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韓國 料理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韓國 料理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定食 , 韓國式 섬세하고 高級스러운 食事

韓國 料理 (韓國料理) 또는 組 선 料理 (朝鮮料理, 文化語 : 朝鮮 料理)는 韓國 의 料理이다. 韓國에서 發達한 固有하고도 傳統的인 飮食 을 흔히 韓食(韓食)으로도 부른다. 複雜한 宮中 料理 에서부터 地方의 特色 料理와 現代의 맛있는 料理에 이르기까지 材料와 調理法이 매우 다양하다. 現代 韓國 料理는 南韓 料理 (南朝鮮 料理)와 北韓 料理 (北朝鮮 料理)로 나누기도 한다. 傳統的인 韓國 鄭軾은 , , 김치 , 等과 함께 나오는 많은 飯饌 들로 이루어진다.

韓國 料理는 主로 을 基盤으로 一般的으로 使用되는 成分 包含 참기름 , 들기름 , 고추醬 , 된醬 , 간醬 , 소금 , 마늘 , 生薑 , 고춧가루 , 다시마 국물 等으로 맛을 낸다. 김치는 거의 恒常 모든 飮食에서 提供된다. 食單은 季節別로 多樣한데, 傳統的으로 겨울 동안에는 마당에 구멍을 파고 땅 속에 묻어 놓은 醬독에 貯藏된 起舞치 그 밖에 절인 菜蔬 들에 많이 依存했다. 그러나 現在는 季節에 相關없이 거의 大部分의 食單 을 맛볼 수 있다. 私はイポ

特徵 [ 編輯 ]

韓國은 氣候와 風土가 農事에 적합하여 일찍이 新石器時代 後에 雜穀 農事로 農業 이 始作되었고, 그 後 農事가 傳播되었다. 以後 穀物은 韓國 飮食文化의 中心이 되었고, 三國時代 後期부터 밥과 飯饌으로 主食, 副食을 分離한 韓國 固有의 일常識 形態가 形成되었다

種類 [ 編輯 ]

班常의 種類로는 3貼, 5帖, 7첩, 9첩, 12첩 班常이 있다.

, , , 국수 , 수제비 , 等의 穀物 飮食이 發達하였고 으로 메주 를 쑤어 을 담그는 發效 飮食도 發達 하였다 栽培 菜蔬 뿐만 아니라, 山野에 自生하는 山나물, 들나물 等 菜蔬의 種類가 다양하여 生菜 , , 나물 , 김치 로 만들어 食卓을 季節에 따라 變化있게 차릴 수 있었다. 예로부터 略式動員(藥食同原, 藥과 飮食은 그 根本이 같다.)의 式觀念 속에 生薑 , 桂皮 , , 五味子 , 枸杞子 , 더덕 , 도라지 , 율무 , 木瓜 , 石榴 , 柚子 , 人蔘 으로 쓰이는 材料가 飮食의 調理에 많이 利用되고 있다. 蔘鷄湯 , 쑥떡 , 생란 , 더덕 , 生菜 等 여러 가지 飮食과 生薑茶, 人蔘茶, 木瓜茶, 柚子茶, 枸杞子茶, 決明子茶, 율무茶 等의 와 五味子 花菜 等의 다양한 飮料 도 있다.

調味料 香辛料 도 약념(藥念)이라 하여 , 마늘 , 生薑, 고추 , 참기름 , 깨소금 等이 藥과 같은 效能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食事 形態 [ 編輯 ]

韓國人은 主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使用하며 韓國人의 日常食은 밥을 主食으로 하고, 여러 가지 飯饌을 곁들여 먹는 食事 形態이다. 株式은 萬으로 지은 쌀밥과 , 보리 , , 等의 雜穀을 섞어 지은 雜穀밥을 基本으로 한다. 腐蝕은 국이나 찌개, 김치와 杖流를 基本으로 하고, 肉類, 魚貝類, 菜蔬類, 海藻類 等을 利用해서 飯饌을 만들었다. 이렇게 밥과 飯饌을 같이 먹는 食事 形態는 여러 가지 食品을 골고루 攝取함으로써 營養의 均衡을 相互 補完시켜주는 合理的인 食事 形式이다.

