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第褐炭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第褐炭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諸葛 탄 (諸葛誕, ? ~ 258年 )은 中國 三國 時代 曺偉 의 政治家로, 公休 (公休)이며 西周 낭야國 양도현(陽都縣) 사람이다. 傳한 事例敎委 第갈風 의 後孫이며, 제갈근 의 從弟이다.

行跡 [ 編輯 ]

이름 第褐炭(諸葛誕)
時代 三國 時代
生沒 ? ~ 甘露 3年( 258 )
公休(公休)
本館 · 出身 西周 낭야國 양도현
官職 상서랑(尙書郞)〔조비〕
→ 衡陽令(滎陽令)〔〕
→ 二部랑(吏部郞)〔〕
→ 御史中丞相서(御史中丞尙書)〔조예〕
→ (免職)〔鑿枘〕
→ 御史中丞相서(복직)〔조방〕
→ 洋酒自社(揚州刺史)
·小巫將軍(昭武將軍)〔助幇〕
→ 振動將軍(鎭東將軍)·佳節(加節)
·都督洋酒第軍事(都督揚州諸軍事)〔助幇〕
→ 振男將軍(鎭南將軍)
·都督裔胄(都督豫州)〔助幇〕
→ 振動大將軍(鎭東大將軍)·儀同三司(儀同三司)
·都督洋酒(都督揚州)〔祖母〕
→ 貞洞大將軍(征東大將軍)〔祖母〕
→ 沙工(司空)〔祖母〕
→ 左道號(左都護)·佳節(加節)
·大使도(大司徒)
·表記將軍(驃騎將軍)
·淸州목(靑州牧)〔손량〕
作爲 山양정후(山陽亭侯)〔助幇〕
→ 考評後(高平侯)〔祖母〕
→ 수春煦(壽春侯)〔손량〕
所屬 조비 造詣 助幇 조某 손량

初期 經歷 [ 編輯 ]

처음에는 상서랑으로써 衡陽領이 되었다. 상서랑日 때, 上書僕射 두기 와 함께 도하에서 皇帝가 탈 배를 試運轉했는데 바람을 만나 둘 다 물에 빠졌다. 號墳이 第褐炭을 救助하려 하자, 第褐炭은 “먼저 蠹朽(杜侯: 두기)를 求하여라!”라고 소리쳤다. 第褐炭은 物價까지 漂流하여, 精神을 잃었으나 살아났으며, 두기는 結局 溺死했다.

中央으로 들어가 이浮浪이 되었다. 人事 囑託이 있거든 그 말을 分明히 드러내고 起用을 承諾했으며, 後에 適當한지 아닌지를 살필 때에는 公開的으로 議論하여 그 사람의 득실로써 褒貶했다. 이로부터 朝廷의 뭇 官僚들은 사람을 薦擧하는 일을 신중하게 하지 않음이 없었다.

자주 昇進하여 御史中丞尙書로 옮겼다. 하후현 (夏侯玄), 騰揚 (鄧?) 等과 서로 親했고, 朝廷에서 名聲이 있었으며, 서울에서 사람들의 稱頌을 받았다. 또 이들과 서로 稱號를 붙여, 하후현 等 네 名을 絲葱, 第褐炭 等 여덟 名을 八達이라 하고, 또 權勢 있는 아버지를 둔 遊戱, 손밀, 偉烈은 삼예라 稱했다.

그러나 命題 는 생각하기를 第褐炭 等은 헛된 名聲으로 孵化하고 있으며, 이러한 虛名과 輕薄한 評價를 내리는 風潮를 싫어하여 저희를 모두 免職시켜 官職에 나가지 못하게 했다.

大悟 戰線 司令官 [ 編輯 ]

마침 命題가 죽었으므로, 定試 元年 第褐炭, 하후현 等은 復職되었다. 第褐炭은 다시 御史中丞尙書가 되었고, 地方으로 나가 洋酒自社가 되었으며 昭武章軍이 더해졌다.

王陵 (王?)李 謀反을 일으키려 하고 四魔의 (司馬懿)가 이를 가만히 討伐瑕疵, 第褐炭은 振動將軍·佳節·都督洋酒第軍士가 되었으며 山양정후에 封해졌다.

加平 4年( 252年 ) 10月, 吳나라 太傅 諸葛角 (諸葛恪)李 동흥 (東興)에 城을 쌓았다.

