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慶山市의 地質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慶山市의 地質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大邱廣域市와 慶尙北道 慶山市의 地質 [1] [2]

본 文書에서는 慶尙北道 慶山市의 地質 과 鑛山, 地下資源에 對해 說明한다.

槪要 [ 編輯 ]

慶山市 輕傷 盆地 한가운데에 位置해 있어 慶山市의 地質은 輕傷 累層軍 하양層群과 유천層群 및 이를 貫入한 花崗巖 으로 構成된다.

輕傷 累層軍 層서 (1929年과 1975年 以後) [3]
大邱 - 慶州 - 光州 地域
他테이와(1929)
輕傷 盆地
장기홍(1975)
慶尙系 佛國寺桶 佛國寺 花崗巖 貫入巖 複合體 佛國寺 貫入巖群 輕傷 累層軍
新羅統 주사산 빈暗層 火山巖 複合體 유천層群
건천리層 振動層 하양層群
採藥士 빈暗層
大邱層
鶴峯 빈暗層 함안層
新羅 礫巖層 新羅 礫巖層
낙동統 漆谷層 漆谷層
眞珠層 眞珠層 신동層群
하산동層 하산동層
낙동層 낙동層

輕傷 累層軍 하양層群 [ 編輯 ]

輕傷 盆地 의 한가운데에 位置한 慶山市는 全 地域이 中生代 의 堆積巖 輕傷 累層軍 의 하양層群과 유천 火山巖層群으로 構成되어 있고 八公山 地域에 花崗巖 이 조금 分布한다. [1]

機械圖幅(1975)에 提示된 輕傷 累層軍 地層 대비표 [4]
倭館, 大邱, 永川, 慶州
(1929, 立岩巖)
마산도幅 (1963) 慶山圖幅 (1971) 韓國의 地質系統確立을 위한 調査硏究
(1973, R-73-51)
25萬分의 1 地質圖 凡例
(1973, 國立地質鑛物硏究所)
經常分之全域 (1975, 장기홍) 機械圖幅 (1975)
山城脈巖
玢巖
石英斑巖
花崗巖
閃綠巖



鹽基性 脈巖
石英斑巖, 圭璋斑巖
장석반癌(斑巖)
黑雲母花崗巖
角閃石花崗巖
馬山癌
閃綠巖



酸性/中性脈巖
硅長巖類
石英몬兆나이트
花崗斑巖類
閃綠巖






佛國寺
火成巖群
馬山巖類
反暗流, 기타
佛國寺花崗巖
重섬/鹽基性 深成巖類
酸性/中性 火山巖類






中性巖맥
花崗斑巖
黑雲母花崗巖
角閃石花崗巖
閃綠巖






주사산 分暗層

珠算
安山巖質層


貫入石英安山巖질
角礫巖
流動安山巖質角礫巖
安山巖質癌


滋養産層











유천層群 組立安山巖
石英安山巖
火山角礫巖
流紋巖
角礫上(狀)凝灰巖









팔룡山凝灰巖 滋養産層 上部


건천리層 振動層 自認層


건천리層





振動兒層群


결層



採藥散糞暗層 咸安層上部 採藥산火山暗層
大邱層 咸安 安山巖 반야월層 송내동部層

大邱層
함안層 下部 함안層 반야월部層 下部 宜寧兒層群
學封墳暗層 - 咸安部層 -
新羅礫巖層 鶴峯火山巖層
漆谷層

八達礫巖層
東明層 漆谷層


上部


漆谷兒層群
하산동層 東明層 신동層群
연화동層 하산동層 下部
연화동層

大邱層 [ 編輯 ]

