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차르 ( 러시아語 : царь 차리 [ * ] 이 소리의 정보듣기   , 불가리아語 : цар , 세르비아語 : цар , 文化語 : 짜리)는 東方 正敎會 를 믿는 남슬라브족 동슬라브族 文化圈의 君主 稱號다. 차르를 君主의 呼稱으로 使用한 가장 代表的인 나라로 러시아 차르國 및 그 後身인 러시아 帝國 이 있으며, 이 時期 러시아의 專制君主政을 차르注意 라고 한다.

"차르"라는 말은 로마 帝國 副題 를 뜻하는 라틴語 카이사르( Caesar )에서 由來했다. 이것은 皇帝 에 거의 비슷한 意味에 가깝지만, 西洋 傳統에서 皇帝란 로마 皇帝 의 後裔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른 皇帝( 비잔티움 皇帝 神聖로마皇帝 ) 또는 宗敎的 絶對權威子( 敎皇 )의 承認을 받아야 皇帝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西유럽에서는 東유럽의 "차르"를 皇帝로 認定하지 않고 王爵 級, 또는 王 以上 皇帝 未滿 程度의 作爲라고 여겼다. 結局 近代 以後로는 러시아에서 君主 稱號를 라틴語式으로 "皇帝(임페라토르)"를 稱하고, 同君聯合으로 服屬시킨 國家의 王爵으로 "차르"를 使用하면서 公式的으로는 차르라는 呼稱 代身 임페라토르를 使用하였으며 차르는 러시아의 皇帝를 일컫는 慣習的인 稱號로 굳어지게 되었다.

"차르"를 君主의 公式 作爲命으로 使用한 國家는 다음과 같다.

最初로 "차르"를 稱한 君主는 불가리아 第1帝國의 시메온 1歲 다. 마지막으로 차르를 稱한 君主는 불가리아 차르國의 시메온 2歲(시메온 삭스코부르크고츠키]])이다.

어원 [ 編輯 ]

차르라는 말은 라틴語 카이사르( Caesar )가 語源이다. [1] 로마 皇帝 는 카이사르, 임페라토르 ( Imperator ), (東로마에서) 바실레우스 ( basileus ) 等 多樣한 稱號를 가졌고, 各其 脈絡에 따라 다르게 쓰였다. 本來 그리스語圈에서 "바실레우스"는 專制的 統治者(potentate)를 의미하는 것으로, 헬레니즘 時代 까지는 大略 "왕"에 該當했다. 그러다 로마 帝國 이 그리스圈을 吸收하면서 그리스語에서는 로마 皇帝를 바실레우스라고 부르게 되었고, 東로마 皇帝를 바실레우스라고 부를 때는 "皇帝"를 의미하게 된다. 그리스에서 바실레우스는 오로지 東로마 皇帝만을 指稱했고, 西유럽의 王들은 렉스 ( 라틴語 : rex , 古代 그리스어 : ??ξ )라고 불렀으며 그 外의 君主들은 "指導者"라는 뜻의 아르콘 ( 라틴語 : archon , 古代 그리스어 : ?ρχων )이라고 불렀다.

슬라브語族 言語들에서 그리스語 文獻들을 飜譯하면서 "바실레우스"를 "차르"라고 飜譯했고, "왕"이자 同時에 "皇帝"인 二重意味가 古代 敎會슬라브語 에도 그대로 들어왔다. 그렇기 때문에 슬라브語에서 "차르"란 "라틴語 "임페라토르(東로마 皇帝)"를 의미하면서 同時에 皇帝가 아닌 聖經 속의 王들이나 古代의 王들을 의미하는 말이 된다. 敎會슬라브語 主祈禱文 을 살펴보면 그런 點을 알 수 있다.

