Eunice Minette Schuster 保管됨 2月 14, 2016 - 웨이백 머신
  62. "Paralelamente, al otro lado del atlantico, en el diferente contexto de una nacion a medio hacer, los Estados Unidos, otros filosofos elaboraron un pensamiento individualista similar, aunque con sus propias especificidades. Henry David Thoreau (1817?1862), uno de los escritores proximos al movimiento de la filosofia trascendentalista, es uno de los mas conocidos. Su obra mas representativa es Walden, aparecida en 1854, aunque redactada entre 1845 y 1847, cuando Thoreau decide instalarse en el aislamiento de una cabana en el bosque, y vivir en intimo contacto con la naturaleza, en una vida de soledad y sobriedad. De esta experiencia, su filosofia trata de transmitirnos la idea que resulta necesario un retorno respetuoso a la naturaleza, y que la felicidad es sobre todo fruto de la riqueza interior y de la armonia de los individuos con el entorno natural. Muchos han visto en Thoreau a uno de los precursores del ecologismo y del anarquismo primitivista representado en la actualidad por Jonh Zerzan. Para George Woodcock, esta actitud puede estar tambien motivada por una cierta idea de resistencia al progreso y de rechazo al materialismo creciente que caracteriza la sociedad norteamericana de mediados de siglo XIX." "Voluntary non-submission. Spanish individualist anarchism during dictatorship and the second republic (1923?1938)" 保管됨 7月 23, 2011 - 웨이백 머신
  63. “2. Individualist Anarchism and Reaction” .  
  64. “The Free Love Movement and Radical Individualism, By Wendy McElroy” . 2011年 6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8年 6月 7日에 確認함 .  
  65. "La insumision voluntaria: El anarquismo individualista espanol durante la Dictadura y la Segunda Republica (1923?1938)" by Xavier Diez 保管됨 7月 23, 2011 - 웨이백 머신
  66. "Los anarco-individualistas, G.I.A...Una escision de la FAI producida en el IX Congreso (Carrara, 1965) se pr odujo cuando un sector de anarquistas de tendencia humanista rechazan la interpretacion que ellos juzgan disciplinaria del pacto asociativo" clasico, y crean los GIA (Gruppi di Iniziativa Anarchica) . Esta pequena federacion de grupos, hoy nutrida sobre todo de veteranos anarco-individualistas de orientacion pacifista, naturista, etcetera defiende la autonomia personal y rechaza a rajatabla toda forma de intervencion en los procesos del sistema, como seria por ejemplo el sindicalismo. Su portavoz es L'Internazionale con sede en Ancona. La escision de los GIA prefiguraba, en sentido contrario, el gran debate que pronto habia de comenzar en el seno del movimiento" "El movimiento libertario en Italia" by Bicicleta. REVISTA DE COMUNICACIONES LIBERTARIAS Year 1 No. Noviembre, 1 1977 保管됨 10月 12, 2013 - 웨이백 머신
  67. "Proliferaran asi diversos grupos que practicaran el excursionismo, el naturismo, el nudismo, la emancipacion sexual o el esperantismo, alrededor de asociaciones informales vinculadas de una manera o de otra al anarquismo. Precisamente las limitaciones a las asociaciones obreras impuestas desde la legislacion especial de la Dictadura potenciaran indirectamente esta especie de asociacionismo informal en que confluira el movimiento anarquista con esta heterogeneidad de practicas y tendencias. Uno de los grupos mas destacados, que sera el impulsor de la revista individualista Etica sera el Ateneo Naturista Eclectico, con sede en Barcelona, con sus diferentes secciones la mas destacada de las cuales sera el grupo excursionista Sol y Vida." "La insumision voluntaria: El anarquismo individualista espanol durante la Dictadura y la Segunda Republica (1923?1938)" by Xavier Diez 保管됨 7月 23, 2011 - 웨이백 머신
  68. "Les anarchistes individualistes du debut du siecle l'avaient bien compris, et integraient le naturisme dans leurs preoccupations. Il est vraiment dommage que ce discours se soit peu a peu efface, d'antan plus que nous assistons, en ce moment, a un retour en force du puritanisme (conservateur par essence)." "Anarchisme et naturisme, aujourd'hui." by Cathy Ytak 保管됨 2月 25, 2009 - 웨이백 머신
  69. anne (2014年 7月 30日). “Culture of Individualist Anarchism in Late 19th Century America” (PDF) .  