主食으로는 밥, 粥, 국수, 饅頭, 떡국, 수제비 等이 있고, 副食으로는 국, 찌개, 구이, 前, 조림, 볶음, 片肉, 나물, 生菜, 젓갈, 抛, 장아찌, 찜, 전골, 김치 等 가지數가 많다. 이러한 日常 飮食 外에 떡, 恨과, 엿, 花菜, 車, 술 等의 飮食도 다양하다. 또 貯藏 醱酵 食品인 醬類, 젓갈, 김치 等이 다양하게 發達하였다.

儀禮 飮食 [ 編輯 ]

韓國 飮食은 每日每日 反復되는 日常食과, 一生을 살아가는 동안에 거치는 通過 儀禮 飮食, 豐年과 豐漁를 祈願하는 豐年祭와 豐漁祭, 部落의 平安을 비는 部落祭 等의 行事에 따라 차려지는 行事 飮食이 있으며, 또 故人을 追慕하여 차리는 祭祀 飮食이 있다. 이런 儀禮 飮食에는 특별한 食品이나 飮食을 빠짐없이 차리는데, 거기에는 起源, 復元, 畏敬, 尊待의 뜻이 따른다.

季節 飮食 [ 編輯 ]

또한 季節에 따라 그때그때 鐵에 나는 飮食을 利用하여 時食(時食)을 즐겼다. 韓國의 節食 風俗은 人間과 自然과의 智慧로운 調和를 이룬 것으로 營養 上으로도 至極히 科學的인 것이 많다. 例를 들어 正月大보름에 호두를 깨 먹으면 一年 내내 부스럼이 안 난다는 것은 亦是 必須 脂肪酸이 不足할 때 이를 供給하여 皮膚가 헐거나 버짐 , 濕疹 을 막는 데 效果的이라는 科學的 뒷받침을 가지고 있다. 立春에는 새 봄에 나는 香菜를 調理해 먹음으로써 봄맞이하는 氣分뿐만 아니라 生彩가 不足했던 겨울을 지내고 난 後 비타민 C 를 補充해주는 合理化된 食習慣이라 할 수 있다.

鄕土 飮食 [ 編輯 ]

鄕土飮食은 그 地域 空間의 地理的, 氣候的 特性을 갖고 生産되는 地域 特産物로 그 地域에서만 傳授되어 오는 固有한 調理法으로 만들어진 土俗 民俗飮食이라 할 수 있다. 卽, 鄕土飮食은 고장마다 傳承되는 歲時風俗이나 通過儀禮 또는 生活 風習 等은 文化的 特質 뿐 아니라 鄕土飮食이 지니고 있는 營養的 意義도 크다고 본다. 代表的으로 洪魚膾 과메기 를 들 수 있다.

床차림 [ 編輯 ]

大家族 中心의 家庭에서는 어른을 中心으로 그릇과 밥床이 모두 1引用으로 發達해 왔다. 그러나 核家族 中心으로 바뀐 只今은 온 家族이 함께 두레床에서 個人用 접시에 나누어 먹는 形式으로 되었다.

飮食은 처음부터 床 위에 全部 차려져 나오는 空間 展開型을 原則으로 하였다. 쟁첩에 담는 飯饌 數에 따라 3貼, 5帖, 7첩, 9첩, 12첩 飯床이라는 獨特한 形式을 갖춘다.

韓國人의 日常食은 밥과 飯饌으로 構成되는 週 腐蝕 分離型 樣式이 三國時代 以後로 하루 세끼 正規式辭의 基本形으로 定着되어 왔다. 때로는 點心에 국수醬국으로 차린 免喪(麵床)이나 비빔밥, 醬국밥과 같은 一品料理로 食事를 할 때가 있으나 이것은 하나의 別食(別食)차림이다.

밥床에서는 밥이 主格 飮食이고, 飯饌은 部格 飮食이어서 飯饌은 밥에 맞추어 選定된다. 班常차림은 食品의 配合, 間의 弄談(濃淡), 飮食의 冷溫(冷溫), 色相의 配合 等 여러 面에서 合理性과 組合性을 이루고 있다.

班常차림에는 3貼, 5帖, 7帖, 9첩 班常이 있고, 朝鮮時代 宮中에서는 王에게 12妾班常을 차리었다. 가장 簡單한 3妾班常은 국, 김치 以外에 나물類와 生菜, 조림이나 九夷를 차린다. 簡單한 3妾班常에서도 밥, 국, 김치, 張 外에 菜蔬, 肉類, 魚類 等이 골고루 配合된다. 5妾班常에는 밥, 국, 김치, 張 外에 飯饌 5가지, 찌개 한 가지가 오른다. 9妾班常에는 밥, 국, 김치, 張 外에 飯饌 9가지, 찌개 한 가지, 찜 한 가지가 오른다.

