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말레이語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말레이語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말레이語
Bahasa Melayu / ???? ?????
使用 國家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브루나이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語 ), 泰國 , 東티모르
使用 地域 東南아시아
言語 人口 約 2億 2千萬 名
順位 54位
文字 로마字
아랍 文字 ( 自慰 文字 )
타이 文字
言語 系統 오스트로네시아語族
  말레이폴리네시아語派
   核心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말레이숨바와魚群
     말레이語群
      말레이語
公用語 및 標準
公用語로 쓰는 나라 말레이시아의 기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어 )
싱가포르의 기 싱가포르
브루나이의 기 브루나이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語 )
코코스 제도의 기 코코스 制度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令)
크리스마스섬의 기 크리스마스섬 ( 오스트레일리아의 기 오스트레일리아 令)
標準 Dewan Bahasa dan Pustaka (言語文學원)
言語 富豪
ISO 639-1 ms
ISO 639-2 may (B)
msa (T)
ISO 639-3 多數:
zsm  ? 말레이시아어
ind  ? 인도네시아語
lrt  ? Larantuka Malay ?
kxd  ? 브루네이말레이語
meo  ? Kedah Malay ?
zmi  ? Negeri Sembilan Malay ?
dup  ? Duano ?
jak  ? Jakun ?
orn  ? Orang Kanaq ?
ors  ? Orang Seletar ?
tmw  ? Temuan ?
글로톨路그 indo1326   (인도네시아 軍도 말레이語) [1]

말레이語 (Bahasa Melayu, 自慰 : ???? ?????)는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에 屬하는 言語로 말레이 半島 말레이族 이 使用하는 言語이다.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싱가포르 , 브루나이 의 公用語이다. 인도네시아 에서는 別個의 標準을 삼아, 인도네시아語 (Bahasa Indonesia)라는 이름을 붙이고 있으나, 이는 20世紀 인도네시아 獨立靑年黨의 解放運動에 依해 생겨난 言語이므로 事實上 같은 言語이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間에 定해진 말레이語의 標準은 리아우 制度 의 말이다.

形態論的으로는 韓國語 , 日本語 等과 함께 膠着語 에 屬하며,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에 屬하며, 인도네시아語 , 타갈로그語 와 비슷한 言語이다. 使用 人口가 5百萬 以上으로 다른 말레이폴리네시아語派 言語 中에서는 미낭카바우어 와 系統上 가까운 便이다. 또한, 마다가스카르 의 公用語인 마다가스카르語 도 이 言語와 비슷한 體系를 지니고 있으며, 마오리語 , 하와이語 도 이 言語와 비슷한 오스트로네시아語族 의 言語이다.

말레이語와 마인어 [ 編輯 ]

말레이시아에서는 말레이語 (Bahasa Melayu) 또는 말레이시아어 (Bahasa Malaysia)라는 이름이 쓰인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語 (Bahasa Indonesia)라고 부르고,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에서는 말레이語(Bahasa Melayu)라고 한다.

韓國語 에서 '말레이語'라는 單語는 重義性을 띠고 있는데, 인도네시아 의 國語인 인도네시아語 와는 差別되는 말레이시아의 國語 말레이시아어(Bahasa Malaysia)를 의미할 수 있는가 하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브루나이의 말레이系 第方言을 아우르는 表現으로 쓰일 수도 있다. 後者의 광의에 關해서는, 말레이語와 인도네시아語를 합친 '말레이인도네시아語' 或은 마인어(馬印語)라는 表現도 널리 쓰이고 있다.

歷史 [ 編輯 ]