  70. The "Illegalists" 保管됨 9月 8, 2015 - 웨이백 머신 , by Doug Imrie (published by Anarchy: A Journal of Desire Armed )
  71. Parry, Richard. The Bonnot Gang. Rebel Press, 1987. p. 15
  72. “Oscar Wilde essay The soul of man under Socialism” . 2013年 9月 1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73. George Woodcock . Anarchism: A History of Libertarian Ideas and Movements. 1962. (p. 447)
  74. Sanders, Steven M. Is egoism morally defensible? Philosophia. Springer Netherlands. Volume 18, Numbers 2?3 / July 1988
  75. Rachels 2008, p. 534.
  76. Nyberg, Svein Olav. “The union of egoists” (PDF) . 《Non Serviam》 (Oslo, Norway: Svein Olav Nyberg) 1 : 13?14. OCLC   47758413 . 7 December 2012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1 September 2012에 確認함 .  
  77. Thomas, Paul (1985). 《Karl Marx and the Anarchist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 142쪽. ISBN   0-7102-0685-2 .  
  78. “Egoism - The Anarchist Library” .  
  79. O. Ewald, "German Philosophy in 1907", in The Philosophical Review, Vol. 17, No. 4, Jul., 1908, pp. 400?26; T. A. Riley, "Anti-Statism in German Literature, as Exemplified by the Work of John Henry Mackay", in PMLA, Vol. 62, No. 3, Sep. 1947, pp. 828?43; C. E. Forth, "Nietzsche, Decadence, and Regeneration in France, 1891?95", in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Vol. 54, No. 1, Jan., 1993, pp. 97?117; see also Robert C. Holub's Nietzsche: Socialist, Anarchist, Feminist , an essay available online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website.
  80. Macquarrie, John. Existentialism , New York (1972), pp. 18?21.
  81.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 ed. Ted Honderich, New York (1995), p. 259.
  82. Macquarrie. Existentialism , pp. 14?15.
  83. Cooper, D. E. Existentialism: A Reconstruction (Basil Blackwell, 1999, p. 8)
  84. Marino, Gordon. Basic Writings of Existentialism (Modern Library, 2004, pp. ix, 3).
  85.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d.edu/entries/kierkegaard/
  86. Watts, Michael. Kierkegaard (Oneworld, 2003, pp. 4?6).
  87. Lowrie, Walter. Kierkegaard's attack upon "Christendom" (Princeton, 1968, pp. 37?40)
  88. Corrigan, John. The Oxford handbook of religion and emotion (Oxford, 2008, pp. 387?88)
  89. Livingston, James et al. Modern Christian Thought: The Twentieth Century (Fortress Press, 2006, Chapter 5: Christian Existentialism).
  90. Martin, Clancy. Religious Existentialism in Companion to Phenomenology and Existentialism (Blackwell, 2006, pp. 188?205)
  91. Robert C. Solomon, Existentialism (McGraw-Hill, 1974, pp. 1?2)
  92. D.E. Cooper Existentialism: A Reconstruction (Basil Blackwell, 1999, p. 8).
  93. Ernst Breisach, Introduction to Modern Existentialism , New York (1962), p. 5
  94. Walter Kaufmann, Existentialism: From Dostoevesky to Sartre , New York (1956), p. 12
  95. Hastings, James. Encyclopedia of Religion
  96. 《Compact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humanism n. 1 a rationalistic system of thought attaching prime importance to human rather than divine or supernatural matters. 2 a Renaissance cultural movement that turned away from medieval scholasticism and revived interest in ancient Greek and Roman thought.   Typically, abridgments of this definition omit all senses except #1, such as in the Cambridge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Archived 2003年 12月 30日 - 웨이백 머신 , Collins Essential English Dictionary , and 《Webster's Concise Dictionary》. New York: RHR Press. 2001. 177쪽.  
  97. “Definitions of humanism (subsection)” . Institute for Humanist Studies. 2007年 1月 1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16 Jan 2007에 確認함 .  
