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英國-프랑스 關係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英國-프랑스 關係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英國-프랑스 領土

英國-프랑스 關係 그레이트 브리튼 및 北아일랜드 聯合 王國 프랑스 共和國 의 相互關係를 말한다. 두 나라는 오래 前부터 只今까지 繼續 라이벌 關係이다.

歷史 [ 編輯 ]

17世紀까지 [ 編輯 ]

12世紀의 프랑스와 아키텐 공작령

新石器 時代에, 現在의 英國과 프랑스 各地에서는 共通的으로 고인돌(dolmen)·선돌(menhir)·化石(cromlech)·스톤헨지(stonehenge) 等 세련된 巨石 記念物이 만들어졌다. 英佛 間의 交流는 카이사르 갈리아 侵攻 以前에, 兩國의 共通의 敵이었던 古代 로마 와 戰爭을 벌인 게르만족 과의 去來를 통하여 生活하였던 두 나라의 사람들로부터 始作되어, 그들은 로마 帝國 의 統治下에서도 去來를 繼續하여, 兩 地域은 500餘年 동안 相互 交流가 活潑히 일어났다. 그러나, 그後 約 500年 동안은 兩 地域에 各各 다른 게르만 部族이 侵入함에 따라 交流가 매우 沈滯되었다. 이러한 1千年의 歲月이 끝나갈 무렵, 브리튼 制度 는 主로 스칸디나비아半島 地域과 相互 影響을 주었고, 프랑스의 對外 關係는 主로 神聖 로마 帝國 의 關係에 集中되었다. 프랑스에서는 카롤링거 王朝 (580~876) 以後에 두 家門 사이에서 때때로 中斷되었다가 다시 始作되곤 했던 權力 鬪爭을 거쳐, 위그 카페 가 王으로 卽位(在位 987~996)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工作이며 파리의 伯爵이었고, 발루아 家門, 부르봉 家門의 分派까지 包含하는 카페 王朝 를 創設하였고, 그 王朝는 800年이 넘는 歲月동안 ― 1792年 루이 16歲 의 處刑 때까지 ― 프랑스를 統治하였다. 생클레르쉬레프트 條約 (911)에 依하여 스칸디나비아 에서 온 바이킹족의 頭目 롤로 에게 下賜된 공작령人 센 江 下流의 노르망디 公國은, 1066年에 롤로의 後孫 노르망디 工作 기욤 이 英國을 征服하고 王이 되면서(재위 1066~87) 프랑스 王室에게는 다루기 곤란한 地域이 되었다. 비록 프랑스 內에서는 노르망디 工作이 프랑스 王의 臣下이지만, 프랑스 外部에서는 同等한 王이기 때문이었다. 狀況은 갈수록 惡化되었다. 루이 7歲 (在位 1137~80)와 離婚(1152)韓 프랑스의 前 王妃인 엘레懊惱르 는, 노르망디 工作 헨리 플랜태저넷 과 再婚(1152)하였다. 엘레懊惱르는 아키텐 工作이 다스리던 프랑스 西南部 地域을 물려받은 人物이었다. 1154年에 노르망디 工作이 英國王으로 卽位하였는데, 그가 헨리 2歲 이었다. 헨리는 自身의 어머니인 마틸다를 통해 노르망디 公國을 물려받았고, 아버지로부터는 仰奏 地方을 물려받은 人物이었다. 엘레懊惱르와 그女의 네 아들 中 세 名이 이끈 1173-1174年의 叛亂軍이 敗한 以後에, 헨리는 엘레懊惱르를 監獄에 가두었다. 그리고 그는 自身의 봉신을 브르타뉴 工作으로 임명했으며, 그 結果 프랑스 西部를 다스리게 된 그는 프랑스 王室보다 더 큰 힘과 더 넓은 領土를 지니게 되었다.

1223年의 프랑스.

