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乾隆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乾隆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乾隆帝
乾隆帝
第6代 大廳 皇帝

몽골 大칸
在位 1735年 10月 18日 ~ 1796年 2月 9日
卽位式 雍正 13年 9月 3日
( 1735年 10月 18日 )
前任 雍正帝
後任 가경제
이름
아이신 絞로 훙리
別號 十錢老人(十全老人)
廟號 高宗(高宗)
시호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수문분무흠명
孝子신성순皇帝
(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
孝慈神聖純皇帝)
身上情報
出生日 康熙 50年 8月 13日
( 1711年 9月 25日 )
出生地 淸나라 北京 옹친왕부
死亡日 佳境 4年 1月 3日
( 1799年 2月 7日 )
死亡地 淸나라 北京 紫禁城 良心前
父親 雍正帝
母親 曉星헌皇后
配偶者 효현順皇后
界皇后
孝義順皇后
墓所 裕陵(裕陵)
步親王 時節의 乾隆帝

乾隆帝 (乾隆帝, 1711年 9月 25日 ( 陰曆 8月 13日 ) ~ 1799年 2月 7日 ( 陰曆 1月 3日 ))는 淸나라 의 第6代 皇帝 (在位 1735年 ~ 1796年 [1] )이다.

아이신기오로 훙리 ( 滿洲語 : ??????
?????
???
??
Aisin Gioro Hung li , 韓國 漢字 : 愛新覺羅弘曆  애신각라 홍력 ), 廟號 高宗 (高宗, 滿洲語 : ?????? G'aodzung ), 시호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부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 (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 짧은 시호로는 純皇帝 (純皇帝, 滿洲語 : ?????????
??????
Yongkiyaha H?wangdi )이며, 年號 乾隆 (乾隆, ?????
????????
Abkai Wehiyehe , ?????????
??????????
Tengri-yin Tedqugsen )이다. 康熙帝 의 孫子인 雍正帝 의 넷째 아들이며 [2] , 雍正帝의 後宮 出身인 曉星헌皇后 뇨候樓氏 (孝聖憲皇后 ?祜祿氏)의 所生이다.

어릴 때부터 帝王이 지녀야 할 資質이 보여 할아버지 康熙帝 와 아버지 雍正帝 에게 認定을 받았다. 1735年 ( 雍正 13年), 雍正帝 가 急死하자 低位비건法 에 따라 皇位에 올라 먼저 滿洲族 한족 大臣들의 葛藤을 調停하며 內治 를 다진 後 大規模 征服 事業과 文化 事業을 펼쳤다. 文化 事業으로는 雍正帝 때 마카오 로 追放된 로마가톨릭 敎會 傘下 예수회 宣敎師들을 다시 불러들여 北京 西洋 式 建物을 짓도록 許諾한 것과 特히 예수회 修道士인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에게 西洋式 宮殿인 圓明園 을 個·補修를 監督하게 한 것이 있다. 그 自身 亦是 文化와 藝術에 關心이 많아 詩와 書畫를 즐겼고 各地의 詩人과 畫家들을 督勵하였다. 特히 10年의 歲月을 들여 古今의 圖書를 蒐集하여 中國 歷史 上 最大의 大編纂 事業인 《 四庫全書 》를 編纂함으로써 古書籍들을 많이 發掘케 하였으나 文字의 玉 도 斷行하여 淸나라의 正統性을 否定하는 冊들은 모두 禁書로 만들었다. 한족들의 叛亂을 殘忍하게 鎭壓하고 明나라 出身 한족 女性들을 妓女로 삼는 妓女房을 運營하고 滿洲族의 한족 正服과 支配를 確固히 만들었다.

그러나 執權 後半期에 들어서면서 時代錯誤的인 政策을 내놓고 여기에 奢侈, 叛亂, 西方과의 不實한 外交, 그리고 稀代의 貪官汚吏로 評價받는 뇨후루 虛션 을 20餘 年間 寵愛하여 末年엔 賣官賣職과 不淨腐敗가 頻繁히 일어나고 國庫가 비어 結局 靑 帝國은 衰落의 길로 접어들었다. 1796年 (乾隆 60年) 말, 自身은 敢히 할아버지인 康熙帝 의 在位 期間을 넘을 수 없다며 在位 60年째에 太上皇帝 로 물러났지만, 幕後에서 政策 最高 決定權을 行使하여 如前히 實權을 쥐고 있었다. 在位期間 60年에 太上皇帝로서 實權을 掌握한 4年까지 合치면 乾隆帝는 中國 歷史上 가장 오랫동안 實權을 掌握한 皇帝였다. 스스로 十錢老人 (十全老人, 열 番의 遠征을 모두 勝利로 이끈 老人)이라 稱하고 그렇게 불리기를 좋아하였으며, 中國 最後의 太平聖歲 强健性歲 (康乾盛世)의 마지막을 裝飾한 皇帝이다. 中國의 歷代 皇帝 中 가장 長壽한 皇帝이며 中國 最後의 太上皇帝 로 그의 生母와 身分, 卽 한족 의 피가 흐르는지에 對한 疑問이 있어서 中國의 歷代 皇帝 中 가장 民間의 傳說이 많은 皇帝이기도 하다.

生涯 [ 編輯 ]

初期 生涯 [ 編輯 ]

1711年 (康熙 50年) 9月 25日 , 紫禁城 隣近 옹친왕부 에서 當時 詩帖이던 뉴箶簶氏와 옹親王 의 다섯 番째 아들로 태어났다. 홍력의 어머니 뉴箶簶氏는 滿洲族 이었지만 出身이 微賤하여 어린 나이에 에 들어가 修女 (秀女)가 된 뒤 옹친왕부에 配屬되어, 尹軫의 後宮인 側匐進 (側福晉) 李氏 [3] 의 侍女로 있었다. 어머니의 微賤한 身分에 依하여 그다지 浮刻되지 않던 홍력은 이미 어린 時節부터 千字文 四書五經 을 꿰뚫어 暗誦하고 詩를 잘 지어 1720年 (康熙 59年) 겨울에 할아버지인 康熙帝 가 特別히 宮廷에서 기르기 始作하였다. [4]

皇孫인 홍력은 黃者들만 敎育받을 수 있던 上西方 (上書房)에서 工夫하였는데 이곳에선 홍력 以外에도 資質이 남다른 여러 皇孫들과 홍력과 同甲인 叔父 尹喜(胤禧)도 같이 工夫하고 있었다. 當時 康熙帝에게는 20名의 皇子와 100名 안팎의 孫子가 있었는데 康熙帝 는 孫子들의 相當數를 알지도, 甚至於는 얼굴 한 番 본 적도 없는 境遇도 있었다. 그러나 그 많은 皇孫들 中 宮廷에서 生活할 수 있도록 特別히 뽑힌 洪力이 文才에도 卓越하였고 사냥에서는 어린 나이에 곰을 두려워하지 않고 화살로 힘들이지 않고 잡자 이를 매우 奇特하게 여긴 康熙帝는 어릴 때의 自身을 닮았다며 홍력에게 基本的인 帝王學을 가르치기 始作하였고 [5] 特別히 紫禁城을 지키는 禁軍 武官에게 明解 홍력에게 武藝를 傳授해줄 것을 命하였다. 어떤 때에는 老軀의 康熙帝가 直接 홍력의 武術을 보고 가르치고 같이 修鍊하였다. [4] 宮廷에서 살면서 할아버지의 寵愛를 받았으나, 한便으로는 자주 自身이 살던 옹친왕부로가 父王인 옹親王 尹軫과 적모인 적匐進 오라나랍씨, 그리고 어머니에게 문안드렸고 이러한 성실한 모습을 본 康熙帝가 더욱더 寵愛하였다. [4]

1722年 (康熙 61年) 12月, 홍력의 祖父이자 淸나라의 第4代 皇帝인 康熙帝가 老患 으로 崩御하자, 當時 政局을 綿密히 觀察하던 홍력의 아버지 옹親王 尹軫 이 軍士들과 大臣들을 利用하여 皇位에 오르니 이가 雍正帝 이다. 康熙帝는 臨終 直前, 尹軫을 불러서 未來의 皇帝는 홍력이니 皇位를 반드시 홍력에게 물려주라 命하였다고 傳해진다. [6] [7] 그에 따라 皇位에 오른 雍正帝 는 미리 皇太子로서 홍력의 이름을 써서 그 함을 건청궁 의 正大光明(正大光明) 扁額 뒤에 올려놓았다.

康熙帝와 같이 홍력의 재주를 貴히 여기던 雍正帝는 上西方에 繼續 보내어 工夫를 시키게 하였고 홍력을 指導하였다. 이듬해인 1723年(雍正 元年) 雍正帝는 13살의 홍력에게 自己 代身 先皇帝人 康熙帝의 祭祀를 지내게 하였는데 世間에서는 이미 雍正帝가 홍력을 後繼者로 눈여겨보았다는 所聞이 돌았다. 洪力이 나이가 들수록 學識 또한 깊어지자 雍正帝는 홍력의 帝王學을 손수 가르치고 洪力이 政治를 배우는 데에 잘못된 것이 있으면 이를 바로 잡아주었다. 홍력은 午前에는 書畫에 沒頭하였고 正午에서 酉時(酉時, 午後 6時)까지 政務에 매달리며 한便으로는 쉬운 國政을 處理하면서 政治를 배워갔다.

그러나 雍正帝의 셋째 아들이자 홍력의 異服兄인 牌勒 紅柹(弘時) [8] 는 이러한 움직임에 不滿을 품고 雍正帝와 隻을 지고 있던 叔父이자 康熙帝의 8男 廉親王 윤四(廉親王 胤?)와 손을 잡았다. [9] 尹社가 露骨的으로 부추기자 紅柹는 홍력을 謀陷하였으나, 雍正帝는 오히려 自身의 일을 熱心히 하고 있는 홍력을 몰아붙이는 紅柹를 疑心하였다. 1725年(雍正 3年), 紅柹가 홍력을 暗殺하려던 일이 發生하자 震怒한 雍正帝는 紅柹를 윤四의 아들로 入籍시켜버렸고 1727年(雍正 5年)에는 윤四 一黨이 逆謀를 꾀하려 한다는 理由로 모두 잡아들여 下獄시키고 아들인 紅柹마저도 잡아들인 後, 皇室 大同譜에서 그의 이름을 除名하였다. [10] 이 때 잡힌 윤四, 允當은 곧 獄에서 毒殺당하고 紅柹 亦是 얼마 안 가 監獄 안에서 死亡하였다. [9] 같은 해에, 홍력은 俯察氏를 아내로 맞아들였고 더 以上 홍력에 맞서 皇位를 노리는 競爭者는 나타나지 않았다. 紅柹가 죽고 난 後, 洪力이 當時 雍正帝의 아들들 中 가장 年長者였기에, 大多數 大臣들은 異變이 없는 限, 洪力이 皇位를 承繼할 것이라 믿었다. [9] 1733年(雍正 11年), 홍력은 化石親王 (和碩親王) 職을 除授받고 步親王(寶親王)이라 불렸고 이 때부터 政治의 前面에 나서면서 軍機處 에서 지내며 아직 完全히 殲滅되지 않은 몽골의 準가르 不足에 關한 일을 도맡았다. 또한 太廟 , 辭職 大祭나 孔子 關羽 의 祭祀 等 皇帝가 主管해야 할 國家의 重要 代謝를 雍正帝를 代身하여 主管하였다. 1734年(雍正 12年), 雍正帝가 年老해져 政事를 돌볼 수 없을 때에는 洪力이 나서서 攝政으로서 國事를 處理하였다.

