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加飯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世尊 에서 넘어옴)

바加飯 ( 산스크리트語 : ?????? , 팔리어 : bhagav? )은 宗敎的 崇拜 對象을 나타내는데 使用되는 印度 宗敎 內의 別稱이다. 힌두敎에서는 이나 化身 , 特히 비슈누파 비슈누 크리슈나 , 시바파 시바 , 샤크티派 두르가 또는 마하데비 를 나타내는데 使用된다. [1] [2] 자이나교 에서 이 用語는 티르탕카라 , 特히 마하비라 를 가리키며 佛敎 에서는 붓다 를 가리킨다. [3]

印度와 南아시아 의 많은 地域에서 바加飯은 靈的이며 宗敎的이지만 特定 神을 崇拜하지 않는 힌두敎徒 에게 普遍的인 神의 抽象的 槪念을 나타낸다. [1]

바크티 學校 文獻에서 이 用語는 一般的으로 祈禱 를 드리는 모든 神에게 使用된다. 特定 신은 種種 헌애者의 唯一한 바加飯이다. [2] 바가半에 該當하는 女性은 婆伽婆티 이다. [4] [5] 一部 힌두敎徒에게 바加飯이라는 單語는 抽象的이고 性別이 없는 神의 槪念이다.

佛經 에서 이 用語는 고타마 싯다르타 를 指稱하는데 使用되며 그를 婆伽婆 또는 바加飯(世尊)이라고 한다. [6] [7] 바加飯이라는 用語는 上座部 佛敎 , 大乘 佛敎 密敎 텍스트에서도 發見된다. [8] [9]

어원 [ 編輯 ]

산스크리트語 婆伽婆트 ( bhagavat )는 元來는 "바加飯( Bhagavan : 週, Lord , 하느님 , God )에 關聯된 (pertaining to Bhagavan)"이라는 뜻의 힌두敎 用語인 산스크리트語 婆伽婆打 ( bh?gavata )에서 由來한 말이며 또한 같은 말인데, 佛敎圈에서는 婆伽婆打 ( bh?gavata )라고 表記하지 않고 佛敎的인 槪念을 담아서 婆伽婆트 ( bhagavat )라고 表記한다는 見解가 있다. [10] [11]

하지만, 모니어 윌리엄스 의 《산스크리트語-英語 辭典》에 따르면, 婆伽婆打 ( bh?gavata )의 뜻이 오히려 ' 비슈누 크리슈나 等의 婆伽婆트 에 關聯된 또는 婆伽婆트 로부터 온 (relating to or coming from Bhagavat i.e. Vishnu or Krishna)'이라는 뜻이다. [12] 그리고 婆伽婆트(Bhagavat)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13]

  1. 財産  · 幸運  · 繁榮  · 幸福을 가진 (possessing fortune , fortunate , prosperous , happy)
  2. 눈부시도록 빛나는, 著名한, 神聖(神性)韓, 敬拜할 만한, 恭敬할 만한 (glorious, illustrious, divine, adorable, venerable)
  3. (   · 返信 또는 成人 에 適用되는 意味로) 聖스러운, 神聖(神聖)韓 (holy [applied to gods, demigods, and saints as a term of address, either in voc. bhagavan, bhagavas, bhagos])
  4. 佛敎 經典의 題目에 흔히 붙는 성스러움의 뜻의 接頭語 (with Buddhists often prefixed to the titles of their sacred writings)
  5. 비슈누 , 크리슈나 等의 神 또는 敬拜할 存在 (the divine or adorable one of Vishnu-Krishna Bhag. BhP.)
  6. 部處 또는 菩薩 또는 자이나교 의 깨달은 者(a Buddha or a Bodhi-sattva or a Jina Buddh)

힌두敎 [ 編輯 ]

佛敎 [ 編輯 ]

