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창원시의 地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창원시의 地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輕傷 盆地 南部 河東郡, 晋州市 , 泗川市, 宜寧郡 , 咸安郡, 高城郡, 統營市, 巨濟市 , 창원시의 地質

본 文書에서는 慶尙南道 창원시의 地質 昌原 고현리 恐龍발자국 化石 , 昌原 호계리 恐龍발자국 化石 等 昌原市 內 脂質遺産에 對해 說明한다.

槪要 [ 編輯 ]

昌原市 中生代 白堊紀 의 堆積盆地 輕傷 盆地 의 南端에 位置하여 輕傷 累層軍 振動層 , 마전리層, 성포리層 및 유천層群과 이들을 貫入한 佛國寺 花崗巖 류가 分布한다. [1] [2] 昌原市 振動層 에는 昌原 고현리 恐龍발자국 化石 , 昌原 호계리 恐龍발자국 化石 이 있다. [3]

輕傷 累層軍 振動層 [ 編輯 ]

昌原市 馬山合浦區 振動面 요장리 主導港 海岸散策路의 振動層

振動層 輕傷 累層軍 하양層群의 最上部 地層이며 昌原市 馬山合浦區 振動面 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다. 昌原市 馬山合浦區 馬山會原區 에 넓게 分布하며 特히 昌原 호계리 恐龍발자국 化石 昌原 고현리 恐龍발자국 化石 이 있다.

馬山 地質圖幅(1963)에 依하면 下位의 함안層을 整合으로 덮으며 (癌)灰色 셰일, 灰色 알코스沙巖으로 構成되고 若干의 礫巖 을 협재하며 셰일 中에는 漣痕 構造가 觀察된다. 振動層 下部는 紫色 셰일을 협재하지 않는다는 點에서 함안層과 區別되며 大體로 灰色 셰일과 灰綠色 李嵒 等으로 構成된다. 본 層의 走向은 北 30°이며 警査는 圖幅 北西部에서 南洞 10°以下, 南東部에서 北西 15°異狀을 보인다. 본 層의 最大 두께는 約 1,300 m이다. [4]