  98. Edwords, Fred (1989). “What Is Humanism?” .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30 January 2010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19 August 2009에 確認함 . Secular and Religious Humanists both share the same worldview and the same basic principles... From the standpoint of philosophy alon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It is only in the definition of religion and in the practice of the philosophy that Religious and Secular Humanists effectively disagree.  
  99. Moore, Andrew (2013年 1月 1日). Zalta, Edward N., 編輯.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經由.  
  100. “libertine” – The Free Dictionary 經由.  
  101. “WordNet Search - 3.1” .  
  102. Rene Pintard (2000). 《Le Libertinage erudit dans la premiere moitie du XVIIe siecle》 . Slatkine. 11쪽. ISBN   978-2-05-101818-0 . 2012年 7月 24日에 確認함 .  
  103. Amesbury, Richard (2016年 1月 1日). Zalta, Edward N., 編輯.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經由.  
  104. A Martyr to Sin
  105. "About the Author" in Rand 1992 , 1170?71쪽
  106. Wayne Gabardi, review of Anarchism by David Miller, published in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 80, No. 1. (Mar., 1986), pp. 300?02.
  107. According to scholar Allan Antliff , Benjamin Tucker coined the term "philosophical anarchism," to distinguish peaceful evolutionary anarchism from revolutionary variants. Antliff, Allan. 2001. Anarchist Modernism: Art, Politics, and the First American Avant-Garde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 4
  108. Hudelson, Richard (1999年 1月 1日). “Modern Political Philosophy” . M.E. Sharpe – Google Books 經由.  
  109. David Conway . Classical Liberalism: The Unvanquished Ideal. Palgrave Macmillan. 1998. ISBN   978-0-312-21932-1 p. 8
  110. Kevin Carson. Organization Theory: A Libertarian Perspective . BOOKSURGE. 2008. p. 1
  111. Mutualist.org Introduction
  112. Miller, David. 1987. "Mutualism." The Blackwell Encyclopedia of Political Thought. Blackwell Publishing. p. 11
  113. Tandy, Francis D., 1896, Voluntary Socialism , chapter 6, paragraph 15.
  114. "...preferring a system of popular self governance via networks of decentralized, local, voluntary, participatory, cooperative associations-sometimes as a complement to and check on state power..."
  115. Rocker, Rudolf (2004). 《Anarcho-Syndicalism: Theory and Practice》. AK Press . 65쪽. ISBN   978-1-902593-92-0 .  
  116. “The Soviet Union Versus Socialism” . 《chomsky.info》 . 2015年 11月 22日에 確認함 . Libertarian socialism, furthermore, does not limit its aims to democratic control by producers over production, but seeks to abolish all forms of domination and hierarchy in every aspect of social and personal life, an unending struggle, since progress in achieving a more just society will lead to new insight and understanding of forms of oppression that may be concealed in traditional practice and consciousness.  
  117. "Authority is defined in terms of the right to exercise social control (as explored in the "sociology of power") and the correlative duty to obey (as explred in the "philosophy of practical reason"). Anarchism is distinguished, philosophically, by its scepticism towards such moral relations ? by its questioning of the claims made for such normative power ? and, practically, by its challenge to those "authoritative" powers which cannot justify their claims and which are therefore deemed illegitimate or without moral foundation." Anarchism and Authority: A Philosophical Introduction to Classical Anarchism by Paul McLaughlin. AshGate. 2007. p. 1
  118. "Anarchism, then, really stands for the liberation of the human mind from the dominion of religion; the liberation of the human body from the dominion of property; liberation from the shackles and restraint of government. Anarchism stands for a social order based on the free grouping of individuals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real social wealth; an order that will guarantee to every human being free access to the earth and full enjoyment of the necessities of life, according to individual desires, tastes, and inclinations." Emma Goldman . "What it Really Stands for Anarchy" in Anarchism and Other Essays .