키릴문자 로마字 戰死 韓國語( 改易한글版 )

отьч? нашь·
иж? ?си на н?б?с?хъ:
да св?титъ с? им? тво?·
да прид?тъ ц?сар?ьстви? тво?·
да б?д?тъ вол? тво?
?ко на н?б?си и на ??мл?и:
хл?бъ нашь нас?щьн?и
даждь намъ дьньсь·
и отъпоусти намъ длъг? наш?
?ко и м? отъпоуща?мъ
длъжьникомъ нашимъ·
и н? във?ди насъ въ искоуш?ни?·
нъ и?бави н? отъ н?при??ни:
?ко тво? ?стъ ц?сар?ьстви?
и сила и слава въ в?к? в?комъ
аминь?

ot??e na??
I?e jesi na nebes?x?.
Da sv?tit? s? im? tvoje
da pridet? c?sar'?stvije tvoje
da b?det? volja tvoja
jako na nebesi i na zeml'i.
hl?b? na?? nas??t?nyi
da?d? nam? d?n?s?
i ot?pusti nam? dl?gy na??
jako i my ot?pu?tajem?
dl???nikom? na?im?
i ne v?vedi nas? v? isku?enije
n? izbavi ny ot? neprijazni.
jako tvoje jest? c?sar'?stvije
i sila i slava v? v?ky v?kom?.
amin?.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이름이 거룩히 여김을 받으시오며
나라 에 林하옵시며
뜻이 하늘에서 이룬 것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오늘날 우리에게
日用할 糧食을 주옵시고
우리가 우리에게 罪 지은 者를
사하여 준 것같이
우리의 罪를 사하여 주옵시고,
우리를 試驗에 들게 하지 마옵시고,
다만 惡에서 求하옵소서.
大槪 나라
權勢와 榮光이 아버지께 永遠히 있사옵나이다.
아멘.

이 曖昧함은 슬라브語가 여러 言語로 分化 發展하면서 더욱 複雜해졌다. 洞슬라브語, 卽 불가리아語 러시아語 에서는 더以上 "차르"를 "皇帝"라는 뜻으로 使用하지 않으며, "왕"이라는 뜻으로만 使用한다. 聖經 속의 王들이나 古代의 君主들, 童話나 옛날 이야기 等의 加工의 王들을 "차르"라고 부른다. 한便 西유럽의 王(라틴語 렉스와 게르만어 코눙그 의 後身)들은 러시아語 : Король 코롤 [ * ] , 불가리아語 : Крал 크랄 이라고 따로 부른다. 그리고 皇帝는 "임페라토르( император )"라고 한다.

反面 南슬라브어( 세르보크로아트語 , 세르비아語 , 크로아티아어 , 보스니아어 )에서는 皇帝를 "차르"라고 하며, 王은 "크라리"( kralj , кра?, король)라고 한다. 그런데 聖經 속의 王들은 세르비아語에서는 "차르(цар)"라고 하고, 크로아티아語에서는 "크라리"라고 한다.

서슬라브어 슬로베니아語 는 오랫동안 獨逸 의 影響을 받아서 爵位 體系도 거의 게르만化되었다. 이들 言語에서는 王은 "코눙그"에 語源을 둔 체코語 : kral , 슬로바키아語 : kra? , 폴란드語 : krol , 슬로베니아語 : kralj 라고 부르고, 皇帝는 "카이사르"에 語源을 둔 체코語 : cisa? , 슬로바키아語 : cisar , 폴란드語 : cesarz , 슬로베니아語 : cesar 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獨逸語 의 "쾨니히( Konig )"와 "카이저( Kaiser )"의 關係와 完璧히 같다. 한便 폴란드語에서는 同時에 "차르"를 皇帝, 特히 표트르 1歲 以後의 러시아 皇帝 들을 의미하는 말로 使用한다.

各國의 事例比較 [ 編輯 ]

불가리아 [ 編輯 ]

某스티치 墓碑銘 拓本. 붉은 色으로 强調된 部分이 "차르"라는 表現이다. 內容은 다음과 같다. “여기 차르 시메온과 차르 페타르 治世에 이치르구보일 이었던 某스티치가 잠들었다. 그는 나이 여든 때 이치르구보일의 자리와 前 財産을 내놓고 修道士가 되었고, 이렇게 生을 마감했다.”