佛敎에서 바加飯은 고타마 붓다 를 비롯한 부처의 地位 證得 限 이를 稱하는 呼稱 가운데 하나이다. [14] [15] 薄伽梵 (薄伽梵)  · 朴아범 (薄阿梵)  · 바家範 (婆伽梵)  · 바加飯 (婆伽伴)  · 바아부저 (婆??底)  · 바아副題 (婆??帝) 또는 朴哥發題 (薄伽跋帝)라고도 音譯한다. [16] [17]

이러한 呼稱을 '모든 部處 또는 如來에게 通用되는 呼稱' 卽 部處의 다른 名稱 이라는 뜻에서 傳統的인 用語로 諸佛通好 (諸佛通號)라고 한다. 諸佛通好는 部處 또는 如來 에 對한 特定한 10가지 呼稱인 如來10號 (如來十號)를 包含하는 槪念이다. [14] 婆伽婆의 原語인 산스크리트語 婆伽婆트 (bhagavat)는 世尊 (世尊)이라고도 意譯되는데, 이 때의 婆伽婆는 如來10號 에 屬한다. 佛敎 經典과 論書들에서 고타마 붓다 는 아주 흔히 世尊 이라 呼稱되고 있다. [18] [19]

用水 의 《 大智度論 》 第2卷에 따르면 婆伽婆에 다음의 4가지 뜻이 있다.

  1. 有德 (有德): 이 있음 [20] [21]
  2. 分別敎 (分別巧): 을 잘 分別함 [22] [23]
  3. 유명성 (有名聲): 名聲이 있음 [24] [25]
  4. 凌波 (能破): 3독 (三毒)을 깨뜨림에 있어 能함 [26] [27]

世尊과 婆伽婆 [ 編輯 ]

婆伽婆의 原語인 산스크리트語 婆伽婆트 (bhagavat)를 비롯하여 로카나타 (loka-n?tha, 世主)  · 로카즈예스타 (loka-jyestha, 世中最尊者) 等의 많은 名稱이 모두 世尊 (世尊)이라고 意譯되기도 하는데, 世尊 如來10號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婆伽婆의 뜻을 世尊 이라고 볼 境遇에 婆伽婆는 如來10號 에 屬한다. [18] [19]

大智度論 》 第2卷에서는 婆伽婆(婆伽婆)의 代表的인 意譯은 有德 (有德)이며 로카나타 (loka-n?tha, 路迦那他, 盧哥나타)의 意譯이 世尊 (世尊)인 것으로 말하여 둘을 區分하고 있다. [28] [29]

世尊 은 온갖 功德을 圓滿히 갖추어 世間 을 利益케 하고 世間 에서 尊重을 받으므로 世尊이라 하고, 또한 世上에서 가장 높다는 뜻에서 世尊이라 한다. 佛敎 經典과 論書들에서 고타마 붓다 는 아주 흔히 世尊 이라 呼稱되고 있다. [18] [19]

婆伽婆의 4가지 뜻 [ 編輯 ]

有德 [ 編輯 ]

大智度論 》 第2卷에 따르면, 婆伽婆(婆伽婆, bhagavat)에는 有德 (有德)의 뜻이 있다.

有德(有德)은 이 있음을 말한다.

分別敎 [ 編輯 ]

大智度論 》 第2卷에 따르면, 婆伽婆(婆伽婆, bhagavat)에는 分別敎 (分別巧)의 뜻이 있다.

分別敎(分別巧) 모든 의 總狀(總相: 全體的인 모습)과 별상(別相: 個別的인 모습)을 잘 分別하는 것을 말한다.

유명성 [ 編輯 ]

大智度論 》 第2卷에 따르면, 婆伽婆(婆伽婆, bhagavat)에는 유명성 (有名聲)의 뜻이 있다.

유명성(有名聲)은 名聲이 있다는 것으로, 單純히 有名하다 또는 名聲이 높다는 뜻은 아니다. 《 大智度論 》에 따르면, 轉輪聖王 (轉輪聖王)  · 인드라 (釋, Indra)  · 브라흐마 (梵, Brahm?)  · 로카팔라 (護世, Lokap?la ) 等도 名聲이 있지만 部處 의 名聲은 이들보다 더 높은데 그 理由는 部處 에게는 (結) 卽 煩惱 가 없기 때문이다.

