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헌황귀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순헌황귀비 嚴氏
純獻皇貴妃 嚴氏
大韓帝國 高宗의 後宮
身上情報
出生日 1854年 1月 21日 ( 1854-01-21 )
出生地 朝鮮 漢城府 西小門房
死亡日 1911年 7月 20日 ( 1911-07-20 ) (57歲)
死亡地 京城府 德壽宮 함녕전
父親 엄진三
母親 密陽 朴氏
配偶者 高宗
子女 英親王 이은 (義民皇太子)
陵墓 永徽園 (永徽園)
서울特別市 東大門區 홍릉로90

순헌황귀비 嚴氏 (純獻皇貴妃 嚴氏, 1854年 1月 21日 (陰曆 1月 5日 ) ~ 1911年 7月 20日 )는 大韓帝國 高宗 의 後宮이다. 大韓帝國의 마지막 皇太子인 醫민태자 (英親王)의 어머니이다. 楊汀高等學校 , 진명女子高等學校 , 淑明女子大學校 의 全身이 되는 養正義塾, 名臣女學校, 진명學院 等을 設立하였다.

生涯 [ 編輯 ]

出生 [ 編輯 ]

1854年 陰曆 1月 5日 / 陽曆 2月 2日 漢城府 西小門房 西小門 에서 平民인 엄진三 (嚴鎭三)의 長女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엄재우(嚴載祐)는 嘉善大夫 好調參判에 贈職되었다가 다시 資憲大夫 議政府參贊에 贈職되었다. 할아버지 엄재우의 贈職은 量 男동생 엄준원 의 出世로 追贈된 職位이고, 아버지 엄진삼의 職責인 議政府 贊政은 事後 贈職 된 것이다. 그의 큰아버지인 엄진일 은 高宗 秒에 武官으로 昌德宮 胃臟을 歷任하기도 했다.

尹孝貞 에 依하면 엄귀비의 親庭아버지 엄진삼은 鍾路 肉煎거리에서 장사를 했다고도 한다. [1] 집안이 貧寒하였던 그女는 1861年 1月, 나이 8歲 때에 宮女가 되어 入闕하였고, 景福宮 의 나인으로 配置되었다.

아버지 엄진삼에게는 오빠 엄봉원, 嚴學院이 일찍 죽은 뒤 아들이 없었으므로 큰아버지 엄진일의 아들이자 그의 四寸男동생人 엄준원 이 아버지의 養子가 되었기에 진명學院( 진명女子高等學校 )의 創立者인 엄준원 은 그의 兩 男동생인 셈이다. 뒤에 다시 엄준원의 아들 中 한名인 엄주명은 엄봉원의 養子가 되었다.

入闕 初期 [ 編輯 ]

高宗 皇帝의 御眞

1882年 壬午軍亂 當時 명성황후 가 失踪되자 그는 高宗을 至極 精誠으로 輔弼하여 그 功으로 至密尙宮이 되었다. [1] 以後 명성황후 의 示威尙宮(侍衛尙宮)으로 있었으며, 명성황후 生前인 1885年 32歲에 高宗 의 承恩을 입었다가 명성황후 에게 發覺되면서 宮闕에서 쫓겨났다.

명성황후 에 依해 大闕에서 쫓겨날 當時 엄귀비는 尙宮 職을 박탈당하고 西人이 되게 하였으나 當時 代身 윤용선 이 高宗에게 懇曲하게 말하여 西人만은 면하게 되었다. [1] 後에 엄귀비는 윤용선의 恩惠를 늘 잊지 않고 있다가 純宗 의 繼妃를 揀擇할 때 윤용선의 孫女를 推薦하였다. 1895年 10月 8日 乙未事變 以後 다시 入闕하여 高宗 의 寵愛를 받았다. 俄館播遷 때는 高宗을 모시고 러시아 公使館에서 같이 生活하였으며, 1897年 皇子 은(垠, 醫민태자 )을 낳고 이틀 後 正式으로 貴人에 封爵되었다. 以後 순빈, 楯鼻로 次例로 進封되었고, 나중에는 黃貴妃로 封해졌다. 이준용 日本 亡命 直後부터 嚴尙宮의 빈 冊封을 反對하고 나섰다. 이어 高宗 명성황후 의 빈자리를 代替할 人物로 嚴尙宮을 擇하고 그를 皇后로 格上시키려 試圖한다. 그러나 이준용은 亡命 韓人들에게 이를 알리며 反對 運動을 準備한다.