그러나 헨리의 後孫들 사이에서 그의 프랑스 領土를 分割하는 問題로 論爭이 벌어지고, 존 王 (在位 1199~1216)과 필리프 2歲 (在位 1180~1223) 사이에 긴 紛爭이 그 論爭과 얽히면서, 結局 프랑스 王 필리프 2世는 헨리 2世가 프랑스 內에서 차지했던 領土의 大部分에 對한 影響力을 回復하였다. 부빈 戰鬪 (1214)에서 프랑스가 大勝을 거둔 以後에, 英國 王室은 프랑스 南西部의 귀예네 公國 에 對해서만 權力을 行使할 수 있었다.

프랑스와 스코틀랜드는 오울드 얼라이언스(Auld Alliance)를 통해 中世 末에 軍事的 同盟을 맺고 있었다. 中世 以後로, 프랑스와 잉글랜드 王國 은 유럽大陸의 主導權 및 植民地 爭奪을 놓고 서로 敵對國인 境遇가 많았으나 때로는 同盟을 맺기도 하였다. 兩國은 이탈리아 戰爭 (1494~1559)에서 서로 反對 陣營에 屬해 있었다. 잉글랜드 王國에서는 宗敎改革 이 일어나 國民 大多數가 改新敎로 改宗함으로써 로마 가톨릭교회 가 優勢한 프랑스와 더 한層 멀어졌다. 이로 인해 兩國은 서로를 單純한 外部의 敵이 아니라 異敎徒로 取扱하게 되었다. 兩國에서는 市民들의 激烈한 宗敎 紛爭이 일어났다. 로마카롤릭敎徒인 프랑스의 루이 13歲 의 壓制로 인하여 改新敎 中 하나인 위그노 의 相當數가 잉글랜드 王國으로 避身하였고, 마찬가지로 많은 가톨릭교도들이 잉글랜드 王國에서 프랑스로 避身하였다. 잉글랜드 王國의 헨리 8世는 프랑스와 同盟을 追求하였고, 프랑스의 프랑수아 1歲 對面 會談 (1520)을 갖기도 하였다. 16~17世紀, 스페인이 支配的인 强大國으로 떠오르자, 잉글랜드 王國은 프랑스와 함께 均衡錘로서 作用하였다. [1] 이러한 構圖는 유럽에 있어서 힘의 均衡을 維持하고 어느 한 國家가 壓倒的인 힘을 갖는 것을 防止하고자 한 것이었다. 잉글랜드 王國의 核心政策은 유럽을 統合한 君主가 잉글랜드 섬을 支配할 것을 두려워하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2] 베스트팔렌 條約 (1648)에 따라 스페인의 힘이 弱해지자, 루이 14歲 가 統治하던 프랑스는 유럽 및 全世界에서 積極的인 擴張 政策을 펼치기 始作하였다. 잉글랜드 王國은 프랑스가 유럽 大陸에서 優位를 차지하고 單一 君主가 되는 것을 막기 爲한 政策으로 나아갔다. 프랑스에 있어서 잉글랜드 王國은 主로 海軍 및 部分的으로 私掠船 에 依存하는 海賊 國家라고 認識되어 있었고, " 不信의 알비온 "이라는 말로 잉글랜드 王國을 輕蔑하였다. 그러던 次에, 兩國의 政治 哲學에 예사롭지 않은 變化가 일어났다. 잉글랜드 王國에서는 잉글랜드 內戰 (1642~51) 때, 權限 濫用 嫌疑로 찰스 1歲 가 처형당하였고(1649), 나중에 제임스 2歲 名譽革命 을 거쳐 王位를 얻게 되었다(1660). 反面에 프랑스에서는 君主와 貴族의 權力이 거의 統制받지 않고 있었다.

두 나라는 다시 9年 戰爭 (1688~97)에서 맞붙었다. 이러한 兩國의 構圖는 18世紀까지 이어졌다. 카드리유 춤에서 네사람이 파트너를 바꾸어 춤을 추듯, 유럽의 國家 間의 同盟은 持續的으로 바뀌는 構圖가 이어졌고(따라서 이것을 " stately quadrille "라고 부른다), 이로 인해 戰爭이 間歇的으로 勃發하였다.

