窓빈 安氏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窓빈 安氏
昌嬪 安氏
창빈 안씨 묘
窓빈 安氏 墓
朝鮮 中宗의 後宮
身上情報
出生日 1499年 7月 27日 ( 1499-07-27 ) (陰曆)
出生地 朝鮮 京畿道 衿川
死亡日 1549年 10月 18日 ( 1549-10-18 ) (50歲) (陰曆)
父親 안탄대
母親 貞敬夫人 黃氏
配偶者 中宗
子女 2男 1女 (3男 1女)
英陽郡 , 精神翁主 , 덕흥大院君 ,
王子 이이수(漕卒)
陵墓 窓빈 安氏 墓域 ( 국립서울현충원 )
서울特別市 銅雀區 銅雀洞 299-10

窓빈 安氏 (昌嬪 安氏, 1499年 9月 11日 ( 陰曆 7月 27日 ) ~ 1549年 11月 17日 ( 陰曆 10月 18日 )는 朝鮮 中宗 의 後宮이다. 덕흥大院君 의 生母이자 宣祖 의 할머니이다. 本貫은 安山 (安山)이다.

生涯 [ 編輯 ]

親庭아버지 안탄대는 1506年 中宗反正 에 參與한 功勞로 政局 原從功臣 에 참錄되었고. 品階는 情7品 迪順副尉에 이르었다. 死後에는 議政府 右議政으로 追贈되었다.

窓빈 安氏는 1499年 陰曆 7月 27日 衿川 에서 안탄대 와 黃氏의 딸로 태어나, 1507年(中宗 2)에 內命婦 宮人으로 들어가 諮詢對備를 侍奉하였다. 뛰어난 美貌는 아니었지만 行動이 貞淑하고 參神하여 [1] 諮詢對備 尹氏 의 눈에 들어 大妃의 後援으로 스무 살에 中宗의 承恩을 입어 [1] 後宮이 되었고, 1520年 (中宗 15年)에는 情5品 尙宮에 排水되었다. 1529年 (中宗 24)에는 種4品 宿願 (淑媛)에 올랐으며, 1540年 (中宗 35) 淑容 (淑容)까지 그 地位가 올랐다. [1] 1544年 11月 15日 中宗이 57歲로 昇遐하시자, 3年 服制를 마치고 前例에 따라 人守宮(仁壽宮)에 물어나 居處하기를 請했으나, 平常時 品行이 端正한데다 文定王后 와의 사이도 敦篤하여 特別히 闕에서 머물도록 命하였다. 그 後 1549年(明宗 4) 10月 18日 偶然히 司祭에 갔다가 갑자기 51歲로 졸하였다. 다음 해 3月 8日 楊州 장흥리에 葬事지냈다.

중중과의 膝下에 3男 1女를 두었으며, 英陽郡 을 1521年에 生産하였고, 精神翁主 를 1526年에 낳았다. 그리고 1530年 3月 5日에는 宣祖代王의 아버지가 되는 덕흥군 을 낳았다. 둘째 아들인 履修는 早卒하였으며 生沒年은 未詳이다.

安氏가 죽은 後에도 文定王后는 그女의 子息들을 돌보아 주었고 後嗣 없이 明宗이 世上을 떠나자 明宗費 인순왕후 는 安氏의 子孫인 하성군을 卽位시켰다. [2] 宣祖 以後의 모든 朝鮮 國王은 그女의 後孫들이다. 宣祖는 在位 10年째인 1577年 3月 24日 所用 安氏를 窓빈으로 追封하였는데 實錄에는 다음과 같이 記錄되어 있다.

"안 所用(安昭容)을 빈(嬪)으로 秋捧하고 정세호(鄭世虎)를 領議政으로 追贈하라. 宗廟에 親祭하려 하니 諸般 일을 미리 準備하도록 하라."

參考로, 朝鮮王朝實錄에서는 中宗 22年부터 25年까지 5番에 걸쳐 窓빈(昌嬪)을 安貧(安嬪)으로 記錄한 內容이 確認되는데, 中宗 22年에는 情5品 尙宮에 拜察되었고 中宗24年에는 宿願에 오른 記錄이 있으므로 이는 史官의 失手로 오기재韓 것으로 보인다.

事後 [ 編輯 ]

1549年 11月 7日 ( 陰曆 10月 18日 )에 죽어 이듬해 3 洋酒 長興 에 묻혔으나 덕흥大院君이 風水家들의 말을 따라 現在의 位置로 移葬을 하였으며, [3] , 京畿道 과천군 상북면 동작리(現 서울市 銅雀區 銅雀洞 44-7番地) 그女의 墓는 動作陵이라는 別稱으로 불렸다. 後에 鄭1品 빈(嬪)으로 다시 복작하여 安貧이라 부르다가 孫子인 宣祖가 1577年 (宣祖 10) 그女를 창빈이란 稱號 로 開封하고 하원군의 後孫으로 하여금 祭祀 를 모시게 했다.