卽位와 改革 [ 編輯 ]

卽位 當時의 乾隆帝

1735年(雍正 13年) 10月, 雍正帝의 몸이 나빠지자 步親王 홍력은 異腹同生 화친王 紅酒(和親王 弘晝)와 함께 雍正帝를 看病하였다. 그러나 同年人 1735年(雍正 13年) 10月 8日, 홍력의 아버지이자 當代 淸나라 皇帝인 雍正帝는 急激히 病勢가 惡化되어 58歲를 一期로 北京의 圓明園에서 過勞로 依한 疲勞 累積으로 崩御하였다. 대학사 장정옥 악이태 (鄂爾泰), 그리고 홍력의 叔父인 腸親王 윤록(莊親王 允祿), 過親王 尹例(果親王 允禮) 等이 顧命大臣이 되어 雍正帝의 遺詔를 건청궁 正大光明 扁額에서 꺼낸 뒤 遺詔를 읽었다. 油槽에는 第4皇子 홍력을 皇太子로 冊封하여 皇帝로 卽位시키라는 內容이었다. [11]

第4皇子 步親王 홍력은 性品이 仁慈하고 孝誠과 友愛가 깊어 아바媽媽이신 聲調印皇帝(康熙帝) 陛下께서 特別히 寵愛하여 宮中에서 기르셨다. 홍력은 親王이 된 後에도 懶怠하지 아니하고 오랫동안 準備하여 政事에 能熟하며 識見이 깊으니 可히 臺詞를 맡겨 짐의 뒤를 이어 皇位를 이을 資格을 갖추었도다. [12]

이 留鳥에 따라, 홍력은 皇太子로서 冊封儀禮를 받은 後, 곧 皇位에 오르니 이때 그의 나이 25歲였으며 이가 第5代 皇帝인 高宗 乾隆順皇帝(高宗 乾隆純皇帝)이다. 年號를 ‘乾隆’(乾隆)이라 定하였는데 여기서 ‘건’(乾)은 하늘, ‘융’(隆)은 높음과 榮光이라는 뜻이니, 乾隆이란 하늘의 榮光이라는 뜻이다. [9] 過去 祖父인 康熙帝나 浮黃人 雍正帝의 卽位 過程이 順坦치 않았던 데에 비하여 이미 皇子 時節에 競爭者가 없어진 乾隆帝의 卽位 過程은 매우 빠르고 安定的으로 進行되었다.

卽位하자 乾隆帝는 먼저 아버지 雍正帝가 軟禁하거나 귀양보낸 自身의 叔父들을 赦免하였다. 特히 康熙帝의 14男이자 雍正帝가 皇位에 오르기 前 競爭者로 불리던 純君王 輪梯(恂郡王 允?)는 乾隆帝의 配慮로 풀려날 수 있었다. 그 後 乾隆帝는 아버지가 在位期間 내내 推進하던 宗親들을 政治 一面에서 排除시키는 政策에 拍車를 加했다. 康熙帝나 雍正帝 때만 하더라도, 大部分의 黃者들과 一部 勢力있는 傍系 皇族들은 軍이나 六腑를 統率하였으나 그 當時의 骨肉相爭을 잘 알고 있던 乾隆帝는 皇族들을 大部分 軍과 六部, 軍機處에서 排除시켰고 그의 아우들마저도 政治的 發言을 規制하여 工事를 區別하였다. [13] 血氣旺盛한 靑年의 乾隆帝는 寅時(寅時, 새벽 4時)에 일어나 朝會에서 代身들이 올린 各地에서의 報告를 받고 이를 秀潔하였다.

1736年 26歲의 乾隆帝

그러나 1736年(乾隆 元年) 當時 朝廷에서는 두 個의 派가 있었는데 한 파는 英示威內大臣 兼 軍機大臣 악이태로 軍部의 信望을 얻고 있었고, 다른 파는 軍機大臣 장정옥으로 한족 出身의 大臣들 中 가장 年長者로 當時 明나라의 正使인 《 名士 》를 쓰고 있었다. 이들 두 大臣은 康熙帝와 雍正帝 때부터 朝廷에서 活躍하던 實力者들이어서 氣勢가 모두 騰騰하였다. 乾隆帝는 악이태와 장정옥 모두 高齡이라 머지않아 世上을 뜰 것이라 豫想하여 放置해둔 채 서로를 牽制하게 만들어 서로의 勢力을 약화시켰고 그 사이에 自身을 따를 臣僚들을 조금씩 만들어 나갔다. [13] 하지만 乾隆帝는 이들 둘의 政治的 力量과 實力을 잘 알고 있었기에 이들이 죽을 때까지 내치지는 않았다.

乾隆帝는 곧 保甲制 (保甲制)와 里甲制 (里甲制)라는 制度를 뜯어고쳤는데 保甲制는 100 家口를 모아서 甲(甲), 그리고 그 10個의 甲乙 모아 報(保)로 나누어 같은 共同體에서 사는 사람끼리 서로 秩序와 治安의 責任을 지게 하는 制度였고 里甲制는 保와 甲에서 稅金을 人口에 따라 모아서 財政을 充當하는 制度였다. 本來 北送 王安石 이 神法으로 쓰려다가 水泡로 돌아간 以後 明나라 를 거쳐 淸나라 以後 順治帝 治世의 攝政王이었던 도르곤 의 命令으로 다시 始作하였고 康熙帝와 雍正帝를 거치면서 全國的으로 施行되었다. [14] 報·甲의 長들은 自身이 맡은 區域의 百姓들의 戶籍을 調査하고 그 記錄을 官衙에 바쳤고 殊常한 村民들을 監視하기도 하였다. [5] 그러나 地方 官吏들이 人口와 洗手를 일부러 줄여서 報告하고 뒤로는 稅金을 무겁게 매겨 莫大한 私益을 取하자, 1740年(乾隆 5年), 乾隆帝는 正確한 人口調査를 위해 各地의 報·甲長에게 家口當 世는 사람의 數를 軍役을 지는 壯丁이 아닌, 집안의 女子들까지 모두 다 計算하였는데 計算한 百姓들의 數는 나이, 性別과 이름을 敗에다 적어 各自의 집 門 앞에 걸어놓았다. [15] 牌를 大門에 걸어놓으면 보나 甲의 腸(長)들이 家口를 돌아다니면서 記錄을 하고 그 記錄을 모두 地方의 순무部, 또는 總督府에 보냈고 이들은 또 自身의 管轄 人口 記錄을 모두 추려서 北京의 軍機處와 戶部로 보냈다. [15] 이러한 政策으로 乾隆帝는 淸나라의 總 人口 數를 보다 正確히 알게 되었고 地方 官吏들이 人口와 洗手를 일부러 줄여서 報告하여 私益을 取하려 한 境遇를 遮斷하여 또한 이를 放置하거나 稅金을 빼돌린 總督 이나 순무에게도 重懲戒를 내려 特히 이 中 그 行態가 甚한 者는 斬刑에 處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乾隆帝의 强力한 政策은 淸代 後期까지 持續되었으나 事實上 不淨腐敗가 始作되는 乾隆帝의 治世 後記까지만 持續되었다. [16]

十전무공 [ 編輯 ]

甲옷을 입고 말에 탄 乾隆帝

保甲制와 里甲制의 德으로 어느程度 內治를 다져서 그 成果를 본 乾隆帝는 國庫의 銀子가 豐足하고 人口도 크게 늘어나 농작도 잘되어 百姓들의 呼應을 받았다. 나라가 富裕해지자 乾隆帝는 自身의 威嚴을 더욱 떨치기 위해 軍隊를 일으켰다. 이러한 마음에는 乾隆帝가 平生 尊敬한 할아버지 康熙帝에 對한 憧憬心度 包含되어 있었다.

1747年(乾隆 12年), 代金千 (大金川)을 始作으로 1755年(乾隆 20年), 1757年(乾隆 22年) 두番에 걸쳐 康熙帝 以後 勢力이 微微해졌으나 如前히 몽골 高原을 號令하던 중가르 를 完全히 服屬시켰고 1769年(乾隆 33年)에는 버마 , 1776年(乾隆 41年)에는 臺金川과 소금千(小金川), 뒤이어 1788年(乾隆 53年) 臺灣 , 1789年(乾隆 54年) 베트남 , 1791年(乾隆 56年), 1792年(乾隆 57年) 두 次例에 걸쳐 네팔 을 遠征함으로써 自身의 權威와 淸나라의 國威를 宣揚하였다. [17] 그러나 그 自身은 몽골의 軍士를 直接 指揮해 擊破한 祖父와는 달리 電線 近處를 巡視하며 兵士들을 督勵하였다. 이때 當時 淸나라의 軍事 相當數는 個國 때 赫赫한 功을 세운 八旗軍 이 아닌 康熙帝 때 新設된 한족 出身의 軍隊 綠營 (綠營)의 軍士들로서 南宋 의 名匠 岳飛 의 後孫인 泗川 總督 악종기 (岳鍾琪)와 滿洲族 出身의 長壽 阿桂 (阿桂)가 駐指揮官으로 活躍하였다.