大邱層 (Kt/Ksd/Dt; Kyeongsang supergroup sila group Taegu/Daegu formation, Taikyu formation , 大邱層 ( たいきゅうそう ) )은 大邱廣域市를 中心으로 그 東部인 慶山市, 永川市 , 慶州市 等地에 넓게 分布하는 地層이다. [1] 이 地層은 1928年 大邱, 永川, 경주도幅에서 正義 되었으며 多테이와 이와오(立岩巖)는 1929年 경주도幅과 靈薦度幅에서 採藥士 分暗層을 基準으로 그 賞·下位의 地層을 各各 건천리層과 大邱層으로 區分하였다. [4] 이 地層은 主로 李嵒과 셰일 로 構成되어 있으며 알코스질 沙巖이 협재된다. 巖石의 色은 붉은色을 띠며(reddish) 곳에 따라 어두운(blackish) 色을 띤다. 두께는 2,000 m에 達하며 南東쪽으로 若干 기울어 있다. 慶山市 內에서 와촌면 , 하양읍 , 진량읍 의 大部分 地域에 分布한다. [1] [2] 장기홍(1975)은 大邱層을 下部는 함안層에, 上部는 반야월層에 對備하였다. 大邱層의 堆積時期를 決定하는 絶對年代 分析은 이루어진 바는 없지만 이와 對比되는 함안層의 地質 時代는 暗層서상 上位와 下位에 位置한 地層의 連帶를 分析한 結果를 考慮할 때, 白堊紀 後期인 알飛雁(Albian)에 該當될 것이다.

  • 慶山市 하양읍 와촌면 에 慶山知識産業經濟自由區域 造成 團地에서, 土木工事가 進行됨에 따라 함안層과 반야월層의 堆積層 斷面과 巖石이 드러났고, 全席에서 많은 無脊椎動物의 生痕 化石이 確認되었다. 이 地域에서 7個의 노두가 發見 調査되었고, 붉은色 또는 綠灰色을 띠고 葉層 乃至 얇은층으로 發達된 細粒沙巖 乃至 실트스톤과 이암이 交好하는 암상의 地層에서 다음과 같은 化石들이 發見되었다. [5]
    • 無脊椎動物 : Mermia isp., Helminthopsis isp., Cochlichnus isp., Planolites isp., Diplichnites isp., Scoyenia isp., Skolithos isp., Taenidium isp., Arenicolites isp., Diplocraterion isp.
    • 恐龍과 새발자국 化石
    • 炭化된 植物 化石便(片)

自認層 [ 編輯 ]

自認層 (Kja; Kyeongsang supergroup hayang group Jain formation)은 慶山市 자인면 을 中心으로 周邊의 慶山市 市街地 地域, 남산면 용성면 一部 地域, 남천면 東部 地域에 分布하는 地層이다. 이 地層은 건천리層과 大邱層의 최上部의 一部를 包含한 것이다. 慶州, 靈薦度幅에서는 사이에 있는 採藥士 分暗層을 境界로 하여 그 下部를 大邱層, 上部를 건천리層이라 명명하였다. 그러나 採藥士 玢巖層인 安山暗流가 地域的인 分布를 이루고 있어 安山巖이 없는 곳에서는 大邱層 최上部의 黑色 셰일層과 건천리層의 黑色 셰일이 類似해 둘을 區分하기 어렵다. 따라서 반야월層의 上位에 있는 黑色 셰一帶를 自認層으로 定하였다. 본 地層의 一部는 變成되어 있다.