凌波 [ 編輯 ]

大智度論 》 第2卷에 따르면, 婆伽婆(婆伽婆, bhagavat)에는 凌波 (能破)의 뜻이 있다.

凌波(能破)는 (?: 淫慾)  · (怒: 성냄)  · (癡: 어리석음)의 3독 (三毒), 卽 (貪)  · (瞋)  · (癡)의 불善根 을 깨뜨림에 있어 能하다는 것을 말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追加 資料 [ 編輯 ]

各州 [ 編輯 ]

  1. James Lochtefeld (2000), "Bhagavan",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Vol. 1: A?M, Rosen Publishing. ISBN   978-0823931798 , page 94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james"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2. Friedhelm Hardy (1990), The World's Religions: The Religions of Asia, Routledge, ISBN   978-0415058155 , pages 79-83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friha"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3. Buswell, Robert E.; Lopez, Donald S. (2014).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8쪽.  
  4. Friedhelm Hardy (1990), The World's Religions: The Religions of Asia, Routledge, ISBN   978-0415058155 , page 84
  5. Sarah Caldwell (1998), Bhagavati, in Devi: Goddesses of India (Editors: John Stratton Hawley, Donna Marie Wulff),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912 , pages 195-198
  6. The latter term preferred by Bhikkhu Bodhi in his English translations of the Pali Canon
  7. Ju-Hyung Rhi (1994), From Bodhisattva to Buddha: The Beginning of Iconic Representation in Buddhist Art , Artibus Asiae, Vol. 54, No. 3/4, pages 207-225
  8. John Campbell (2009), Vajra hermeneutics: A study of Vajrayana scholasticism in the "Pradipoddyotana" , PhD Thesis accepted by Columbia University (Advisor: Robert Thurman), page 355