  • 마산도幅 地域인 咸安郡 칠원邑 오곡리의 中部內陸高速道路 도로면에 드러난 振動層에서 벌집 模樣의 特異한 凹凸 構造가 發見되었다. 이 地域에 發達한 振動層은 全般的으로 葉層 乃至 박층으로 發達한 細粒沙巖 乃至 실트스톤과 茸巖의 互層으로 構成되며 서로 反對되는 方向의 斜層理 가 發達하고 漣痕 과 乾熱 構造가 發達하며 一部 層準에서 恐龍의 足痕(足痕) 化石이 觀察된다. 角의 形成이 뚜렷하지 않은 마름모形, 五角形, 六角形 等의 形態를 보이는 凹凸 救助의 直徑은 6 乃至 12 mm, 깊이는 1 mm 程度이며 이 構造의 形成 原因은 물결이 여러 方向으로 일어나면서 만들어진 一種의 干涉 漣痕이라는 설 또는 얕은 물에 올챙이 떼가 棲息할 때 서로間의 空間을 차지하기 위한 運動으로부터 이 構造가 形成되었다는 올챙이집(tadpole nest) 起源說로 推定할 수 있다. 단 前者인 干涉 漣痕說의 可能性을 認定하기 힘든 것이 該當 地域의 振動層 內에 發達한 漣痕 構造가 堆積 當時 물의 運動이 거의 일정한 方向으로 일어났다는 것을 指示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後者인 올챙이집 起源說은 振動層이 白堊紀의 얕은 湖水에서 堆積된 地層이며 棲息 環境(淡水)도 問題가 되지 않아 凹凸 構造가 올챙이집 起源임을 示唆한다. [5]
  • 마산도幅 地域인 昌原市 내서읍 호계리 地域의 振動層에서 105個의 발자국으로 構成된 7個의 小型 龍脚類 의 步行列이 確認되었다. 內鉏分岐點 의 高速道路邊 切土 部分에서 恐龍 발자국 化石이 發見되었으며 葉層 乃至 박층으로 發達한 담灰色質疑 細粒沙巖 乃至 실트스톤과 暗灰色질 李嵒에서 化石이 算出된다. 地層에서는 새발자국 化石과 無脊椎動物의 生痕 化石 그리고 漣痕 및 乾熱 構造도 發見된다. [6]
  • 마산도幅 地域인 昌原市 내서읍 호계리 附近 振動層에서 다양한 새발자국 化石이 發見되었다. 새발자국 化石은 얇은 層 乃至 葉層으로 發達된 細粒沙巖 乃至 실트스톤과 茸巖의 互層(互層) 암상에서 産出된다. 이 地域의 새발자국 化石은 발자국의 크기와 形態를 바탕으로 크게 세 가지 種類로 區分되었고, 이들 새발자국 化石 가운데 두 種類는 振動層에서 報告된 바 있는 Koreanaornis hamanesis Jindongornipes kimi 이며, 나머지 한 種類는 振動層에서 처음으로 報告되는 물갈퀴가 있는 새발자국으로 이는 國內에 報告된 바가 없는 새로운 終日 可能性이 있다. 이 地層에서는 龍脚類 恐龍발자국 化石과 작은 無脊椎 動物의 生痕 構造가 隨伴되며, 乾熱 및 漣痕 構造와 蒸發 鑛物 캐스트가 觀察되었다. [7]
  • 마산도幅 地域인 昌原市 龍棟 용추계곡의 登山路를 따라 드러난 振動層에서 恐龍 발자국 化石이 産出되었다. 草食 恐龍의 것으로 推定되는 발자국 化石은 용추10橋 登山路 옆의 溪谷 바닥(N 35°14'07.66", E 128°43'14.18")의 約 480 cm의 좁은 範圍 內에서 步行列이 觀察되며 발자국의 크기는 길이 40~45 cm, 幅 35~40 cm, 깊이 7~10 cm 程度이다. 이 밖에도 용추 7, 9橋 아래쪽 溪谷바닥面에서도 발자국 化石이 確認되나 稀微하다. 이곳의 振動層은 大體로 혼펠스化되었고 成層面에는 漣痕 과 乾熱 構造가 發達한다. [3]

진동리 地質圖幅(1963)에 依하면 振動層은 함안層 上位에 整合的으로 놓여 있으며 下部로부터 黑色, 暗灰色 셰일層, 처트 層으로 構成되며 그 두께는 1,500 m에 達한다. 암상에 따라 3個 地層으로 區分된다. 最下部의 黑色 乃至 暗灰色 셰일層(Kjd)은 두께 100~500 m이며 셰일層은 大槪 暗灰色 乃至 黑色을 띠나 紫色(?色)層을 협재하기도 한다. 暗灰色 셰일層 위에는 增産(曾山)層과 처트層이 놓인다. 두께 0~150 m의 增産層(Kjdu)은 진북면 부평리 北側의 增産(시루봉, 448 m) 一帶에 小規模 分布하며 下部로부터 灰綠色 礫巖, 沙巖, 灰色 乃至 紫色(?色) 셰일 等으로 構成된다. 처트層(Kjdc)은 回(百)色, 회록색 처트 層과 灰白色 알코스沙巖으로 構成된다. 1963年 진동리圖幅 調査 當時에는 化石을 發見하지 못하였으나 以後 恐龍과 새의 발자국 化石이 發見되었다. 圖幅 內에서 昌原市 振動面 진북면 , 진전면 의 大部分 地域, 고성면 회화면 , 마암면 , 개천면 , 동해면 의 大部分 地域에 分布한다. [8] [1]

