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陸 哲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大陸 哲學 (大陸哲學, 英語 : Continental philosophy , 獨逸語 : Kontinentalphilosophie )은 오늘날의 用法에 따르면, 유럽 大陸 을 中心으로 19世紀에서 20世紀에 걸쳐 形成된 哲學의 傳統으로, [1] 同 時期에 英美圈을 中心으로 形成된 分析 哲學 에 對立되는 分類이다.

이러한 用語는 20世紀 中盤에 英語圈 哲學者들부터 使用한 것으로, 그들은 이 用語가 分析 哲學에 屬하지 않은 傳統과 思想家들을 言及하는 데 有用하다는 點을 發見하였다. 大陸哲學은 다음의 學派나 注意를 包含한다: 獨逸 觀念論 , 現象學 , 實存主義 (成立 以前의 키르케고르 , 니체 等 包含), 解析學 , 構造主義 , 後期 構造主義 , 解體主義 , 페미니즘 哲學 , 精神分析學 , 프랑크푸르트 學派 批判 理論 , 헤겔哲學 , 現代 마르크스주의 等이다. [2] [3]

大陸 哲學이라는 槪念의 外延 [ 編輯 ]

大陸 哲學이라는 用語는 매우 模糊하게 다음의 哲學을 包含한다.

  • 훗설, 모리스 메를로퐁티, 셸러,미셸 앙리의 現象學
  • 마르틴 하이데거의 基礎存在論
  •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의 살아있는 理性哲學 또는 人間 삶의 形而上學
  • 프리드리히 니체와 미셸 푸코의 系譜學的 批判
  • 精神分析
  • 實存主義
  • 分析的 마르크스주의를 除外한 마르크스주의
  •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나 미셸 푸코로부터 影響받은 人文學에서의 構造主義
  • 한스게오르크 가다머나 폴 리쾨르의 解析學
  • 자크 데리다의 解體
  • 프랑크푸르트 學派의 批判 理論

分析 哲學과의 差異 [ 編輯 ]

詳述하였듯 大陸 哲學이라는 用語는 20世紀 中盤부터 英美圈 哲學者들이 새로운 分析哲學의 흐름에 參與하지 않는 思想들을 통틀어 일컬을 때 頻繁히 使用되기 始作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最初의 用例는 1840年 존 스튜어트 밀 칸트 의 影響을 받은 유럽 大陸의 哲學을 英國의 經驗主義 哲學과 對比시켜 일컬은 데서 찾을 수 있다. 또한 20世紀 初부터 이미 分析 哲學의 擡頭에 따라 오늘날과 같은 對立 構圖는 이미 成立하고 있었으며, 分析哲學의 先驅者 中 하나인 버트런드 러셀 헤겔 哲學 等을 無價値한 것으로 置簿하고 否定하였다. [4] 러셀 自身은 1945年 著書 《서양철학사》에서 形式的 推論에 根據하는지의 與否 等 몇가지 特徵을 들어 英國과 大陸의 哲學 間의 對立을 說明하려 한 바 있다. [5]

한便 分析哲學과 大陸哲學의 區分은 一種의 家族類似性에 따른 것으로서 嚴密히 定義된 槪念이 아니므로 判斷이 模糊하다는 指摘이 있다. 글렌디닝(S. Glendinning)에 따르면 大陸哲學이라는 用語는 本來 分析哲學者들에 依해 輕蔑的으로 使用되던 表現에 不過했다. [3] 그럼에도 마이클 로젠(Michael E. Rosen)은 大陸 哲學에 典型的인 몇가지 共通點을 찾고자 하였다. [6]

  1. 大陸 哲學에서는 自然 科學 이 世界를 理解하는 適切한 또는 唯一한 方法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硏究 基礎를 科學的 方法에 두는 分析哲學과 對立한다.
  2. 大陸 哲學者들은 代替로 哲學의 探究 對象이 社會的, 時空間的 背景, 言語, 文化, 歷史 等의 文脈과 獨立的으로 存在할 수 없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歷史主義 에 치우쳐 있다. 分析 哲學이 普通 이러한 背景과 無關하게 探究될 수 있는 主題를 다루는 것과 對照된다.
  3. 많은 大陸 哲學者들은 人間 主體도 이러한 背景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여기며, 따라서 自身들의 哲學을 人間的, 倫理的, 政治的 움직임에 聯關시키는 傾向이 있다. 마르크스 가 《포이어바흐에 關한 테제》에서 "哲學者들은 다양하게 世界를 分析하려고만 해왔으나, 重要한 것은 世界를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敍述한 바와 같이 이러한 傾向性은 마르크스주의 傳統에서 잘 드러나며, 實存主義 脫構造主義 等에 있어서도 核心的인 特徵이다.
  4. 메타哲學 的인 立場으로도 특징지어질 수 있다. 近現代에 크게 發展한 自然科學에 對應하여 많은 大陸哲學者들은 哲學의 方法論과 原則을 再定義하고자 試圖하였다. 그러한 原則에는 哲學이 科學에 優先한다는 傳統的 視角의 復興(獨逸 觀念主義, 現象學), 哲學이 根本的으로 社會·文化的인 主題를 다룬다는 觀點(解析學, 批判 理論, 構造主義), 哲學이 그러한 一貫的인 目標를 達成할 수 없을 것이라고 懷疑하는 視角(虛無主義, 實存主義) 等이 있다.