王의 水剌床은 12妾班常이었다. 王은 隊員半에 앉고 곁盤으로 所願半, 冊床盤이 곁들여진다. 圓盤에는 흰 水剌, 藿湯, 腸 3가지, 김치 3가지, 飯饌 7가지, 뼈를 발라내는 그릇인 土狗, 은잎사시 2벌이 놓인다. 수저 하나는 國用, 다른 하나는 동치미用이고 젓가락 하나는 生鮮用, 다른 하나는 菜蔬用이다. 所願半에는 팥水剌, 전골합, 찜, 飯饌 두 가지, 茶酒煎子, 錚盤과 車主發 , 詐欺 빈 접시, 恩功機 그리고 수저 3벌이 놓인다. 팥水剌는 흰 水剌를 들지 않고 팥水剌를 들고 싶을 때 바꾸어 놓는 것이다. 수저 3벌은 幾微尙宮이 檢食과 飮食을 더는 데 使用한다. 食事가 끝난 다음 車周鉢에 車를 따라서 錚盤에 받쳐 올린다. 곁盤人 冊床盤에는 곰湯, 措置 2, 전골냄비, 더운 구이가 놓인다. 팥水剌를 먹을 때는 藿湯 代身 곰湯을 옮겨 놓는다.

食事 禮節 [ 編輯 ]

食事 禮節은 地域이나 家庭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고, 現在 몇몇 條項은 지켜지지 않는 것이 大部分이다.

  • 어른과 함께 食事할 때에는 어른이 먼저 수저를 든 다음에 아랫사람이 들도록 한다.
  • 숟가락과 젓가락을 한손에 들지 않으며, 젓가락을 使用할 때에는 숟가락을 床 위에 놓는다.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그릇에 걸치거나 얹어 놓지 말고 밥그릇이나 국그릇을 손으로 들고 먹지 않는다.
  • 숟가락으로 국이나 김치국물을 먼저 떠 마시고 나서 밥이나 다른 飮食을 먹는다. 밥과 국물이 있는 김치, 찌개, 국은 숟가락으로 먹고, 다른 飯饌은 젓가락으로 먹는다.
  • 飮食을 먹을 때는 소리를 내지 말고 수저가 그릇에 부딪혀서 소리가 나지 않도록 한다.
  • 숟가락의 바닥을 이로 긁지 않는다.
  • 수저로 飯饌이나 밥을 뒤적거리는 것은 좋지 않고, 먹지 않는 것을 골라내거나 양념을 털어내고 먹지 않는다.
  • 먹는 途中에 수저에 飮食이 묻어 있지 않도록 하며, 밥그릇은 第一 나중에 숭늉을 부어 깨끗하게 비운다.
  • 여럿이 함께 먹는 飮食은 各自 접시에 덜어 먹고, 醋醬이나 醋고추醬도 접시에 덜어서 찍어 먹는 것이 좋다.
  • 飮食을 먹는 途中에 뼈나 生鮮 가시 等 입에 넘기지 못하는 것은 옆사람에게 보이지 않게 조용히 종이에 싸서 버린다. 上位나 바닥에 그대로 버려서 더럽히지 않도록 한다.
  • 飮食을 먹는 途中 亂暴한 소리를 내지 않는다. 이를테면 飮食物을 빨아들이거나 씹을 때의 亂暴한 騷音을 내지 않는 것이다.
  • 食事 中엔 高聲放歌로 對話하지 않는다.
  • 食事中에 기침이나 재채기나 트림이 나면 얼굴을 옆으로 하고 손이나 손手巾으로 입을 가려서 다른 사람에게 失禮가 되지 않도록 操心한다.
  • 너무 서둘러서 먹거나 지나치게 늦게 먹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步調를 맞춘다. 어른과 함께 먹을 때는 먼저 어른이 수저를 내려 놓은 다음에 따라서 내려 놓도록 한다.
  • 飮食을 다 먹은 後에는 수저를 처음 位置에 가지런히 놓고, 使用한 休紙(손手巾,手巾)는 大江 접어서 床 위에 놓는다.
  • 이쑤시개를 使用할 때에는 한 손으로 가리고 使用하고, 使用 後에는 남에게 보이지 않게 處理한다.
  • 숟가락을 밥 위에 垂直으로 꽂는 等 宗敎 모습을 自制한다.
  • 더운 飮食을 식힐 때는 입김이 相對方의 얼굴 方向을 向하지 않도록 操心한다.
  • 飮食物이 입 안에 남아있을 때에는 말하지 않는다.
  • 床 위에 팔꿈치나 손을 걸쳐놓지 않는다.
  • 食事가 끝나기 前에 돌아다니지 않는다.
  • 食事 中이나 食事 後에는 트림을 하지 않는다.