鎭海 地質圖幅(2021)에 依하면 昌原市 馬山合浦區 振動面 태봉리와 동전리 西部, 교동리와 요장리, 송내도와 소궁도 그리고 巨濟市 北部 장목면 의 유호리, 농소리, 송진포리, 하청면 대곡리 一部 地域에 分布하며 이들은 海水面 아래로 이어져 있다. 이 地域의 振動層 은 (癌)灰色 셰일과 沙巖이 優勢하며, 上部에 凝灰巖 或은 凝灰質沙巖, 火山礫巖을 협재하고 振動層의 上段에 乳白色 凝灰質沙巖으로 덮인다. 셰일 層理 가 잘 發達하고 灰色 細粒沙巖과 互層을 形成한다. 振動面 태봉리에서는 綠灰色 凝灰質沙巖이 數十 m 두께로 협재되는데 側方으로 數 km延長되며 層理 가 없다. U-Pb 저어콘 連帶測定 結果 上部에 협재된 凝灰巖은 98.8±1.1 Ma, 上段의 凝灰質 沙巖은 99.9±1.2 Ma으로 測定되었다. 振動層은 振動面 地域에서 大體로 北東 20~55°의 走向과 南洞 6~23°의 傾斜를 가진다. [2]

昌原 호계리 恐龍발자국 化石 [ 編輯 ]

마산도幅 地域인 昌原市 내서읍 호계리 산 50-1, 內鉏分岐點 南西쪽(N 35°15'28.74", E 128°30'49.50")에 位置한 昌原 호계리 恐龍발자국 化石 구마高速道路 擴張 工事로 發見되었으며 重灰色 셰일層 床에서 200餘 個의 恐龍 발자국과 새발자국 化石이 確認되었다. 振動層 上에는 漣痕 과 乾熱 救助, 生痕 化石과 炭化목便, 乾燥한 氣候와 鹽水의 存在를 指示하는 蒸發鑛物흔이 産出된다. 이곳에 드러난 中生代 白堊紀 의 堆積巖 地層 輕傷 累層軍 振動層 의 900 m 2 의 비탈 암반면에서 對ㆍ蘇의 이구아나龍科에 屬하는 고성룡族인 恐龍 발자국 166個가 確認되었다. [9] [3]

이들 恐龍발자국 化石은 平行 또는 비스듬히 移動한 痕跡을 남기고 있으며, 지름 8cm 程度의 原形 새끼恐龍 발자국 化石도 發見되고 있다. 恐龍발자국이 産出되는 이곳 地層은 約 1億年 前의 中生代 白堊紀 電氣 輕傷 累層軍 하양層群 振動層 의 重灰色 셰일 巖盤層이다. 馬山 호계리 恐龍발자국化石은 約 1億年 前의 中生代 白堊紀의 恐龍발자국으로서 約 900 m 2 에 걸쳐 臺·蘇의 이구아나龍科에 屬하는 高聲 恐龍族인 170餘個의 발자국이 發見되어 自然死(自然史) 資料로 높이 評價되고 있다.

昌原 고현리 恐龍발자국 化石 [ 編輯 ]

昌原 고현리 恐龍발자국 化石 昌原市 馬山合浦區 振動面 고현리 海岸의 輕傷 累層軍 振動層 에 드러난 恐龍발자국 化石山地이다. 고현리 恐龍발자국化石은 발자국의 內部構造를 잘 보여주고 있어 保存價値가 높은 資料로 評價되고 있으며, 恐龍生態 硏究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곳의 振動層 地層 上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層理 漣痕 그리고 乾熱 構造가 매우 鮮明하게 드러나 있다.