오스트리아 王位 繼承 戰爭 [ 編輯 ]

1707年 聯合法 에 依하여 스코틀랜드 王國 잉글랜드 王國 ( 웨일스 는 이미 잉글랜드 王國의 一部였다)이 合倂하여 그레이트브리튼 王國 이 될 것을 決意하였다. 이것은 大陸의 干涉을 두려워한 탓이기도 하였다. [3] 新生國 그레이트브리튼 王國이 議會中心의 政治를 발전시킨 反面, 프랑스는 如前히 絶對君主의 體制가 支配하고 있었다. 17世紀末에 固着된 유럽의 5大 强國에는 그레이트브리튼 王國과 프랑스도 包含되어 있었다. 그레이트브리튼 王國과 프랑스는 스페인 王位 繼承 戰爭 (1702~13)과 오스트리아 王位 繼承 戰爭 (1740~48)에서 다시 맞붙었다. 이 戰爭들은 유럽에 있어서 힘의 均衡을 維持하기 위한 試圖들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1740年 神聖 로마 帝國의 카를 6歲 가 死亡하면서 祭位 繼承 問題가 浮刻되었다. 皇帝는 自身의 딸 마리아 테레지아 에게 帝位와 領土를 相續하고 싶어 生前에 이미 國史勅令을 宣布하고 諸侯들의 同意를 얻어둔 터였다. 局社勅令은 女性의 王位 繼承을 禁止하는 傳統的인 게르만 法에 反하여 마리아 테레지兒의 祭位 相續을 規定한 것이었다. 하지만 實際로 카를 6世가 逝去하고 마리아 테레지아가 그 뒤를 繼承瑕疵 諸侯들은 그 勅令을 認定하려 하지 않았다. 特히 프로이센 은 勅令을 無視하고 실레지아 를 占領하였다. 오스트리아는 그레이트브리튼 王國 의 支援을 받아 프로이센에 抵抗하였고 이에 프랑스 에스파냐 가 프로이센을 支持하면서 오스트리아 王位 繼承 戰爭 (1740~48年)李 勃發하였다. 北아메리카 大陸에서는 아카디아와 北部 뉴잉글랜드의 境界를 둘러싸고 英國과 프랑스 間의 植民地 戰爭( 조지 王 戰爭 )이 일어나(1744~48년), 英國軍의 優勢 아래 戰鬪가 進行되어 1745年 루이스부르그를 占領하였는데, 아헨 火藥(和約) 結果 占領地는 相互 返還한다는 線에서 一時 妥協을 보였다. 印度에서는 1746年에서 1748年에 걸쳐 第1次 카르나티크 戰爭(First Carnatic War)李 英國과 프랑스 사이에서 벌어졌다. 유럽에서의 戰爭은 오스트리아와 英國의 勝利로 끝났고, 엑스라샤펠 條約 (1748年) 이 締結되었다. 이 條約에 依해 마리아 테레지兒의 帝位가 認定되었고 프로이센은 敗戰國이었음에도 不拘하고 실레지아 地方을 그대로 保有하였다. 이 戰爭에서 정작 아무것도 얻지 못한 것은 프랑스였다. 또한, 오스트리아 王位 繼承 戰爭은 유럽 만이 아니라 이와 같이 北美와 印度에 있는 兩國의 海外 植民地에까지 擴大되어 프랑스의 植民 政策에 致命的인 結果를 안겨주었다. 프랑스와 英國의 植民地 競爭은 17世紀 以來 繼續되어온 것이었다. 서인도 諸島 에서는 英國領의 자메이카 와 프랑스領의 산토도밍고 , 北아메리카 에서는 大西洋 沿岸에 자리 잡은 英國과 루이지애나 에 자리 잡은 프랑스가 對立하고 있었으며, 印度 에서는 프랑스의 東印度會社 와 英國의 東印度會社 가 各各 競爭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 王位繼承戰爭과 以後 7年 戰爭 (1756~63年)을 契機로 프랑스는 海外 植民地 競爭에서 英國에 對한 優位權을 完全히 喪失하였다.