그 中 가장 成果가 있었던 遠征은 바로 두 番에 걸친 準가르 遠征과 臺·蘇 衿川 遠征이었다. 準가르 遠征으로 淸나라는 외몽골 을 얻었고, 이 氣勢를 몰아 위구르族 을 攻擊해서 그들을 服屬시킴으로써 크나큰 領土를 얻게 되었다. 乾隆帝는 새로 얻은 領土를 새롭게 蕃盛하라는 뜻의 新疆 (新疆)으로 명명하였다. [5] 또한 티베트 一帶에도 큰 影響力을 行使할 수 있게 되었다. 臺·蘇 衿川 遠征에서도 少數의 兵力으로 攻擊하여 成果를 보았으나, 金川의 領土는 몽골에 비하여 턱없이 작았고, 軍備도 豫想에 비해 너무 많이 支出되었다. 또한 衿川 一帶에는 1747年(乾隆 12年) 金川의 一部 領土를 占領하였음에도 現地 住民들의 叛亂도 頻繁히 일어났다. 住民들은 癌도 地球 의 티베트人들의 支援을 얻어서 抗爭을 繼續하였고, 乾隆帝는 꼭 29年 後에 유럽의 宣敎師들이 製作한 最新型 大砲로 臺金川과 소금천을 焦土化시킨 다음에야 强制로 住民들의 降伏을 받아내어 朝貢品을 얻은 뒤 完全히 統治할 수 있었다. [18] 이로써 乾隆帝는 淸나라의 領土를 約 460萬 km 2 늘려 中國 歷史上 元나라 以後 가장 큰 領土를 가진 帝國의 統治者가 되었다. [17]

乾隆帝가 遠征 때 입던 黃金 甲옷

버마에서는 콘바웅 王朝 가 다스리고 있었으나 淸나라와는 不便한 關係에 있었다. 淸軍이 쳐들어오자 버마度 亦是 軍士를 내보내 對應하게 하였으나, 詩庵 의 國王 딱新 이 軍士를 내보내 버마와 싸워서 버마軍을 大破하였다. 이 德分에 淸나라는 漁夫之利格으로 버마를 손쉽게 平定하고 버마 를 朝貢國으로 삼았다. 그 後 臺灣 天地會 (天地會)라는 宗敎的 色彩를 가진 團體가 叛亂을 主導하여, 淸나라 의 正統性을 否定하고 軍士를 일으켜 臺灣의 여러 都市를 占領하다. 天地會의 一部는 惡名 높은 갱 組織인 三合會(三合會)로 發展한다. [19] 이들은 半晴復命을 旗幟로 擧事를 일으켰으나, 乾隆帝는 빠른 對處로 天地會 叛亂軍은 潰滅시키고 그 指導者들을 잡아 處刑하였다.

1786年(乾隆 51年) 發生한 臺灣 土豪 임상문 의 亂은 三合會라고도 부르는 天地會와 密接하게 關聯되어 있었다. [20] 이때 乾隆帝는 滿洲族 軍士가 아니라 한족 軍事의 도움을 받는다. 임상문의 蘭은 滿洲 팔기가 아니라 채대기, 손사의가 指揮하는 한족 綠營의 軍隊의 힘을 빌려 2年 만에 鎭壓한다. [20]

臺灣을 鎭壓하고 그 다음해인 1789年(乾隆 54年) 베트남에서는 後 레 王朝 末期에 접어들었으나 떠이선 王朝 가 暫時 들어서면서 後 레 王朝를 멸망시켰다. 後 레 王朝의 마지막 君主인 레 민제 廣西省 으로 도망쳐 淸나라로 亡命하여 乾隆帝에게 도움을 要請하였다. 乾隆帝는 그의 要請을 受諾하여 陽光總督 손사의 가 이끄는 大君을 보내 탕롱 를 攻掠한 다음 다시 민제를 復位시켰으나, 그는 이미 乾隆帝에게 朝貢을 盟誓하고 實權을 淸나라에 넘겨 허수아비 身世로 轉落하고 말았다. 이에 憤慨한 떠이선 王朝의 응우옌후에 는 1789年(乾隆 54年) 奇襲的으로 탕롱을 攻擊하여 손사의의 淸軍을 相對로 勝利를 거두었다. 놀란 레 민제는 다시 淸나라로 亡命하고 응우옌후에는 皇帝로 卽位한 後 淸나라의 承認을 받아 朝貢國이 되었다.

白馬를 朝貢品으로 받는 乾隆帝

네팔 을 占領할 때는 이미 네팔의 구르카 部族이 쳐들어와 1788年(乾隆 53年) 티베트 南部를 占領하고 라사 를 向해 進擊해오고 있었다. 티베트 主宰 靑軍은 판첸 라마 텐페이 니마를 拉致하여 다른 곳에서 邀擊할 態勢를 갖추었다. 한便 乾隆帝는 四川省 에 主宰하던 軍士들에게 티베트 南部에 있는 구르카 軍士들을 몰아내라 命令하였으나 이미 구르카 不足은 退却한 狀態였다. 그러나 1791年(乾隆 56年) 겨울, 구르카는 다시 티베트로 進擊해 들어왔다. 이에 맞서 乾隆帝는 八旗軍과 綠營의 軍士들을 派兵하고 그 司令官에 自身의 妻조카인 腹腔안 (福康安)을 임명하여 구르카軍을 몰아내도록 하였다. 腹腔안의 軍隊는 靑海省으로 進擊해 티베트 盆地로 들어가려 하였으나 날씨가 춥고 告知 分隊라서 눈이 녹지 않아 날이 풀릴 때까지 기다리다가 봄이 되어 다시 進擊한 後 1792年(乾隆 57年) 여름에 구르카軍을 殲滅하고 그들을 히말라야산맥 카트만두 溪谷으로까지 壓迫하였다. 1793年(乾隆 58年) 腹腔안은 구르카族의 降伏을 萬株式으로 받고 撤軍하여 北京으로 돌아갔다.

乾隆帝는 自身이 이긴 모든 10番의 遠征을 十전무공 (十全武功)이라 하고 이를 記念해 冊을 썼는데 그 冊이 《 十專務空氣 》로 靑軍의 强力한 軍事力과 自身의 軍事的 指導力을 스스로 稱讚한 著書였다. 또한 自身을 十錢老人(十全老人)이라 스스로 稱하였고 紫禁城 안의 武英殿 (武英殿)에 淸軍이 遠征에서 얻은 華麗한 進上品이나 朝貢品 等을 展示해 놓았다. [17]

江南 巡行 [ 編輯 ]

남순을 떠나는 乾隆帝

祖父 康熙帝와 같이 乾隆帝는 여러 곳을 巡幸하는 것을 좋아하였다. 順行은 皇帝가 百姓들에게 部와 威嚴을 보여줄 수 있는 가장 좋은 行動이었다. 乾隆帝는 個人的인 餘暇를 보낼 때나 重大한 政策을 決定할 때 心身을 달래러 週로 떠났는데 1751年 (乾隆 16年), 1757年 (乾隆 22年), 1762年 (乾隆 27年), 1765年 (乾隆 30年), 1780年 (乾隆 45年), 1784年 (乾隆 49年) 等 大大的인 江南 巡行, 卽 남순(南巡)을 모두 여섯 番 斷行하였다. 乾隆帝는 巡行할 때 皇子와 公主, 代身, 宦官, 侍女, 料理師, 護衛兵 等 3000名을 帶同하였는데 여기에다가 建築家, 畫家, 詩人 等까지 데리고 가 그들과 더불어 江南의 絶景을 論하였다. 그동안 北京에서는 장성한 皇子나 여러 名의 軍機大臣이 남아서 國事를 處理하였다.

乾隆帝의 巡行의 主要 動線은 南京 , 洋酒 , 杭州 , 그리고 燒酒 였다. 이 네 都市에서 乾隆帝는 大運河 나 다른 名勝古跡을 돌아다니며 談論을 즐겼고 저녁에는 豪華로운 行宮에서 地域 有志들과 官吏들이 主催하는 豪華로운 晩餐을 즐겼다. 그리고 每日 거르지 않고 사치스럽고 豪華로운 晩餐을 벌려 自身이 가져온 內帑金이나 商人들과 地域 官吏들이 바친 돈까지 모두 떨어지자 地域 官吏들과 商人들의 下手人들이 自願하여 百姓들로부터 돈을 뜯어내어 充當을 하였고 몇 個의 行宮을 짓는 데에도 百姓들을 强制로 動員하여 큰 怨聲을 샀다. 祖父인 康熙帝가 巡行 때 가져간 內帑金만으로 모든 걸 充當하고 北京으로 돌아올 때도 다 쓰이지 않았던 것과 相反된다. 實際로 乾隆帝는 巡行 때 康熙帝가 쓰던 費用의 平均 열 倍 以上을 써서 國庫의 돈을 지나치게 浪費하였다.

남순 以外에 四川省 , 靑海省 隣近을 돌아보는 서순(西巡)을 4番 하였고 山東省 , 湖北省 隣近을 도는 同順(東巡)도 5番이나 進行하며 各地의 交流를 트게 하였다. 乾隆帝는 自身을 遂行하는 詩人, 畫家 等을 불러 皇室에서만 마시는 좋은 茶를 待接하며 詩 한 首를 읊거나 써 줄것을 勸誘하였다. 特히 自身이 데려온 詩人과 江南에서 살던 詩人들과도 文藝 對決을 펼치게 하는 等 文藝 活動을 活潑히 벌이고 自身의 卓越한 藝術的 眼目으로 藝術家들의 支持를 받을 수 있었다. 또한 江南의 骨董品을 모으는 것을 좋아하여 宦官 들로 하여금 特定한 骨董品을 搜所聞하여 어떤 값을 치르더라도 사서 가져오라 할 만큼 蒐集辱이 매우 컸다.

그러나 順行을 하면서 그는 家庭的으로 큰 일을 두 番 겪었다. 1748年 (乾隆 13年) 乾隆帝는 自身의 正室 婦人인 효현順皇后 俯察氏 와 더불어 同順을 나가 第남을 거쳐 孔子 의 故鄕 曲阜 까지 내려가 空林 을 參拜하였으나 효현順皇后는 배 위에서 宴會를 즐기는 途中에 江물에 빠져 北京으로 急히 가다가 德州 에서 惡寒 에 걸려 死亡하였다. 그女를 매우 사랑하고 아꼈던 乾隆帝는 크게 傷心하여 順行을 떠나는 것을 몇 年間 中止하였고 同順을 갈 때에도 德州를 經由하지 않고 迂廻하여 갔다. 그 後 乾隆帝는 旱荒貴妃 나臘氏를 皇后로 새로 맞아들였으나 1765年 (乾隆 30年) 네 番째 남순 때, 宴會 後 함부로 머리를 자르고 女僧이 되려 하였다는 理由로 [21] 乾隆帝의 노여움을 사서 强制로 北京으로 보내졌다. 그 後 오랍나랍씨는 皇后로서의 權威를 박탈당한 채 幽閉되어 1768年 (乾隆 33年)에 死亡하였고 皇后가 아닌 貴妃로서의 葬禮로 지내지고 皇后로서의 諡號도 받지 못하는 等 乾隆帝로부터 忽待를 받았다.

文化·藝術 發展 [ 編輯 ]

圓明園의 海岸當(海晏堂)

乾隆帝는 를 짓는 것을 좋아하여 主로 政務를 본 午前과는 달리, 午後와 저녁에는 詩를 지으며 樂으로 삼아 平生 4萬 首가 넘는 詩를 지었다. 그러나 그 中 相當數는 語法이 틀리고 質도 낮아 잘 지어진 詩는 아니었다. [18] 刊行된 詩文集으로는 《落選當全集》, 《淸高宗어제詩集》 等이 있다. 그러나 書藝에는 實力이 뛰어나 紫禁城 안의 여러 扁額들을 썼으며 代身들의 生日 때에는 自身이 손수 쓴 글句를 膳物해주기도 하였다. 또한 그리기를 좋아하여 여러 그림을 남겼는데 自身이 좋아하던 後援과 精子를 主로 그렸다. 乾隆帝는 巡行에서도 그러하였듯이 皇宮人 紫禁城에 藝術家들을 招待하여 茶를 待接하며 그들의 學識과 藝術性에 感歎하였다.