地域別 特色 [ 編輯 ]

서울 [ 編輯 ]

朝鮮時代에 首都인 漢陽이 있었던 곳으로 그 때문에 많은 物資가 오가는 곳이었다. 이로 因해 온갖 食材料들을 使用한 飮食들이 많다.

京畿道 [ 編輯 ]

江原道 [ 編輯 ]

江原道에는 太白山脈 이 半이나 있어서 山에서 나는 나물 東海 바다에서 나는 물고기 로 만든 飮食들이 많다.

忠淸道 [ 編輯 ]

慶尙道 [ 編輯 ]

慶尙道는 南海 東海 에 좋은 漁場을 가지고 있어 海産物이 豐富하고, 南北道를 크게 굽어 흐르는 洛東江 周圍의 기름진 農土에서 農産物도 넉넉하게 生産된다. 이곳에서는 고기라고 하면 물고기 를 가리킬 만큼 生鮮을 많이 먹고, 물膾를 第一로 친다. 浦項ㆍ盈德ㆍ蔚珍ㆍ釜山ㆍ蔚山ㆍ慶州(감포)에서는 고등어 文魚 돔배기 가자미 等이 많이 잡힌다. 또한 이들은 慶尙道에서는 祭祀床에 올라가기도 한다. 慶尙道 飮食은 멋을 내거나 사치스럽지 않고 소담하게 만든다. 싱싱한 물고기에 소금간을 해서 말려서 굽는 것을 즐기고 바닷고기로 국을 끓이기도 한다. 穀物飮食 中에는 국수를 즐기며, 밀가루에 날콩가루를 섞어서 반죽하여 홍두깨나 밀대로 얇게 밀어 칼로 썰어 萬 드는 칼국수를 第一로 친다. 醬국의 국물은 멸치나 조개를 많이 쓰고, 제물국수를 즐긴다. 飮食의 맛은 大體로 肝이 세고 매운 便이다. [1]

全羅道 [ 編輯 ]

간醬게醬 홍탁三合 , 海産物이 들어간 全羅南道의 韓定食.

1958年 서울 청진동에 門을 연 '장원'은 光州에서 같은 이름으로 料亭을 하던 飮食 솜씨로 有名한 주정순이 서울에 낸 妖精으로 1964年에는 韓定食 食堂으로 바뀌었다. 妖精 莊園의 飮食은 華麗한 양념과 山海珍味를 兼備한 全羅道 韓定食이었다. 유홍준 敎授는 仁寺洞 의 영희네집을 韓國의 3代 韓定食 집으로 꼽았다. 나머지 두 곳은 强震 해태食堂 , 그리고 海南의 천일食堂 이다. 解放 後 서울에서 高官들이 먹던 宮中料理는 깔끔한 맛을 强調하여 양념을 많이 쓰지 않았지만 全羅道 飮食은 맵고 짠 便이다. 명월관 의 宮中料理는 漸次 사라지고 壯元에서 일하던 아주머니들이 運營하는 料亭이나 料理집들은 全羅道式으로 變해갔다.

濟州道 [ 編輯 ]

섬인 만큼 海産物을 活用한 料理가 많다.

濟州島는 廣魚가 特産物이다.

濟州島에서는 特히 김이나 미역들이 많고, 섬이라서 海女들이 물고기와 海産物을 잡는 文化가 있다. 現在에는 보기 드물지만, 前에는 海女들이 다이빙 옷을 입고 바닷가에서 海産物들을 걷어내어서 바구니에 넣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平安道 [ 編輯 ]

平安道는 메밀로 만든 冷麵 국수에 쇠고기 肉水 를 利用한 물冷麵이 有名하다. 韓國 戰爭 以後 以南에서 즐겨 먹는 물冷麵은 平安道式 冷麵을 말한다. 綠豆를 갈아 두툼하게 만든 빈대떡은 술按酒로 適合하다. 돼지고기, 豆腐, 마늘, 파 等을 넣은 饅頭는 겨울에 즐겨 먹는 飮食으로 쇠고기국이나 갈비국에 넣어 물饅頭로 겨울철 特히 설날에 主로 먹는다. 양념의 觀點에서 보면, 以南이나 咸鏡道의 飮食에 비해 맵거나 짜지 않다.