이준용과의 葛藤과 빈 冊封 [ 編輯 ]

1899年 4月 이준용 日本 亡命客들이 벌인 嚴尙宮의 皇后冊封에 對한 反對運動에 加擔하였다. [2] 그는 유길준 , 권동진 , 조중응 및 其他 2~3人과 함께 論議한 結果 身分이 낮은 嚴尙宮을 皇后로 삼는 것은 國家를 위태롭게 하는 措置라는 理由를 들어 嚴尙宮의 皇后 冊封을 反對할 것을 決意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意思를 담아 宮內府 代身 이재순 에게 忠告書를 보내기로 하였다. [2] 이준용은 嚴尙宮의 出身 成分이 寒微하다는 理由로, 王室의 威信에 關聯된 問題라며 嚴尙宮의 皇后 冊封을 反對하였다.

映宣群 이준용
(潛在的 王位繼承權者였던 그는 英親王의 存在를 부담스러워했다.)

또한 이준용은 아버지 興親王 에게 書翰을 보내 嚴尙宮 같은 微賤한 小生이 皇帝의 寵愛를 얻은 것을 奇貨로 奸臣輩들이 벼슬을 얻기 위해 嚴尙宮을 皇后로 冊封하려 祈禱하고 있으니, 이러한 때에 皇室에 관계된 이들은 反對意思를 分明히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처럼 이준용이 嚴尙宮의 皇后 冊封 反對運動을 積極的으로 벌인 것은 [2] 嚴尙宮이 自身의 아들 皇子 이은 의 權力 承繼를 위해 日本 에 亡命中인 이준용과 李堈 等을 極力 排斥하였기 때문이다. [3] 그러나 이런 處地에서 이준용의 嚴尙宮 皇后 冊封 反對運動은 도리어 그의 身邊에 威脅 要因으로 作用할 수밖에 없었다. [3]

嚴尙宮과 그의 側近들은 高宗 에게 이준용이 다른 마음을 품고 있다고 告했고, 명성황후 의 暗殺에 이준용이 介入되었다고 確信하던 高宗은 이준용 除去를 決心한다.

순헌황귀비 洋裝 寫眞

이준용 의 强한 反對와 國內 宗親들의 反對에도 不拘하고 아들 銀의 出産 直後 尙宮에서 貴人 (貴人)李 되고 1900年 순빈이 되었다. 1901年 에 비(妃)로 進封되고, 1903年 에는 黃貴妃(皇貴妃)로 冊封되었다.

아들 銀의 皇太子 推戴 努力 [ 編輯 ]

純宗 에게 아들이 없었고 그가 엄청 病弱했기에 엄귀비는 自身의 아들 皇子 은 皇太子 로 올릴 計劃을 세운다. 그러나 이를 안 의친왕 이 反撥하면서 의친왕 過度 葛藤하게 된다

1907年 8月 17日 太皇帝 高宗 은 後嗣가 없는 純宗 의 皇太子로 英親王 이은 을 決定하였다. [4] [5] 이는 自身의 王位를 繼續 威脅했던 이준용 [6] 李堈을 牽制하려는 高宗의 意圖와 이준용波와 이강파가 得勢하면 自身의 實權이 蠶食될 것을 憂慮한 이완용 의 政略이 맞아떨어진 結果였다. [7] 이로써 長期間 海外 亡命生活 中에 끊임없이 潛在的 王位繼承者로서 待遇와 注目과 牽制를 받아왔던 이준용 은 順從의 四寸兄으로 , 이강은 皇太子 의 叔父라는 地位로 바뀐다. [7]

生涯 後半 [ 編輯 ]

아들 英親王 純宗 의 太子로 만드는 데는 成功하였으나 英親王 이토 히로부미 가 自身이 皇太子 師傅(師父)라는 名目 下에 日本 으로 人質로 데려갔다. 아들 英親王 日本 士官學校 에서 고된 訓鍊을 받는 途中 點心을 주먹밥으로 먹는 場面을 撮影한 필름을 보게 되었는데, 이를 보고 哀痛해하다가 먹던 떡이 急滯하기도 했다 한다.

1910年 庚戌國恥 以後 貴妃로 불렸다.