  • 慶山圖幅(1971)에 依하면 黑色 셰일 中에는 흔히 얇은 層의 하얀色 淡水性 石灰巖 이 협재되어 있으며 두께는 400 m 以上에 達하는 것으로 보인다. [6]
  • 者引渡幅(1973)에 依하면 본 巖石은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 과 실트스톤이 優勢하며 沙質 셰일, 細粒沙巖, 슬레이트질 셰일 等이 交互(交互)하는 곳도 있다. 間或 綠色 乃至 紫色(?色)의 셰일이 협재되는 境遇도 있으며 드물게 中立 疫疾(礫質)沙巖, 알코스沙巖, 凝灰質 沙巖이 觀察되기도 한다. 이 沙巖 類의 一部는 分級(分級)이 極히 不良하고 層理 가 模糊하다. 용성면 외촌리 西部에 露出된 採藥士 화산암체 中의 본 地層 捕獲巖은 얇은 層의 石灰巖 , 硅化(珪化) 石灰巖 , 셰일 , 沙質 셰일 等으로 構成되어 있고 자인면 신관리 北東部 山麓部에는 위層(僞層)이 잘 發達되고 용성면 곡란리 附近에서는 乾裂이 觀察된다. 본 地層 中에는 方解石 의 細脈(細脈)李 注入되어 있고 全體的으로 石灰質人 것이 特徵이며 風化된 露頭 의 色은 綠色과 褐色이 一般的이다. 接觸變質臺는 灰色의 처트 質 셰일, 硅質 셰일, 綠色 占文(點紋) 셰일, 硅質 沙巖, 沙質 셰일로서 硅化 作用을 많이 받은 혼펠스 地帶로서 層理의 殘蟬 救助(殘線 構造; Relict structure)가 鮮明한 것이 많으며 黑色 部分과 灰色 部分이 互層(互層)을 이루기도 한다. 흔히 은정질(隱晶質)로서 入島(粒度)를 肉眼으로 識別하기 어렵고 一部는 硅巖 과 類似한 암상을 보인다. 非變質 堆積巖이 石灰質인데 비해 본 變質臺는 炭酸鹽 鑛物을 全혀 含有하지 않는다. [7]

採藥士 火山巖層 [ 編輯 ]

採藥士 火山巖層 (Kcha; Kyeongsang supergroup chaeyaksan volcanic rock, 採藥山層)은 元來 日本人 地質學者 多테이와 이와오에 依해 1929年 永川 地質圖幅 東南部에 所在한 採藥士(499.1 m)을 表式地로 하여 採藥士 分暗層으로 命名되었던 것으로서 表式지 一帶에서는 이 巖石層을 鍵層(鍵層)으로 하여 上部는 건천리層, 下部는 大邱層으로 地層 區分이 可能하나 者引渡幅 地域에 이르러 消滅되며 當時에는 그 山上(産狀)을 鎔巖流(lava flow)로 보았으나 이 巖石이 貫入 噴出巖으로 判明된 以上 層序的 位置를 設定할 수 없다. 본 巖石은 自認層 堆積 以後에 貫入 噴出한 것으로 自認層과 接한다. 主로 巖相(巖床) 形態로 注入된 關係가 優勢하다. 巖相(巖相)이 거의 같은 珠算安山巖質癌과는 接觸하는 部分이 없어 兩者間의 關係는 알 수 없으며 본 暗體 中에는 自認層의 捕獲體를 거의 볼 수 없는 反面에 珠算安山巖質癌은 捕獲體를 多少 갖는 點으로 보아 火山 作用의 매커니즘에 差異가 있는 것으로 推測되어 從前의 分類 體制에 成人(成因)만을 다르게 보고 있다. 본 巖石은 暗灰色, 灰綠色을 띠는 安山巖 과 자회색(?灰色), 褐色의 角礫질 安山巖으로 構成되며 風畵面은 흔히 軟褐色을 띤다. 安山巖은 緻密하고 暗色의 變化에 따라 長石 反正(斑晶)을 띠는 곳도 있어 班常 安山巖으로 나타나고 軟灰色으로 보이는 곳은 硅長質癌과 類似하기도 하다. 용성면 高竹離에서 일광리를 지나 자인면 단북리까지 分布하며 元堂洞과 京東에서는 自認層의 層理에 따라 注入된 樣相을 볼 수 있고 地形的 高地에 따라 注入 巖相(巖床)의 一部가 自認層의 上部에 殘存되어 있기도 하다. [7]

輕傷 累層軍 유천層群 [ 編輯 ]

성암山(472.3 m) 頂上에 드러난 安山巖質癌의 노두이다.