黃海道 [ 編輯 ]

黃海道는 延白平野가 펼쳐진 穀倉으로, 特히 雜穀이 많은데, 그 中에서도 條는 알이 굵고 구수하여 南道地方에서 보리를 먹듯이 메조를 많이 먹는다. 그리고 史料가 豐盛하여 닭고기의 맛이 特히 좋아서 어느 飮食이든지 닭고기를 많이 쓴다. 食性은 짜지도 싱겁지도 않아 忠淸道와 類似하며, 구수하고 素朴한 것을 즐겨 겉模樣을 내는 일이 別로 없다. 有名한 飮食으로는 雜穀밥과 누름炙이다. 누름炙은 김치 ·실파 ·돼지고기 等을 큼직하게 꼬챙이에 꿰어 밀가루를 묻혀 燔鐵에 지지는데, 맛도 좋고, 人心 좋은 黃海 사람의 品性이 엿보이는 飮食이다.

咸鏡道 [ 編輯 ]

咸興冷麵이 가장 有名하다. 옛날 咸鏡道에는 고구마가 많이 나서 冷麵을 만드는 국수에 고구마 澱粉을 主로 썼으나 以南으로 移住한 道民은 濟州道 감자 澱粉을 主로 쓰고 있다. 겨울에는 전 分娩으로 국수사리를 빼고, 여름에는 밀가루를 섞는다. 澱粉을 익반죽해서 국수틀에 넣고 눌러서 끓는 물에서 삶아진 面을 건져 찬물에 씻어 事理를 만든다. 冷麵에 올리는 膾도 以北에서는 참가자미를 썼으나, 以南에서는 洪魚로 膾를 만들어 쓴다. 洪魚는 껍질을 벗기고 잘게 썰어 맑은 물이 나올 때까지 찬물에 씻어 쭉 건져 물氣가 빠지면 食醋를 넣어 버무리는데 여름에는 한 時間, 겨울에는 한時間 半 동안 재워 두었다가 간醬을 넣어 버무린다. 그대로 두었다가 冷麵에 얹기 直前에 回 양념으로 무치며 오이, 무, 배는 길쭉길쭉 썰어서 매운 양념으로 무친다. 咸興冷麵의 국수는 감자와 고구마 澱粉을 섞어서 만든다. 咸興冷麵 中 人氣가 있는 것은 膾冷麵으로 매운 冷麵비빔醬과 무친 가자미를 얹는다. 只今은 새콤달콤하게 무친 洪魚膾를 많이 쓰지만 東海岸地方에서는 明太膾를 쓰기도 한다.

宮中飮食 [ 編輯 ]

飮食의 種類 [ 編輯 ]

韓國 飮食은 穀類를 中心으로 하는 株式과, 穀類 外의 各種 食品으로 만드는 飯饌, 後食이나 間食으로 떡과 漢菓가 있으며, 飮料로서 車와 花菜가 있다.

비빔밥

[ 編輯 ]

밥은 韓國人의 가장 큰 株式으로서 每 끼니마다 거르지 않고 먹는 것이 韓食의 原則이다. 밥의 種類는 매우 다양한데, 于先 白米 를 使用하는 白米밥 이 있다. 白眉는 껍질을 벗겨낸 쌀이다. 白米밥은 大體로 매우 하얗고 食感이 부드러워 아침床에 나가는 것이 一般的이나 요즈음에는 每끼니 相關없이 먹는다. 玄米밥 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玄美 와 벗긴 쌀 白米를 適切히 섞은 것이다. 쌀에는 거의 大部分의 營養素가 껍질에 있어서 玄米가 白眉보다는 營養素가 많다. 또한, 현미는 위장에 있는 時間이 길어 飽滿感이 더 오래가 다이어트에도 매우 效果的이다. 그러나 현미는 꽤 딱딱한 感이 있다. 黑米밥 검은쌀 (黑米)로 만들어진 것이다. 食感은 白米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健康에도 좋다. 雜穀밥 은 여러 가지 穀物과 白米, 玄米를 섞은 것이다. 거의 大部分 . 境遇에 따라선 機張 도 넣는다. 가장 營養素가 豐富하며, 健康食, 다이어트食으로 널리 食用된다. 보리밥 보리 를 玄米 或은 白米와 適切히 섞은 것이다. 보리는 生産量이 많고 收穫되는 時期도 빨라 韓民族의 主要 穀食으로 널리 愛用받았다. 옛날에는 가난한 農民들이 보리가 收穫되기까지 걸리는 時間이 너무 고통스러워 "보릿고개"라는 말이 붙은 적도 있다. 藥밥은 특별한 날에만 즐겨 먹는 飮食이고 밥을 뭉쳐 떡처럼 만들었다. 또한 밤과 대추 等 多樣한 堅果類와 과일, 菜蔬들을 넣어 風味가 가득하다.