    Christian K. Wedemeyer, Aryadeva's Lamp that Integrates the Practices (Caryamelapakapradlpa): The Gradual Path of Vajraydna Buddhism According to the Esoteric Community Noble Tradition, ed. Robert A. F. Thurman, Treasury of the Buddhist Sciences series (New York: The American Institute of Buddhist Studies at Columbia University, 2007), ISBN   978-0975373453
  9. Peter Harvey, Buddhism, Bloomsbury Academic, ISBN   978-0826453501 , page 4
  10. “The Newly Discovered Three Sets Of Svetaka Gangacopper Plates” (PDF) . 2009年 3月 4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4月 20日에 確認함 .  
  11. Kielhorn, F. (1908). “Bhagavats, Tatrabhavat, and Devanampriya” . 《Journal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502?505. 2011年 5月 20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4月 20日에 確認함 .  
  12.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 " bhagavata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bhagavata: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bhAgavata see s.v.
    2 (mwd) bhAgavata mf(%{I})n. (fr. %{bhaga-vat}) relating to or coming from Bhagavat i.e. Vishn2u or Kr2ishn2a , holy , sacred , divine MBh. Hariv. Pur. ; m. a follower or worshipper of BhnBhagavati or Vishn2u ib. (cf. IW. 321 , 1) ; N. of a king VP. ; n. N. of a Pura1n2a (cf. %{bhAgavata-p-}).
    3 (cap) bhAgavata , f. {I} relating to Bhagavant (Vis2n2u), m. a follower of Bh.; n. = seq."
  13. 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 , " bhagavat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bhagavat:
    (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cap) = Capeller's Sanskrit-English Dictionary
    (otl) = Cologne Online Tamil Lexicon
    (cpd) = Concise Pahlavi Dictionary
    1 (mwd) bhagavat &c. see p. 743 , col. 3.
    2 (mwd) bhagavat ind. like a vulva Vishn2. Sch. -2.
    3 (mwd) bhagavat mfn. see below.