말레이語를 使用하는 말레이인의 起源은 古代 南部티베트人과, 자바人 等을 包含한 累算타라(Nusantara; 말레이 諸島) 地域 原住民들의 混血이다. 古代 南部티베트人들은 現在 인도네시아 땅인 者와섬 , 수마트라섬 一帶에 定着했으며, 이들은 現地 原住民들과 混血을 이루어 只今의 말레이인 들이 되었다. 實際 말레이인의 定着地는 只今의 말레이시아 가 아닌 인도네시아 이다. 말레이시아의 境遇, 오랑아슬리 나 이반, 카다잔/두순, 無룻 等이 居住했으며, 말레이인들과 全혀 關聯이 없었다. 하지만 많은 말레이인들이 인도네시아에서 말레이시아로 移動하면서, 現在 말레이시아 人口의 半 以上을 차지하는 말레이인 集團을 이루었다. 따라서 말레이語 使用 範圍는 自然스럽게 넓어졌다. 하지만 西歐 列强의 侵略과 植民 支配의 結果로 이들은 서로 다른 國家 共同體를 形成하게 되어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는데, 英國이 支配한 곳은 英國領 말라야라 하여 現在 말레이시아로, 네덜란드가 支配한 곳은 네덜란드領 印度라 하여 現在 인도네시아로 繼承되었다. 追加로 포르투갈이 支配한 곳은 포르투갈領 말라카라 하여 現在 말레이시아 말라카 週 이며, 스페인이 支配한 타와우 , 산다칸 , 라하多뚜의 一部는 現在 말레이시아 사바 州의 一部로 繼承되었다.

하지만 實際로 인도네시아는 말레이語를 잘 使用하지 않았으며, 現在도 말레이語를 使用하는 인도네시아人은 一部에 지닌다. 當時 인도네시아에서 使用되던 者訛語 는 者와섬 等 使用範圍가 極히 一部에 局限되었고, 抑揚이 너무 세고 거칠어 다른 民族들이 배우기에 相當한 어려움이 따랐다. 勿論 그렇다고 해서 他 民族들이 말레이語를 使用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인도네시아人들이 말레이語를 使用하기 始作한 까닭은 西歐 列强의 影響이 있었는데, 當時 포르투갈領 말라카(現在 말레이시아의 말라카)와 네덜란드領 印度의 몰루카(現在 인도네시아 몰루카 諸島) 사이 말라카 海峽을 두고 交流가 始作되면서 말레이語가 傳播되기 始作했다. 後에 말레이語가 바타비아(現在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에 到達하면서 말레이語의 重要度는 높아진다. 當時 네덜란드領 印度의 公用語로 使用되던 네덜란드語는 主로 高位層과 西歐의 支配 階級에 依해서만 主로 使用되었으며, 따라서 原住民이 使用하기에는 相當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네덜란드領 印度, 포르투갈領 말라카, 英國領 말라야 間의 交流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새로운 言語의 必要性을 느꼈는데, 그것이 바로 말레이語다. 네덜란드의 境遇, 말레이語를 '亂雜한 말레이語'(Brabbel Maleisch)로 卑下했었지만, 원활한 植民統治와 交流를 위해 말레이語의 重要性을 强調했다.

말레이語는 當時 使用 地域들이 國家 統合을 維持하는데 있어 매우 重要했다. 인도네시아의 境遇, 1928年 10月 28日 靑年의 盟誓(Sumpah Pemuda)에서 말레이語의 重要性을 强調했는데, [2] 이는 後날 인도네시아가 獨立할 때 말레이語를 公用語로 指定한 데 매우 重要한 役割을 했다. [2] 1945年 인도네시아가 獨立하자, 인도네시아 政府는 말레이語를 인도네시아語 (Bahasa Indonesia)라는 이름으로 하여 公用語로 定했다. [2] 말레이시아의 境遇, 말레이語의 使用이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었으며, 民族意識이 싹트면서 말레이語를 重要視하기 始作했고, 1957年 말레이시아가 獨立하자 말레이語를 公用語로 指定했다.

現在 말레이語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外에 싱가포르, 브루나이 等地에서도 使用된다. [2]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는 '말레이語'라 부르는 데 反해 인도네시아는 絶對로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또한 一部 브루나이人들은 자국어를 '말레이語' 代身 브루나이어 (Bahasa Brunei)라 부르기도 한다.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語는 말레이시아어 ( 말레이語 : Bahasa Malaysia )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美國 에서 英語 를 '미국어'라 하지 않는 것처럼 일어날 수 없는 일이라는 批判이 存在한다. 하지만 이 文書에서는 差異點을 보다 確實하게 說明하기 위해, 말레이시아어 , 인도네시아語 라는 表現을 使用할 것이다.