7年 戰爭 [ 編輯 ]

오스트리아 繼承戰爭에서 실레지아를 獲得한 프로이센은 프리드리히 2歲下에서 漸次 强力해졌다. 프로이센의 勢力 擴大는 프랑스를 不安하게 만들었다. 結局 프랑스는 200年間 外交的 宿敵이었던 오스트리아와 和解하여 프로이센을 牽制하려 하였다. 오스트리아 亦是 실레지아 地方을 回復하기 위해 프로이센을 侵略할 機會를 노리고 있던 터라 和解는 쉽게 이루어졌다. 프랑스는 오스트리아 外에도 러시아를 끌어들여 프로이센에 對抗하였고 이에 프로이센은 英國의 支持를 얻어 맞섰다. 戰爭은 7年 동안 繼續되었기 때문에 흔히 7年 戰爭 (1756~63年)으로 불린다. 이 戰爭은 실레지아 領有權 때문에 일어났지만 全 유럽 國家들이 介入하였고, 地域的으로도 海外에까지 擴大되어 프랑스와 英國의 植民地 爭奪戰의 樣相까지 띠었다. 그러나 이番 戰爭에서도 프랑스는 敗北하였다. 프랑스는 1763年 파리 條約 에 依해 캐나다 의 왼쪽은 英國에게, 오른쪽은 에스파냐에게 讓渡하였다. 이로 인해 英國은 北아메리카와 人道에서 壓倒的인 優位를 掌握하였다. 프랑스에게 그나마 多幸인 것은 雪糖山地인 서인도 制度를 繼續 保有한 點인데 國內의 輿論이 어느 程度 鎭靜될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었다. 아무튼 7年 戰爭에 依해 英國은 世界 帝國으로서의 地位를 確保한 反面 프랑스는 루이 14世 時代의 榮光을 喪失하였다.

프랑스 革命 [ 編輯 ]

英國이 아메리카 大陸에서 美國과 戰爭을 치르자(→ 美國 獨立 戰爭 , 1775~83年) 英國을 牽制하려던 프랑스는 海軍과 陸軍을 派兵하여 美國에게 直接 軍事 支援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이 戰爭을 위해 너무 많은 돈을 써 深刻한 財政危機를 겪게 되고, 結局 이것은 프랑스 革命 (1789年)의 原因이 되기도 했다. [4]

프랑스 革命으로 들어선 革命 政府가 루이 16歲 를 處刑(1793年 1月 21日)하자 그때까지만 해도 市民 革命에 同情的이었던 잉글랜드조차 反革命의 立場에 서게 되었다. 또한 잉글랜드로서는 네덜란드 가 프랑스의 손에 떨어지는 것은 自國의 安保에도 深刻한 問題였다. 이러한 理由로 잉글랜드는 합스부르크 君主國 等과 함께 第1次 大프랑스 同盟 (1793~97)을 맺었다. [5] 2月 1日, 프랑스는 잉글랜드에 對해서 宣傳 布告를 했다. 英國은 海上 封鎖를 始作(5月 30日)하여 프랑스 海軍의 據點인 툴롱 港 을 包圍했다. 그러자 窮地에 빠진 프랑스 國民 議會는 "國家總動員令"을 發令(8月 23日)하고, 徵兵制를 施行했다. 許容된 30萬名 募兵과 달리, 各 階層의 國民을 平等하게 徵兵하여 새로 120萬 軍人이 軍에 參加했다. 이것은 傭兵을 軍隊의 主力으로 하고 있던 當時의 유럽 君主制 國家에서는 想像할 수 없을 程度의 큰 兵力이었다. 巨大한 國民軍으로 바뀐 프랑스軍은 라자르 카르노 의 指導 下에 13個 群團으로 再編했고, 反擊의 準備를 갖췄다. 9月 位샤르는 요크 工作 프레더릭 이 이끄는 잉글랜드君을 9月 8日 魂트쇼트 戰鬪 에서 勝利하여 됭케르크 를 包圍에서 풀어 놓았다. 한便, 툴롱 은 후드 總督이 指揮하는 잉글랜드 艦隊의 支援을 받고 있었다. 프랑스軍은 10月 30日 11月 15日 두 番에 걸친 툴롱 攻擊에 失敗하여 司令官이 罷免되었다. 後任 司令官으로 就任한 뒤고미에 는 當時 아직 24歲 砲兵 將校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가 세운 智慧로운 戰略을 採擇하여 12月 19日 툴롱 奪還에 成功했다.( 툴롱 包圍戰 ) [6] (→ 프랑스 革命 戰爭 )