乾隆帝는 淸나라 各地의 宮殿, 行宮, 道路, 運河, 城壁, 寺院 等을 새로 짓거나 增築하는 데에도 힘썼다. 乾隆帝는 本來 自身이 태어난 潛邸人 옹친왕부였으나 雍正帝 때 라마교 社員과 行宮으로 改築된 옹화궁 을 大幅 增築하였고 明나라 때 지어진 紫禁城 이 너무 人爲的이고 낡아서 自身의 쉼터가 될 만한 곳, 卽 큰 蓮못과 나무 等이 많은 巨大한 後援 工事를 始作하였다. 그는 最高의 匠人, 石工, 木工 等을 불러 後援을 만들었는데 그때 처음 만들어진 後援이 北京 西北쪽에 있는 淸誼院 (淸?園)으로 後날 頥和園으로 改名되었다. 다른 한 後援은 바로 圓明園 으로 本來 아버지 雍正帝가 가지고 있던 작은 後援을 大幅 增築하고 옆에는 그 附屬 後援人 장춘원 (長春園), 기춘원 (綺春園)을 새로 지였다. 乾隆帝는 圓明園 을 西洋과 東洋이 만나는 宮殿이 되길 願하여 祖父 때부터 宮廷에서 일하던 예수회 宣敎師 中 最年長者 주세페 카스틸리오네 (中國 이름 랑세녕(郞世寧))와 프랑스에서 온 天文學者 미셀 베누아 에게 圓明園의 개·補修를 命하였다. 카스틸리오네 프랑스 베르사유 宮殿 바로크 樣式 로코코 樣式 을 本따 지었는데 지붕은 中國式, 建物 外壁은 西洋式으로 지어 混合 樣式을 따 지었고 안에는 유럽 王室에서 쓰는 珍貴한 物件을 가져다놓아 展示하는 等 매우 華麗하였다. [22] 北京 밖으로는 康熙帝 때 지어져 承德 땅에 있던 避暑山莊 1743年 (乾隆 8年)에 大大的으로 整備하기 始作하여 49年 後인 1792年 (乾隆 57年)에야 完成을 하였다.

乾隆帝는 이미 前任 皇帝들인 康熙帝, 雍正帝와 같이 宮廷의 宣敎師들을 優待하며 그들에게 部分的인 宣敎 活動을 許諾하였다. 하지만 乾隆帝 自身은 祖父와 浮黃과 같이 가톨릭교회 의 가르침에는 全혀 關心이 없었고 宣敎師들의 藝術的, 科學的 知識만을 利用하려고 하였다. 乾隆帝의 曾祖父인 順治帝 부터 이미 아담 샬 폰 벨 을 始初로 乾隆帝 때에도 이그나츠 쾨글러 , 安土 高價이슬 等의 예수회 宣敎師들이 天文臺인 欽天監 을 이끌며 中國의 天文學 地理學 에 도움을 주었다. 1769年 (乾隆 34年) 이들의 도움으로 完成된 《乾隆皇輿全覽圖》(乾隆皇與全覽圖)는 西洋式으로 그린 地圖로 淸나라의 疆埸을 細密히 그려냈다. 프랑스 宣敎師인 조제프마리 아미誤 는 여러 個의 皇室 定員을 프랑스 式으로 꾸며주고 《 孫子兵法 》과 같은 中國의 有名한 古書籍이나 乾隆帝가 지은 詩 等을 프랑스語로 飜譯하여 出版하기도 하였다.

勅令 반포와 文字의 玉 [ 編輯 ]

避暑山莊에서 皇族, 大臣들의 朝禮를 받는 乾隆帝

한便으로 乾隆帝는 1770年 (乾隆 35年), 中國에 있는 모든 古書籍들을 蒐集할 것을 勅令으로 頒布하였다. 이에 따라 乾隆帝는 學者들에게 모든 古書籍들의 이름을 目錄으로 作成하고 古書籍들을 四書五經 과 같은 古典인 ‘卿’(經), 歷史書인 ‘寺’(史), 諸子百家 를 包含한 哲學書인 ‘자’(子), 그리고 文集인 ‘집’(集) 等 모두 네 分類로 나누었다. [23] 모은 書籍을 모두 學術 機關인 翰林院 과 皇室 圖書館인 文淵閣(文淵閣)에 備置한 後 調査하여 分類하고 一覽에 적어놓는 作業만도 2年이 넘게 걸렸다. [18] 乾隆帝와 軍機處는 이러한 事業이 稅金도 적게 들고 國家의 文化的 位置를 한層 발전시킬 것이라 여겨 全幅的으로 支援하였다. 1773年 (乾隆 38年), 이렇게 모인 3,503 部에 79,337 卷 33,054 冊의 書籍을 한데 모아 3,800餘 名의 學者들이 必死를 하기 始作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 四庫全書 》(四庫全書)이며 이 《四庫全書》에 실린 書籍들을 分類해 놓은 一覽을 《 四庫全書總目提要 》라고 한다. 《四庫全書》는 9年 뒤인 1782年 (乾隆 47年)에 가서야 完成이 되었다. 乾隆帝는 《四庫全書》의 量이 매우 厖大하였기 때문에 編纂 作業 中 새로 要約本을 編纂할 것을 命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四庫全書會요》(四庫全書?要)로 이 亦是 12,000 餘卷에 達한다. [24] 《四庫全書》는 紫禁城의 文淵閣, 瀋陽 門燒却 (文溯閣), 裂罅 문진각 (文津閣), 圓明園 문원각 (文源閣) 等 4곳에서 保管하였을 뿐만 아니라 洋酒, 進講 , 杭州 等으로 보내 翰林院의 元老 學士가 責任을 지고 管理하도록 하였다. [25] 이때 만들어진 《四庫全書》는 明나라 永樂帝 때 만들어져 當時까지만 해도 中國 歷史上 最大의 編纂事業人 《 永樂大典 》의 3倍를 훌쩍 뛰어넘는 量이었으며 江南에 保存된 3部는 南方의 學者들이 언제든 閱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밖에도 乾隆帝는 《大淸一統志》, 《황조문헌통고》, 《大淸會典》 等 厖大한 圖書를 많이 編纂하게 하였다.

乾隆帝의 治世에도 文字의 玉 은 繼續되었다. 乾隆帝는 《四庫全書》를 編纂하기 始作한 1773年 (乾隆 38年)부터 모든 冊들을 2年間 24番 調査하여 淸나라의 政策과 그 뿌리에 正統性을 提起하는 書籍은 모두 不穩書籍으로 指定하고 불태워버렸다. [26] 燒却된 冊들은 모두 538 種에 13,860 部에 達하는 相當한 量이었다. [26] 이 冊들은 大部分 明나라 末葉에 쓰인 것으로 先皇인 太祖 누르하치 의 根本에 疑問을 提起하거나 ‘北方 民族은 한족을 다스릴 權利가 없다’, ‘明나라 만이 中原을 다스릴 唯一한 正統 皇祖이다’라는 等 淸나라의 中國 支配에 疑問을 提起하거나 非難하는 內容을 담고 있었다. 乾隆帝는 이러한 行爲를 大逆罪로 處理하여 冊을 쓴 著者와 그의 家族들을 邊方으로 流配보내거나 奴隸로 삼았고 露骨的으로 攻擊한 境遇에는 主動者는 凌遲型 에 處하고 그 三族이나 九族을 滅하는 等 嚴正하게 다스렸다. 이에 乾隆帝는 漢族에게도 滿洲語를 가르치기 위해 《聽聞感》(淸文鑑)이라는 冊을 지어 普及하였다. [27] 文字의 玉의 代表的 事件으로 當時 詩人인 好中朝 (胡中藻)가 ‘一波心臟論탁청’(一把心腸論濁淸, 나의 마음으로 請託을 論하고 싶다)이라는 文句에서 ‘탁청’(濁淸)李 바로 濁한 淸나라라는 뜻으로 解釋하여 斬刑에 處해지기도 하였다. [28]

經濟와 富의 完成 [ 編輯 ]

乾隆帝의 治世 때 쓰인 貨幣 乾隆通報 (乾隆通寶)

乾隆 時代 初期부터 선대인 康熙帝·雍正帝의 强力한 內治와 더불어 새로운 作物과 農作 方式이 導入됨에 따라 農業 收穫率이 大幅 上昇함에 따라 商業 이 繁昌해져 京畿 가 活性化되었다. 特히 新大陸 에서 傳來되어 유럽 宣敎師들이 가져온 作物들이 徐徐히 栽培되기 始作하였는데 그 中 고구마 는 어느 땅에서나 잘 자라서 百姓들의 飢饉을 면하게 해주어 이때 들여온 作物 中 가장 큰 影響을 끼쳤다.

밖으로는 貿易 을 늘렸는데 , 漆器 , 陶瓷器 , 緋緞 等이 主要 特産品으로 世界에 輸出되었고 이에 따라 財政은 勿論 百姓들의 삶의 質도 크게 上昇하였다. 의 生産量도 크게 많아져 英國 에 輸出하는 車의 生産率이 乾隆帝 卽位 80年 後인 1815年 (佳境 20年)에는 50倍까지 增加하였고 유럽 宣敎師와 商人들은 高價인 漆器 家具나 質 좋은 종이 , 書籍에 큰 關心을 가져 購入한 後 本國에다 다시 팔았다. 乾隆帝는 이러한 貿易 政策을 크게 奬勵하여 유럽 商人들로부터 이 많이 들어와 1760年 (乾隆 25年) 總 85,000 kg의 은이 國庫에 있었으나 20年 後인 1780年 (乾隆 45年)에는 450,000 kg의 은이 國庫에 들어와 있었다.

이러한 部와 새로운 農作 方式을 바탕으로 人口도 크게 늘어났는데 1722年 (康熙 61年) 1億 5千萬 名이었던 人口가 68年 뒤인 1790年 (乾隆 55年)에는 3億 名을 넘어서 배가 되었다. 18世紀 로 들어서면서 百姓들이 文化 · 藝術 을 즐기기 始作하면서 餘暇 時間은 많아지고 各地가 富裕해져 人口가 急速度로 上昇할 수 있었다. 그러나 乾隆帝 時代 以後 가경제 時代에 접어들면서 競技는 惡化되어감에도 不拘하고 人口는 暴增하면서 經濟的 扶養力이 人口 上昇率보다 顯著히 떨어지게 되어, 이에 不滿을 가지게 된 一部 百姓들을 中心으로 反淸(反淸) 勢力이 싹트기도 하였다.