12月, 魏나라의 實權者 私馬社 (司馬師)는 大大的으로 吳나라를 攻擊하여 왕창 (王昶)에게 南軍을, 毌丘儉 (?丘儉)에게 武昌을 攻擊하게 했고, 第褐炭에게는 戶主 (胡遵) 等과 함께 吳나라가 두 달 前에 세운 동흥을 攻擊하게 했다. 吳나라에서는 諸葛角 을 내세워 이를 막게 했다. 23日, 그러나 軍隊가 한겨울 춥고 눈이 내리는 中 放心하여 술을 마시며 잔치를 즐기다가 吳나라 將帥 정봉 (丁奉)의 攻擊을 받아 先頭 部隊가 격파당했고, 오나라 將帥 여거 等도 到着하여 위의 釜馬며 將軍 落雁태수 換價 (桓嘉), 先鋒將인 한種 (韓綜)을 잃는 等 크게 졌다. 第褐炭이 敗北했다는 말을 듣고 왕창 毌丘儉 은 映彩를 불태우고 逃走하여, 吳나라 征伐은 失敗로 끝났다. 第褐炭은 敗北로 인해 毌丘儉 과 官職이 맞바뀌어 振男將軍·都督예주제군사가 되었다.

庭園 2年( 255年 ) 正月 12日, 毌丘儉 門欠 (文欽)은 私馬氏의 專橫에 憤怒하여 謀反을 일으키고 第褐炭에게 使者를 보내 裔胄의 선비와 百姓을 불렀다. 第褐炭은 獅子를 목 베고 毌丘儉 門欠 이 謀反하였음을 天下에 알렸다. 毌丘儉 門欠 이 격파당한 後 第褐炭은 壽春에 到着했는데, 壽春에 있던 10餘 萬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여 逃走하여 間或 山澤을 떠돌고 間或 吳나라에 投降했다. 閏달 29日, 振動(大)將軍으로 任命되었다. 吳나라 丞相 손준 (孫峻)은 北上하여 19日에 門欠 의 投降을 받아들이고 壽春城을 치려 했으나, 第褐炭이 壽春城에 들어갔다는 消息을 듣고 逃走했다. 第褐炭은 長班 을 派遣하여 이를 追擊하여 2月 12日에 오나라 左將軍 유찬 의 목을 베어 서울로 보내고 引受와 不絶을 손에 넣었다. 考評後에 封해져 食邑 3500號를 받았고, 7月에는 貞洞大將軍으로 轉任되었다.

淮南 3班의 마지막 [ 編輯 ]

第褐炭은 本來 私馬氏의 政敵 하후현 , 騰揚 等과 親했고, 또 私馬氏에게 反旗를 든 王陵 , 毌丘儉 이 모두 3足이 滅해졌으므로 不安하게 여겼다. 그래서 財物을 기울게 하여 恩惠를 베풀어 사람들의 마음을 붙잡았고, 自身이 기르는 사람과 楊州의 經協 數千 名을 自己를 위해 죽을 사람들로 삼아 후히 待遇했다.

甘露 元年( 256年 ), 吳나라의 侵攻 幾微가 있었다. 朝廷에서는 第褐炭의 病魔로 막을 수 있다고 여겼는데, 第褐炭은 10萬 名을 더 請했고, 또 膾下에 臨하여 城을 쌓아 盜賊을 막기를 求해 淮南을 지키고자 했다. 朝廷에서는 第褐炭이 疑心을 품고 있는 것을 알았지만, 오래 된 臣下이므로 朝廷으로 들어오게 하여 處理하려고 했다.

甘露 2年( 257年 ), 沙工으로 임명한다는 文書가 到着했다. 第褐炭은 이에 應하지 않고 叛亂을 일으켜 洋酒自社 惡鍼 (樂?)을 죽였다. 《位塵世魚》에 따르면, 司馬所 (司馬昭)가 執權한 後 가충 (賈充)李 司馬所 에게 4精壯軍을 慰勞하도록 勸하여 가충 自身은 第褐炭에게 갔었다가, 돌아온 後 第褐炭이 民心을 얻고 있으므로 내버려두면 災難이 커질 것을 憂慮하여, 第褐炭을 憤怒하게 하여 速히 行動하게 하도록 勸했다. 그래서 第褐炭은 沙工으로 任命되었다. 第褐炭은 自身이 왕창 보다 먼저 三貢에 오른 것을 怪異하게 여겼으며, 惡鍼 이 兵士를 받게 되었으므로 左右의 數百 名만 거느리고 바로 洋酒로 가 惡鍼 을 죽였다.

《위말戰》에 따르면, 가충 은 第褐炭과 만나 談論하다가, 當時 선양의 輿論이 있는데 어떻게 여기냐며 第褐炭을 떠 보았다. 第褐炭은 가충 을 罵倒하며 自身은 마땅히 위 皇室을 위해 죽겠다고 答했다.

第褐炭은 淮南, 회북의 屯田兵 10餘 萬 明과, 楊州의 身柄 4, 5萬 名을 모으고, 1年分 食糧을 準備하여 城門을 걸어닫고 지켰다. 장사(長史) 烏江 (吳綱)에게 아들 제갈정 (諸葛?)을 吳나라에 人質로 보내어 救援을 請했다. 위나라의 振男將軍 王氣 는 壽春城을 包圍했다.