紀元後 705年 東로마 皇帝 유스티니아노스 2歲 不可르인 의 君主 테르벨 에게 카이사르의 稱號를 내렸다. 하지만 테르벨과 그 以後 不可르인 君主들은 繼續 카나守備機 를 稱號로 使用했다. 보리스 1歲 를 "차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그것은 보리스 1歲가 基督敎 로 改宗했음을 讚揚하는 뜻에서 그러는 것이고 實際로는 차르로 불린 적이 없다. 最初로 "차르" 및 그리스語 "바실레오스"를 稱號로 使用한 것은 시메온 1歲 다. 시메온 1世는 913年, 비록 不可르仁義 侵攻을 막기 위한 臨時方便으로서였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世界總大主敎 에게 皇帝 戴冠式까지 받았다. 以後 東로마 側은 불가르 君主의 皇帝 卽位를 僭稱이라고 여기고 認定해 주지 않다가, 시메온 1歲의 持續的인 侵攻을 받은 끝에 924年 시메온의 帝位를 認定해 주고 927年 平和條約에서 이를 再確認했다. 原則上 皇帝는 東로마 皇帝와 서로마 皇帝 單 둘밖에 存在할 수 없었다. 東로마에서는 이 點을 不可르仁義 皇帝는 東로마 바실레오스의 "靈的인 아들"으로서 바실레오스 대관을 하는 것이라고 撫摩했다. [2]

시메온 1世와 그 後繼者 페타르 1歲 時期의 이치르구보일 이었던 某스티치 의 墓碑銘이 "차르"가 實際 글字로 쓰여진 가장 이른 文獻이다(우측 그림 參照).

925年 直後 敎皇이 불가리아에 使節을 보내서 시메온의 皇帝 대관을 認定해 주었다는 說도 있다. 그 理由는 不可르因果 크로아트人 의 紛爭을 小康시키는 代價 또는 不可르人을 西方 로마 敎會에 끌어들일 可能性을 打電하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1199年-1204年 不可르 君主 칼로얀 敎皇 인노첸시오 3歲 에게 보내는 書翰에서 스스로를 "不可르因果 블라크仁義 皇帝( Imperator Bulgarorum et Blachorum )"라고 指稱한다. 그러나 敎皇은 칼로얀에게 보내는 答書에 一貫되게 그를 "不可르仁義 王( reges )"이라고 불렀다. 그러거나 말거나 칼로얀은 一方的으로 敎皇에게 自身의 "祭位" 資格을 認定해 주었음에 感謝함을 表示했다. [3]

以後 東로마 傳統을 따라서 不可르 君主는 專制者 (autokrator)를 稱號에 더했다. 시메온 以後 모든 不可르인 君主들은 1422年 오스만 帝國 불가리아 征服을 完了할 때까지 "前(全)不可르因果 그리스인의 皇帝이며 專制者"를 公式 稱號로 삼았다.

5世紀假量 持續된 오스만의 불가리아 支配 當時 불가리아에서는 오스만 술탄을 "차르"라고 불렀다. 이것은 오스만 帝國이 東로마 帝國의 繼承을 主張했던 것과 關聯이 있을 수도 있다.

1878年 불가리아가 獨立한 直後 불가리아 君主들은 처음에는 크냐즈 (工作)를 作爲로 使用했다. 그러다 1908年 完全 獨立하면서 페르디난드 1歲 가 "차르"를 稱했고 1946年까지 君主 稱號가 "차르"로 維持된다. 하지만 이 時期 불가리아 차르는 對內外的으로 "皇帝"로 인정받지 못했고 國家도 불가리아 王國 이라고 불린다. 類似한 時期 오스만에서 獨立한 그리스도 君主가 "바실레오스"를 稱했지만 對內外的으로 王國 取扱을 받은 것과 같이 불가리아 차르度 意味의 變化 乃至 格의 下落이 일어난 것이다. [4]

키예프 루스 [ 編輯 ]

키예프 루스 는 一般的으로 벨리키 크냐지 를 君主의 呼稱으로 使用하였지만, 야로슬라프 1歲 때에 暫時 "차르"라고 불렸는데, 이는 當時 키예프 루스 東로마 帝國 과 戰爭을 벌인 것과 關係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야로슬라프 1歲 以外에는 "차르"라는 稱號를 使用한 적이 한 番도 없었다. [5] 콘스탄티노플이 第4次 十字軍 에게 함락당하고 몽골 帝國 이 루스人들을 征服(1240年)한 以後 루스人 孔雀들을 支配하는 몽골王族들을 "차르"라고 부르기도 했다.