不正과 腐敗 [ 編輯 ]

乾隆帝가 靑年, 中年 때에는 浮黃 雍正帝처럼 主筆(朱筆)을 하여 官吏들을 恒常 監察하는 等 紀綱을 嚴正히 하여 官吏들의 橫領이나 脫稅 같은 일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 일어나더라도 그 金額은 적었다. 그러나 乾隆帝가 나이가 들면서 中央과 北京 周邊의 政務만 處理하고 主筆을 쓰는데 疏忽해졌으며 各 誠意 歎願이나 政策은 各 性의 總督, 巡撫가 裁量껏 處理하게 내버려 두는 等 느슨하게 對하였다. 이에 따라 乾隆帝의 監視網에서 벗어난 地方 官吏들이 百姓들과 商人들을 相對로 着服과 橫領, 脫稅를 자주 하였고 그 聯關된 金額도 매 件當 數十萬 兩을 웃돌았다. 乾隆帝의 治世 동안 黃河에서 7件의 洪水 汎濫 事態가 發生하여 乾隆帝가 救護 資金을 보내주었으나 中間에서 官吏들이 모두 橫領한 바람에 治水 工事가 進陟을 이루지 못한 적도 있었다. [9] 그 以後로는 漸漸 甚해져 中央에서 處理해줄 强力하고 청렴한 高位 官吏들이 나타나지 않아 地方의 末端官吏부터 宰相級인 首席軍機大臣(首席軍機大臣)까지 聯關되어서 集團 賂物收受 事件까지 發生하는 等 深刻해졌다. 乾隆帝 治世 中期 때부터 軍機大臣 우민중 은 淸廉과는 距離가 멀고 스스로 莫大한 私益을 取하며 大臣들 사이에서도 賂物이 오가기 始作하였다. 이에 下級 官吏들 亦是 서로 賂物收受를 눈감아주고 過去試驗에서도 일정한 돈을 支拂한 代價로 그 應試者에게 합격시켜 주는 等 그 非理가 繼續되면서 甘肅省 에서 靑 帝國 最大의 賂物收受 事件인 감叔母晉안(甘肅冒賑案)李 發生하였다. [29]

뇨후루 虛션

1774年 (乾隆 39年) 當時 甘肅省은 가난한 地域으로 每年 北京의 軍機處나 戶部로부터 救護 資金을 받아서 事務를 處理하였다. 그리고 酣熟 純無人 枉斷網 (王亶望)李 每年 그러하듯 乾隆帝에게 도움을 要請하여 口號 資金을 얻었으나 돈은 정작 口號에 쓰이지 않고 枉斷網의 倉庫로 넘어갔다. 그러나 王團網은 이러한 事實을 숨기고 救護 內譯을 造作하여 乾隆帝에게 올렸고 이러한 事實을 모르는 乾隆帝는 枉斷網을 浙江省 순무로 바꿨으나 後任者에 이르러 賂物收受 事件이 밝혀졌는데 1774年 (乾隆 39年)에서 1781年 (乾隆 46年)까지 7年 동안 王斷望 個人이 着服한 돈은 2百萬 兩이 넘었고 甘肅省의 全體 管理가 蓄積한 돈은 1500萬 兩이나 되었다. [29] 巡撫가 自身을 속였다는 것을 안 乾隆帝는 大怒하여 枉斷網을 비롯한 2萬 兩 異常을 빼돌린 甘肅省의 官吏들은 모조리 死刑에 處하는 等 强手를 두었다. 그 以後 乾隆帝는 軍機處에게 各 性의 總督·巡撫가 제대로 報告를 올리는지 그 昨年의 것과 大朝賀라 指示하였으나 自身이 直接 陣頭指揮하지는 않았기에 흐지부지되었다.

그리고 乾隆帝는 自身의 在位 後半期 내내 큰 影響力을 行使한 뇨후루 虛션 에게 絶對的 信任을 보냈다. 火神은 禁軍의 三等示威로 始作하여 27歲인 1776年 (乾隆 41年) 戶部侍郞이 된 以後로 繼續 戶部를 掌握하며 國庫를 책임졌고 枉斷網의 賂物收受事件을 徹底히 밝혀내어 그 돈을 國庫로 還收하는데 一助하였다. 이에 힘입어 1780年 (乾隆 45年)에는 不過 31歲에 戶部의 首長인 戶部尙書가 되면서 各地의 總督·순무에게 일정한 돈을 支拂하면 大逆罪를 除外한 모든 罪를 赦免하는 方式으로 돈을 모아 自身의 倉庫에다가 쌓아두었으나 戶部尙書의 職分을 게을리하지는 않아 國庫가 비었을 詩에는 自身의 倉庫를 열어 國庫에다가 돈을 보내어 메꾸었다. 한便으로는 皇帝에게 바쳐지는 1等級 進上品을 빼돌려 自身의 집에 보내고 乾隆帝에게는 2等級을 代身 바쳤다. [30] 虛션은 百姓들의 稅金을 大幅 올리고 官吏들에게 자주 뒷돈을 받아서 反對派 代身들에게는 中傷謀略을 일삼는 不淨腐敗의 原狀이었으나 中國語 , 滿洲語 , 몽골語 , 티베트語 等 4個 國語에 能通하여 乾隆帝가 내리는 國書를 直接 飜譯하여 보내는 等 業務處理能力이 뛰어나 首相級人 英示威內大臣, 首席軍機大臣과 여러 文官과 武官의 官職을 兼職하며 크나큰 影響力을 行使하였고 康熙帝와 雍正帝 내내 크게 萎縮되어 온 神權을 다시 强化하였다. 또한 화신의 長男인 風神恩德 이 乾隆帝가 65歲에 얻은 가장 寵愛하던 막내딸인 高輪火孝公主 와 婚姻함으로써 皇室의 姻戚이 되어 無所不爲의 權力을 휘둘렀다. 이와 더불어 乾隆帝 自身도 在位 初盤期에 雍正帝의 기풍 을 이어받아 官吏들을 잘 團束한 것과 달리, 末年에는 財産의 蓄積에 크게 執着하여 自身의 生日 때에 黃金 佛像 1萬 個를 받았다. [31]

不淨腐敗가 繼續되자 反淸 勢力이 繼續 나타났는데 1774年 (乾隆 39年) 王輪 (王倫)이라는 者가 官吏들의 不淨腐敗, 무거운 稅金 等으로 사람들을 糾合하고 이미 衰亡한 白蓮敎 를 다시 일으켰으나 乾隆帝의 對處로 손쉽게 鎭壓되었다. 그러나 白蓮敎를 비롯한 다른 反淸 勢力들도 隱密히 勢力을 糾合하는 等 乾隆帝 末年까지 繼續 地方에서 散發的인 紛爭이 일어났다.

유럽과의 關係와 使節團 [ 編輯 ]

매카트니 伯爵 1歲 조지 매카트니

乾隆帝는 部分的으로나마 예수회 宣敎師들의 宣敎를 許諾하였고 宣敎師들은 이에 따라 敎勢를 擴張시키고 가톨릭으로 改宗한 信者들에겐 祖上의 祭祀 等 本來의 慣習을 어느 程度 지킬 수 있도록 配慮하였다. 그러나 1742年 (乾隆 7年) 敎皇 베네딕토 14歲 는 〈各 境遇에 따라서〉( Ex quo Singulari )라는 勅書를 내려 가톨릭으로 改宗한 信者들이 風習을 維持할 수 있던 慣行을 禁止시키고 1744年 (乾隆 9年) 다시 또다른 勅書 〈옴니움 솔리키투디눔〉( Omnium solicitudinum )를 내려 이를 再確認하였다. 敎皇의 勅令이 내린 後로는 가톨릭 信者의 數가 늘어나지 않았고 예수회 宣敎師들도 제대로 宣敎 活動을 펴지 못하였다. [32] 그 後 中國 內의 가톨릭 敎勢는 朝廷의 彈壓과 儒學者들의 攻擊으로 淸나라 滅亡 때까지 크게 成長하지 못하였다.

매카트니의 英國 使節團을 接見하는 乾隆帝

한便으로 유럽 商人들은 1750年代 에 이미 廣東省 에 들어와 居住하며 中國式 길드 公行 (公行)과 緊密한 關係를 維持하여서 淸나라의 關稅도 덜 支拂하였고 現地 商人들과의 信賴度를 쌓았다. 하지만 이러한 過程에서 淸나라 商人들도 유럽人들에게 뒷돈을 받는 等 不正한 行爲를 하였다. 特히 淸나라에 關心을 가지던 英國은 本格的으로 進出하기 위해 1759年 (乾隆 24年) 英國 東印度 會社 는 職員을 北京으로 보내 個項을 要求하였고 乾隆帝는 이를 許諾하였으나 갑자기 이를 拒絶하고 對外 貿易 規制를 大幅 强化하였다. 또한 英國人들이 主로 活動하고 있던 珠算 (舟山)과 下問 (아모이)의 港을 廢港하고 個項을 光州 港灣 許諾하였다.( 1757年 ) 追加로 乾隆帝는 유럽 商人들은 반드시 公行과만 賣買를 하도록 規定하고( 1757年 ) 그 時期도 10月부터 이듬해 3月까지로 嚴格하게 設定하였다.

이에 유럽 國家, 그 中 英國은 貿易을 늘려 自身들의 勢力을 强化하고자 여러 番 特使를 派遣하여 乾隆帝에게 珍貴한 膳物을 주어 이를 打開하려 하였고 또 工事를 常住시켜 淸나라의 動靜을 恒時 살펴보려고 하였다. 1788年 (乾隆 53年) 英國은 全權 大使로 카스카트 (Cathcart)를 派遣하였으나 카스카트 가 淸나라로 가는 途中 兵士하여 뱃머리를 돌려야 했다. 1792年 (乾隆 57年) 9月 26日 , 英國 政府는 다시 特別 使節團을 編成, 乾隆帝의 82番째 生日을 祝賀한다는 名分으로 特赦로 조지 매카트니 伯爵 을, 府使로 조지 스턴튼 (George Staunton)을 命하여 派遣하였다. 하지만 本來 매카트니는 淸나라뿐만 아니라 日本까지 가서 쇼군 을 만나 日本이 淸나라에게 主로 輸出하는 商品인 車를 直接 去來할 수 있도록 要請을 하려 하였다. [33] 使節團은 大西洋 , 印度洋 을 거쳐 1793年 (乾隆 58年) 5月에 오문 (마카오)에 到着하고 이를 알리는 書信을 乾隆帝에게 보내 謁見의 許諾을 받고 다시 出發하여 그 해 7月에 北京의 港口인 天津 에 닻을 내렸다.