오스트리아의 脫落으로 第1次 大프랑스 同盟은 崩壞(1797)되고, 잉글랜드만이 프랑스와 싸우는 形局이 되었다. 그러나 制海權을 쥐고 있는 英國에게 프랑스는 打擊을 줄 수 없었다. 그래서 나폴레옹은 잉글랜드와 印度와의 連繫를 끊기 위해, 오스만 帝國領 이집트에 遠征(1798)하였다. 1798年 5月 19日 , 나폴레옹이 이끄는 이집트 遠征軍은 툴롱 港을 出發하였다. 7月 2日 이집트 아부키르 萬 에 上陸했다. 7月 21日 피라미드 戰鬪 에서 現地軍에게 勝利를 거두고 이어 카이로에 入城한다. 그러나 10日 後 8月 1日 나일 海戰 에서 넬슨 이 이끄는 英國 艦隊에 프랑스 艦隊가 大敗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 孤立되게 된다. 나폴레옹은 시리아 方面으로 侵攻하여 아코 를 包圍하지만( 아코 攻防戰 , 1799年 3月 18日 - 5月 20日 ) 攻掠에 失敗하고 이집트로 退却했다.

1798年 8月 아일랜드의 叛亂을 틈타 프랑스軍은 다시 아일랜드에 對한 遠征을 實施한다. 이番엔 上陸에 成功하지만, 制海權이 없는 狀況에서 戰略은 오래가지 않았고, 增員을 하지 못한 遠征軍은 9月에 降伏했다.

한便, 1798年 1月부터 스웨덴의 악셀 폰 페르센 伯爵의 仲裁 下에 프랑스 革命 戰爭의 終結을 目標로 한 第2次 라슈타트 會議 가 열렸는데, 이것은 메테르니히 의 策略으로서 오스트리아는 會議를 질질끌어 講和를 하기 前에 大프랑스 同盟을 再建할 時間 벌기에 成功한다. 그리고, 1798年 이탈리아 遠征을 마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英國 印度 의 連絡을 끊기 위해 오스만 帝國領 이집트 遠征에 나섰다. 오스만 帝國 을 相對하여 肉煎에서는 勝利를 거듭했지만, 나일 海戰 에서 프랑스 艦隊는 호레이쇼 넬슨 이 이끄는 英國 艦隊에 敗北하여, 나폴레옹은 이집트에서 발이 묶이게 되었다. 나폴레옹의 不在를 틈타, 英國은 오스트리아  · 러시아 等과 함께 第2次 大프랑스 同盟 을 結成(1798年 12月 24日)하였으나, 1800年 오스트리아  · 러시아는 卽時 프랑스와 强化를 맺고 同盟에서 脫退함으로써 오직 잉글랜드만이 프랑스와의 戰爭을 繼續하는 狀況이 되었다. 1801年 3月 22日 잉글랜드軍과 오스만 帝國軍은 이집트의 第2次 아부키르 戰鬪 에서 勝利하여 半年 後에 프랑스의 이집트 遠征軍을 降伏하게 했다.