  119. Individualist anarchist Benjamin Tucker defined anarchism as opposition to authority as follows "They found that they must turn either to the right or to the left, ? follow either the path of Authority or the path of Liberty. Marx went one way; Warren and Proudhon the other. Thus were born State Socialism and Anarchism...Authority, takes many shapes, but, broadly speaking, her enemies divide themselves into three classes: first, those who abhor her both as a means and as an end of progress, opposing her openly, avowedly, sincerely, consistently, universally; second, those who profess to believe in her as a means of progress, but who accept her only so far as they think she will subserve their own selfish interests, denying her and her blessings to the rest of the world; third, those who distrust her as a means of progress, believing in her only as an end to be obtained by first trampling upon, violating, and outraging her. These three phases of opposition to Liberty are met in almost every sphere of thought and human activity. Good representatives of the first are seen i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Russian autocracy; of the second, in the Protestant Church and the Manchester school of politics and political economy; of the third, in the atheism of Gambetta and the socialism of Karl Marx." Benjamin Tucker . Individual Liberty.
  120. Anarchist historian George Woodcock report of Mikhail Bakunin 's anti-authoritarianism and shows opposition to both state and non-state forms of authority as follows: "All anarchists deny authority; many of them fight against it." (p. 9)...Bakunin did not convert the League's central committee to his full program, but he did persuade them to accept a remarkably radical recommendation to the Berne Congress of September 1868, demanding economic equality and implicitly attacking authority in both Church and State."
  121. Brown, L. Susan (2002). 〈Anarchism as a Political Philosophy of Existential Individualism: Implications for Feminism〉. 《The Politics of Individualism: Liberalism, Liberal Feminism and Anarchism》. Black Rose Books Ltd. Publishing. 106쪽.  
  122. "LibSoc share with LibCap an aversion to any interference to freedom of thought, expression or choicce of lifestyle." Roderick T. Long . "Toward a libertarian theory of class." Social Philosophy and Policy . Volume 15. Issue 02. Summer 1998. pp 305
  123. "What is implied by the term 'libertarian socialism'?: The idea that socialism is first and foremost about freedom and therefore about overcoming the domination, repression, and alienation that block the free flow of human creativity, thought, and action...An approach to socialism that incorporates cultural revolution, women's and children's liberation, and the critique and transformation of daily life, as well as the more traditional concerns of socialist politics. A politics that is completely revolutionary because it seeks to transform all of reality. We do not think that capturing the economy and the state lead automatically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rest of social being, nor do we equate liberation with changing our life-styles and our heads. Capitalism is a total system that invades all areas of life: socialism must be the overcoming of capitalist reality in its entirety, or it is nothing." "What is Libertarian Socialism?" by Ulli Diemer. Volume 2, Number 1 (Summer 1997 issue) of The Red Menace .
  124. Sims, Franwa (2006). 《The Anacostia Diaries As It Is》. Lulu Press. 160쪽.  
  125. “A Mutualist FAQ: A.4. Are Mutualists Socialists?” . 2009年 6月 9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4月 29日에 確認함 .  
  126. "It is by meeting such a twofold requirement that the libertarian socialism of G.D.H. Cole could be said to offer timely and sustainable avenue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liberal value of autonomy..." Charles Masquelier. Critical theory and libertarian socialism: Realizing the political potential of critical social theory. Bloombury. New York-London. 2014. pg. 190
  127. "Councilism and anarchism loosely merged into ‘libertarian socialism’, offering a non-dogmatic path by which both council communism and anarchism could be updated for the changed conditions of the time, and for the new forms of proletarian resistance to these new conditions." Toby Boraman. "Carnival and Class: Anarchism and Councilism in Australasia during the 1970s" in Alex Prichard, Ruth Kinna, Saku Pinta and Dave Berry (eds). Libertarian Socialism: Politics in Black and Red. Palgrave Macmillan, December 2012. pg. 268.
  128. Murray Bookchin, Ghost of Anarcho-Syndicalism ; Robert Graham , The General Idea of Proudhon's Revolution
  129. Kent Bromley, in his preface to Peter Kropotkin 's book The Conquest of Bread , considered early French utopian socialist Charles Fourier to be the founder of the libertarian branch of socialist thought, as opposed to the authoritarian socialist ideas of Babeuf and Buonarroti ." Kropotkin, Peter . The Conquest of Bread , preface by Kent Bromley, New York and London, G. P. Putnam's Sons, 1906.