세르비아 [ 編輯 ]

세르비아 차르 스테판 禹로슈 4歲 두샨 .

세르비아에서 "차르"를 稱한 君主는 딱 두 名 있었고, 그 두 名 以前에는 王(크라리)李 君主 稱號였다. 1345年 스테판 禹로슈 4歲 두샨 이 "세르브인과 그리스인의 차르", 그리스어로는 "세르브인과 그리스인의 바실레우스이며 專制者"를 稱하고 1346年 復活節 (4月 16日) 스코페 에서 戴冠했다. 두샨에게 祭官을 씌어준 것은 새로 만들어진 세르비아 總大主敎였고, 불가리아 總大主敎와 오흐리드 大主敎도 戴冠式에 同席했다. 또한 아내 옐레나 는 皇后, 아들 슈테판은 王으로 앉혔다. 1355年 두샨이 죽자 아들이 슈테판 禹로슈 5歲 로 卽位했다. 두샨의 男동생 시메온 禹로슈 가 조카의 帝位를 認定하지 않고 叛亂을 일으켰다. 시메온이 1370年頃 죽자 시메온의 아들 要半 禹로슈 가 帝位要求를 繼續하다가 1373年 抛棄하고 修道院으로 들어갔다.

1371年 네마니치條가 斷絶되면서 第位도 自然히 消滅되었다. 王位는 마케도니아의 세르브인 君主 不카신 므르냐브체비치 가 保存했다. 그 外에 여러 세르브인 君主들( 라자르 흐레벨랴老비치 , 要半 네나드 체르니 , 슈體板 말리 等)李 차르를 僭稱했지만 모두 인정받지 못했다.

以後 오스만 帝國이 5世紀假量 세르비아를 支配하면서 불가리에서와 마찬가지로 오스만 술탄이 차르라고 불렸다.

러시아 [ 編輯 ]

금장 칸國 의 支配를 처음으로 拒否한 류리크 王朝 의 君主 미하일 야로슬라비치 가 "루스仁義 바실레우스"를 稱했다. [6] 以後 모스크바 對空 이반 3歲 東로마 帝國 을 妻家 쪽으로 繼承한다고 主張하며 西方으로 보내는 外交 文書에 "차르"를 稱하기 始作했다. 1480年頃부터 이반 3歲 는 自身을 라틴語로 "카이사르"라고 했고, 스웨덴에게는 "케位세르(keyser)", 덴마크와 獨逸騎士團 , 한자동맹 에게는 "케이세르(kejser)"라고 했다. 이반 3世의 아들 바실리 3歲 도 이런 稱號를 維持했다. 바실리 3歲가 敎皇 클레멘스 7歲 에게 보낸 書翰에서는 "차르"라고 했는데, 지기스문트 폰 헤르베르슈타인 은 이것을 各各 라틴語와 獨逸語로 "임페라토르", "카이저"라고 飜譯했다. [7]

