觸境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觸境 (觸境)이라는 낱말은 2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마음 마음作用 認識對象 을 接觸한다는 燭臺 (觸對)의 뜻이고, 다른 하나는 6景 (六境) 中 하나인 觸境을 말한다. 이 文書의 以下의 內容은 後者를 다룬다.

觸境 (觸境, 산스크리트語 : sprastavya , 팔리어 : photthabba , 英語 : touch )은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과 마음作用 (心所法)의 物質 對象 색경 (色境, 色깔과 形態)  · 聖經 (聲境, 소리)  · 向鏡 (香境, 냄새)  · 미경 (味境, 맛)  · 觸境(觸境, 感觸)의 5景 (五境)의 하나로서, 또는 5景 法經 (法境, 精神的 事物 또는 存在)을 더한 6景 (六境) 中의 하나로서, 신근 (身根)의 勢力이 미치는 範圍이자 신근 의 知覺作用의 對象이다. 單純히, (觸)이라고도 한다. [1] [2]

俱舍論 》에 나타난 설일체유부 의 敎學에 따르면, 觸境에는 總 11가지의 鏃社 (觸事: 觸境의 細部 項目)가 있다. 먼저, 佛敎에서 모든 物質 을 構成하는 基本元素라고 보는 지·數·火·風의 4大宗 (四大種)이 들어가며, 나머지 7가지는 4大宗 의 結合에 依해 形成된 小弔燭 (所造觸: 4大宗에 依해 만들어진 鏃社)들이다. 이 7小弔燭은 활(滑, 매끄러움)  · 삽(澁, 거침)  · 中(重, 무거움)  · 警(輕, 가벼움)  · 冷(冷, 차가움)  · 基(飢, 허기짐)  · 갈(渴, 목마름)이다. [3] [4]

4大宗 [ 編輯 ]

四大種 (四大種, 산스크리트語 : catv?ri mah?-bh?t?ni , 팔리어 : catt?ri mah?-bh?t?ni , 英語 : Four primary elements )은 色法 (色法), 卽 物質界 를 構成하는 (地) · (水) · (火) · (風)의 네 가지 元素 를 말한다. 줄여서 事大 (四大, 英語 : Four elements )라고도 하며, 또는 四季 (四界, 英語 : Four dhatus )라고도 한다. [5] [6] [7] [8]

性質面에서 보면, (地)  · (水)  · (火)  · (風)의 4大宗은 各各 堅固性[堅性]  · 濕潤性[濕性]  · 溫暖性[暖性]  · 運動性[動性]을 本質로 한다. [9] [10]

役割面에서 보면, 4大宗 은 總體的으로는 物質의 現在 狀態의 本質的 屬性[自相]을 決定하는 役割을 하지만, 다른 한便으로는 物質을 보지(保持, 또는 持)  · 火섭(和攝, 또는 攝)  · 成熟(成熟, 또는 熟)  · 增長(增長, 또는 長)하게 하는 役割을 한다. 이 네 가지 役割은 各各 順序대로 (地)  · (水)  · (火)  · (風)의 役割이다. [9]

小弔燭 [ 編輯 ]

俱舍論 》 等에서는 7小弔燭(七所造觸)에 對해 다음과 같이 說明하고 있다. [3] [4]

  • (滑, 매끄러움)은 柔軟(柔軟)함을 말하는데, 수대(水大)  · 花代(火大)의 2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 (澁, 거침)은 거칠고 剛함[??]을 말하는데, 地帶(地大)  · 풍대(風大)의 2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 (重, 무거움)은 秤量(稱量: 무게를 닮)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데, 地帶(地大)  · 수대(水大)의 2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 (輕, 가벼움)은 秤量(稱量: 무게를 닮)할 수 없는 것을 말하는데, 花代(火大)  · 풍대(風大)의 2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 (冷, 차가움)은 따뜻[煖]해지기를 바라는 것을 말하는데, 수대(水大)  · 풍대(風大)의 2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 (飢, 허기짐)는 먹기[食]를 바라는 것을 말하는데, 풍대(風大)의 1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 (渴, 목마름)는 마시기[?]를 바라는 것을 말하는데, 花代(火大)의 1大宗이 强盛한 것이다.

위의 7小弔燭 中 앞의 4가지, 卽 활  · 삽  · 中  · 卿은 4大宗 中 2가지가 强盛해져서 나타난 現在 狀態, 卽 結果[果]에 따라 名稱을 設定한 것이다. 反面, 뒤의 3가지, 卽 冷  · 基  · 갈은 原因[因]에 따라 結果[果]의 名稱을 設定한 것이다. [4] 말하자면, 어떤 事物이 따뜻해지려는 欲求, 卽 原因[因]을 가지고 있다면 그 事物의 現在 狀態, 卽 結果[果]는 冷(冷, 차가움)의 狀態라는 것이 설일체유부 의 主張이다. 달리 말해, 冷(冷, 차가움)은 4大宗 中에 特히 수대(水大)와 풍대(風大)의 2大宗이 强盛해지면 나타나는 것인데, 이렇게 하여 形成된 冷(冷, 차가움)은 內在的으로 花代(火大)를 强盛하게 하려는 欲求를 지닌다는 것이다.