이곳의 振動層은 灰色 乃至 暗灰色의 葉層里 乃至 박층으로 交好하는 李嵒과 셰일, 細粒沙巖 乃至 실트스톤이 發達한다. 恐龍 20마리의 발자국 化石 400個가 發見되었으며, 振動層에는 아래 寫眞과 같이 매우 鮮明한 層理 , 漣痕 , 乾熱, 雨痕, 單層 構造 等이 觀察된다. 慶尙南道 記念物 第105號로 指定되었으며 干潮 時에만 觀察이 可能하다. 고현리 一帶 海岸가에는 振動層의 노두를 觀察할 수 있다. [3] 또한 고현리 一圓(N35°05'59.54", E128°28'55.52")의 振動層 노두에는 西北西 乃至 北西 方向의 單層 들이 振動層의 沙巖 乃至 李嵒을 1 m 以內으 垂直卞慰勞 切斷하고 있다. 이들 中 一部는 모든 地層을 切斷하지 못하고 軟質變形堆積構造(SSDS)가 함께 觀察되어 堆積同時性 單層 임을 指示한다. 單層의 高應力은 北北東-南南西 方向의 最小水平應力( )을 指示한다. [10]

現在 이곳의 恐龍 발자국 化石은 海水의 浸蝕으로 消滅되거나 稀微해져 있으며 保護 施設 없이 事實上 放置되어 있다. 이곳을 探査할 境遇, 바위 表面이 매우 미끄러워 注意해야 한다. 化石 山地는 昌原市 馬山合浦區 振動面 高現새洞네길 20-142에 位置한다. 特別한 案內 標識板이 없어 찾아가는 길이 어렵다. 地方도 제1002호선 에서 미더덕路로 進入해 우산초등학교 를 지나 港口(바다)가 보이면 고현마을情報센터 앞 三거리에서 左回轉하고 오른쪽에 바다를 두고 直進하고 右回轉한다. 고현漁村體驗마을 綜合案內所가 나오기 前 왼쪽으로 '해聖物産' 案內 標識板이 있는 1車線 道路를 따라 올라간다. 길을 따라가면 오른쪽에 造船所가 있고 나무데크길이 있는데 이 나무길을 따라 約 250 m 前進하면 化石山地 案內板이 있는 海岸가가 나온다.

정병산層 [ 編輯 ]

정병산層은 昌原市內 北東部 정병산 稜線部와 進永邑 우동리, 하계리 等地에 分布하는 地層이다. 馬山 地質圖幅(1963)에 依하면 振動層 中部 以後에 該當하며 振動層이 局部的으로 變成된 形態의 地層이며 차트 安山巖質巖類, 凝灰質頁巖 및 凝灰巖이 交好한다. 정병산 附近에는 走向 北東 40°, 警査 北西 16~30°이며 山頂의 振動層 上部에서는 北東 走向에 警査는 南洞 10°이다. 障壁山陵에서는 後期安山巖質癌 貫入體重에 捕獲巖으로 殘留하며 大體로 南北州香으로 26°~45°서로 警査한다. 一般的으로 교상의 層理가 잘 發達되었다. 珠算政에서는 花崗巖과 混同하기 쉬운 組立알코스사암이 約 5 m 두께로 협재된다.

유천層群 下部 安山巖質巖類 [ 編輯 ]

輕傷 累層軍 유천層群 下部 安山巖質暗流는 旣存의 주사산 安山巖(珠算安山巖質癌)에 對比되며 昌原市 地域에서는 下部에 鎔巖 層이 있고 그 위에 火山碎屑巖과 鎔巖, 層灰巖(Tuffite)李 놓인다. [2]

熊山安山巖 [ 編輯 ]

熊山安山巖은 鎭海區 자은동 北東部 熊山(709.9 m) 一帶에 分布하는 安山巖 이며 매우 가파른 山岳地形을 形成한다. 이 巖石은 分布誌 南部에서 花崗巖 및 花崗閃綠巖에 貫入당했고 北部는 單層으로 잘려 있으며 熊山 西쪽 稜線에서 安民火山碎屑巖에 依해 덮힌다. 이 巖石은 角礫巖이 협재되며 大部分 綠灰色 乃至 暗灰色을 띠는 鎔巖 流로 構成된다. U-Pb 加重平均 連帶測定 結果는 97.1 Ma으로 白堊紀 後期 歲노마눔節 이다. [2] [1]