    4 (mwd) bhagavat 2 mfn. (for 1. see under %{bha4ga}) possessing fortune , fortunate , prosperous , happy RV. AV. Gr2S. BhP. ; glorious , illustrious , divine , adorable , venerable AV. &c. &c. ; holy (applied to gods , demigods , and saints ae a term of address , either in voc. %{bhagavan} , %{bhagavas} , %{bhagos} [cf. Pa1n2. 8-3 , 1 Va1rtt. 2 Pat. , and viii , 3 , 17] f. %{bhagavatI} m. pl. %{bhagavantaH} ; or in nom. with 3. sg. of the verb ; with Buddhists often prefixed to the titles of their sacred writings) ; m. `" the divine or adorable one "'N. of Vishn2u-Kr2ishn2a Bhag. BhP. ; of S3iva Katha1s. ; of a Buddha or a Bodhi-sattva or a Jina Buddh. (cf. MWB. 23) ; (%{I}) f. see below."
  14. 耘虛 , " 婆伽婆(婆伽婆)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婆伽婆(婆伽婆): 【汎】 bhagavat (1) 諸佛通好(諸佛通號)의 하나. 薄伽梵(薄伽梵)이라고도 쓰며, 世尊(世尊)ㆍ衆愚(衆祐)ㆍ派停止(破淨地)라 飜譯. 『大智度論』 第3卷에는 네 가지 뜻을 들어 說明하였다. ① 바가(婆伽)는 德을 말하고, 바(婆)는 有(有)를 말한 것으로 이는 德이 있다는 뜻. ② 바가는 分別, 바는 校(巧)라 이름하니, 이는 工巧하게 모든 法의 總相(總相)과 別相(別相)을 잘 分別한다는 뜻. ③ 바가는 名聲(名聲), 바는 有(有)를 말한 것으로, 名聲을 얻은 것이 부처님과 같은 이가 없다는 뜻. ④ 바가는 派(破), 바는 陵(能)이란 말로 능히 음(?)ㆍ노(怒)ㆍ치(癡)를 없애버렸다는 뜻. 普通 바街犯意 6의(義)라고 하니, 『불持論』 第1卷에 있다. ① 資材(自在). ② 雉城(熾盛). ③ 端嚴(端嚴). ④ 名稱(名稱). ⑤ 길상(吉祥). ⑥ 尊貴(尊貴). (2) 阿彌陀佛의 다른 이름."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耘虛"[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B094EAB080EBB094rowno1 婆伽婆(婆伽婆)]". 2013年 4月 18日에 確認"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15. 星雲 , " 婆伽婆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婆伽婆:  梵語 bhagavat。(一)?諸佛通號之一。又作薄伽梵、婆伽梵、婆伽伴、薄阿梵、婆??帝、婆??底、薄伽跋帝。意譯作有德、有大功德、有名聲、?祐巧分別、能破、世尊。?具備?德?世所尊重恭敬者之意。亦?佛之尊稱。
     關於婆伽婆之語義,於大智度論卷二、佛地經論卷一、法蘊足論卷二證淨品等諸經論中,皆有引用或釋義。又據佛地經論卷一、玄應音義卷三載,婆伽婆(薄伽梵)一名總攝?德,故將其置於經首。此?指諸經首之「如是我聞,一時佛在」中之「佛」字,譯自婆伽婆。由上所述,足證婆伽婆之名廣?人知。此外,婆伽婆原無世尊之義,「世尊」一詞?一般人所易解,故自古以來譯者多以其?婆伽婆之意譯。
     又據佛地經論卷一,?出薄伽梵六義,?:(一)自在義,(二)熾盛義,(三)端嚴義,(四)名稱義,(五)吉祥義,(六)尊貴義。?據北本涅槃經卷十八,亦列?出婆伽婆七義,?:(一)能破煩惱。(二)能成就諸善法。(三)善解諸法義。(四)有大功德,無人能勝。(五)有大名聞,遍於十方。(六)能做種種大惠施。(七)於無量阿僧祇劫吐(?不受之義)女根,盡捨諸惡煩惱。此外,在印度一般人尊稱神仙、貴人亦用婆伽婆一語,此時之婆伽婆則具有自在、正義、離欲、吉祥、名稱、解脫等六義。(參閱「世尊」1522)
     (二)?阿彌陀佛三十七號之一。於讚阿彌陀佛偈中載有「我頂禮婆伽婆」一語,??取諸佛之通號而立名,此乃因十方菩薩?恭敬歌頌阿彌陀佛無量廣大之功德,故以具有大功德意味之婆伽婆名,讚歎阿彌陀佛。〔增一阿含經卷十四、百論卷上、瑜伽師地論卷三十八、大乘義章卷二十末、異部宗輪論述記、?梵語卷一〕 p4453"