系統 分類 [ 編輯 ]

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에서 네 가지 勢力圈이 넓은(500만 以上 使用) 言語인 者訛語, 순다어, 마두라어, 미낭카바우語와 말레이語를 系統上 比較해 보면 인도네시아語는 미낭카바우語와 가장 가깝다. 말레이語는 말레이폴리네시아語派의 下位 分類인 核心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 의 一部이며, 다시 그 下位 分類인 말레이숨바와魚群 의 一部이다. 者訛語와는 여기서 갈라진다. 그리고 말레이語群 으로 내려가는데, 순다語와 마두라語와는 여기서 갈라진다. 여기에 말레이語와 미낭카바우御駕 함께 屬하게 된다. [3] 에스놀로그 에 依하면 古代에 말레이語의 原形은 수마트라 北東部 地域에서 使用되었을 것으로 推定된다. [4]

文法 [ 編輯 ]

SVO의 語順의 膠着語 이며, 單語의 曲用이 거의 存在하지 않아 固定된 語順으로 單語의 通史的 性質을 나타낸다. semua(모두)같은 一部 形容詞를 除外하면 修飾語가 被修飾語의 뒤에 붙는다. 예: semua orang(모든 사람), orang utan (숲의 사람)

말레이시아인과 인도네시아人의 大部分을 차지하는 말레이인들은 日常的으로 變則어(broken language) 形態의 말레이語를 使用하며, 이것은 어디나 日常化돼 있다. 例를 들어, 相對方에게 어디 가냐고 물을 때 主로 'Kau pergi mana?'를 使用하지만, 제대로 된 形態는 'Di manakah (yang) engkau pergi?'이다. 'yg(元來는 yang)', 'utk(元來는 untuk)', 'm'cri(元來는 mencari)' 等 縮約型들까지 널리 使用되는데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縮約型은 조금씩 다르다. 特히 인도네시아에서는 公式 席上에서조차 'ini', 'itu' 代身 'ni', 'tu'를 使用한다. 말레이시아 政府는 變則 말레이語의 使用을 排除하고 있지만, 生活에 깊숙히 배어있는 건 勿論 廣告에서조차 널리 使用되어, 實質的으로 排除할 순 없는 實情이다. [5] [6]

文字 [ 編輯 ]

말레이語는 라틴 文字와 아랍 文字로 表記되는데, 라틴 文字로 表記되면 루미 (Rumi)라고 불린다. 反面 아랍 文字로 表記되면 自慰 (Jawi)라고 부른다. 자위는 말레이語를 使用하는 累算타라 地域民들이 이슬람敎를 믿음에 따라 아랍 文字를 使用했는데, 이를 말레이語의 文字로 定하면서 始作된 것이다. 루미의 境遇, 西歐 列强의 支配 過程에서 定해진 것이다. 말레이시아의 境遇, 元來는 自慰를 使用했으나 英國 植民政府가 定한 自我바 (Za'aba) 綴字法을 使用하기 始作했고, 인도네시아는 元來부터 루미를 使用했는데, 네덜란드 植民政府가 定한 판 옵휘센 (van Ophuijsen)을 一部 改正한 수완디 (Soewandi)를 使用하기 始作했다. 하지만 두 綴字法 사이에는 相當한 差異가 있어 相當한 不便함이 있었는데, 이를 補完하기 위해 1972年 兩國의 合意로 이른바 맬린도 (Malindo)라고 불리는, 이와이디 (EYD; Ejaan Yang Disempurnakan) 綴字法을 制定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 말레이시아어는 이를 100% 따르는 데 反해, 인도네시아는 一部를 따르지 않고, 아직까지도 수완디를 使用하는 境遇가 있다.