珠算安山巖質癌 [ 編輯 ]

珠算安山巖質癌 (Jusan andesite rock, 主山安山巖質巖)은 1927年 慶州 地質圖幅을 作成한 他테이와 이와오가 慶州市 건천읍 所在 주사산(565.8 m)을 表式地로 하여 주사산 玢巖層이라 명명하였다가 1963年 馬山 地質圖幅 調査 當時 이에 對比되는 火山巖을 마산도幅 地域에 所在한 珠算(主山)을 表式地로 하여 主山安山巖質癌이라 명명한 데서 由來한다. 主要 構成 巖石은 安山巖 , 角礫질 安山巖, 班常 安山巖, 凝灰質 安山巖으로서 이들 巖石 中에 優勢한 部分으로 다음과 같이 區分할 수 있다. [7]

  • 珠算安山巖質癌 安山巖質癌 (Ka; andesite rock)은 珠算安山巖質癌의 大部分을 차지하며 용성면 東部에서 地形的으로 險峻한 山體를 形成한다. 용성면 매남리 一帶에서는 自認層의 小片(小片)을 捕獲하여 大部分 熱변질시키고 있으며 용성면 가척리에서는 自認層의 一部를 巖相(巖床)의 浸蝕에 依한 露出이나 貫入 捕獲體로 接하고 있다. [7]
  • 珠算安山巖質癌 角礫질 安山巖 (Kba; breccia andesite)은 용성면 부일리와 남천면 신방리 李賢在 一帶에 分布하는 角礫질 安山巖이다. 부일리 一帶의 본 巖石은 暗灰色, 暗綠色을 띠고 氣質(基質)은 安山巖質 乃至 繰綿安山巖質이며 50×80 cm 크기의 거力(巨礫)을 含有하기도 하나 10 cm 內外의 크기가 一般的이다. 間或 처트, 硅巖, 沙巖질인 亞元-亞角上의 外來驛(Alloclastic breccia)을 含有하는 것도 있으며 氣質에 長石의 反正(斑晶)李 散在된 것도 있다. 特히 堆積巖의 驛(礫) 乃至 角礫을 갖는 것은 氣質이 凝灰質이며 弱한 層理를 보이기도 한다. [7]

中生代 火成巖 [ 編輯 ]

慶山 花崗巖體 石英몬조니암 [ 編輯 ]

慶山 花崗巖體 石英몬조니암 (Kqm; quartz monzonite)은 백資産(486.5 m) 北쪽 백천동, 인터不顧慶山 골프場, 점촌동 一帶에 分布하고 있는 癌住商(巖柱狀) 貫入巖이다. 본 巖石은 自認層을 貫入하여 一帶를 처트 禍 시키고 있으며 函(含)코발트 석영맥을 주입시킨 雲鑛巖(雲鑛巖)이며 母巖이다. 慶山 코발트鑛山 虐殺事件 이 일어난 코발트 鑛山圖 이 巖石에 包含된 코발트를 採掘하는 鑛山이다. 백資産 北側의 이 巖石은 細粒-中立질이며 有色 鑛物로 黑雲母 를 많이 含有하고 흔히 석영맥이 注入되어 있다. 主要 構成 巖石은 正長石 , 斜長石 , 石英 이고 黑雲母 , 綠泥石 化된 운모류, 絹雲母, 카오린 等이 隨伴된다. [7]

慶山市의 單層 [ 編輯 ]

慶山市에는 大規模의 斷層은 發達하지 않고 北서, 北東 走向의 小規模의 斷層이 2個 發達한다. 梁山 單層 代의 一部인 ' 自認 單層 '은 그 이름과 다르게 慶山市 자인면 을 지나지 않고 淸道郡 운문면 [7] 을 지나가기에 본 文壇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고은 單層 [ 編輯 ]