솔로몬(Robert C. Solomon)은 大陸哲學의 觀點의 起源을 18世紀 칸트 哲學에서 찾는다. 그에 따르면 大陸哲學은 知識, 經驗, 實在가 論理 實證的 探究보다는 哲學的 反省에 依해 얻어진다는 觀念에서 비롯된 것이다. [7]

歷史 [ 編輯 ]

現代的 意味의 大陸 哲學은 獨逸 觀念論 과 함께 始作된 것으로 여겨진다. 1780年代부터 이마누엘 칸트 의 哲學的 探究에서 發生하기 始作한 獨逸 觀念論은 以後 피히테 , 셸링 , 그리고 헤겔 에 依해 主導되었으며, 浪漫主義 啓蒙思想 의 革命的 政治에 影響을 받아 發展했다. 初期 大陸哲學의 또다른 起源은 에드문트 후설 等에 依해 基礎가 놓아진 現象學 인데, 이는 論理를 探究하는 分析哲學과도 接點이 있다.

大陸哲學과 分析哲學 間의 對立을 잘 보여주는 事例로 論理實證主義 루돌프 카르납 이 1932年 論文에서 하이데거 가 講演한 《形而上學이란 무엇인가》에 對해 "論理的 構文을 無視하고 意味없는 假짜 陳述을 만들어낸다"고 批判하여 論爭을 일으킨 것을 들 수 있다. [8] Merquior (1987)는 "프랑스에서 主流 哲學의 發展 過程은 英國·獨逸의 分析學派와는 唯獨 相異한 길을 걸었다"면서 앙리 베르그송 이 科學을 警戒하고 直感의 地位를 높이려 한 데서 처음 이러한 對立이 두드러졌다고 主張한다. [9]

2次 大戰 以後의 大陸 哲學은 特히 프랑스 哲學界에서 發展하였다. 프랑스에서는 排他的이던 第3共和國 以後 처음으로 獨逸 哲學에 對한 關心이 增加하며 마르크스와 헤겔의 著作이 大學들에서 積極的으로 探究되기 始作했고, 實存主義 를 提唱한 장 폴 사르트르 에 依해 現象學이 紹介되기도 했다. 새롭게 登場한 大陸 哲學의 潮流는 構造主義 脫構造主義 로, 構造主義 哲學은 클로드 레비스트로스 페르디낭 드 소쉬르 構造主義 言語學 을 人文學에 適用하기 始作하면서 發展했으며, 脫構造主義는 자크 데리다 질 들뢰즈 가 構造主義를 批判하면서 만들어졌다. 이러한 흐름은 21世紀에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한便, 2次 大戰 前後에 유럽에서 나치즘의 迫害를 避해 아렌트 , 마르쿠제 , 레오 스트라우스 와 같은 여러 유대人 大陸 哲學者들이 流入되었음에도, 1960年代까지는 美國의 大部分의 大學들에 있어서 大陸 哲學은 거의 講義되지도, 論議되지도 않는 分野였다. 그러나 1970年代 以來로 영미圈의 大學에서 文學, 藝術 批評, 社會學, 政治學 分課를 中心으로 大陸哲學 硏究가 빠르게 받아들여지기 始作하였다. 一部 學者들은 더 以上 大陸 哲學이라는 分類는 地理的 環境에 拘礙받지 않는다고 본다.

各州 [ 編輯 ]

  1. "첫 番째 接近으로서, 우리는 아마도 19世紀와 20世紀 유럽 大陸의 哲學이 傳統들의 連續된 물결로서 理解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브라이언 레이터(Brian Leiter)와 마이클 로젠(Michael Rosen), 《옥스포드 핸드북:大陸 哲學》( The Oxford Handbook of Continental Philosophy ) (옥스포드 大學 出版部, 2007), p. 2. 사이먼 크리첼리(Simon Critchley)와 윌리엄 쇼로버(William Schroder) (eds.), 《大陸 哲學科 親舊되기》( A Companion to Continental Philosophy ) (Blackwell Publishing, 1998), p. 4.
  2. 사이먼 크리첼리(Simon Critchley), 《大陸 哲學: 매우 짧은 入門》( Continental Philosophy: A Very Short Introduction ) (옥스퍼드 大學校 出版部, 2001), p. 13
  3. 사이먼 글렌디닝(Simon Glendinning), 《大陸 哲學의 槪念》( The Idea of Continental Philosophy ) (에든버러大學校 出版部, 2006), pp. 58-65.
  4. Russell, Bertrand (1959). My Philosophical Development. London: Allen & Unwin. p. 62.
  5. Russell, Bertrand. 1945.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mon & Schuster. p. 643, 641. Ibid., pp. 643?47.
  6. Rosen, Michael E., "Continental Philosophy from Hegel." In Philosophy 2: Further through the Subject , edited by A. C. Grayling.
  7. Solomon, Robert C. (1988). Continental philosophy since 1750: the rise and fall of the self.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8. Gregory, Wanda T. 2001. "Heidegger, Carnap and Quine at the Crossroads of Language." Current Studies in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1(Winter).
  9. Merquior, J. G. 1987. Foucault , Fontana Modern Masters seri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6062-8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