自我바 수완디 이와이디
u oe u
ch tj c
sh sj sy
ny nj ny
y j y
j dj j
kh ch kh

現在도 者아바나 수완디를 쓰는 境遇가 가끔 있는데, 特히 인도네시아의 境遇가 그렇다. 一部 이름이나 指名이 아직까지도 이와이디 代身 者아바나 수완디로 表記되는 境遇가 있는데, 例를 들어 인도네시아 初代 大統領 수카르노(Sukarno)가 'Soekarno'로, 地名인 辱野카르타(Yogyakarta)가 'Jogjakarta'로 表記되는 것이 그 例다. 말레이시아의 境遇, 인도네시아 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가끔씩 使用된다. 사라와크주의 主導인 쿠칭(Kuching)李 例인데, '고양이'를 뜻하는 이 이름은 이와이디 基準으로 'Kucing'李 맞다. 그밖에 몇가지 例로, '찾다'(cari)를 뜻하는 'chari'나 'tjari', '도둑'(pencuri)을 뜻하는 'penchuri'나 'pentjoeri'가 있다. 1964年에 開封한 말레이시아 映畫 '3 압둘'(Tiga Abdul)의 一部에는 國民歌手 P. 람理가 부른 노래 '기타 소리'(Bunyi Gitar)가 나오는데, 이 場面 字幕을 보면 'ranchak(rancak)' 같이 自我바로 表記된 單語들이 登場한다.

現在는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語 둘 다 로마字가 통용화돼 있다. 하지만 알파벳을 부르는 것 自體는 다르다. 말레이시아어는 英語를 따라 '에이 비 氏'를 使用하지만, 인도네시아語는 네덜란드語를 따라 '아 베 체'를 使用한다. 따라서 WC를 읽을 때도 말레이시아어로는 '더블유 氏', 인도네시아語로는 '웨 체'라고 한다. 하지만 LPG는 둘 다 '엘피지'라고 하는 境遇가 많다.

자위는 꾸란 等 이슬람에 關聯된 部分에 한해서 使用한다. 1967年 말레이시아 公用語法에 따르면 "말레이語의 文字는 루미(로마 文字)로 한다"고 하지만, 이는 말레이 文字라고 하는 自慰(아랍 文字)의 使用을 禁하는 것이 아니다. [7] 다만, 現代人들은 루미를 더 選好할 뿐이다. 現在 泰國 南部(파타니, 나라티왓)나 말라야 半島 北東部(클란탄, 트렝가누)에서는 自慰가 使用되며, 술탄制를 施行하는 州에서는 自慰를 적지 않게 使用한다.

母音 [ 編輯 ]

말레이語의 알파벳 發音 規則에서 二重者를 除外하면 唯一한 모음 例外(子音 例外는 다음 文壇에서 說明)인 'e'는 單語에 따라 '/?/'와 '/e/'의 두 가지로 발음된다. [8] 나머지 基本 母音은 4개이므로(a, i, o, u) 말레이語의 基本 母音은 總 6個이다. 二重母音은 'ai', 'au', 'oi'로 3個가 있다. 二重母音은 그대로 읽는 것이 原則이나, 때로 二重母音 'ai'와 'au'를 '/?i/'( 한글 로 쓰면 '애이'에 가깝다)와 '/?/'(單純한 '/o/'보다 開口度가 높다)로 發音하는 境遇가 있으므로 말레이語의 基本 母音音의 數는 6個에서 8個라고 할 수 있다. [9]

子音 [ 編輯 ]

基本 子音音의 總 數는 23個인데, 말레이語 固有의 音은 이 中 19個이다. 그리고 基本 子音 'p', 't', 'k'는 無氣音 (한글에서 'ㅃ', 'ㄸ', 'ㄲ'에 가깝다)이다. [10] 子音 中 'f', 'q', 'x', 'v', 'z'의 다섯 글字는 거의 外來語에만 使用한다. 特히 'q'와 'z'는 主로 아랍語에서 借用된 單語에 쓰이고, 'v'는 네덜란드語에서 借用된 單語에 쓰인다. 두 글字로 表現되는 子音은 'kh', 'ng', 'ny', 'sy'의 네 個가 있는데, 'ng'은 英語 에서와 달리 徹底히 獨立的인 하나의 子音으로 쓰이며(Nga(/ŋa/) - Ngga(/ŋga/)) 音節 처음에도 올 수 있고, 'sy'는 主로 아랍語 借用語에서 쓰인다. 位置에 따라 소리값이 變하는 子音들度 있다. 代表的으로 'b'는 借用語의 語末에 놓이면 /p/와 같이 바뀐다. [11] 또, 'k'는 'bapak(아버지)' 와 같은 單語에서 이 알파벳이 音節 끝에 놓일 때 城門 破裂音 으로 實現되기도 한다. [12] 특정한 位置에만 나타나는 子音도 있는데, /b/, /t?/, /d/, /g/, /?/, /?/는 音節 처음에서만 나타난다. [13]