紫禁城에서 代身들을 面談하는 이삭 티칭과 使節團

當時 乾隆帝는 막 完工된 여름 別莊인 裂罅 避暑山莊으로 가서 지내고 있었다. 그렇기에 天眞으로 온 다음 北京에서 旅毒을 풀고 다시 萬里長城 을 넘어 1793年 (乾隆 58年) 8月에야 避暑山莊에 到着해 乾隆帝를 謁見하였다. 乾隆帝는 化身에게 使節團을 待接하는데 疏忽하지 않도록 命을 내렸으나 途中 接見의 禮儀問題로 難航을 빚게 되었다. 本來 外國의 使臣은 皇帝를 接見할 때 三軌勾股두 (三?九叩頭), 卽 세 番 절하고 아홉 番 머리 를 땅에 조아리는 例를 取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매카트니 는 自身은 淸나라의 屬國의 臣下가 아니라며 斷乎히 拒絶하였고 結局 合意 끝에 乾隆帝 뒤에 英國 國王 의 肖像畫를 걸어놓고 한쪽 무릎만을 굽히며 英國式 例만 取하도록 하였다. 乾隆帝는 誕辰 晩餐에서 매카트니가 가져온 조지 3歲 의 親書를 건네 받았는데 거기에는 貿易 을 늘리고 工事를 常住시키고 싶다는 要求가 들어 있었다. 거기에다 英國에게 珠算 近處의 작은 섬을 割讓해 英國人 들이 使用하게 해달라는 內容도 쓰여있자 乾隆帝는 이를 拒否하고 英國 使節團 의 一切의 行動을 禁하였다. 乾隆帝는 그 다음 達人 9月에 英國 使節團의 歸國을 强制 措處하였다. [34]

2年 뒤인 1795年 (乾隆 60年) 初에는 네덜란드 네덜란드 東印度 會社 를 代表하는 全權 特使 이삭 티칭 (Issac Titsingh)李 乾隆帝의 在位 60年을 祝賀하기 위한 使節로 왔다. 光州 를 거쳐 北京 으로 와서 圓明園에서 乾隆帝를 接見하였는데 露骨的으로 淸나라의 땅의 割讓을 要求한 英國 과는 달리 네덜란드 使節團은 그러한 行動을 보이지 않았으며 英國 使節團이 拒否하던 三軌勾股豆를 바로 올려 乾隆帝의 好感을 샀다. [35] 乾隆帝는 네덜란드 使節團을 英國 使節團보다 더 優待하였고 그에 對한 膳物도 더 많이 챙겨주어 보내주었다.

退位와 叛亂 [ 編輯 ]

太上皇帝로서의 乾隆帝

1795年 (乾隆 60年) 말 乾隆帝는 스스로 皇位를 물러날 準備를 하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自身이 卽位할 때 한 約束이기도 하였는데 1735年 (雍正 13年) 當時 卽位할 때 쓴 勅書에서는 卽位 60年 째에 皇位에서 물러나겠다고 하였기 때문이다.

짐의 할바媽媽(康熙帝)께서는 61年間 在位하셨으나 짐은 敢히 그 記錄을 깰 수 없도다. 짐이 그 程度로 오래 살아있으면 乾隆 60年 째 되는 해, 卽 짐의 나이 85歲 되는 해에 皇子에게 皇位를 넘기고 물러나겠다. [36]

本來 乾隆帝는 卽位할 때 첫 番째 夫人 효현順皇后 小生의 次男 楹聯(永璉)을 後繼者로 念頭에 두었으나 楹聯이 1738年 (乾隆 3年)에 죽은 以後로는 建儲(建儲)를 오랫동안 保留하였다. 그 後 乾隆帝는 한족 出身 後宮인 迎意黃貴妃를 사랑하여 그 아들인 15男 英廉 (永琰)을 1773年 (乾隆 38年) 隱密히 後繼者로 세우고 英念意 이름이 담긴 함을 건청궁 正大光明 扁額 뒤에 넣어놓았다. 1789年 (乾隆 54年) 乾隆帝는 英殮을 街親王(嘉親王)에 봉한 뒤 政務와 軍務를 處理하도록 하였고, 1795年 (乾隆 60年) 9月 4日 扁額에 넣어놓은 遺詔를 꺼내어 英殮을 皇太子로 봉하였다. 그리고 1795年 (乾隆 60年) 陰曆 12月 30日 , 卽 陽曆으로는 1796年 2月 9日 乾隆帝는 黃위에서 내려왔고 그 다음 날인 1796年 陰曆 1月 1日 (陽曆 1796年 2月 10日 )에 紫禁城 태화전에서 열린 양위식에서 前衛調書를 내리고 皇位를 皇太子 英廉에게 넘겨주니, 이가 가경제 이다. [37]

짐은 敢히 할바媽媽의 在位期間을 뛰어넘을 수 없는 바 이에 詔勅을 頒布하여 病盡年( 1796年 )을 佳境 元年으로 定하노라. 皇太子 英殮을 兵塵年 正月 初하룻날 皇帝에 卽位토록 할 것이며 짐이 直接 태화戰에 나가 皇上에게 玉璽를 건네는 그 瞬間부터 짐을 太上皇帝로 稱하도록 하라. 그러나 아직 重要한 政務와 軍務, 人事權은 짐이 直接 處理할 것이다. [38]

調書에서도 言及했듯 乾隆帝는 太上皇帝로 물러남에도 如前히 軍國大事를 處理하는 等 莫强한 威勢를 자랑하였다. 비록 가경제 亦是 親政을 할 수 있었으나 重要한 일은 반드시 太上皇帝 에게 물어보고 實行하였다. 이렇게 乾隆帝는 中國 歷史上 太上皇帝 中 唯一하게 金賞(今上) 皇帝보다 더 많은 實權과 責任을 가졌다. 德分에 가경제가 憎惡하던 貪官 火神은 乾隆帝의 庇護로 朝廷에서도 아직 쫓겨나지 않고 자리를 지켰다. 5日 뒤인 1796年 (佳境 元年) 正月 6日, 乾隆帝는 가경제, 親王·君王, 그리고 朝廷의 全·現職 元老大臣들을 모두 불러 祖父 康熙帝가 열던 천수연 (千?宴)을 열며 大臣들에게 萬壽無疆의 祝願을 받았다.

乾隆帝가 물러나고 가경제가 卽位하자 다시 白蓮敎가 활개를 쳐서 白蓮敎徒의 亂 이 勃發하였다. 이미 20年 前 한番 일어났으나 乾隆帝의 빠른 對處와 內紛으로 今方 鎭壓되었기에 敎徒들은 白蓮敎에 나오는 彌勒佛 이 永生을 許諾할 것이다라는 敎理와 繼續 늘어나는 人口와 反比例되는 競技, 그리고 不淨腐敗의 影響으로 一般 百姓들에게는 무거웠던 稅金 等을 내세워 敎徒들間의 紐帶를 强化하였다. 이때 이들을 이끈 總大將은 제림 이었으나 제림은 1796年 (佳境 元年) 正月 逆謀 事實이 綻露나 陵遲處斬당하고 그의 아내로 스물의 젊은 女人 王寵兒 (王聰兒)가 뒤를 이었다. 王寵兒 의 白蓮軍은 湖北省 , 四川省 等에서 蹶起하여 靑軍 을 相對로 陝西省 까지 進軍하며 持久戰을 펴는 等 오랜 期間 끌었으나 乾隆帝가 首席軍機大臣 化身을 湖北省 綠營을 이끄는 大將軍으로 派遣하였고 淸나라에 好意的인 豪族 들을 中心으로 民兵隊인 鄕勇 綠營 挾攻 을 하여 白蓮群 을 大破하였다. 守勢에 몰린 王寵兒는 1798年 (佳境 3年) 戰鬪 途中 絶壁에서 뛰어내려 自進하였으나 白蓮敎徒들은 끊임없이 叛亂을 일으켰고 6年 뒤인 1804年 (佳境 9年)에야 全滅하였다.

老皇帝의 最後 [ 編輯 ]

글을 쓰는 乾隆帝

乾隆帝는 이미 80이 넘은 老軀였으나 如前히 政務를 處理하고 照會에도 자주 參加하는 等 왕성히 活動하였다. 그러나 太上皇帝가 된 後로 漸漸 氣力이 衰弱해져 갔고, 여러 番 避接을 갔으나 큰 差度가 있지는 않았다. 1799年 (佳境 4年) 2月 7日 , 陰曆으로는 1月 4日 에 60年間 在位하고 4年間 太上皇帝로서 皇帝보다 더 많은 實權을 掌握하였던 乾隆帝는 老患으로 89歲를 一期로 紫禁城 良心前(養心殿)에서 崩御하였다. 乾隆帝의 崩御를 가장 슬퍼한 것은 바로 乾隆帝의 庇護로 20年 넘게 調整을 掌握하던 化身 이었다. 乾隆帝가 죽고 난 다음 비로소 最高權力者가 된 今上皇帝 가경제 는 化身을 장의도감 으로 命하여 國喪을 處理하게 하였으나, 罷職하고 곧 權力을 壟斷하고 不正蓄財 하였다는 等의 20個의 罪目을 發表하고 乾隆帝 붕어 보름 뒤인 2月 22日 에 化身에게 自進 命令을 내렸다. 火神은 緋緞으로 목을 매고 自殺하였고 化身이 平生 모아놓은 財産은 모두 內帑金으로 還收되었다. 이때 處分된 화신의 財産은 모두 9億 兩이 넘어서 12年의 國家 總豫算을 훌쩍 뛰어넘는 金額이었다. [18]

乾隆帝의 廟號로는 오랫동안 在位하여 全盛期를 지켜 聲調 世宗 의 뜻을 繼承하였다 하여 ‘高宗(高宗)’, 시호로는 ‘법천융운지성선각체원입극수문분무흠명효자신성순황제’(法天隆運至誠先覺體元立極敷文奮武欽明孝慈神聖純皇帝)으로 定하였는데 여기서 ‘隆運’(隆運)과 ‘입極’(立極)은 國運을 높게 일으켜 세웠다는 뜻이며 나라를 평온히 다스렸다 하여 ‘順’(純) 者의 諡號를 붙였다. 가경제는 아버지의 國喪을 성대히 치러주고 1799年 (佳境 4年) 9月에 靑東陵 안에 賣場하니 陵戶는 裕陵(裕陵)이다.