英國에서는 對프랑스 主戰派인 윌리엄 피트 가 國內의 宗敎 問題 等으로 退陣(1801年 3月 14日)하고, 對프랑스 主和派인 헨리 애딩턴 이 首相이 되었다. 프랑스의 첫 番째 執政 나폴레옹 도 國內의 安定을 重視하고 强化를 願하고 있었다. 1802年 3月 25日 兩國은 프랑스 北部 아미앵 에서 講和 條約을 締結했다. (→ 아미앵 條約 ) 英國은 그때까지 얻은 프랑스의 領土 取得을 承認하고, 몰타   · 케이프 植民地   · 이집트 等 占領地에서 軍隊를 撤收할 것을 約束했다. 프랑스도 나폴리 王國 敎皇領 에서 撤收를 約束했다. 以後 1年 間 兩國을 包含한 유럽에 平和가 持續되었다.

나폴레옹 戰爭 [ 編輯 ]

그러나 프랑스에 依해 유럽市場에서 英國製品의 販賣禁止와 條約違反行爲 等으로 인해 다시 英國과 프랑스間의 對立이 深化되면서 英國은 아미앵 條約 을 파기( 1803年 5月 16日 )하고 프랑스에 宣戰布告를 하였다. 戰爭의 目的은 프랑스의 舊體制 回復에서 나폴레옹의 打倒로 變하게 되었다. 또한 3月 21日 나폴레옹에 對한 쿠데타 計劃에 參與했다는 것만으로 프랑스 王族 앙갱 공이 처형당한 일이 벌어져 유럽 여러 나라의 非難을 받으면서 프랑스와의 戰爭에 拍車를 加하게 되었다. 兩國은 유럽 全體를 沈沒시킨 나폴레옹 戰爭 (1803~15)으로 突入한다. 英國과 프랑스를 包含한 5大 强國이 維持하고 있었던 勢力均衡原則은 나폴레옹 戰爭 으로 크게 威脅받게 되었다. 나폴레옹이 유럽 全體를 支配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疑懼心이 유럽에 澎湃하게 되었다. [7] 1804年 5月 28日 나폴레옹은 制定을 宣布했다. 12月 2日 戴冠式을 擧行하고, 프랑스 皇帝 나폴레옹 1世가 되었다. 1805年 나폴레옹은 英國 上陸을 計劃하고, 도버海峽 에 隣接한 브르타뉴 에 18萬의 兵力을 집결시켰다. 이에 對해 英國은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러시아 等을 끌어들여 第3次 大프랑스 同盟 을 結成했다. 피에르 빌뇌브 提督이 이끄는 프랑스-스페인 聯合艦隊는 넬슨 이 이끄는 英國艦隊에게 捕捉되어 10月 21日 트라팔가르 海戰 에서 壞滅 當했다. 다만 이 海戰은 곧바로 大陸에 있던 나폴레옹의 霸權에는 影響을 주지 못했다. 1806年 7月 英國은 프로이센  · 러시아  · 스웨덴 等과 더불어 第4次 大프랑스 同盟 을 結成하고, 10月 9日 프랑스에 宣戰布告를 하였다. 프로이센을 擊破한 프랑스의 나폴레옹은 베를린에서 大陸封鎖令 (《베를린 勅令》)을 發表했다.(11월 21日) 이것은 産業 革命 이 發興하고 있던 英國과 유럽大陸 여러 나라와의 交易을 禁止시켜, 英國을 經濟的으로 고립시키려는 意圖였다. 그러나 오히려 交易 相對를 잃어버린 유럽 여러 나라側이 經濟에 큰 打擊을 입는 結果를 낳았다.