摩擦 脣齒音 /f/는 記述했듯 大體로 外來語에서만 쓰이는데, 인도네시아人들의 境遇 大部分 이 子音을 잘 發音하지 못해 많은 境遇 /p/로 발음된다. 甚至於 發音 區別 기호상 'f'를 'p'로 쓰는 境遇도 있다. [14] 强勢는 大體로 單語 끝에서 두 番째 音節에 받지만, 狀況에 따라 抑揚은 相當히 다양하며 强調하고 싶은 單語에 强勢를 주어 말한다.

音節의 構成은 다음과 같은 總 아홉 가지 形態가 可能하다.(C는 子音, V는 모음)

  1. V
  2. VC
  3. CV
  4. CVC
  5. CCV
  6. CCVC
  7. CVCC
  8. CCCV
  9. CCCVC

以上에서 1, 2, 3, 4의 形式이 가장 頻繁하게 使用되며, 말레이語 音節 形式의 基本이 된다. [15]

音韻 [ 編輯 ]

홀소리 [ 編輯 ]

  • 標準 말레이語
傳說 中說 후설
高母音 i u
中母音 e ? o
低母音 a
  • 인도네시아語
傳說 中說 후설
高母音 i u
中古母音 e(/e/) e(/?/) o(/o/)
重低母音 e(/?/) o(/?/)
低母音 a
세 個의 겹홀소리 /ai?, au?, oi?/가 있다.

닿소리 [ 編輯 ]

兩脣音 齒莖音 後齒莖音 · 硬口蓋音 軟口蓋音 聲門音
비음 m n ny(/?/) ng(/ŋ/)
破裂音 / 破擦音 無聲音 p t c(/t?/) k
有聲音 b d j(/d?/) ?
摩擦音 s h
流音 顫動音 r
舌側音 l
半母音 y(/j/) w
/f, v, z, ? [16] , θ, ð, x [17] , ? [18] /는 外來語에서만 나타난다.

使用 國家 [ 編輯 ]

語彙 [ 編輯 ]

말레이語의 語彙 目錄에는 산스크리트 , 아랍語, 페르시아語 , 포르투갈語 , 英語, 中國語 等으로부터 吸收된 外來語가 매우 많다. 뿐만 아니라 周邊 오스트로네시아語族의 言語들과도 交流하면서 者訛語, 순다어, 미낭카바우어, 마두라어 等으로부터 語彙를 廣範圍하게 받아들였다. 現代 말레이語에는 大略, 산스크리트에서 750個, 아랍語에서 1000個, 포르투갈語(와 스페인語 , 이탈리아語 )에서 125個의 外來語가 由來한 것으로 推定되며, 特히 인도네시아語에서는 네덜란드語에서 10000個 程度의 外來語가 由來한 것으로 推定된다. [19] 말레이語에서 外來語는 基本的인 生活 語彙에까지 깊숙이 浸透해 있는데, 이를테면 인도네시아語에서 日曜日 을 'hari Minggu'라고 부르는 것은 포르투갈語 'domingo(道밍區)'에서 받아들인 것이며, 을 'buku'라고 부르는 것은 네덜란드語 'boek(北)'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各各 英國과 네덜란드의 支配를 받은 것 때문에 外來語 語彙에 조금씩 差異가 있지만, 意思疏通에 支障을 주진 않는다. 아래 語彙들은 말레이語의 基本 語彙들이며, 括弧 안은 인도네시아語 表記이다.