安民火山碎屑巖 [ 編輯 ]

安民火山碎屑巖은 安民고개 稜線部에 分布하며 熊山安山巖을 덮고 성포리層 에 依해 덮힌다. 大體로 安山巖質이며 두께는 約 500 m이다. U-Pb 連帶測定 結果는 95.5 Ma이다. [2] [1]

성포리層 [ 編輯 ]

鎭海 地質圖幅(2021)에 依하면 馬山 地質圖幅(1963)에서 命名된 정병산層의 延長部이며 昌原市 鎭海區 경화동 北西部에 小規模로 露出되어 있다. 이곳에서 南쪽으로 가면 花崗巖에 依해 貫入당했으나 바다 밑으로 連續되어 海軍士官學校 東쪽과 구산면 心理와 鎭海區 明洞의 초리도와 鎭海區 수도동 山 258의 아랫꼬지섬에서 다시 出現한다. 그리고 鎭海區 북부동 北東部 稜線部와 소사동 北部(불모산 南東部)에도 小規模로 分布한다. 성포리層은 凝灰質沙巖과 이암이 交好하며 內部에 처트 , 凝灰質礫巖과 라필리 凝灰巖 이 협재된다. 地層의 두께는 200~400 m이며 초리도를 除外하고는 周邊의 深成巖 貫入으로 代替로 혼펠스化되어 있다. 地層의 走向과 警査는 경화동 北西部에서 北西 5~50° 및 南西 20~35°, 북부동 稜線에서 北東 50~70° 및 南洞 22~28°이다. U-Pb 連帶層情 結果는 92.8~229 Ma 範圍이며 堆積時期는 95.1±5.1 Ma이다. [2]

如左火山碎屑巖 [ 編輯 ]

如左火山碎屑巖은 昌原市 鎭海區 대죽동 안곡동 의 高折算(188.7 m)과 串出産(205.4 m) 一帶에 分布하고 구산면 난포리, 心理와 鎭海區 明洞 南部 및 북부동 에 小規模로 分布한다. 大槪 綠灰色~暗灰色을 띠는 安山巖質 凝灰巖이며 성포리層 을 덮고 다른 安山巖에 依해 덮힌다. 巖石의 두께는 孤節山에서 最高 200 m, 난포리에서 70 m이다. [2] [1]

歸山安山巖 [ 編輯 ]

歸山安山巖은 振動面 東部에서 馬山合浦區 의 현동, 덕동洞 中部, 가포동 , 구산면 적곡리, 心理~난포리, 귀산동 , 鎭海區 의 현동, 북부동 地域과 樹牛島, 少數右島, 不渡, 火도, 도투리섬, 陰地도 等의 圖書에 分布한다. 이 巖石은 大部分 鎔巖層으로 構成되고 角礫巖層이 있으며 두께는 鎭海區 現同意 평지봉(426.6 m)에서 330 m, 구산면 西部에서 250 m, 南部에서 150 m, 鎭海區 북부동에서 170 m이다. 白堊紀 閃綠巖, 花崗巖, 高弟3期 細粒質花崗閃綠巖에 依해 管入黨했다. U-Pb 加重平均連帶는 89.8±1.2 Ma으로 最後 噴出時期로 解釋된다. [2] [1]

마전리層 [ 編輯 ]

振動面 다구리 地方도 제1002호선 道路邊의 마전리層
구산면 석곡리 海洋드라마세트場 海岸가의 마전리層

마電離層은 구산면 마전리, 석곡리, 振動面 다구리, 요장리, 인곡리 및 守理峯, 鎭海區 현동 北西部, 城山區 산성산 等地에 分布하며 이들 海岸을 따라 露頭 가 드러나 있다. 마電離層은 수 cm~數 m 두께의 礫巖 , 沙巖 , 李嵒 이 互層을 形成하고 있다. [2] [1]

白堊紀 深成巖類 馬山癌 [ 編輯 ]

白堊紀 嗅葉 深成巖類는 하양層群과 下部 安山巖質癌類를 貫入하였으며 馬山 地質圖幅(1963)에서 馬山癌으로, 鎭海 地質圖幅(2021)에서 巖柱(巖柱) 形態의 白堊紀 深成巖類로 記載되었다.