  16. 耘虛 , " 薄伽梵(薄伽梵)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薄伽梵(薄伽梵): 婆伽婆와 같음. 『玄應音義』 第3卷에 朴哥를 德(德)이라 飜譯하고, 범은 成就의 뜻이라 하여 온갖 德을 成就하였다는 뜻으로 薄伽梵이라 한다고 하였다. ⇒바家範(薄伽梵)"
  17. 星雲 , " 薄伽梵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薄伽梵:  梵語 bhagavat,巴利語 bhagav? 或 bhagavant。?佛陀十號之一,諸佛通號之一。又作婆伽婆、婆伽梵、婆??帝。意譯有德、能破、世尊、尊貴。?有德而?世所尊重者之意。在印度用於有德之神或聖者之敬稱,具有自在、正義、離欲、吉祥、名稱、解脫等六義。在佛?中則?佛之尊稱,又因佛陀具有德、能分別、受?人尊敬、能破除煩惱等?德,故薄伽梵亦具有有德、巧分別、有名聲、能破等四種意義。?據佛地經論卷一載,薄伽梵具有自在、熾盛、端嚴、名稱、吉祥、尊貴等六種意義。此外,亦有將佛與薄伽梵?稱?「佛薄伽梵」者。〔大智度論卷二、?淨道論卷七、大乘義章卷二十〕(參閱「世尊」1522、「婆伽婆」4453) p6510"
  18. 耘虛 , " 世尊(世尊)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世尊(世尊): 【汎】 Bhagavat;Lokan?tha;Lokajyeha 바家範(婆伽梵)ㆍ로街나타(路迦那他)ㆍ로가야슬打(路伽惹瑟?)라 音域. (1) 부처님 10號(號)의 하나. 부처님은 온갖 功德을 圓滿히 갖추어 세간을 利益케 하며, 世間에서 尊重을 받으므로 世尊이라 하고, 또 世上에서 가장 높다는 것을 이렇게 이름. (2) 釋尊을 말함."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耘虛"[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8ECA1B4rowno2 世尊(世尊)]". 2013年 4月 18日에 確認"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19. 星雲 , " 世尊: ". 2013年 4月 18日에 確認
    "世尊:  如來十號之一。??世間所尊重者之意,亦指世界中之最尊者。梵語中被譯作「世尊」者甚多,如 loka-n?tha(世主)、loka-jyestha(世中最尊者)、loka-vid(世間解)、lok?dhipati(世之勝者)、n?tha(主)、n?yaka(導師)、sugata(善逝)、maha-rsi(大仙)、mah?-v?ra(大雄者)、t?yin(救度者)、anuttara(無上士)、dharma-r?ja(法王)等。但諸經論中以使用 bhagavat 之情形?最多,此字音譯作婆伽婆、婆??帝、婆伽梵、薄伽梵。意譯作「世尊」之外,亦直譯作有德、有名聲等。?「富有?德、?祐、威德、名聲、尊貴者」之意。其中,以「世尊」一語最易解知,故自古以來之譯者多以其?意譯,我國??一例。然在印度,一般用?對尊貴者之敬稱,?不限用於佛?;若於佛?,則特?佛陀之尊稱。〔十號經、大日經疏卷一、往生論註卷上(曇鸞)、?譯名義集卷一〕(參閱「婆伽婆」4453) p1522"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274DTITLEA5B4L 世尊:]". 2013年 4月 18日에 確認"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20. 用水 兆, 鳩摩羅什 漢譯 & T.1509 , 第2卷. p. T25n1509_p0070b14 - T25n1509_p0070b16 . 有德(有德)
    "【經】 婆伽婆。 【論】 今當說。 釋曰: 云何名「婆伽婆」? 「婆伽婆」者,「婆伽」言「德」,「婆」言「有」,是名有德。"
  21. 用水 지음, 鳩摩羅什 漢譯, 김성구 飜譯 & K.549, T.1509 , 第2卷. pp. 77-78 / 2698 . 有德(有德)
    "[經] 婆伽婆(婆伽婆)께서
    [論] 이제부터 說明하여 解釋하리라. 어찌하여 婆伽婆 109) 라 하는가? 婆伽婆라고 할 때 바가(婆伽) 110) 는 德(德) 111) 俚謠, 112) 바(婆) 113) 는 있음[有]이니, 이를 有德(有德)이라 부른다.
    109) 梵語로는 Bhagavat.
    110) 梵語로는 bhaga.
    111) 梵語로는 gu?a.
    112) 梵語로는 Bh?ga는 ‘幸福,’ ‘德,’ ‘至福’ 等의 意味를 지닌다.
    113) 梵語로는 vat. ‘지니다’라는 意味를 지니는 어미이다."