宣祖는 自身이 庶孼 出身이라는 것에 큰 콤플렉스를 가졌다. 1578年 (宣祖 11) 5月 11日 에는 덕흥大院君 祠堂의 이름을 定하는 것을 놓고 討議하던 中, 經筵官 許篈 이 窓빈 安氏를 妾이라고 稱했다가 宣祖는 크게 憤怒하였다.

鋼管(講官) 許篈(許?)李 입시하여 아뢰기를 "名分이 바르지 못하면 말이 順하지 않습니다. 요즘 大院君 祠堂을 일컬어 ‘家廟(家廟)’라 하고 있는데 國家에 어찌 家廟가 있을 수 있겠습니까. ‘隊員墓(大院廟)’라고 하거나, 아니면 ‘社親廟(私親廟)’라고 해야 옳을 것입니다. 그리고 殿下께서 安貧(安嬪)을 우리 조某라고 하시는 것도 亦是 매우 잘못입니다. 비록 大院君이 계시더라도 嫡母(嫡母)에 壓尊(壓尊)되어 敢히 自己 어머니에게 어머니라고 부르지 못하는 法인데, 더구나 殿下께서는 大闕에 들어와 대筒(大統)을 이어받으셨으니 어찌 敢히 조某라고 일컬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 大院君은 諸侯의 別子(別子)로서 百歲토록 옮기지 않는 祠堂이 되었으나 安貧은 바로 睫毛이기 때문에 時調의 祠堂에 들어 갈 수가 없고 다만 事實(私室)에서 祭祀해야 합니다.(名不正則言不順。 今者稱大院君廟曰家廟, 國家安有家廟乎? 只稱大院廟, 或稱私親廟, 可也。 殿下稱安嬪爲我祖, 亦甚非也。 雖大院君在, 亦壓於嫡, 而不敢母其母, 況殿下入承大統, 安敢稱祖乎? 大院君以諸侯別子, 爲百世不遷之廟, 安嬪是妾母, 不可入始祖之廟, 只合祭之私室。)"

하니, 床이 성난 音聲으로 이르기를,

"許篈이 敢히 이런 許多한 이야기를 하는가. 옛사람이 이르기를 ‘말로써 뜻을 해쳐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安貧은 實地로 祖母인데 우리 할머니라고 한다 해서 무엇이 害롭段 말인가. 그리고 家廟라고 한다 해서 또한 무슨 妨害가 되기에 許篈이 敢히 比較하면서 말을 하여 함부로 議論을 만들어 내는가. 나는 그가 무슨 생각을 가지고 그러는지 모르겠다."

瑕疵, 坐像 洪暹(洪暹)李 아뢰기를,

"나이 젊은 사람이라 옛글만을 읽었을 뿐, 實地로 일을 經驗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너무 지나친 論議를 만들어 낸 것입니다. 그러니 賞께서는 모두 包容하셔야 합니다. 萬若 이와 같이 氣를 꺾으신다면 모두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제대로 말하지 않을까 念慮됩니다."

宣祖는 許篈 이 窓빈 安氏를 妾이라고 대놓고 指摘하자(安嬪是妾母) 불같이 火를 냈는데, 左議政 洪暹 이 겨우 辯護하여 宣祖의 瞋怒를 가라앉힌 일도 있다. 諡號는 未詳이다.

1681年 (肅宗 7) 3月 17日 墓碑石이 없어서 1683年(肅宗 9) 12月 吏曹判書 新正이 神道碑門을 짓고, 판돈녕府使 이정영이 楷書로 쓴 뒤, 碑石의 題目은 五衛都摠府 都摠管 이항이 써서 墓所 近處에 세웠다. 神道碑는 1982年 11月 13日 墓所와 함께 서울 有形文化財로 指定되었다.

窓빈 安氏의 墓所는 먼 後날 大韓民國 政府 가 樹立된 以後 국립서울현충원 터가 되었으며 窓빈 安氏의 바로 옆에 朴正熙 육영수 夫婦가 安置되어 있다.

家族 關係 [ 編輯 ]

本家 安山 安氏(安山 安氏)

  • 아버지 : 안탄대 (安坦大)
  • 어머니 : 貞敬夫人 黃氏(貞敬夫人 黃氏)

王家(王家 : 全州 李氏)

窓빈 安氏가 登場한 作品 [ 編輯 ]

各州 [ 編輯 ]

  1. 이한우, 《왜 朝鮮은 鄭道傳을 버렸는가》 21世紀 북스, 2009, p.116~117, ISBN   9788950918941
  2. 이한우, 《왜 朝鮮은 鄭道傳을 버렸는가》 21世紀 북스, 2009, p.118, ISBN   9788950918941
  3. 이한우, 《왜 朝鮮은 鄭道傳을 버렸는가》 21世紀 북스, 2009, p.119, ISBN   9788950918941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