[ 編輯 ]

國은 밥과 함께 언제나 床에 오른다. 國은 물에 국물을 내는 材料를 넣고 끓인 것이다. 國의 種類는 매우 다양한데, 于先 미역국 멸치 다시마 를 넣고 국물을 낸 뒤 미역을 넣고 끓인 것이다. 또한 미역국은 産母가 出産 前, 後에 많이 먹는 국이다. 그래서 韓國에는 生日에 미역국을 먹는 風習이 있다. 미역국은 江陵이나 濟州島에서 맛있다고 有名하고, 種類에는 代表的으로 소고기 미역국, 굴미역국 等이 있다. 콩나물국 콩나물 을 넣고 끓인 것이다. 主로 아침床에 먹는다. 解酲用으로도 愛用된다. 된醬국 은 멸치 다시마로 국물을 낸 국물에 된醬을 푼 것이다. 무국 또는 뭇국 쇠고기 국물에 를 숭덩숭덩 썰어넣고 끓인 것이다. 아욱국 아욱 을 넣고 끓인것이다.

[ 編輯 ]

湯은 건더기가 더 많이 들어간 국을 의미한다. 湯은 主로 저녁床에 오른다. 于先 갈비湯 이 있다. 소의 갈비와 菜蔬, 그리고 몸에 좋은 韓藥材를 넣고 우린 것이다. 蔘鷄湯 은 닭과 韓藥材, 人蔘, 대추와 파, 그리고 갖가지 菜蔬를 넣고 津하게 끓인 것이다. 蔘鷄湯은 以熱治熱(뜨거운 것에는 뜨거운 것으로 相對한다는 뜻)에 따라 무더운 여름 初伏, 重複, 末伏에 먹는다. 그 外에 海物湯 , 매운湯 , 鰍魚湯 , 알湯 等 湯의 種類는 매우 다양하다.

튀각, 浮刻, 김치, 떡 等 [ 編輯 ]

材料를 기름에 튀긴 튀각 浮刻 은 間食으로 쓸 수 있으며, 特히 浮刻은 材料에 찹쌀 풀漆을 하여 必要할 때 튀겨 먹어 밑飯饌으로 많이 쓰인다. 代表的으로 김부각이 있다. 肉脯 魚脯 로 나뉘고 술按酒나 間食, 밑飯饌으로 쓰인다. 은 名節이나 큰 行事에 자주 쓰이는 飮食으로 古朝鮮 時代의 시루 가 發見되어 긴 歷史를 가늠할 수 있다. 만드는 方法에 따라 치는 떡, 빚는 떡, 찌는 떡이 있다. 白설기 , 松편 等이 有名하다. 는 精神을 맑게 하는 效果가 있어 僧侶들이 많이 마셨다고 傳하며 잎을 그대로 말려 마시는 綠茶 와 발효시켜 마시는 우롱차 , 紅茶 가 있다.

花菜 는 冷水에 꿀이나 엿기름을 탄 飮食으로, 과일이나 五味子汁을 넣어 만들기도 한다. 다른 飮料로는 숭늉 , 修正과 , 食醯 等이 있다.

醱酵 飮食 [ 編輯 ]

김치

고기 料理 [ 編輯 ]

소갈비 구이.

傳統 食堂에서 고기는 숯불 火爐를 床에 놓고 여러 가지 飯饌과 밥을 周圍에 빙 늘어 놓고 구어 먹는다. 구운 고기를 작은 조각으로 자른 다음 新鮮한 상추 , 밥, 얇게 저민 마늘, 쌈醬(고추醬과 된醬을 섞은 것) 그 밖의 양념을 같이 싸서 먹는다. 主로 불고기나 三겹살을 많이 먹는다.