6月, 皇帝는 親히 恒星에 이르렀고, 司馬所 는 直接 中外 26萬 名을 거느리고 討伐에 나서 回收에 이르렀다. 司馬所 는 구두에 駐屯하고, 왕기와 進去 等은 壽春城을 包圍하게 하고, 減軍 石砲 와 演奏者社 酒태 (州泰) 等은 柳君으로 삼아 外部의 侵入에 對備하게 했다. 壽春은 當初 每해 비가 내려 回收가 넘쳐 恒常 性이 물에 잠겼으므로, 第褐炭은 司馬所 가 包圍網을 쌓는 것을 비웃었다.

當時 오나라 第2代 皇帝 會計王(會稽王) 손량 (孫亮)과 實權者 손鍼 (孫?)은 第褐炭을 左道號·佳節·大使도·표기장군·청주목·수춘후로 任命하고, 門欠 · 門앙 (文鴦) 富者와 當者 (唐咨), 轉役 (全?), 傳單 等에게 3萬의 援軍을 딸려 보냈다. 이 軍隊는 왕기의 包圍網이 完成되기 前에 性에 들어갔다. 또 주이 에게 여러 次例 軍士를 주어 바깥에서 돕게 했다. 그러나 誅夷는 酒태 , 石砲, 好熱 等에게 여러 番 지고, 손鍼 에게 理由 없이 죽었다. 門欠 等은 여러 次例 包圍網을 뚫으려 했으나 失敗했다. 長班과 초이는 곧 손鍼 은 돌아갈 것이므로 아직 사람들이 動搖하지 않을 只今 죽을 覺悟로 攻擊하기를 勸했으나, 門欠 은 버틸 것을 主張하였다. 長班과 초이가 頑强하게 勸하여 門欠 은 火를 내고 第褐炭은 長班 等을 죽이려 했다. 11月, 두 사람은 投降했다.

12月, 司馬所 宗會 (鍾會)의 提案을 받아들여 轉役 의 조카로 過去 위나라에 降伏한 前徽 (全輝)와 全義 (全儀)의 이름으로 便紙를 보내 吳나라가 轉役 을 죽이려 한다고 傳하자 轉役 , 傳單 等 全氏 一族은 모조리 위나라에 降伏했다.

이듬해 正月, 門欠 은 全氏 一族들이 모두 投降했으므로 敵이 防備가 굳세지 않을 이때 싸울 만하다고 했다. 窮地에 몰린 第褐炭, 當者 等은 그렇게 여겨, 門欠 과 함께 數春城 南쪽 包圍를 뚫으려 했으나 失敗했고, 엄청난 被害를 입었으며, 食糧이 떨어져 數萬 名이 城門을 나와 投降했다.

門欠 이 北方 사람들을 내보내 食糧을 아껴 吳나라 사람들과 함께 城을 지키고자 했으나, 第褐炭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元來 第褐炭은 門欠 과 사이가 나빴는데, 事態가 危急해지자 둘은 더욱 서로 疑心을 품어 第褐炭은 門欠 을 죽였다. 아버지의 죽음을 接한 門앙 은 동생 門戶 (文虎)와 함께 城을 넘어 魏나라의 實權者 司馬所 에게 投降했다. 司馬所 에게 管內後 (關內侯)에 封해진 門앙 門戶 와 함께 數春城 周邊을 돌며 降伏을 勸誘했다. 門앙 司馬所 의 兄인 私馬社 의 病을 악화시켜 죽게 만든 人物임을 알고 있던 第褐炭의 兵士들은 그가 벼슬을 받은 것을 보고 크게 動搖했다.

司馬所 의 命令으로 征伐軍이 一切의 攻擊을 하지 않는 동안에도 士氣가 크게 꺾여 위나라에 降伏하는 者가 늘어났다. 이를 본 司馬所 는 2月 20日 總攻擊을 加害 수春城은 陷落됐다. 城이 陷落되던 날 큰 비가 내려, 第褐炭이 무너지리라고 여긴 包圍網은 비로소 무너졌다. 第褐炭은 逃走하다 大將軍 사마 號墳의 部下에게 죽었으며, 第褐炭의 三族은 滅해졌다. 第褐炭 手下에 있던 數百 名은 投降하지 않았으므로 죽었는데, 第褐炭을 위해 죽기를 避하지 않았다.

人物評 [ 編輯 ]

진수 (陳壽)는 “第褐炭은 嚴肅하고 强靭하고 威嚴이 있었다.”고 評하며, 王陵 , 毌丘儉 , 宗會 와 함께 “마음속에 큰 뜻을 품어 禍亂을 생각지 않았으며, 機會를 잡아 變을 일으켜 種族들을 모두 죽게 했으니, 어찌 큰 잘못과 迷惑됨이 아니겠는가!”라고 評했다.

當時 第褐炭 麾下의 數百 名이 第褐炭을 위해 죽었으므로, 사람들은 第褐炭을 전한 時代의 專橫 에 비했다.

家計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出處 [ 編輯 ]

三國志 , 資治通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