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出家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出家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出家修行者 에서 넘어옴)

出家 (出家) [1] 산스크리트語 프라브라자나(pravrajana)의 번역어로, 煩惱 에 얽매인 世俗 에서의 因緣 을 버리고 裁可生活 (在家生活)을 떠나 오로지 佛敎 修行에 힘쓰는 것이다. [2] [3] 出家하여 遂行하는 僧侶 出家者 (出家者)라고 한다. 出嫁한 男子 僧侶를 出家 (出家)라 하고 女子 僧侶를 出家니 (出家尼)라 부르기도 한다. [4]

七衆 (七衆) 中 優婆塞   · 優婆夷 의 2重(二衆)은 在家信者 利器 때문에 그 以外의 沙彌   · 沙彌尼   · 式叉摩那   · 比丘   · 比丘尼 5中 (五衆)이 모두 出家者에 包含된다. [2]

起源 [ 編輯 ]

出嫁는 印度 에서 佛敎 以前의 印度 宗敎들에서 이미 行하여진 것으로, 깨달음 을 얻기 위해 고요한 山林韓처(山林閑處)에서 遂行하는 風潮가 고타마 붓다 當時의 힌두敎 等에 이미 있었다. [4] 힌두敎 에서는 男性 출가자를 山野新 ( Sannyasin )이라하고 女性 출가자를 산야시니 ( Sannyasini )라고 한다.

고타마 붓다 는 29歲때에 出家하여 참된 를 찾아 修行으로 들어갔는데, 그 後 佛敎에서도 고타마 붓다 를 본떠 出家하여 佛敎를 遂行하는 일이 一般的으로 行해졌으며, 佛敎 敎團 은 이와 같은 出家者들에 依해 組織되었다. [4]

資格 [ 編輯 ]

佛敎 敎團 이 擴大됨에 따라 아무나 다 出家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年齡上의 制限이나 出家者로서 지켜야 할 여러 戒律이 定하여졌다. [4]

部派佛敎 에서는 出嫁者를 사미(沙彌)  · 沙彌尼(沙彌尼)  · 式叉摩那(式叉摩那)  · 比丘(比丘)  · 比丘尼(比丘尼)의 5中(五衆)으로 했는데, 大乘佛敎 에서는 出嫁者를 出家(出家)  · 出家니 (出家尼)의 2重(二衆)으로 總稱한다. [4]

出家者의 境遇, 沙彌 (沙彌)  · 沙彌尼 (沙彌尼)의 境遇는 십계 (十戒), 式叉摩那 (式叉摩那)의 境遇는 六法 (六法), 比丘 (比丘)  · 比丘尼 (比丘尼)의 境遇는 具足戒 (具足戒)를 받게 된다. [2] 이같은 出家水系 (出家受戒) 때의 凡節은 律藏 (律藏)의 《 水系件도 》에 記錄되어 있다. [2]

出家佛敎 [ 編輯 ]

出家佛敎 (出家佛敎)라고 할 境遇에는, 例를 들어 部派佛敎 처럼 出家 修行者만이 專門的으로 佛敎의 學問的 硏究나 實踐修行에 힘쓰고, 一般 在家信者 (在家信者)는 이에 拘礙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4] 卽, 出家佛敎 는 專門家의 佛敎를 뜻한다. [4] 이에 對해 在家信者 들이 믿고 實踐하여 온 佛敎를 裁可佛敎 (在家佛敎)라고 한다. [5]

各州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