밥을 利用한 料理 [ 編輯 ]

沙鉢 그릇에 과 여러 가지의 菜蔬 , 고기 , 달걀 , 고추醬 等을 넣고 섞어서 먹는 비빔밥 이 있다. 또한, 눌은 밥을 利用한 누룽지 , 숭늉 이 있다.

簡單한 飮食 [ 編輯 ]

빈대떡
떡볶이

이 簡單한 飮食들은 길거리의 布帳馬車에서도 살 수 있고 普通 食事라기보다는 簡單한 間食 으로 여겨지는 것들이다. 많은 布帳馬車들이 밤 늦게까지 장사를 하고 을 같이 파는 境遇도 있다. 氷水 는 여름에 氣分轉換으로 人氣가 있고, 따뜻한 국물, 김밥 , 胡떡 , 붕어빵 等은 가을과 겨울에 많이 먹는다. 김치煎은 韓國人들이 비오는 날 먹는 飮食으로 매콤한 김치와 함께 밀가루와 부추를 무쳐서 기름으로 구워 먹는다.

特히 氷水는 이제 韓國에서 흔히 볼 수 있는 料理로 자리를 잡았고, 팥빙수에서 망고 氷水, 딸기 氷水롤 거듭났다. 氷水에 넣는 얼음을 가는 技術이 좋아지면서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韓食의 問題 [ 編輯 ]

表記 問題 [ 編輯 ]

韓食堂은 떡볶이를 Spicy Rice Pasta로 적는 等 메뉴板에 韓食의 固有名詞를 쓰지 않고 正體不明의 이름을 쓰거나 飮食을 說明하는 說明文만을 넣은 境遇, 또 反對로 英語 說明 없이 固有名詞만 써넣어 外國人들이 理解하기 어려운 境遇들이 많았다. [2] 이에 따라 2009年 大韓民國 農林水産食品部 는 韓國飮食에 對한 外國語 表記案을 만들었다. [3] 그러나 2011年 如前히 美國의 韓食堂은 正體不明의 表記를 쓰는 곳이 많아 美國 뉴욕大 (NYU) 大學院의 韓人學生會가 '韓食堂 메뉴 整備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2]

一部 寒食에는 을 " Mochi "로, 김밥 을 " Onigiri "로, 순대 를 " Korean ham " 或은 " Oriental sausage " 라고 表記하기도 하는 等의 借用語 使用이 發見되기도 했다. 이러한 外來語 借用은 元來 飮食과 混同을 일으킬 餘地가 있어, 可及的 固有名詞로 說明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健康 問題 [ 編輯 ]

韓食은 다른 나라의 飮食에 비해 全的으로 炭水化物 에 크게 依支하는 構造를 가진다. 더불어 다른 國家들에 비해 무언가를 한 番에 섞어 먹는 形態의 食事法을 가진다. 가장 代表的인 例示는 상추쌈 種類의 飮食이 있는데, 다른 나라들은 많아봐야 1~2가지 種類의 食材料를 한 입에 먹지만 韓國 飮食의 境遇는 여러 가지 種類의 飮食을 한 입에 집어넣어 먹는 形態를 가진 것이다. 그러니 멕시코의 타코처럼 여러 材料를 섞어먹는 文化는 韓國만 있는 것이 아니다. 寒食을 弘報하는 사람들은 寒食을 '웰빙 食單'이라고 弘報하지만, 實際 웰빙 食單은 한 番에 먹는 것이 아닌 코스 料理처럼 菜蔬, 豆腐나 鷄卵 蛋白質, 마지막으로 고기 種類의 蛋白質 順序로 먹으며, 韓食의 食事法은 이와 正確히 反對되는 食事法을 가지고 있다. 實際로 大韓民國 아시아 에서 가장 肥滿率이 높은 國家이며, 韓食이 影響을 一部 끼친다고 報告하기도 했다. 同時에 韓食은 世界에서 가장 나트륨 攝取가 높은 食單이기도 하다. 韓食의 大部分은 매운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單 맛과 짠 맛을 가려버리기 때문에 더 많은 나트륨 使用을 하게 된다. [4] 韓食의 大多數 飮食들은 염장 飮食이며, 特히 김치 한 포기의 境遇 피자 45版 程度의 나트륨을 지니고 있다. 大韓民國은 世界에서 腦卒中 發病 確率과 大腸癌 發病 確率이 가장 높은 國家이기도 하다. [5] 2020年代에는 食文化가 變化되어 雪糖 및 糖分의 含有量도 높다는 것이 問題로 指摘되기도 했다. [6] 윤숙자 韓國傳統飮食硏究所 所長은 生老病死의 祕密 에서 "옛날 고기구이는 雪糖이나 단 맛을 많이 넣지 않고 이나 造淸 을 넣어서 隱隱한 맛을 냈지만, 時間이 지나 現代化되며 많은 사람들이 '飮食을 달게 만들어야지' 라고 하며 단 것을 繼續해서 넣게 되었다" 라고 말하기도 했다.