閃綠巖 [ 編輯 ]

閃綠巖 昌原市 馬山合浦區 가포동 南部, 구산면 반동리, 振動面 교동리에 巖柱 形態로 分布한다. 閃綠巖은 灰白色 또는 靑灰色을 띠고 中立질이며 週 構成 鑛物은 斜長石 , 輝石 , 角閃石 , 黑雲母 , 磁鐵石 等이다. 振動層 , 歸山安山巖, 如左火山碎屑巖을 貫入했으며 中部 流紋巖質巖類 口腹凝灰巖과 上部 安山巖質巖類 遺産凝灰巖에 依해 덮힌다. [2] [1]

花崗閃綠巖 [ 編輯 ]

花崗閃綠巖은 鎭海區 자은동 南東部 시루봉에서 장천동 北東部 守理峯에 이르는 稜線 一帶와 북부동, 제덕동 一帶에 分布한다. 이 巖石은 담灰色~灰白色이고 中立~細粒質며 斜長石 , 石英 , 正長石 , 角閃石 , 黑雲母 , 磁鐵石 等으로 構成된다. U-Pb 加重平均連帶는 90.18±0.86 Ma이다. [2] [1]

花崗巖 [ 編輯 ]

花崗巖 鎭海灣 을 따라 鎭海區 태백동, 경화동, 석동, 자은동, 풍호동에 넓게 分布하여 低地帶를 形成하고 귀산동과 대죽도에 小規模 分布한다. 昌原市를 中心으로 巨大한 巖柱(巖柱)를 形成하는 이들은 地下로 連結된다. 花崗巖은 乳白色 또는 淡紅色을 띠고 石英 , 正長石 , 斜長石 , 黑雲母 , 角閃石 , 磁鐵石 等으로 構成된다. U-Pb 加重平均連帶는 74.61±0.70 Ma (상파뉴節)이다. [2] [1]

中部 流紋巖質巖類 [ 編輯 ]

口腹凝灰巖 [ 編輯 ]

口腹凝灰巖은 振動만 東岸을 따라 구산면 내포리, 구복리, 心理 地域과 道섬, 쇠섬, 자라섬, 眼目섬, 긴섬, 곰섬, 닭섬, 나비섬, 北섬, 長久섬, 징섬 等地에 分布하는 凝灰巖 이다. 流紋巖 質 乃至 데이사이트 蛭螾 口腹凝灰巖은 下部 安山巖質巖類와 白堊紀 深成巖類를 不整合 으로 덮으며 地層의 두께는 100~180 m로 推定된다. SHRIMP U-Pb 加重平均連帶는 67.97±0.44 Ma ( 마스트리흐트節 )이다. [2] [1]

上部 安山巖質巖類 [ 編輯 ]

덕동安山巖 [ 編輯 ]

덕동安山巖은 昌原市 馬山合浦區 덕동洞 과 幕個道에 分布하며 그 外에 구산면 반동리와 鎭海區 북부동에 小規模 分布한다. 이 安山巖은 癌綠灰色, (갈)회색을 띠며 口腹凝灰巖을 덮고 두께는 덕동洞에서 100 m 未滿, 북부동에서 170 m로 推定된다. [2] [1]

遺産凝灰巖 [ 編輯 ]