統治 哲學과 思想 [ 編輯 ]

曉星헌皇后의 誕辰日에 祝杯를 올리는 乾隆帝

乾隆帝는 生涯 全般에 걸쳐서 祖父인 康熙帝를 尊敬하였다. 康熙帝의 政策인 自生認定 政策을 擴張시키거나 치數에도 努力하는 等 祖父의 뜻을 이어받으려 努力하였고 自身의 書齋에는 康熙帝의 御眞을 걸어놓고 本보기로 삼았다. 할아버지를 의식하여 在位 60年 만에 내려온 것 亦是 乾隆帝가 康熙帝 를 매우 尊敬한 대목 中 하나이다. 또한 乾隆帝는 一生에 걸쳐서 風流와 讀書를 좋아하였다. 그 스스로도 旅行을 매우 좋아하여 順行을 자주 다니면서 文人, 藝術家들과 談論을 하였다. 乾隆帝는 文化·藝術 分野로는 相當한 知識을 지녔고 [39] 書帖, 陶瓷器, 漆器, 그림 等 모든 藝術品에 關心을 가지며 藝術家들을 크게 督勵하였다. 乾隆帝는 午前에 激務로 쉴틈이 없었으나 午後에는 政務는 一切 보지 않고 讀書, 書畫 等의 餘暇 活動에 置重하여 自身의 藝術成果 知識을 同時에 늘렸고 政務에 시달리던 머리를 식혀주는 時間이기도 하였다. 乾隆帝는 飮食에도 큰 關心을 가졌는데 中國飮食의 集大成이라 불리는 萬한전석 (滿漢全席)李 完成된 때가 바로 乾隆帝의 治世 때였으며 車를 愛好하여 龍停車 를 자주 마셨다. 그는 舂精의 茶잎을 끓인 藥水에 牛乳를 넣어 마셨으며 자주 大臣들을 불러서 茶를 待接하기도 하였다. [39]

또 乾隆帝는 家族을 매우 重히 여겨 自身의 母后인 曉星헌皇后 에게 孝道를 다 하였는데, 每日 거르지 않고 3番 어머니가 居處하는 者녕宮에 가서 問候드렸고, 여러 巡行에도 曉星헌皇后를 모시고 가는 等 어머니를 크게 奉養하였다. 曉星헌皇后 1777年 (乾隆 42年) 86歲로 死亡할 때까지 內命婦를 오랫동안 統率하며 아들과 며느리, 孫子들, 代身들에게까지 큰 尊重을 받았으나 政治에는 一切 干涉하지 않았다. 또한 乾隆帝의 黃者들은 선대인 康熙帝의 黃者들이나 雍正帝의 黃者들과는 달리 皇位를 놓고 勢力다툼을 벌이지 않아, 가경제 가 皇太子가 되고 皇帝에 卽位할 때까지 별다른 抗議를 하지 않고 가경제의 登極을 받아들였다.

乾隆帝는 微服을 하고 潛行하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民間의 所聞에도 귀를 기울이거나 大臣들의 집을 不時에 訪問하여 代身들이 눈여겨보는 人材들을 發掘하기도 하였다. [39] 이렇게 하여 乾隆帝는 大臣들이 平素 어떻게 지내는지 또 皇帝가 不時에 왔을 때 어떻게 對處하는지를 觀察하려 하였다. 乾隆帝는 세 名의 代身을 가까이 두며 諮問을 求하였는데 그들이 바로 有用 (劉墉), 紀昀 (紀?), 그리고 化身이었다. 流用과 紀昀은 乾隆帝 治世 初·中期에 活躍을 하며 朝廷에 儉素한 바람을 불어넣어 주었으나, 後期에 化身이 頭角을 나타내면서 流用과 紀昀은 모두 自請하여 地方의 閑職으로 내려가 化身을 牽制할 사람이 없어졌다. 위의 例를 볼 수 있듯 火神은 蓄財를 많이 하는 貪官이었으나 不淨腐敗를 한다 하여도 國庫의 돈을 비우게 하지 않았으며, 그 能力을 높이 사던 乾隆帝는 화신의 뒤에서 하는 일은 相關없이 朝廷의 領袖로까지 成長하는데 힘이 되어주는 等 사람을 쓸 때 그 履歷에 對해서 偏見을 가지지 않았다.

評價 [ 編輯 ]

死後의 影響과 業績 [ 編輯 ]

乾隆帝의 親筆

乾隆帝가 죽은 後 淸나라는 衰退하기 始作하였다. 그 아들인 가경제는 乾隆帝와 化身이 죽은 後 不淨腐敗를 一掃하려 努力하였으나 如前히 官吏들의 不淨腐敗는 橫行하였고 그에 따라 淸나라에 反對하는 움직임이 頻繁히 일어났다. 1804年 (佳境 9年) 白蓮敎徒의 欄은 鎭靜되었으나 1813年 (佳境 18年) 白蓮敎의 一派인 天驕(天敎)도들이 亂을 일으켰고, 天理敎徒들이 皇宮人 紫禁城에까지 闌入하는 癸酉地變 이 일어나는 等 內亂이 끊이지 않았다. 特히 이러한 內亂을 鎭壓하는데 돈이 많이 들어 軍備를 2億 兩 以上 支出하는 等 淸나라의 財政은 걷잡을 수 없이 惡化되었다. 當時 內亂, 財政 惡化보다도 더 큰 問題는 外亂으로 乾隆帝 때부터 始作된 淸나라와 英國의 複雜하고 微妙한 關係는 後代에서도 持續되었다. 乾隆帝의 孫子인 道光帝 때에 英國 商人들은 乾隆帝가 定한 商業 政策을 無視하고 阿片 을 流通시켰으나 淸나라 政府가 이를 禁하고 阿片을 廢棄하자 艦隊를 이끌고 淸나라로 쳐들어가 南京 條約 을 맺고 香港 (홍콩)을 가져가는 等 淸나라는 繼續 列强의 干涉을 받게 되었다.

外亂과 더불어 民亂의 불씨는 漸漸 커져서 1851年 (咸豐 元年) 淸나라를 더욱 衰弱하게 만든 太平天國의 亂 이 勃發하여 13年間이나 淸나라 調整을 괴롭혔다. 當時 乾隆帝가 지나치게 遠征을 한 以後로 衰落해진 八旗軍은 태평천국군을 鎭壓하는데 功이 없었고 이러한 軍隊 勢力의 弱化는 地方에서 組織된 民兵隊 鄕勇 이 큰 勢力을 얻게 되는 契機가 되었다. 그리하여 鄕勇이 決定的으로 태평천국군을 멸망시키고 太祖 때부터 赫赫한 功을 세운 八旗軍은 新式 武器의 登場과 鄕勇의 大斗로 더욱 衰落해져 갔다. 또한 乾隆帝는 할아버지 康熙帝와 같이 한족의 文化를 吸收하는데 積極的이어서 그 文化를 발전시켰으나 滿洲族은 同化된 탓인지 自身들의 固有 文化를 잃기 始作하였다. 乾隆帝 以後 滿洲語를 使用하는 人口 數는 漸漸 줄어들었고 淸나라 滅亡 때까지 繼續 下落勢를 보였다.

한便으로는 乾隆帝 事後 많은 傳說이 생겼는데 그 中 乾隆帝의 生母에 關한 說과 향비와의 사랑이야기가 많이 膾炙되는 傳說이다. 正使인 《淸史稿》〈고종순皇帝實錄〉에서 記錄된 乾隆帝의 母親은 雍正帝의 後宮 出身인 曉星헌皇后라고 나와 있다. 그러나 傳說에 따르면 乾隆帝는 雍正帝와 曉星헌皇后의 아들이 아닌 江南 出身 한족 文人의 아들이며 雍正帝가 本來 얻은 아이는 아들이 아닌 딸이었는데 마침 같은 날, 같은 詩에 한족 文人의 아들이 태어나 서로 自身의 子息을 맞바꾸었고 이때 맞바뀐 雍正帝의 아들이 된 男子 아이가 乾隆帝라는 것이다. 또한 乾隆帝가 남순을 떠난 目的은 바로 生母를 만나기 위한 目的이라고 하나, 大部分의 남순 때 曉星헌皇后가 乾隆帝를 따라 同行하였기 때문에 寫實性이 떨어진다. 향비에 對한 傳說은 本來 實存하던 위구르族 出身의 乾隆帝의 비 出身인 宂費(容妃)가 모델로 實際로 오랫동안 살다가 自然死한 宂費와 달리, 傳說 속의 향비는 乾隆帝의 끊임없는 拘礙를 받으나 同寢을 拒否하고 節槪를 지켰다. 乾隆帝가 사냥을 간 사이 皇太后人 曉星헌皇后가 향비를 불러 自進을 勸誘하자 향비는 이에 自進하고 그女가 죽은 뒤 그女의 몸에선 아름다운 香氣가 나왔다는 傳說이다. 이 두 傳說은 乾隆帝가 江南 巡行, 그리고 十전무공 中 하나인 위구르 遠征에 끼친 影響에서 비롯된 傳說로 當時 民間에서의 乾隆帝의 人氣를 斟酌할 수 있는 대목이다.

批判 [ 編輯 ]

乾隆帝 自身은 超, 中企 40年間 祖父 康熙帝와 浮黃 雍正帝의 政策을 繼承하고 改革을 斷行하며 文化를 부흥시켰으나 後記 20年 동안에는 化身을 지나치게 偏愛하고 自身의 딸을 화신의 아들에게 시집보내면서 화신의 勢力을 너무 傍觀하였다. 또한 乾隆帝의 庇護로 火神은 自身의 집에 엄청난 量의 돈을 貯藏하는 等 화신의 專橫을 放置하여 化身을 비롯한 여러 官吏들의 不淨腐敗를 내버려두는 失策을 犯하였다. 卽位 當時 나쁜 政治 狀況과 國庫의 돈마저도 넉넉지 않던 康熙帝, 雍正帝와는 달리 乾隆帝 때에는 國庫의 돈이 豐足하였기에 不必要한 奢侈가 잦았다. 乾隆帝 亦是 宴會, 後援 建設 等에 莫大한 費用을 쓰고 在位 期間 내내 遠征을 斷行하는 等 國庫의 돈을 크게 浪費하여 淸나라의 財政 狀況은 惡化되어갔다. 特히 自身의 正統性과 勢를 誇示하기 위해 여러 番의 全國 巡行으로 다시 많은 돈을 浪費하기도 하였다. 또한 浮黃 雍正帝가 全國의 官吏들에게 잡은 嚴格한 氣風을 이어가지 않고 그들에게 宥和策을 씀으로서 官吏들의 一切 行動에 對한 監視가 疏忽해졌는데 이로 인해 不淨腐敗가 蔓延해지고 中央 政府와 地方 政府의 紀綱이 크게 毁損되었다. 그리고 乾隆帝는 베트남, 네팔 等 征服한 領土에는 武斷 統治를 斷行하여 現地人들에게 紛亂의 싹을 틔웠으며 實際로 乾隆帝가 죽은 뒤, 베트남과 버마는 獨立하였다.

乾隆帝의 또다른 失策으로는 外國에 對한 視角이었는데 英國의 特使 조지 매카트니 는 同等한 立場에서 通商을 要求하였으나 乾隆帝는 英國이 먼 나라에서 朝貢을 하러 온 것이다 생각하며 英國 使節團이 올 때 全國에 “英國 오랑캐들이 降伏하였다”라는 訪問을 보냈다. 乾隆帝는 英國 使節들에게 始終一貫 倨慢한 態度를 보이며 “天子의 나라에는 不足한 것이 없다”라는 말을 하여 英國 使節團을 唐慌하게 만들었다.

