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경자·박서보·朴壽根…時代를 밝힌 ‘신동아’ 表紙畫의 祕密 [創刊 90周年]|新東亞

천경자·박서보·朴壽根…時代를 밝힌 ‘신동아’ 表紙畫의 祕密 [創刊 90周年]

  • 송화선 記者

    spring@donga.com

    入力 2021-11-01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1964年 復刊號부터 韓國 畫家 作品으로 表紙 裝飾

    • 讀者에겐 ‘先物’, 畫家에겐 ‘機會’

    • 現代美術의 여러 얼굴 담아낸 폭넓은 그릇

    • 1990年代 中盤 雜誌 市場 競爭 激化로 막 내려

    박수근, 박서보, 천경자 화백 작품으로 제작한 ‘신동아’ 표지(왼쪽부터).

    朴壽根, 朴栖甫, 千鏡子 畫伯 作品으로 製作한 ‘신동아’ 表紙(왼쪽부터).

    1964年 9月 復刊한 ‘신동아’는 丹楓을 聯想시키는 붉은 背景에 탐스러운 밤송이가 登場하는 標識로 많은 이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신동아는 日帝强占期인 1931年 11月 創刊한 後 채 5年이 되기 前인 1936年 9月號를 마지막으로 폐간당했다. 그해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優勝者 손기정 選手 寫眞을 揭載하면서 가슴의 日章旗를 削除한 이른바 ‘日章旗 抹消事件’ 餘波였다.

    以後 꼭 28年 만에 이뤄진 新東亞 復刊은 言論·出版界를 넘어 社會 全般의 큰 關心事였다. 서슬 퍼런 時代에도 할 말은 했던 媒體가 1960年代 中盤 韓國 政治 現實에 對해 어떤 記事를 쏟아낼지 눈 부릅뜨고 지켜보는 이가 많았다. 그러나 新東亞 表紙는 世間의 떠들썩한 關心에 아무런 答도 하지 않았다. 오직 金炳基 한국미술협회 理事長의 西洋畫 한 點을 선보였을 뿐이다. 이 表紙에서 題號를 除外하면 글씨라고는 發行處 ‘동아일보사’ 이름과 ‘復刊特大號’라는 작은 案內文이 全部다.

    冊張을 들추면 힘써 準備했을 記事가 가득하다. 當時 신동아는 “戒嚴은 解除되었으나”라는 特輯을 통해 政權의 “法秩序 破壞” 行態와 “學院감放火 妄想” 等을 날카롭게 批判했다. ‘韓國 民主主義의 費用’이라는 副題가 붙은 200張 分量 ‘政治資金’ 特輯도 실었다. 政治學 敎授 出身 신상초 前 議員의 自轉 手記 ‘日軍(日軍) 脫出記’ 等 읽을거리도 豐盛했다. 그러나 이런 記事를 表紙 前面에 紹介하는 代身, 따뜻한 그림 한 張으로 代身했다.

    1964년 9월 출간된 ‘신동아’ 복간호 표지.

    1964年 9月 出刊된 ‘신동아’ 復刊號 表紙.

    讀者에겐 膳物, 畫家에겐 機會

    言論學 硏究者인 정진석 한국외국어대 名譽敎授는 復刊 當時 신동아 主幹을 맡은 천관우 前 동아일보 編輯局長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고 한다. “新東亞를 論說 스타일 正論 雜誌보다는 主張과 意見을 담으면서도 부드러움을 갖춰 讀者가 親近感을 느끼는 雜誌로 製作하려 한다.”



    復刊號 新東亞 表紙는 이런 方向을 分明히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以後 ‘신동아’는 1996年 9月號까지 32年 동안 表紙를 통해 每달 한 篇씩 아름다운 美術 作品을 讀者에게 膳物했다. 國內 著名 畫家들이 오직 新東亞만을 위해 完成한 명화였다.

    디지털 파일 電送 技術이 없던 時節이라 作品은 모두 人便으로 주고받았다. 新東亞 記者들이 火가 作業室을 訪問해 그림을 傳達받을 때가 많았다. 畫家들에게는 所定의 火料(?料)도 支給했다. 번거로운 過程인 데다 每달 적잖은 費用까지 發生했지만, 신동아는 이 製作 方式을 꾸준히 이어갔다. 그 背景엔 東亞日報 斜視(社是) 가운데 하나인 ‘文化主義’가 있다는 分析이 많다.

    ‘東亞日報’는 1920年 ①民族의 表現機關임을 自任(自任)艦 ②民主主義를 支持함 ③文化主義를 提唱함 等 세 가지 精神을 宣布하며 創刊했다. 以後 言論自由와 民主主義 外에 社會 全般의 文化 力量을 키우는 데도 앞장섰다. 美術 分野에도 각별한 關心을 기울였다. 최열 美術評論家는 “동아일보는 日帝强占期부터 國內外 美術 行事를 比重 있게 報道하고, 紙面을 통해 美術 理論 形成을 위한 다양한 論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왔다”고 分析했다.