遺産凝灰巖은 馬山合浦區 가포동, 덕동洞, 현동에서 구산면 유산리, 數整理, 옥계리까지 大略 北서-남동방향으로 分布하는 安山巖 質 乃至 데이사이트 凝灰巖 이다. 地層의 두께는 옥계리 北西部 栢嶺고개 附近에서 500 m에 達하나 北쪽으로 가면서 漸次 얇아져 유산리에서 150 m, 덕동 北쪽에서 50 m 以下로 얇아진다. U-Pb 加重平均連帶는 65.78±0.77 Ma으로 大略 白堊紀-고진기 警戒 에 噴出하였다. [2] [1]

修正安山巖 [ 編輯 ]

修正安山巖은 數整理, 옥계리, 난포리 東部 海岸에 分布하는 安山巖 이다. 巖石의 두께는 數整理에서 300 m 以上, 덕동洞 淸凉山 山 中턱에서 70 m 以下이다. [2] [1]

卵胞凝灰巖 [ 編輯 ]

卵胞凝灰巖은 현동, 가포동, 덕동洞의 淸凉山(320.1 m)-某産(272 m) 中턱을 따라 南北으로 길쭉하게 分布하는 安山巖 質~ 데이사이트 凝灰巖 이다. 두께는 淸凉山에서 50 m 程度이다. [2] [1]

某産安山巖 [ 編輯 ]

某産安山巖은 淸凉山-某産 頂上 稜線部에 分布하며 鎭海區 제황산桐 에도 分布한다. 두께는 淸凉山에서 50 m, 제황산棟에서 100 m 以內이다. [2] [1]

高弟3期 [ 編輯 ]

昌原市 鎭海區 明洞 동섬 高弟3期 流紋巖
北緯 35° 05′ 43.6″ 東京 128° 43′ 17.4″  /  北緯 35.095444° 東京 128.721500°  / 35.095444; 128.721500

細粒質 閃綠巖 [ 編輯 ]

細粒質 閃綠巖은 馬山合浦區 구산면 옥계리 東部 海岸에 작은 巖柱 形態로 分布하며 振動層 과 유천層群 上部 安山巖質癌類를 貫入하였다. [2]

細粒質 花崗閃綠巖 [ 編輯 ]

細粒質 花崗閃綠巖은 振動面 다구리, 구산면 數整理와 心理에 작은 巖柱 形態로 分布하며 마電離層과 上部 安山巖質癌類를 貫入하였다. [2]

鎭海火成碎屑巖 [ 編輯 ]

鎭海火成碎屑巖은 행암동, 원포동, 죽곡동, 明洞 北部와 右島 및 소쿠리섬, 서중동, 제덕동에 分布하는 데이사이트 質 乃至 流紋巖質 巖石이다. U-Pb 加重平均連帶는 62.82±0.55 Ma으로 高弟3期 多니아절이다. [2]

데이사이트 [ 編輯 ]

데이사이트 는 현동 나들목 東쪽과 鎭海區 원포동 北部 稜線部에 小規模 分布하며 원포동에서는 鎭海火成碎屑巖 위에 두께 70 m의 帽子 形態의 鎔巖 돔 構造를 形成하고 있다. [2]

流紋巖 [ 編輯 ]

流紋巖 鎭海區 明洞의 南部 海岸과 동섬(地番 : 鎭海區 明洞 337-1, 干潮時 出入 可能)에 小規模 分布한다. [2]

기타 [ 編輯 ]

玄武巖 [ 編輯 ]

玄武巖 은 천자봉(506.8 m) 南쪽 장천동, 원포동, 죽곡동 山地 地域에 分布하며 垂直 節理 와 애추(talus)를 形成한다. [2] 前癌 칼륨-아르곤 連帶 測定 結果는 10 Ma이다. [11]

창원시의 單層 [ 編輯 ]

長대 單層 [ 編輯 ]

昌原 單層 [ 編輯 ]

昌原 斷層은 安民터널 北側 入口에서 熊山과 불모산 사이로 지나는 西北西-東南東 方向의 單層 이다. [2]