  22. 用水 兆, 鳩摩羅什 漢譯 & T.1509 , 第2卷. p. T25n1509_p0070b16 - T25n1509_p0070b17 . 分別敎(分別巧)
    "復次,「婆伽」名「分別」,「婆」名「巧」,巧分別諸法總相別相,故名「婆伽婆」。"
  23. 用水 지음, 鳩摩羅什 漢譯, 김성구 飜譯 & K.549, T.1509 , 第2卷. p. 78 / 2698 . 分別敎(分別巧)
    "또한 바가는 分別(分別) 114) 理라 하고, 바는 巧妙함[巧] 115) 이라 부른다. 모든 法의 全體的인 모습과 部分的인 모습을 巧妙하게 잘 分別하기 때문에 婆伽婆라 한다.
    114) 梵語로는 vibh?ga.
    115) 梵語로는 ku?ala."
  24. 用水 兆, 鳩摩羅什 漢譯 & T.1509 , 第2卷. p. T25n1509_p0070b17 - T25n1509_p0070c01 . 유명성(有名聲)
    "復次,「婆伽」名「名聲」,「婆」名「有」,是名「有名聲」,無有得名聲如佛者。轉輪聖王、釋、梵、護世者,無有及佛,何況諸餘凡庶!所以者何?轉輪聖王與結相應,佛已離結;轉輪聖王沒在生、老、病、死泥中,佛已得渡;轉輪聖王?恩愛奴僕,佛已永離;轉輪聖王處在世間曠野災患,佛已得離;轉輪聖王處在無明闇中,佛處第一明中;轉輪聖王若極多領四天下,佛領無量諸世界;轉輪聖王財自在,佛心自在;轉輪聖王貪求天樂,佛乃至有頂樂亦不貪著;轉輪聖王從他求樂,佛內心自樂。以是因緣,佛勝轉輪聖王。諸餘釋、梵、護世者,亦復如是,但於轉輪聖王小勝。"
  25. 用水 지음, 鳩摩羅什 漢譯, 김성구 飜譯 & K.549, T.1509 , 第2卷. p. 78 / 2698 . 유명성(有名聲)
    "또한 바가는 名聲(名聲) 116) 理라 하고 바는 있음이라 하니, ‘名聲이 있는 분’이란 뜻이다. 아무도 부처님과 같이 名聲을 얻은 이가 없으니, 轉輪聖王(轉輪聖王) 117) 이나 席(釋)  · 犯(梵)  · 호세(護世) 118) 도 부처님께 미치지 못하거늘 하물며 그 밖의 凡夫나 庶民들이겠는가.
    왜 냐하면 轉輪聖王은 煩惱[結]와 相應하지만 부처님은 이미 煩惱를 여의었기 때문이다. 轉輪聖王은 生  · 노  · 病  · 辭意 수렁에 빠져 있지만 부처님은 이미 건너셨고, 轉輪聖王은 은애(恩愛)의 奴隸이지만 부처님은 이미 永遠히 여의었고, 轉輪聖王은 세간이라는 曠野(曠野)의 災殃 구덩이에 있지만 부처님은 이미 여의었고, 轉輪聖王은 無名 119) 의 어두움 속에 있지만 부처님은 으뜸가는 밝음 가운데 계시고, 轉輪聖王은 기껏 四天下를 거느리지만 부처님은 한량없는 世界를 統率하시고, 轉輪聖王은 財物에 自裁하지만 부처님은 마음에 自裁하시고, 轉輪聖王은 하늘의 즐거움을 탐하고 求하지만 부처님은 有頂天(有頂天)의 즐거움조차 탐내지 않으시고, 轉輪聖王은 남에게서 즐거움을 求하지만 부처님은 마음속에서 스스로 즐기신다.
    이런 까닭에 부처님은 轉輪聖王보다 훌륭하시다. 그 밖의 席  · 犯  · 호세에 對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그들은 轉輪聖王보다는 若干 殊勝할 따름이다.
    116) 梵語로는 ya?as.
    117) 梵語로는 Cakravartin.
    118) 梵語로는 各各 Indra, Brahm?, Lokap?la이다.
    119) 梵語로는 avidy?. 諸法의 存在方式에 對한 無知를 意味한다."
  26. 用水 兆, 鳩摩羅什 漢譯 & T.1509 , 第2卷. p. T25n1509_p0070c01 - T25n1509_p0070c11 . 凌波(能破)
    "復次,「婆伽」名「破」,「婆」名「能」,是人能破?怒癡故,稱?「婆伽婆」。 問曰: 如阿羅漢、?支佛,亦破?怒癡,與佛何異? 答曰: 阿羅漢、?支佛雖破三毒,氣分不盡;譬如香在器中,香雖出,餘氣故在;又如草木薪火燒煙出,炭灰不盡,火力薄故。佛三毒永盡無餘;譬如劫盡火燒須彌山,一切地都盡,無煙無炭。如舍利弗瞋?氣殘,難陀?欲氣殘,必陵伽婆磋慢氣殘;譬如人被鎖,初脫時行猶不便。"
  27. 用水 지음, 鳩摩羅什 漢譯, 김성구 飜譯 & K.549, T.1509 , 第2卷. pp. 78-79 / 2698 . 凌波(能破)
    "또한 바가는 깨뜨린다[破] 120) 는 뜻이고 바는 能하다는 뜻이니, 이 분은 淫慾  · 성냄  · 어리석음을 깨뜨리기 때문에 婆伽婆라 부른다.