1808年 나폴레옹이 自身의 兄 조제프 보나파르트 - 그는 이미 나폴레옹에 依해 1806年부터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國王에 任命된 狀態였다 - 를 스페인 王位에 올렸다. 이에 反撥한 民衆은 5月 2日 마드리드 에서 蜂起했다. 이 叛亂은 霎時間에 스페인 全域으로 擴散되었다. 叛亂을 支援하기 위해 英國은 웰즐리 (後에 웰링턴 工作 )의 部隊를 派遣하였다. 11月 나폴레옹은 直接 20萬 大軍을 이끌고 스페인을 侵攻해 1809年 1月까지 英國軍을 몰아낸 後, 戰後 處理를 술트 怨讐에게 맡기고 歸還했다. 그러나 그 뒤에도 스페인 側은 게릴라전 과 英國의 支援을 받으며 頑强한 抵抗을 繼續했다. 이 半島(半島) 戰爭 은 진흙탕 戰爭으로 變하고, 프랑스는 大軍을 몰아넣었으나 最終的으로 敗北했다. 英國은, 나폴레옹이 스페인에서 苦戰하는 것을 目擊한 오스트리아와 第5次 大프랑스 同盟 을 結成했다.(1809년 4月)

프랑스가 러시아 遠征 (1812)에서 大敗하자 유럽 各國은 一齊히 反 나폴레옹의 旗幟를 내걸었다. 처음으로 움직인 것이 프로이센이었으며, 周邊 나라들에게 呼訴하여 英國 等과 함께 第6次 大프랑스 同盟 을 結成(1813年 2月)하였다. 러시아 遠征 으로 數十萬의 軍士를 잃은 나폴레옹은 强制的으로 靑年들을 徵集하였다. 1813年 봄, 변변찮은 軍隊로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  · 오스트리아  · 러시아  · 스웨덴 等 同盟軍과의 戰鬪에서 勝利를 거둔 後 休戰을 하였다. 메테르니히 와의 平和交涉이 不發된 後, 라이프치히 戰鬪 (1813年 10月 16~19日)에서는 同盟軍에게 包圍攻擊 當하여 大敗한 後, 프랑스로 逃亡갔다. 이는 나폴레옹의 沒落을 招來하였다.

1814年 에 情勢는 한層 더 惡化되어 프랑스 北東쪽에서는 슈바르트베르크와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 의 聯合軍 25萬이, 北西쪽에서는 베르나도트 將軍의 16萬이, 南쪽에서는 웰즈 리 將軍의 10萬 大軍이 프랑스 國境으로 進擊하여 臺包圍網을 構築하였다. 이에 反해 나폴레옹은 不過 7萬의 軍勢로 絶望的인 싸움을 할 수 밖에 없었다. 3月 31日 에는 帝國의 首都 파리가 陷落된다. 나폴레옹은 終戰을 目的으로 退位를 하겠다고 했지만, 背信한 마르몽 怨讐 等에 依해 無條件 退位를 강요당하여, 結局 1814年 4月 16日 퐁텐블로 條約 을 締結한 뒤 地中海의 작은 섬인 엘바섬 으로 追放되었다.

나폴레옹이 失脚한 後, 빈 會議 가 열려 前後 유럽을 어떻게 再編해야 할지를 各國 頂上들이 議論을 하였지만, 各國의 利害關係가 얽혀 있었기 때문에 會議는 좀처럼 제대로 進行되지 않았다. 게다가 프랑스 王으로 卽位한 루이 18歲 의 時代錯誤的인 統治에 對해 民衆은 漸次 不滿을 품기 始作했다. 1815年 나폴레옹은 엘바섬을 脫出하여 파리로 돌아오고 나서 復位하는 데 成功한다. 나폴레옹은 自由主義的인 새로운 憲法을 發表하여 自身에게 批判的인 勢力과의 妥協을 試圖했다. 그리고 聯合國에게도 强化를 提案했지만 거부당하여 結局 또다시 戰爭을 하게 되었다. 初盤에는 勝勢를 거두었으나 워털루 戰鬪 (1815年 6月 18日)에서 英國과 프로이센의 聯合 攻擊으로 完敗하여 百日天下 는 끝났다. 나폴레옹은 다시 退位되어 美國으로의 亡命도 試圖했지만 港口 封鎖로 斷念하였고, 最終的으로 英國 軍艦에 投降하였다. 英國 政府는 아서 웰즐리 將軍의 提案을 받아들여 나폴레옹을 南大西洋의 한가운데에 있는 세인트헬레나 에 幽閉시켰다. 나폴레옹 戰爭에서 英國은 大陸封鎖令 에 對抗해 海上封鎖를 敢行해 프랑스와의 經濟戰爭에서 勝利하고 植民地 貿易에도 支配力을 强化하게 되어 英國의 産業이 復興하게 되었다. 戰爭 期間 中 英國은 最大의 武器 生産國이 되어 同盟國에 武器 提供을 實施하였다.