    그 努力이 新東亞 表紙畫 揭載로도 이어졌다. 當時 신동아는 復刊號 初版이 이틀 만에 賣盡되고, 다시 찍은 裁判 또한 3日 만에 다 팔려나갈 만큼 大衆的 人氣가 높았다. 그 ‘얼굴’을 캔버스로 提供하는 것은 讀者뿐 아니라 畫家들에게도 機會이자 膳物이었다. 復刊 첫 號 表紙를 擔當한 金炳基 畫伯은 後날 該當 作品에 對해 “세 次例나 다시 그린 끝에 完成했다”고 回顧했다.

    現代美術의 여러 얼굴 담아낸 폭넓은 그릇

    신동아는 作品化 製作을 依賴한 뒤엔 自律權을 最大限 保障함으로써 畫家들이 마음껏 藝術魂을 펼치도록 했다. 30年 넘게 이어진 新東亞 表紙畫 흐름을 分析한 일민미술관은 그 特徵으로 ‘悠然함’을 꼽았다.

    “신동아의 柔軟한 表紙欄은 韓國 現代美術 大部分을 담아내고 있다. 作家 特有의 個性을 統制하지 않음으로써, 作家들의 藝術性까지 담아내는 그릇이 된 것이다.”

    1988年과 1996年 두 次例 新東亞 表紙化를 그린 西洋畫家 황주리 氏는 “젊은 作家 時節 그 要請을 받고 時代精神을 反映한 標識를 完成하고자 努力한 記憶이 난다. 當時 신동아는 묵직함이 느껴지는 媒體였고, 많은 先輩 畫家들이 表紙化를 그린 것도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黃 作家의 말처럼 韓國 近·現代 畫壇의 傑出한 作家들이 新東亞 表紙化를 그렸다. 1965年 1月號 表紙 그림은 西洋畫家 손동진 畫伯 作品이었다. 그는 日本 國立도쿄藝術隊와 프랑스 파리國立美術大學에서 工夫한 뒤 韓國 固有의 巫俗性을 살린 作品 世界를 일궈 好評받았다. 國展 招待作家 및 審査委員을 지냈고, 1999年 銀冠文化勳章, 2000年 대한민국예술원上 等을 받은 巨匠이다.

    그해 9月號 表紙는 只今도 大衆的으로 人氣 높은 千鏡子 畫伯의 꽃 그림이 裝飾했다. 千 畫伯은 꽃과 女人을 즐겨 그려 國內 畫壇에 彩色畫 붐을 이끈 先驅者로 꼽히는 人物이다. 1973年 8月號 新東亞 表紙에서는 千 畫伯의 ‘女人像’을 鑑賞할 수 있다.


    ‘신동아’ 1967년 1월호 표지에서는 서세옥 화백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신동아’ 1967年 1月號 表紙에서는 서세옥 畫伯 作品을 鑑賞할 수 있다.

    1966年 3月號 新東亞 表紙를 裝飾한 건 朴栖甫 畫伯 作品이다. 韓國 單色畫를 世界에 알리며 注目을 받고 있는 그의 젊은 時節 畫風을 鑑賞할 수 있다. 1967年 1月號 表紙畫의 主人公은 서세옥 和白이다. 1960年代 水墨 抽象으로 韓國畫의 現代化를 先導했으며, 26歲에 서울대 美大 敎授, 32歲에 國展 審査委員이 됐을 만큼 일찍부터 國內 畫壇의 中心에 섰던 人物이다.

    ‘韓國人이 사랑하는 畫家’를 擧論할 때면 늘 첫손에 꼽히는 西洋畫家 朴壽根의 그림도 1968年 4月號 新東亞 表紙에서 만날 수 있다. ‘제비’라는 題目의 이 作品에는 朴 畫伯 特有의 마티에르 技法이 鮮明하게 드러나 있다.

    素朴하고 簡潔하면서도 童心이 느껴지는 畫風으로 有名한 張旭鎭 畫伯 作品은 1968年 9月號 新東亞 表紙에 登場한다. 單純한 筆致로 山과 달, 물을 描寫한 이 作品 背景은 그의 畫室이 있던 京畿 南楊州 덕소라고 한다. 그는 作品 完成 後 이런 글을 썼다.

    “나는 天性的으로 서울이 싫다. 서울路 表象되는 文明이 싫은 것이다. 그래서 이곳 韓江이 門턱으로 흐르는 덕소에 畫室을 잡았다. 나는 나를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덕소의 비를, 덕소의 달을, 덕소의 바람을, 덕소의 모든 것을 얘기해 준다.”

    그 아름다움을, 덕소 張 畫伯 畫室에 가지 못한 이들도 新東亞 表紙를 통해 만난 셈이다. 조상호 나남출판 會長은 젊은 時節 가까이하던 新東亞를 돌아보며 “每달 선보이는 表紙畫의 藝術은 내게 또 다른 祝福이었다”고 한 바 있다. 많은 이의 사랑을 받은 新東亞 表紙畫는 1990年代 雜誌市場 競爭이 熾烈해지고, 記事 題目을 表紙에 내세워 讀者 눈길을 끄는 마케팅 方法이 盛行하며 幕을 내렸다. 그러나 한 時代를 風靡한 巨匠들의 作品은 新東亞 캔버스에 담겨 고스란히 남았다.

    #表紙畫 #朴壽根 #천경자 #캔버스 #新東亞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