南浦 單層 [ 編輯 ]

南浦 斷層은 구산면 난포리에서 반동리를 지나 내포리 미리 마을을 지나는 延長 8 km 以上, 西北西-東南東 走向의 單層 이다. 斷層을 境界로 南側에 下部 安山巖質暗流가, 北側에 上部 安山巖質暗流가 分布하여 北側이 南側보다 下降하였다. [2]

三浦 單層 [ 編輯 ]

三浦 斷層은 昌原市 鎭海區 明洞 삼포마을에서 數値港으로 이어지는 延長 4 km, 西北西-東南東 走向의 單層 이다. 이 斷層을 境界로 北側에 鎭海火成碎屑巖이, 南側에 如左火山碎屑巖이 分布하여 北側이 若干 下降하였다. [2]

馬山灣 單層 [ 編輯 ]

馬山灣 斷層은 馬山灣을 北東 70°走向으로 지나며 데이사이트 內에서 數 미터 幅의 破碎帶를 보이고 東側이 下降하였다. 破碎帶에서는 흔히 斷層角礫巖과 斷層粘土를 보인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GEO 脂質情報시스템 1: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 황상구 (2021年). “鎭海·桐두말圖幅 地質調査報告書”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3. 정대교 ( 강원대학교 ); 좌용주; 造形性 ( 경상대학교 ); 백인성; 김현주; 박정규 ( 부경대學校 ); 孫文; 임현수; 강희철; 신승원; 이성준; 하수진 ( 부산대학교 ); 김종선 ( 전남대학교 ); 金慶洙 ( 全州敎育隊學校 ) (2018年 12月). 《慶南圈 脂質遺産 發掘 및 價値評價》. 大寒地質學會 .  
  4. “馬山 地質圖幅說明書 (馬山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3年.  
  5. 백인성; 김현주; 허민 (2001年 6月). “Honeycomblike depression from the Jindong Formation in the vicinity of Chilwon, Gyeongsangnamdo, Korea (慶尙南道 칠원 附近의 振動層에서 發見된 벌집模樣의 凹凸救助)” . 《 大寒地質學會 37 (2): 137-321.  
  6.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2年 9月). “Sauropod tracks from the Cretaceous Jindong Formation, Hogyeri, Masan-city, Korea (마산시 호계리 附近의 白堊紀 振動層에서 産出된 龍脚類 恐龍발자국化石)” . 《 大寒地質學會 38 (3): 361-375.  
  7. 김현주; 백인성; 이정은; 허민 (2008年 12月). “Bird footprint fossils from the Upper Cretaceous Jindong Formation at Hogyeri, Masan city, Gyeongsangnamdo, Korea : occurrences and paleoenvironmental implications (慶南 마산시 호계리 附近의 白堊紀 振動層에서 發見된 새발자국 化石 : 山上 및 고환경적 意味)” . 《 大寒地質學會 44 (6): 729-745.  
  8. “鎭東里 地質圖幅說明書 (진동리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63年.  
  9. “昌原 旅行 : 1億 年 前의 時間으로 떠나 볼 수 있는 호계리 恐龍발자국 化石” . 昌原市 公式 블로그. 2022年 5月 16日.  
  10. 천영범 (2018年). “晋州, 大邱, 義城地塊를 中心으로 한 白堊紀 經常分之의 地球照 진화사 硏究 (Tectonic Evolution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Focused on the Jinju, Daegu, and Uiseong Blocks)” . 부산대학교 大學院.  
  11. 류삼형; 정윤기; 李祥源; 성종규; 류충렬 (2008年 6月). “鎭海 천자봉-시루봉 一圓에 分布하는 마이오세 火山巖 (1) : 巖石記載와 巖石化學的 特徵 (Miocene Volcanic Rocks Over the Area of Chenonja-bong and Siru-bong, Jinhae (1): Petrography and Petrochemical Characteristics)” . 《韓國巖石學會》 1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