3界의 鏃社 [ 編輯 ]

俱舍論 》에 나타난 설일체유부 의 敎學에 따르면, 3係 欲界 (欲界)에는 4大宗과 7塑造鏃의 11가지 鏃社(觸事, 感觸 의 對象)가 모두 存在한다. 하지만, 色界 (色界)에는 7小弔燭 中 氣(飢, 허기짐)  · 갈(渴, 목마름)의 2가지가 없으며, 나머지 9가지 鏃社, 卽 4大宗과 활(滑, 매끄러움)  · 삽(澁, 거침)  · 中(重, 무거움)  · 警(輕, 가벼움)  · 冷(冷, 차가움)은 存在한다. [11]

설일체유부 에서는 色界 에 中(重, 무거움)의 鏃社가 存在한다는 主張에 對해, 色界에서 입는 衣服은 유별나서 基本的으로 秤量(稱量: 무게를 닮)할 수 없지만 많이 쌓이게 되면 秤量할 수 있다고 說明하고 있다. [11]

또한, 설일체유부 에서는 色界 에 冷(冷, 차가움)의 鏃社가 存在한다는 主張에 對해, 色界 에서는 冷(冷, 차가움)이 該當 身體[所依身]를 해롭게 하는 일은 없어도 이롭게 하는 일이 있기 때문에, 冷(冷, 차가움)의 鏃社가 色界 에 存在한다는 主張이 맞다고 說明하고 있다. 이와 關聯하여, 寶光 (普光)은 經量部 에서는 冷(冷, 차가움)의 鏃社가 色界 에 存在하지 않는다고 보았다고 말하고 있다. [11]

新式과 觸境의 認識關係 [ 編輯 ]

事物의 本質的 特性을 뜻하는 刺傷 (自相)에는 妻子喪 (處自相)과 使者床 (事自相)의 區別이 있는데, 妻子喪(處自相)은 6斤 (六根)  · 6景 (六境)의 12處 (十二處) 各各의 本質的 特性을 말한다. 卽, 眼根 (眼根) · 이근 (耳根) · 卑近 (鼻根) · 舌根 (舌根) · 신근 (身根) · 意根 (意根) · 색경 (色境) · 聖經 (聲境) · 向鏡 (香境) · 미경 (味境) · 觸境(觸境) · 法經 (法境) 各各의 本質的 特性을 말한다. 獅子賞(事自相)은 特定한 妻(處)의 刺傷, 卽 特定한 妻子喪(處自相)을 더욱 細分한 것을 말한다.

例를 들어, 설일체유부 의 敎學에 따르면, 觸境(觸境)에는 다음의 總 11가지의 使者床이 있다. [3] [4] [12]

  • 4大宗(四大種): 지·數·火·풍
  • 7小弔燭(七所造觸): 활·삽·中·警·冷·氣·갈

部派佛敎 時代의 설일체유부 經量部 等의 認識論 에서는 " 新式 (身識) 等의 5式 , 卽 5食神 (五識身)은 刺傷(自相)만을 取(取: 要별)한다"는 것을 認識에 對한 一般的 規則들 中 하나로 보았는데, 설일체유부 에서는 이 때의 "刺傷"은 妻(處)의 刺傷, 卽 妻子喪(處自相)을 말하는 것이지, 事物의 刺傷, 卽 獅子賞(事自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보았다. [12]

한便, 설일체유부 에서는 " 新式 (身識) 等의 5式 , 卽 5食神 (五識身)은 刺傷(自相)李 아닌 公傷(共相)을 取한다"라는 것을 認識에 對한 規則들 中 하나로 主張하였는데, 이 規則에서의 "空想"이라는 말은 妻子喪을 뜻하고 "刺傷"이라는 말은 使者床을 뜻한다고 하였다. [12] 卽, " 新式 (身識) 等의 5式 , 卽 5食神 (五識身)은 刺傷(自相)만을 取(取: 要별)한다"라는 認識 規則을 달리 表現한 것에 지나지 않은 것이라고 하였다.

參考 文獻 [ 編輯 ]

  • 권오민 (2003). 《阿毘達磨佛敎》. 民族史.  
  •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阿毘達磨俱舍論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耘虛. 동국譯經院 編輯, 編輯. 《 佛敎 事前 》.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星雲. 《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 3板.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各州 [ 編輯 ]

  1. 耘虛 , " 觸(蜀) ". 2012年 9月 21日에 確認.
  2. 星雲 , " ". 2012年 9月 21日에 確認.
  3. 권오민 2003 , 61?67쪽.
  4.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18 / 1397 쪽.
  5. 耘虛 , " 四大種(四大種) ". 2012年 9月 5日에 確認.
  6.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22-24 / 1397 쪽.
  7. 星雲 , " 大種 ". 2012年 9月 5日에 確認.
  8. 星雲 , " 四大 ". 2012年 9月 5日에 確認.
  9.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23 / 1397 쪽.
  10. 권오민 2003 , 56?61쪽.
  11.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9 / 1397 쪽.
  12.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20 / 1397 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