現代 [ 編輯 ]

그러다가 20世紀에 들어오면서, 앙탕트 코르디알(entente cordiale) 政策을 펴면서, 러日 戰爭 以後 프랑스는 英國 및 러시아 와 同盟(三國 協商)을 맺게 된다. 1940年 프랑스 攻防戰 에서 英國이 프랑스를 버렸다는 認識도 있으나, 兩國은 現在까지 大體로 友好的인 關係를 維持하고 있다. 第1次, 第2次 世界 大戰 以後 國際關係에서는 步調를 함께 하기 始作했다.

유럽 聯合의 未來에 對한 것은 兩國間의 해묵은 論爭 거리이다. 샤를 드 骨 大統領 治世의 프랑스는 英國이 유럽 經濟 共同體 에 加入하는 것을 여러 番 反對하였다. 드 골은 英國이 유럽 以外의 地域 特히 美國과 지나친 同盟 關係라는 點을 내세웠다. 英國이 유럽 經濟 共同體에 加入한 後, 英國의 마거릿 對處 首相은 유럽 經濟 共同體의 分擔金을 줄이는 데 努力하고 이를 얻어냈다. 토니 블레어 英國 總理는 프랑스의 經濟 政策에 對하여 懷疑的인 視角을 나타낸 바 있다. 그러나, 프랑스의 니콜라 사르코지 大統領과 同盟 關係를 構築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Brendan Simms,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2008) pp. 9?29
  2. Brendan Simms,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2008) pp. 11-25
  3. Brendan Simms, Three Victories and a Defeat: The Rise and Fall of the First British Empire (2008) p.51-3
  4. Gerald Leinwand (1986). 〈Chapter 14 The French Revolution and Napoleon: A Close Look at a Revolution〉. 《 The Pageant of World History 》. Allyn & Bacon. 322쪽. ISBN   978-0-205-08680-1 . Although France gave aid to America during its revolution, it could not financially afford to give this aid. Its loans to the American Revolution contributed to its bankruptcy.  
  5. David Hannay (1911). 《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French Revolutionary Wars 》. But the execution of Louis XVI. raised up a host of new and determined enemies. England, Holland, Austria, Prussia, Spain and Sardinia promptly formed the First Coalition. England poured out money in profusion to pay and equip her Allies’ land armies, and herself began the great struggle for the command of the sea … .  
  6. 앨리스테어 魂 저, 한은경 驛 《나폴레옹의 時代》 을유문화사 (2006) 16쪽 ISBN   978-89-324-3075-1 “8年 後인 1793年에는 툴롱에서 처음으로 武勳을 세운다. 當時 核心的인 海軍基地였던 툴롱은 후드 總督이 指揮하는 英國 艦隊의 命令 아래 있었다. 港口를 包圍하던 프랑스 革命軍의 한 將軍이 24歲의 砲兵 大尉 나폴레옹을 불러들였다. 靑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天才的인 慧眼慧眼으로 戰略을 세워 英國軍을 쫓아내는 勝利를 거두었다.”
  7. 金容九. 《世界外交史》 1995(上?下 合本)判. 서울대학교 出版部. 2쪽. ISBN   89-7096-413-4 . 17世紀末頃부터는 勢力均衡原則을 움직이는 5大强國이 이미 決定되었는데 英國, 프랑스,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그리고 러시아가 그들이었다. 그런데 유럽政治秩序의 名分으로서의 勢力均衡原則이 나폴레옹戰爭으로 크게 威脅받게 되었다. 나폴레옹이 유럽 全體를 支配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疑懼心이 유럽에 澎湃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