曜日 [ 編輯 ]

[ 編輯 ]

簡單한 例文 [ 編輯 ]

  • Selamat pagi. - 安寧하세요(아침).
  • Selamat tengah hari. - 安寧하세요(점심). (Selamat siang.)
  • Selamat petang. - 安寧하세요(저녁).
  • Selamat malam. - 安寧히 주무세요.
  • Selamat jalan. - 安寧히 가세요.
  • Selamat tinggal. - 安寧히 계세요.
  • Apa khabar? - 오늘 어떠세요? (Apa kabar?)
  • (Khabar) Baik. Dan? - 괜찮아요. 그쪽은요? (Kabar baik. Dan?)
  • Terima kasih. - 感謝합니다.
  • Sama-sama. - 천만에요.
  • Maaf. - 罪悚합니다./실례합니다./미안합니다.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語의 差異點 [ 編輯 ]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는 各各 英國 네덜란드 의 支配를 받았으며, 地理的, 文化的 理由로 一部 差異가 있으나 意思疏通에 支障을 줄 程度는 아니다. 一般的인 單語나 表現들에는 別 差異가 없지만 外來語에는 적지 않은 差異가 있는데, 말레이시아는 아랍語, 英語 借用語를 더 받아들인 反面 인도네시아語는 네덜란드語, 라틴語 借用語를 더 받아들였다. 또한 一部 單語의 差異가 있는데, 例를 들어 'comel'은 말레이시아어로는 '예쁜'을 뜻하지만 인도네시아語로는 '투덜거림'을 뜻한다. '텔레비전'을 뜻하는 말레이시아어는 英語 'television'에서 由來된 'televisyen'을 쓰지만 인도네시아語는 네덜란드語 'televisie'에서 由來된 'televisi'를 使用한다. 말레이시아어에서 派生語(imbuhan)를 使用할 때 印度네시아는 使用하지 않고 獨自的인 單語가 있는 境遇가 있는데, 例를 들어 英語 'parliamentary'는 말레이시아어로는 'parlimen'에 派生語 'ber'를 붙여 'berparlimen'이라 하지만 인도네시아語에는 'parlementer'라는 獨自的인 單語가 있다. 一部 인도네시아語 單語 中 말레이시아어로 女性의 性器를 뜻하거나 辱說인 境遇가 있어, 操心해야 할 것이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Hammarstro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編輯. (2023). 〈Indonesian Archipelago Malay〉 . 《 Glottolog 4.8 》.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 Dwi Ishartono (2008年 9月 8日). “Perbedaan Bahasa Indonesia dengan Melayu” . 2014年 3月 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4年 11月 28日에 確認함 .  
  3. 參考로 브루나이 方言도 말레이語의 一種으로, 이 말레이語軍에 屬한다.
  4. 에스놀로그 인도네시아語 資料
  5. Zimmer, Benjamin (2006年 10月 5日). “Language Log: Malaysia cracks down on "salad language " . University of Pennsylvania . 2010年 9月 14日에 確認함 .  
  6. “Dewan Bahasa champions use of BM in ads” . New Straits Times. 2013年 10月 14日. 2013年 10月 24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3年 10月 16日에 確認함 .  
  7. “National Language Act 1967” (PDF) . 2015年 8月 6日에 原本 文書 (PDF) 에서 保存된 文書 . 2015年 10月 20日에 確認함 .  
  8. e는 一般的으로 '/?/'로 읽으며, 辭典에서는 /e/ 音이 나는 e를 가진 單語의 境遇 이 e 위에 악센트 記號를 붙인다. 그러나 一般的인 出版物에서는 따로 識別 記號가 없으며 어느 發音이 나는지는 미리 알고 있어야 한다.
  9. 최신영, 《입에서 톡 인도네시아語 會話 첫걸음》, 文藝林, 2009, 6-7쪽.
  10. 같은 冊, 6-8쪽.
  11. 안영호, 전태현, 《알기쉬운 말레이語의 世界》, 韓國外國語大學校 出版部, 2000, 62쪽.
  12. 實現되지 않는 境遇도 있는데, 代表的으로 外來語의 境遇 어말이어도 /k/ 音이 實現된다.
  13. 같은 冊, 63쪽. /?/는 아랍語 借用語의 音節 처음에서만 나타난다. 그러나 最近에 들어온 外來語의 境遇 이러한 制限들이 適用되지 않는 境遇도 있다. 言及한 語末의 'b'는 그러한 例外다.
  14. 같은 冊, 64쪽.
  15. 같은 冊, 70쪽.
  16. sy로 表記한다.
  17. kh로 表記한다.
  18. gh로 表記한다.
  19. 이는 레이던 大學校 의 J.W.더 프리스 敎授의 硏究에 따른 것이다.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