산낙지 와 같은 飮食은 낙지의 特性 上 낙지가 死亡해도 觸手가 움직이며, 빨판 等을 利用하여 氣道를 막아 死亡할 수 있다. [7] 每年 복魚 로 死亡하는 사람보다 더 많은 死亡者를 記錄한다. [8] 一部 飮食 中에는 發癌物質 이 發見되는 境遇가 있다. [9] WHO 에서 定한 發癌物質 中 '潛在的 發癌物質'에는 김치 (아시아式 醱酵 菜蔬), 고사리 가 있다. [10] 그 外에 危險하다고 判斷되는 飮食에는 숙주나물 이 있다. 숙주나물에는 리스테리아菌 이 繁殖할 確率이 매우 크다.

韓食의 食事法 中 한 그릇에 飮食을 두고 많은 사람들이 먹던 숟가락을 使用하여 덜어 먹는 境遇가 많았는데, 이는 傳染病 에 매우 脆弱하다는 問題를 가지고 있다. 헬리코박터菌 問題는 韓食 關聯 問題에서 큰 比重을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이 때문에 국자를 利用하여 덜어 먹는 文化로 交替되고 있다.

弘報 問題 [ 編輯 ]

韓食의 引上은 海外에서는 그다지 좋지 않다. 大部分 같은 材料를 使用하여 맛이 밋밋하다는 認識이 있으며, 大多數가 낙지 같은 飮食들을 보며 嫌惡를 느끼기도 한다. 거기에 韓食은 맵고 짜다는 認識이 剛해 韓國에서도 外國 食單에 맞는 寒食을 만들겠다는 方法으로 弘報를 試圖하였으나, 블루베리 를, [11] 민트 초콜릿 치킨 을, 김치 칵테일 , 초콜릿 或은 초콜릿 케이크 를 함께 합친 飮食 等의 問題가 생긴다.

美國의 一部 店鋪에서는 寒食을 全혀 모르는 사람들이 寒食 專門店을 開場하여 評을 떨어뜨리는 問題도 發生한다.

寒食을 素材로 한 媒體 資料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觀光公社. “慶尙道 飮食의 特徵” . 《韓國觀光公社 旅行情報사이트》. 2007年 12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08年 1月 19日에 確認함 .  
  2. 韓食世界化 主導하는 美國 뉴욕大 韓人學生會 최재석.김지훈《聯合뉴스》2011-04-12
  3. 農食品部, 韓食메뉴 外國語 標準表記案 마련 이규성《아시아經濟》2009.11.06
  4. chosun, health. “韓食은 健康食?…韓食 속 나트륨이 健康 망친다”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5. “나트륨이 原因이다?...한국인이 걸리기 쉬운 4大 疾患”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6. 農民新聞社. “[생각의 숲] 나에게는 너무 單 韓食”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7. “산낙지, 世界에서 가장 危險한 飮食?”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8. News), 경기일보(Kyeonggi Daily. “世界의 危險한 飮食, 산낙지·복魚 “핫도그는 왜?””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9. 世界日報 (2014年 1月 2日). “‘韓食 3총사’ 제대로 알고 먹어야 健康 밥床”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10. “Pickled Vegetables (IARC Summary & Evaluation, Volume 56, 1993)” . 2023年 11月 15日에 確認함 .  
  11. “外國人 겨냥 블루베리展.검은콩展 開發” . 2022年 2月 8日에 確認함 .  

參考 文獻 [ 編輯 ]

  • 《韓國傳統飮食》(創造文化, 2000年) 文化관광부 엮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