이것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陷落 以後 正敎會의 嫡統을 이어받은 " 第3로마 "가 되려 하는 러시아 의 野心과 關聯된 것이었다. 1514年 神聖로마皇帝 막시밀리안 1歲 가 모스크바 대공을 王으로 認定해 주었다. [8] [9] [10] 하지만 "前 러시아人 의 차르"라는 作爲命으로 正式 對官韓 最初의 君主는 이반 4歲 다. 西方에서는 이반 4歲가 스스로를 차르로 大觀하고 3年이 지난 1550年 以後로도 러시아人 의 君主를 어떤 格으로 待遇할 것인지 제대로 定해지지 않았다. 폰 헤르베르슈타인(1516年, 1525年), 다니엘 프린츠 아 部下禹(1576年, 1578年), 유스트 유엘 (109年) 等은 "차르"를 "皇帝"로 飜譯해서는 안 되며, 차르는 러시아人 들에게 다윗 이나 솔로몬 같은 存在이므로 그들 聖經의 王들과 事實上 마찬가지로 王(reges)이라고 하면 足하다고 主張했다. 1489年 이반 3歲 는 自身의 君主權은 그 누구의 承認도 따로 要求하지 않는다며 敎皇의 提案을 拒否한 바 있다. 한便, 假짜 드미트리 1歲 의 警護員이었던 용병대장 자크 마르그리트 러시아人 들에게 "차르"는 다윗이나 솔로몬 같은 이스라엘의 王들 같은 어떤 地上의 前提統治者가 아니고 神 그 自體이기 때문에 "카이저"나 "왕"보다 더 명예로운 稱號라고 主張했다. [11] 1659年에서 1666年까지 알렉세이 차르 의 主治醫를 지낸 英國人 醫師 새뮤얼 콜린스 는 런던의 親舊에게 보내는 便紙에서 “ 러시아人 들은 다윗을 "차르"라고 하고 우리(西方의) 王들은 "키롤"이라고 하는데, 自身들의 "차르"는 王보다 더 높은 爵位라고 생각한다.”는 要旨의 말을 썼다. [12]

動亂 時代 보리스 차르 가 죽고 폴란드軍이 모스크바 를 占領, 1610年 폴란드 國王 지그문트 3歲 바사 가 自己 아들 브와디스와프 4歲 바사 가 차르로 選出되도록 壓力을 넣었다. 이것은 지그문트 3歲가 모스크바 全域을 征服하고 러시아人 들을 모두 天主敎로 改宗시키려 한 大計劃의 一部였지만 그 計劃은 成功하지 못했다. 젊은 브와디스와프 4世는 러시아 차르國 오스만 帝國 과의 戰爭에서 軍事的 能力을 發揮했다. [13]

西方에서는 이 때까지도 "차르"를 어떻게 飜譯해야 할지 제대로 結論을 내지 못했다. 1670年 敎皇 클레멘스 10歲 는 알렉세이를 "차르"라고 부르는 것이 올바른 것인지 모르겠다는 疑問을 表示했는데, 理由인즉 그 語彙가 "野만족스럽고" 意味上 "皇帝"를 僭稱하기 때문이었다. 敎皇 같은 西方人들에게 基督敎 世界에 皇帝는 하나 뿐이고, 그 皇帝가 모스크바에 있지 않다는 것은 確實했다. 이 問題를 檢討한 修道院長 스카를라티는 차르라는 말은 飜譯이 不可能하며, 그러므로 敎皇이 그 말을 使用한다 해도 問題는 없을 것이라는 意見을 냈다. 바티칸 駐在 모스크바 特使 폴 메네時우스 (스코틀랜드人으로 모스크바 차르 알렉세이에게 雇用된 용병대장이었음)도 "샤"나 "술탄"을 라틴語로 飜譯할 수 없듯이 "차르"에 該當하는 라틴語 表現은 없다고 스카를라티의 意見을 뒷받침했다. 이런 飜譯賞의 亂脈을 解決하고, 東로마 帝國 繼承의 野心을 더욱 明確히 드러내기 위해 표트르 1歲 러시아 차르國 러시아 帝國 으로 出帆시키고 君主 稱號 亦是 "차르" 代身 라틴語 語源의 "임페라토르"로 交替했다. 다만 "임페라토르"를 稱한 러시아 界 指導者는 표트르가 最初는 아닌데, 다름아닌 假짜 드미트리 1歲 가 1605年 7月 7日 戴冠式 以後 임페라토르를 稱했다. 표트르는 1696年까지 "임페라토르"를 非公式的으로 使用하다가, 보야르 두마 統治元老院 으로 代替하고 神聖로마帝國 式으로 元老院 首相과 副首相을 두는 改革을 하는 過程에서 임페라토르 稱號를 公式化한다.