고은 單層 淸道郡 매전면 金川里에서 慶山市 남산면 사림리, 용성면 고은리 를 지나 永川市 대창면 신광리로 이어지는 北東 35° 走向, 延長 14 km 의 單層이다. 走向 슬립(strike slip)李 極히 작고 거의 垂直에 가까운데 落差를 測定하기 困難하다. 北部 용성면 에서는 採藥士 火山巖類 中에 野外的인 證據를 볼 수 있고 그 外의 地域에서는 沖積層에 依해 보이지 않는다. [7]

적制 單層 [ 編輯 ]

적制 單層 은 고은 單層보다 먼저 形成된 것으로 자인면 옥천리의 적制 貯水池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으며 이 貯水池 附近에 斷裂帶(斷裂帶)의 露頭 가 보인다. 北西 20°의 走向을 보이고 約 3 km 의 연장을 가진다. 採藥士 火山巖層과 自認層의 一部가 이 斷層에 依하여 잘려 있다. [7]

地下資源과 鑛山 [ 編輯 ]

慶山 地域에 分布하는 鑛床(鑛床)은 深成巖을 형성시킨 火星 作用의 支配를 받아 모두가 化成 鑛床이다.

歷史 [ 編輯 ]

慶山市 地域의 鑛業開發은 1910年代 始作되어 1930年代에 全盛期를 맞았다. 報國鑛山의 前身은 춘길鑛山은 1937年 6月 26日 鑛業許可를 받은 金·銀 鑛山이었으며 經營困難으로 因해 1941年까지 放置되어 있었다. 그러다 地質學者 박동길 이 1938年 코발트 鑛脈 檢出 方法을 開發하였고 1941年 慶山 地域에서 처음으로 採掘이 可能할 程度의 코발트 鑛脈을 지닌 鑛山이 發見되어 이때부터 報國鑛山에서의 코발트 採掘이 始作되었다. 慶山地域 코발트 鑛山의 再發見은 日本 本土에서도 話題가 되었는데, 1942年 日本地質學會가 펴낸 地質學雜誌 49卷 585號에 실린 나카무라 게이사부로(中村慶三郞)가 쓴 '朝鮮코발트鑛床調査報告開設'에는 當時 朝鮮에 總 15個의 코발트鑛山이 存在하고 있으며 報國鑛山의 圓光은 코발트 品位가 2~3%이며 드물게는 6% 以上의 높은 數値를 記錄했음을 報告하고 있다. 1943年 發刊된 地質學會誌 51卷 604號에 發表된 와타나베 만지로(渡邊萬次郞)의 論文인 '慶尙北道報國코발트鑛床에 對해서'라는 題目의 論文에는 慶山 코발트鑛山이 日本에서 가장 먼저 開發이 進行된 鑛山으로 코발트 製鍊을 위한 採光, 選鑛, 龍光 施設이 完成돼 가까운 時日 內 操業을 始作할 것이라 敍述되어 있다. [8]

輔國 코발트 鑛山 ( 慶山 코발트鑛山 虐殺事件 ) [ 編輯 ]

保國(報國) 코발트 鑛山은 慶山市 평산동에 所在하며, 코발트 鑛床은 輕傷 累層軍 건천리層 을 千部 貫入한 암주上의 美問喪 花崗巖內에 局限하여 胚胎된다. 1926年에 發見되어 1935年 頃부터 重要 戰略 資源으로서 日本軍 直營으로 開發되었고 第2次 世界 大戰 의 終了와 함께 廢鑛되었다. 1950年 6·25 戰爭 途中 이 鑛山에서 慶山 코발트鑛山 虐殺事件 이 發生하였다. 이 鑛山에서는 石英몬조니암(Kqm)에 南-北, 北北東 및 北北西로 달리는 垂直 鑛脈으로 平均 脈幅(脈幅)은 20~30 cm이다. 主要 鑛物로 方解石 , 돌로마이트 , 石英 , 非鐵鑛(砒鐵鑛), 휘(輝)코발트狂(cobaltite), 글로코도트(glaucodot; 黃砒鐵鑛의 一種), 閃亞鉛石 , 磁黃鐵鑛(磁黃鐵鑛), 輝水鉛石(輝水鉛石), 黃銅石 , 黃鐵石 , 赤鐵鑛(赤鐵鑛) 等이 있다. 加行 對象 鑛物은 코발트화(Co 3 (AsO 4 )8H 2 O) 및 函코발트 硫砒鐵石(硫砒鐵石, FeAsS 2 )이다. 開發 當時의 코발트 平均 品位는 0.5~1.0%이고 이 10g/t 內外로 産出되었다. Rb-Sr 絶對年齡 測定 結果, 花崗巖의 貫入 및 이와 關聯된 鑛化作用은 後記 白堊紀 (85.98 Ma)에 形成된 것으로 判斷된다. [7] [9]