    [門] 阿羅漢이나 僻地불들도 淫慾  · 성냄  · 어리석음을 깨뜨리는데 부처님과 무엇이 다른가?
    [答] 阿羅漢이나 僻地불이 비록 3독(毒) 121) 을 깨뜨렸으나 그 氣分(氣分) 122) 은 다하지 못했으니, 比喩하건대 香 그릇에서 香을 이미 비웠으나 香氣가 如前히 남아 있는 것과 같다.
    또한 풀  · 나무  · 섶을 불로 태워 煙氣가 났으나 숯과 재는 다하지 않은 것과 같나니, 불의 힘이 微弱하기 때문이다.
    부처님은 3毒이 永遠히 다하여서 남음이 없나니, 比喩하건대 怯(劫) 123) 이 다하여 불이 須彌山을 몽땅 태우면 모두 타버려 演技도 숯도 없어지는 것과 같다.
    舍利佛은 성내는 濕氣가 남았고, 亂打(難陀) 124) 는 淫慾의 濕氣가 남았고, 筆凌駕바車(必陵伽婆磋) 125) 는 교만한 濕氣가 남았으니, 比喩하건대 사람이 오라에서 풀려나면 걷기는 하되 매우 不便한 것과 같다.
    120) 梵語로는 bha?ga.
    121) 위에서 말한 淫慾  · 성냄  · 어리석음이다.
    122) 이어지는 比喩로 본다면 그 뜻은 ‘濕氣,’ ‘痕跡,’ ‘자취,’ ‘潛在力’ 等이 된다.
    123) 梵語로는 kalpa.
    124) 梵語로는 Nanda. 釋尊의 四寸으로 석家族과 함께 出嫁했으나 집에 남겨둔 夫人을 잊지 못해 遂行에 專念할 수 없었다고 한다. 世尊의 敎化를 받아 出家生活을 繼續하나 옷이나 鉢盂, 신발 等의 物慾이 많았다고 한다.
    125) 梵語로는 Pilindavatsa. 사위성에 살던 婆羅門으로 남을 蔑視하는 等 교만했으나, 나중에 出家하여 佛弟子가 되었다고 한다."
  28. 用水 兆, 鳩摩羅什 漢譯 & T.1509 , 第2卷. p. T25n1509_p0073b06 - T25n1509_p0073b13 . 世尊(世尊)
    "婆伽婆名有德,先已說。 復名「阿婆磨」(秦言無等);復名「阿婆摩婆摩」(秦言無等等);復名「路迦那他」(秦言世尊);復名「波羅伽」(秦言度彼岸);復名「婆檀陀」(秦言大德);復名「尸梨伽那」(秦言厚德);如是等無量名號。父母名字悉達陀(秦言成利),得道時,知一切諸法故,是名?佛。應受諸天世人供養。如是等得名大德、厚德。如是種種,隨德立名。"
  29. 用水 지음, 鳩摩羅什 漢譯, 김성구 飜譯 & K.549, T.1509 , 第2卷. p. 93 / 2698 . 世尊(世尊)
    "婆伽婆(婆伽婆)는 ‘德을 지닌 분(有德) 175) ’이라 함은 이미 說明했다.
    또한 아바마(阿婆磨) 176) 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같을 이 없는 분(無等)이다.] 또한 아바마바마(阿婆摩婆摩) 177) 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騰騰함이 없는 분(無等等)’이라 한다.] 또한 盧哥나타(路迦那他)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世上에서 尊貴한 분(世尊)’이라 한다.] 또한 바라가(波羅伽) 178) 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彼岸으로 건너가신 분(渡彼岸)이다.] 또한 바斷打(婆檀陀) 179) 라 한다.[진나라 말로는 ‘큰 德을 지닌 분(大德)’이라 한다.] 또한 시리가나(尸梨伽那) 180) 라 하다.[진나라 말로는 ‘후덕하신 분(厚德)’이라 한다.]
    이와 같이 한량없는 명호가 있지만 父母가 주신 이름은 悉達打(悉達陀) 181) 이다.[진나라 말로는 ‘이로움을 成就한 者(成利)’라 한다] 道를 얻으셨을 때에 모든 法을 알았으므로 부처님이라 불렀다. 또한 하늘과 世間 사람의 供養을 받아 마땅했다.
    이와 같이 해서 ‘큰 德이 있는 분,’ ‘후덕한 분’이라 불리게 되었느니, 이처럼 갖가지 德에 따라 이름을 붙였던 것이다.
    175) 梵語로는 gu?avat.
    176) 梵語로는 Asama.
    177) 梵語로는 Asamasama.
    178) 梵語로는 P?raga.
    179) 梵語로는 Bhadanta.
    180) 梵語로는 ?r?gu?a.
    181) 梵語로는 Siddh?rt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