하지만 "차르" 稱號는 그 뒤로도 日常的으로 使用되었다. 그리고 러시아 帝國에 吸收된 國家들( 타타르 칸國 이나 조지아 精巧王國 等)에 對해서 러시아 皇帝는 그 國家의 "차르"임을 公式的으로 稱했다. 卽 18世紀가 되면 "차르" 稱號는 "皇帝" 稱號보다 劣等한 것으로, 또는 "皇帝"의 東洋的 特性을 强調하는 表現으로 여겨졌다. [14] 1783年 크림半島 를 合倂한 예카테리나 2歲 는 "크림의 餘차르(Tsaritsa)" 代身 그리스化된 " 케르小네소스 他우리카 의 餘차르"를 稱했다. 1815年 폴란드 分割 로 폴란드 領土의 거의 大部分이 러시아로 넘어왔다. 러시아는 폴란드의 王 크롤(Krol)과 同級의 爵位로서 "차르"를 使用하여, 러시아 帝國과 同君聯合 폴란드 立憲王國 의 君主로서 러시아 皇帝는 "폴란드 차르"를 稱했고, [15] 폴란드 立憲王國의 現地 名稱은 폴란드語로는 폴란드 크롤國(Krolestwo Polskie), 러시아語로는 "폴란드 차르國(Царство Польское)"이었다. [16] 이쯤 되면 "차르"가 皇帝級이 아닌 王爵 級 作爲로 格下되었음이 明白해진다. 그 外에도 여러 傀儡國이나 同君聯合國에 對해 러시아 皇帝가 그 나라의 "차르"를 겸했는데 그것은 以下 參照.

러시아 帝國 主權者의 公式 稱號 [ 編輯 ]

1867年 알래스카 賣買 條約의 알렉산드르 2歲 가 批准한 文書의 첫 페이지. 알렉산드르 2歲의 公式 稱號가 깨알같이 가득하다.

制定廢止 直前, 마지막 皇帝 니콜라이 2歲 의 公式 稱號는 다음과 같았다.

하느님의 恩寵을 받으시는 모스크바 키예프 블라디미르 노브고로드 前러시아의 皇帝이며 專制者 로서,
Бож?ею Посп?шествующею Милост?ю: МЫ, НИКОЛАЙ ВТОРЫЙ ИМПЕРАТОРЪ и САМОДЕРЖЕЦЪ ВСЕРОСС?ЙСК?Й
Московск?й, К?евск?й, Владим?рск?й, Новогородск?й,

카잔 차르 , 아스트라한 차르 , 폴란드 차르 , 시베리아 차르 , 케르小네소스 타우리크 차르 , 그루지야 차르 이며,

Царь Казанск?й, Царь Астраханск?й, Царь Польск?й, Царь Сибирск?й, Царь Херсониса Таврическаго, Царь Грузинск?й,

프스코프 榮州 兼

Государь Псковск?й, и

스몰렌스크와 리투아니아와 볼히니아와 砲돌리아와 핀란드 對空

Велик?й Князь Смоленск?й, Литовск?й, Волынск?й, Подольск?й и Финляндск?й;

에스틀欄드 리블란드 쿠를란드 와 세미갈리아와 社모기티아와 벨로스토크와 카렐리야와 트베르와 遺稿르스키란드와 페름과 뱌트카와 볼가르 等의 工作

Князь Эстляндск?й, Лифляндск?й, Курляндск?й и Семигальск?й, Самогитск?й, Б?лостокск?й, Корельск?й,
Тверск?й, Югорск?й, Пермск?й, Вятск?й, Болгарск?й и иныхъ;

니즈니노브고로드와 체르니고프와 랴잔과 폴로츠크와 로스토프와 야로슬라블과 벨로제르스크와 牛島르스키란드와 옵도르스크와 콘디兒와 비텝스크와 브齒슬라프의 領主이며 大功 兼

Государь и Велик?й Князь Новагорода низовск?я земли, Черниговск?й, Рязанск?й, Полотск?й,
Ростовск?й, Ярославск?й, Б?лозерск?й, Удорск?й, Обдорск?й, Кондинск?й, Витебск?й, Мстиславск?й и