1905年 養正義塾 (現 楊汀高等學校)을, 1906年 진명여학교 (現 진명女子高等學校 )와 名臣女學校 (現 淑明女子大學校 )를 세웠다. 1911年 7月 장티푸스 에 걸려 苦生하다가 結局 7月 20日 德壽宮 함녕전(咸寧殿)에서 享年 57歲를 一期로 世上을 떠났다 [8] . 當時 그의 아들 英親王 은 日本에 滯留中이었다.

死亡 後 純宗 에게 斜視 格인 '巡헌'이란 諡號를 받았다.

事後 [ 編輯 ]

洋酒 천수산(天秀山)에 安葬되었고 廟號는 永徽園 이라 하였다. 後에 그女의 生前에 얼굴을 못본 長孫 李瑱 이 갑자기 毒殺당하면서 그女의 墓所 건너便에 安葬되었다.

位牌는 七宮에 追加로 奉安되었다.

家族 關係 [ 編輯 ]

 
   大韓帝國의 後宮   
 

순헌황귀비 嚴氏
純獻皇貴妃 嚴氏
 
出生
 
1854年 1月 21日 ( 陰曆 1月 5日 )
조선 朝鮮 漢城府 西小門房
死亡 1911年 7月 20日 (57歲)
일제강점기의 기 日帝强占期 京城府    
   德壽宮 함녕전

父母 [ 編輯 ]

本館 生沒年 父母 備考
  部   엄진三 嚴鎭三 寧越 1812年 - 1879年 엄재우 嚴載祐
谷山 延氏 谷山 延氏
密陽 朴氏 密陽 朴氏 密陽 1824年 - 1895年 박치순 朴致淳
-

夫君 [ 編輯 ]

朝鮮 第26代 國王

   大韓帝國의 初代 皇帝   


高宗 太皇帝
高宗 太皇帝
出生  
1852年 9月 8日
조선의 기 朝鮮 漢城府 雲峴宮 私邸
 
死亡 1919年 1月 21日 (66歲)
일제강점기의 기 日帝强占期 京城府    
   德壽宮 함녕전

子女 [ 編輯 ]

爵號 이름 生沒年 配偶者 備考
長男
義民皇太子 懿愍皇太子
英親王 英親王
은 垠 1897年 - 1970年
義民皇太子妃 이방자
懿愍皇太子妃 李方子
大韓帝國의 마지막 皇太子

關聯 作品 [ 編輯 ]

映畫 [ 編輯 ]

TV 드라마 [ 編輯 ]

關聯 文化財 [ 編輯 ]

기타 [ 編輯 ]

女性 敎育 文盲 脫出을 主張하던 改新敎 宣敎師 들의 見解에 깊이 共感한 그는 1905年 養正義塾 (現 楊汀高等學校 )을, 1906年 진명여학교 (現 진명女子高等學校 )와 名臣女學校 (現 淑明女子大學校 )를 設立하는 데 後援하였다. 또한 梨花學堂 배재學堂 에도 定期的으로 後援金을 보내 學生들에게 奬學金 으로 支給하게 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尹孝貞, 《大韓帝國아 亡해라》(박광희 國譯, 茶山草堂, 2010) 337페이지
  2. 오영섭 《韓國 近現代史를 수놓은 人物들(1)》(오영섭 저, 한영희 發行, 2007.4, 京仁文化史) 327쪽.
  3. 오영섭 《韓國 近現代史를 수놓은 人物들(1)》(오영섭 저, 한영희 發行, 2007.4, 京仁文化史) 328쪽.
  4. 國史編纂委員會, 《高宗時代社 6》 (國史編纂委員會, 1969) 635
  5. 國史編纂委員會, 《高宗時代社 6》 (國史編纂委員會, 1969) 641
  6. 오영섭 《韓國 近現代史를 수놓은 人物들(1)》(오영섭 저, 한영희 發行, 2007.4, 京仁文化史) 333쪽
  7. 오영섭 《韓國 近現代史를 수놓은 人物들(1)》(오영섭 저, 한영희 發行, 2007.4, 京仁文化史) 334쪽
  8. 사흘 後인 7月 23日 喪을 치르기 위해 아들 은(垠)이 歸國하였을 때, 日帝는 衛生上의 危險이 있다는 理由로 그의 함녕전 接近을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