  130. " (Benjamin) Tucker referred to himself many times as a socialist and considered his philosophy to be "Anarchistic socialism." An Anarchist FAQ by Various Authors
  131. French individualist anarchist Emile Armand shows clearly opposition to capitalism and centralized economies when he said that the individualist anarchist "inwardly he remains refractory ? fatally refractory ? morally, intellectually, economically (The capitalist economy and the directed economy, the speculators and the fabricators of single are equally repugnant to him.)" "Anarchist Individualism as a Life and Activity" by Emile Armand
  132. Anarchist Peter Sabatini reports that In the United States "of early to mid-19th century, there appeared an array of communal and "utopian" counterculture groups (including the so-called free love movement). William Godwin 's anarchism exerted an ideological influence on some of this, but more so the socialism of Robert Owen and Charles Fourier . After success of his British venture, Owen himself established a cooperative community within the United States at New Harmony, Indiana during 1825. One member of this commune was Josiah Warren (1798?1874), considered to be the first individualist anarchist " Peter Sabatini. "Libertarianism: Bogus Anarchy"
  133. "It introduces an eye-opening approach to radical social thought, rooted equally in libertarian socialism and market anarchism." Chartier, Gary; Johnson, Charles W. (2011). Markets Not Capitalism: Individualist Anarchism Against Bosses, Inequality, Corporate Power, and Structural Poverty . Brooklyn, NY:Minor Compositions/Autonomedia. Pg. Back cover
  134. Carlson (2012). p. 1007. "[Left-libertarians] disagree with right-libertarians with respect to property rights, arguing instead that individuals have no inherent right to natural resources. Namely, these resources must be treated as collective property that is made available on an egalitarian basis."
  135. Narveson, Jan ; Trenchard, David (2008). 〈Left Libertarianism〉. Hamowy, Ronald . 《The Encyclopedia of Libertarianism》 . 《The Encyclopedia of Libertarianism》. Thousand Oaks, CA: SAGE ; Cato Institute . 288?289쪽. doi : 10.4135/9781412965811.n174 . ISBN   978-1-4129-6580-4 . LCCN   2008009151 . OCLC   750831024 . [Left libertarians] regard each of us as full self-owners. Left libertarians embrace the view that all natural resources, land, oil, gold, trees, and so on should be held collectively. To the extent that individuals make use of these commonly owned goods, they must do so only with the permission of society, a permission granted only under the provision that a certain payment for their use be made to society at large.  
  136. Vallentyne, Peter (20 July 2010). " Libertarianism ". In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스탠퍼드 大學校 . Retrieved 26 December 2012.
  137. Narveson, Jan ; Trenchard, David (2008). 〈Left libertarianism〉 . Hamowy, Ronald . 《The Encyclopedia of Libertarianism》. Thousand Oaks, CA: SAGE ; Cato Institute . 288?89쪽. doi : 10.4135/9781412965811.n174 . ISBN   978-1-4129-6580-4 . LCCN   2008009151 . OCLC   750831024 .  
  138. Bookchin, Murray and Biehl, Janet (1997). The Murray Bookchin Reader . Cassell: p. 170. ISBN   0-304-33873-7
  139. “Foldvary, Fred E. Geoism and Libertarianism. The Progress Report” . Progress.org. 2012年 11月 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3月 26日에 確認함 .  
  140. Karen DeCoster, Henry George and the Tariff Question , LewRockwell.com , April 19, 2006.
  141. Will Kymlicka (2005). 〈libertarianism, left-〉. Ted Honderich. 《The Oxford Companion to Philosophy》. New York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  
  142. Chartier, Gary. Johnson, Charles W. (2011). Markets Not Capitalism: Individualist Anarchism Against Bosses, Inequality, Corporate Power, and Structural Poverty . Minor Compositions. pp. 1?11. ISBN   978-1570272424
  143. Serena Olsaretti, Liberty, Desert and the Market: A Philosophical Study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4, 88, 100.
  144.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entry on Libertarianism , 스탠퍼드 大學校 , July 24, 2006 version.
  145. 고명섭, <나를 배반한 歷史>박노자 [ 깨진 링크 ( 過去 內容 찾기 )] , 한겨례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