모든 北方 國家들의 主人 兼

всея С?верныя страны Повелитель; и

이베리아와 카르틀리와 카바르디아와 아르메니아의 榮州 兼

Государь Иверск?я, Карталинск?я и Кабардинск?я земли и области Арменск?я;

체르케스와 山岳地域 箜篌들 等의 世襲主權者이며 支配者 兼

Черкасскихъ и Горскихъ Князей и иныхъ Насл?дный Государь и Обладатель;

튀르케스彈의 榮州 兼

Государь Туркестанск?й;

노르웨이의 後繼豫定者 兼

Насл?дникъ Норвежск?й,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과 스토르마른과 디트마르셴과 올덴부르크 等의 工作.

Герцогъ Шлезвигъ-Голстинск?й, Стормарнск?й, Дитмарсенск?й и Ольденбургск?й, и прочая, и прочая, и прочая.
 
  • 카잔의 차르란 中央아시아의 强力한 이슬람 國家였던 카잔 칸國 을 吸收한 뒤, 異敎徒의 作爲人 "칸"을 稱할 수는 없어서 그것의 基督敎 世界 同級(王爵級) 作位인 차르를 稱한 것이다. 카잔 年代記 等 러시아 쪽의 年代記들에서도 카잔의 칸들을 "카잔의 차르"라고 한다.
  • 시베리아의 차르란 시비르 칸國 을 吸收한 것을 말한다.
  • 폴란드의 차르는 公式的으로는 러시아와 別個의 國家이던 폴란드 立憲王國 의 王位를 말한다. 對內的으로나 對外的으로나 (러시아 皇帝가 兼任하는) 폴란드 차르는 王으로 取扱받았다. 元來 "왕"을 뜻하는 폴란드語 爵位 크롤(Krol)은 天主敎色이 너무 强해 正敎徒 君主에게 어울리지 않는다 여겨졌다. 한참 옛날인 1587年 표도르 1歲 가 폴란드 王位에 候補로 出馬했을 때 그는 當選될 境遇 自己 正式 作爲命을 "모스크바, 블라디미르, 前러시아仁義 차르이며 大功, 폴란드의 王(크롤) 兼 리투아니아 對共"으로 하려고 計劃했다.

러시아 皇室 宗親 爵位 [ 編輯 ]

  • 차리車 (царица)는 차르의 아내, 卽 王妃 에 該當한다. 러시아 帝國 出帆 以後 皇帝 配偶者의 公式 作爲命은 皇后( Императрица 임페라트리車 [ * ] )가 되었다. "차리次"라고 하면 女王 일 수도 있고 王妃日 수도 있다. 불가리아와 세르비아에서도 같은 脈絡에서 차리車 爵位가 使用되었다.
  • 체사레비치 (Цесаревич)는 男性 皇位繼承者다. 正式 作爲命은 "後繼者 체사레비치( Наследник Цесаревич 나瑟레드니크 체사레비치 [ * ] )". 러시아語에서 非公式的인 略稱은 "後繼者( Наследник 나瑟레드니크 [ * ] )". 이 때 머리글字 Н은 大文字로 쓴다.
  • 차레비치 (царевич)는 1721年 以前까지 皇帝 또는 女帝의 아들이나 孫子를 가리키던 말이다. 1721年 以後로는 後繼者가 아닌 아들들은 一括的으로 對空 ( Великий Князь 벨리키 크냐즈 [ * ] ) 爵位를 받았다.
  • 차레브나 (царевна)는 1721年 以前까지 皇帝 또는 女帝의 딸이나 孫女를 가리키던 말이다. 1721年 以後로는 一括的으로 餘臺공( Великая Княгиня 벨리카野 크냐기냐 [ * ] ) 爵位를 받았다.
  • 체사레브나 (Цесаревна)는 체사레備置의 아내, 卽 太子妃다.