鑛山 內에는 2個의 水平坑道와 2個의 垂直坑道가 있다. 過去 隣近 地域 農民들이 坑道 內部의 물을 農水路 使用하기 위해 入口를 막아두었으나. 2001年 發掘에 依해 入口가 開放되었으며, 2006年 시멘트로 補强作業이 이루어졌다. 入口에서 100m 地點까지는 一字形의 單一 坑道이고, 以後 區間은 Y字 形態로 갈라져 두 坑道로 나뉜다. Y字 形態로 갈라진 100m 地點에서 右側 坑道로 約 40m 地點에는 第1 垂直坑道와 接한다. [8]

輔國 코발트 鑛山과 關聯된 遺跡은 現在도 남아 있다. 報國鑛山은 當時의 慶山邑과 압량면 地域에 걸쳐 여러 鑛業施設을 運營하였는데, 평산동의 坑道 外에 上方東 장구산에 코발트 鑛石의 選鑛(選鑛) 및 製鍊을 擔當하는 選鑛場이 있었고 慶山驛 南東쪽에 荷役業者들의 宿所가 있었다. 各各의 施設은 索道(索道)로 連結되어 鑛石과 加工物이 運搬되었다. [8]

興南鑛山 [ 編輯 ]

興南鑛山은 慶山市 남천면 영곡桐(令谷洞)에 所在한다. 自認層의 接觸 變質대인 혼펠스가 母巖이 되고 이를 貫入한 安山巖質癌이 角礫臺를 이루어 角力 中에 綱常(綱狀) 鑛脈을 形成하고 있다. 鑛物은 石英 , 方解石 等이고 主要 加行 鑛物은 黃銅石 이다. [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MGEO 脂質情報시스템 1: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 “朝鮮地質圖 第4輯 - 慶州, 永川, 大邱 及 倭館圖幅” . 朝鮮總督府地質調査所. 1928年.  
  3. 정진우 (2021). 《高等學校 高級 地球科學》. 慶尙北道敎育廳 .  
  4. “杞溪 地質圖幅說明書 (機械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3年.  
  5. 박정규 (2021年). “慶北 경산시 하양읍에 分布하는 白堊紀 함안層과 반야월層의 生痕化石層 : 山上, 生痕化石床 및 고환경적 意味” . 부경대學校 .  
  6. “慶山 地質圖幅說明書 (慶山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1年.  
  7. “慈仁 地質圖幅說明書 (自認 地質圖幅說明서)”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73年.  
  8. 강중휘 (2021年). “近代遺産과 地域民의 記憶 : 慶山市 코발트 鑛山 關聯 遺跡을 中心으로” . 영남대學校 大學院.  
  9. 윤성택; 염승준 (1997年). “保國 코발트 鑛床의 産出 鑛物種 및 黃同位元素 造成의 時間的 變化: 函코발트 熱水系의 成人과 紙貨學的 特性 考察 (Temporal Variations of Ore Mineralogy and Sulfur Isotope Data from the Boguk Cobalt Mine, Korea: Implication for Genesis and Geochemistry of Co-bearing Hydrothermal System)”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30 (4): 289-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