參考 資料 [ 編輯 ]

  1. “Online Etymology Dictionary” . 《etymonline.com》.  
  2. Ср?ан Пириватри?. Самуилова држава . Београд, 1997.
  3. Innocentii pp. III epistolae ad Bulgariae historiam spectantes . Recensuit et explicavit Iv. Dujcev. Sofia, 1942.
  4. Найден Геров. 1895?1904. Речник на блъгарский язик. (the entry on цар in Naiden Gerov 's Dictionary of the Bulgarian Language )
  5. Wladimir Vodoff. Remarques sur la valeur du terme "czar" applique aux princes russes avant le milieu du 15e siecle , in "Oxford Slavonic Series", new series, vol. XI.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6. A.V. Soloviev. "Reges" et "Regnum Russiae" au moyen age , in "Byzantion", t. XXXVI. Bruxelles, 1966.
  7. "Den Titel aines Khaisers, wiewol Er alle seine Brief nur Reissisch schreibt, darinn Er sich Czar nent, so schickht Er gemaincklich Lateinische Copeyen darmit oder darinn, und an stat des Czar setzen sy Imperator, den wir Teutsch Khaiser nennen".
  8. Ostrowski, D. (2002) Muscovy and the Mongols: Cross-Cultural Influences on the Steppe Frontier, 1304-1589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78
  9. Lehtovirta, J. “The Use of Titles in Herberstein's "Commentarii". Was the Muscovite Tsar a King or an Emperor?” in K?mpfer, F. and Fr?tschner, R. (eds.) (2002) 450 Jahre Sigismund von Herbersteins Rerum Moscoviticarum Commentarii 1549-1999 , Harrassowitz Verlag, pps. 196-198
  10. "Kayser vnnd Herscher aller Rewssen und Groszfurste zu Wolodimer" in the German text of Maximilian's letter; "Imperator et Dominator universorum Rhutenorum et Magnus Princeps Valadomerorum" in the Latin copy. Vasily III responded by referring to Maximilian as "Maximiliano Dei gratia Electo Romanorum Caesare", i.e., "Roman Caesar". Maximilian's letter was of great importance to Ivan the Terrible and Peter the Great , when they wished to back up their titles of "tsar" and "emperor", respectively. Both monarchs demonstrated the letter to foreign ambassadors; Peter even referred to it when he proclaimed himself Emperor.
  11. "Et ainsi retiennent le nom de Zar comme plus autentique, duquel nom il pleut iadis a Dieu d'honorer David, Salomon et autres regnans sur la maison de Iuda et Israel, disent-ils, et que ces mots Tsisar et Krol n'est que invention humaine, lequel nom quelqu'un s'est acquis par beaux faits d'armes".
  12. The Present State of Russia, in a Letter to a Friend at London. Written by an Eminent Person residing at Great Tzars Court at Mosco for the space of nine years . 2nd ed. London, 1671. Pages 54?55.
  13. “Wladyslaw IV Vasa - biography - king of Poland” . 《Encyclopædia Britannica》.  
  14. Boris Uspensky . Царь и император: помазание на трон и семантика монарших титулов . Moscow: Языки русской культуры, 2000. ISBN   5-7859-0145-5 . Pages 48?52.
  15. “The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a entry on Tsar” . 2020年 9月 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7月 27日에 確認함 .  
  16. “The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a entry on The Kingdom of Poland” . 2006年 9月 2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6年 7月 27日에 確認함 .  
  • Michael and Natasha, The Life and love of the Last Tsar of Russia , Rosemary & Donald Crawford, Weidenfeld & Nicholson, London 1997. ISBN   0-297-81836-8
  • George Ostrogorsky , "Avtokrator i samodr?ac", Glas Srpske kraljevske akadamije CLXIV, Drugi razdred 84 (1935), 95-187
  • John V.A. Fine, Jr., The Early Medieval Balkans , Ann Arbor, 1983
  • John V.A. Fine, Jr., The Late Medieval Balkans , Ann Arbor, 1987
  • Robert O. Crummey, The Formation of Muscovy 1304?1613 , New York, 1987
  • David Warnes, Chronicle of the Russian Tsars , London, 1999
  • Matthew Lang (Editor), The Chronicle - $10 Very Cheap , Sydney, 2009/10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