現代의 影響과 評價 [ 編輯 ]

현대 以前만 해도 乾隆帝는 文化와 藝術을 사랑하던 風流君主라고 評價했으나, 近來에 들어서는 乾隆帝를 起點으로 淸나라가 衰退하기 始作하였다는 點을 主로 들며 乾隆帝에 對해 好意的인 評價를 잘 내리지 않는 便이다. 特히 그의 傲慢함과 過度한 奢侈, 浪費를 批判하였고 이러한 財貨 流出은 後날 淸나라가 列强을 相對로 苦戰을 면치 못하여서 滅亡 때까지 强健性歲의 繁榮은 다시 오지 않았다. 乾隆帝를 有名하게 만든 民間의 說話는 後代에 들어서도 드라마·映畫化되었다. 中華人民共和國 에서 만든 드라마 시리즈 《 皇帝의 딸 》은 乾隆 時代를 다룬 作品으로 乾隆帝가 皇子 時節 江南에서 만난 女人과 하룻밤을 지낸 後 떠나자, 數十 年 뒤 그 딸이 나타나 아버지를 찾으려는 內容으로 始作한다. 그 밖에도 中華人民共和國 中華民國 에선 이러한 野史 外에도 乾隆帝 後半의 이야기, 卽 乾隆帝와 化身을 다루는 內容의 드라마도 많이 나오는 等 乾隆帝를 다양한 視角에서 바라본 作品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

冊으로도 많은 사랑을 받은 作品이 있는데 《강희대第》, 《雍正皇帝》를 쓴 作家 얼웨허 (二月河)는 그 完結版人 《乾隆皇帝》를 써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等 다시 한番 큰 히트를 쳤다. 이 小說을 土臺로 2002年 中國中央放送이 다시 《 乾隆王朝 》(乾隆王朝)라는 드라마를 만들어 乾隆帝와 화신의 關係를 다루었으나 前作인 《康熙王朝》, 《雍正王朝》보다 多少 不振하였다. 한便 野史를 土臺로 쓴 冊으로는 中國의 武俠 作家 김용 이 쓴 《서검은구록》(書劍恩仇錄)이 있다. 여기서 乾隆帝는 江南에서 태어난 한족 出身으로 風流를 좋아하는 皇帝로 나왔으며 여러 番 드라마로도 製作되어서 人氣를 누렸다.

家族 [ 編輯 ]

乾隆帝는 3名의 皇后와 5名의 黃貴妃, 5名의 貴妃 等을 두었고 膝下에 17男 10女를 두었다.

祖父母와 父母 [ 編輯 ]

皇后 [ 編輯 ]

봉호 시호 이름(星氏) 在位年度 生沒年度 國舅(匠人/장某) 別稱 備考
皇后(皇后) 효현順皇后
(孝賢純皇后)
푸車 氏
(富察氏)
1737年 ~ 1748年 1712年 ~ 1748年 日登場各貢(一等莊慤公)
俯察 이영보
(富察 李榮保)
一品否認(一品夫人)
忌惡로 氏(覺羅氏)
[40]
皇后(皇后) 나라 氏
(那拉氏)
1750年 ~ 1766年 1718年 ~ 1766年 나랍 눌이抛
(那拉 訥爾布)
娘家氏(郞佳氏)
[41]
映畫貴妃
(令皇貴妃)
孝義順皇后
(孝儀純皇后)
位가씨
(魏佳氏)
(推尊) 1727年 ~ 1775年 三等承恩공(三等承恩公)
位靑苔(魏淸泰)
一品否認(一品夫人)
兩家氏(楊佳氏)
[42] [43]

後宮 [ 編輯 ]

黃貴妃 [ 編輯 ]

봉호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黃貴妃
(皇貴妃)
慧現況貴妃
(慧賢皇貴妃)
高架 氏
(高佳氏)
1711年 ~ 1745年 [44]
純黃貴妃
(純皇貴妃)
順惠貺貴妃
(純惠皇貴妃)
邵氏(蘇氏) 1713年 ~ 1760年 [45]
철비(哲妃) 철민黃貴妃
(哲憫皇貴妃)
푸車 氏
(富察氏)
? ~ 1735年 [46] [47]
가귀비
(嘉貴妃)
숙가黃貴妃
(淑嘉皇貴妃)
琴歌 氏
(金佳 氏)
1713年 ~ 1755年 [48] [49]
경귀非
(慶貴妃)
警恐慌貴妃
(慶恭皇貴妃)
陸氏(陸氏) 1724年 ~ 1774年 [50]

貴妃 [ 編輯 ]

봉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유귀非
(愉貴妃)
가리葉特 氏
(珂里葉特氏)
1714年 ~ 1792年 [51]
완貴妃
(婉貴妃)
晉氏(陳氏) 1716年 ~ 1807年 [52]
榮貴非
(穎貴妃)
파림 氏
(巴林氏)
1731年 ~ 1800年 [53]
흔貴妃
(?貴妃)
대가 氏
(戴佳氏)
? ~ 1764年 [54]
純貴妃
(循貴妃)
이르乾期오로 氏
(伊爾根覺羅氏)
1758年 ~ 1797年 [55]

側非 [ 編輯 ]

비(妃)
봉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鉏非(舒妃) 엽혁나랍 氏
(?赫那拉氏)
1728年 ~ 1777年 [56]
豫備(豫妃) 보르地기트 氏
(博爾濟吉特氏)
1730年 ~ 1774年 [57] [58]
宂費(容妃) 花托 氏
(和卓氏)
1734年 ~ 1788年 [59] 위구르人 出身.
돈비(惇妃) 王氏(汪氏) 1746年 ~ 1806年 [60]
진비(晉妃) 푸車 氏
(富察氏)
? ~ 1822年 [61]
防備(芳妃) 晉氏(陳氏) 1750年 ~ 1801年 [62]
빈(嬪)
봉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儀賓(儀嬪) 黃氏(?氏) ? ~ 1735年
이빈(怡嬪) 白氏(柏氏) 1721年 ~ 1757年 [63]
순빈(恂嬪) 곽석特 氏
(?碩特氏)
? ~ 1761年 [64]
辛嬪(愼嬪) 倍이喝死 氏
(拜爾葛斯氏)
? ~ 1765年 [65]
공빈(恭嬪) 林氏(林氏) 1733年 ~ 1805年 [66]
聖貧(誠嬪) 니午後루 氏
(?祜祿氏)
? ~ 1784年 [67]

鉏非 [ 編輯 ]

貴人(貴人)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別稱 備考
純貴人
(順貴人)
뉴箶簶氏
(?祜祿氏)
1750年 ~ 1788年 [68]
惡鬼인
(鄂貴人)
서림각라氏
(西林覺羅氏)
1733年 ~ 1808年 [69]
서귀인
(瑞貴人)
색작락씨
(索綽洛氏)
? ~ 1765年 [70] [71]
綠貴人
(綠貴人)
陸氏
(陸氏)
? ~ 1788年 [72] [73]
수貴人
(壽貴人)
? ~ 1809年 [74]
수貴人
(秀貴人)
색작락씨
(索綽洛氏)
? ~ 1745年 [75]
백귀인
(白貴人)
白氏
(柏氏)
1730年 ~ 1803年 [76] [77]
무貴人
(武貴人)
무씨
(武氏)
? ~ 1781年 [78] [79]
金貴人
(金貴人)
? ~ 1778年 [80] [81]
신귀인
(新貴人)
? ~ 1775年 [82]
신귀인
(?貴人)
? ~ 1777年 [83]
復歸인
(福貴人)
? ~ 1764年 [84]
商才(常在)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備考
규商才
(揆常在)
? ~ 1756年
映像再
(寧常在)
? ~ 1781年 [85]
平常再
(平常在)
? ~ 1778年 [86]
장상재
(張常在)
張氏 ? ~ 1745年 [87]
答應(答應)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備考
上沓응
(祥答應)
? ~ 1773年 [88]
나答應
(那答應)
[89]
答應
(答應)
[90]
완答應
(莞答應)
[91]
채答應
(采答應)
[92]
格格(格格)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備考
格格
(格格)
? ~ 1730年 [93] [94]
格格
(格格)
? ~ 1729年 [93] [95]
關與者(官女子)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備考
關與者
(官女子)
[96]
시고(待考)
시호 이름(星氏) 生沒年度 備考
정귀인
(定貴人)
[97]

皇子 [ 編輯 ]

- 봉호 시호 이름 生沒年度 別稱 生母 子息 備考
長男 화석정親王
(和碩定親王)
안(安) 아이신기오로 융侯王
(愛新覺羅 永璜
/애신각라 映畫)
1728年 ~ 1750年 철민黃貴妃
俯察氏
2男 [98]
次男 皇太子
(皇太子)
單慧
(端慧)
楹聯(永璉) 1730年 ~ 1738年 효현順皇后
俯察氏
[99]
3男 다라順君王
(多羅循郡王)
아이신기오로 戎裝
(愛新覺羅 永璋
/애신각라 令狀)
1735年 ~ 1760年 順惠貺貴妃
小가씨
1男 1女
+1兩者
[100]
4男 化石이親王
(和碩履親王)
單(端) 아이신기오로 융청
(愛新覺羅 永珹
/애신각라 靈性)
1739年 ~ 1777年 숙가黃貴妃
琴歌氏
6男 3女 [101]
5男 化石英親王
(和碩榮親王)
順(純) 아이신기오로 융키
(愛新覺羅 永琪
/애신각라 靈氣)
1741年 ~ 1766年 유귀非
가리葉特氏
6男 2女
6男 化石질親王
(和碩質親王)
腸(莊) 아이신기오로 용이옹
(愛新覺羅 永瑢
/애신각라 英勇)
1743年 ~ 1790年 [102] 順惠貺貴妃
小가씨
6男 5女 [103]
7男 化石鐵親王
(和碩哲親王)
道民
(悼敏)
영종(永琮) 1746年 ~ 1748年 효현順皇后
俯察氏
[104]
8男 化石의친왕
(和碩儀親王)
新(愼) 아이신기오로 융視오완
(愛新覺羅 永璇
/애신각라 映宣)
1746年 ~ 1832年 [105] 숙가黃貴妃
琴歌氏
2男 4女 [106]
9男 1748年 ~ 1749年 숙가黃貴妃
琴歌氏
夭折함.
10男 1751年 ~ 1753年 鉏非
엽혁나랍씨
夭折함.
11男 化石性親王
(和碩成親王)
철(哲) 아이신기오로 융싱
(愛新覺羅 永?
/애신각라 靈性)
1752年 ~ 1823年 숙가黃貴妃
琴歌氏
7男 6女 [106]
12男 다라패륵
(多羅貝勒)
아이신기오로 융키
(愛新覺羅 永璂
/애신각라 靈氣)
1752年 ~ 1776年 [107] 界皇后
나라氏
13男 英京(永璟) 1756年 ~ 1757年 界皇后
나라氏
夭折함.
14男 泳路(永?) 1757年 ~ 1760年 孝義順皇后
位가씨
夭折함.
15男 皇太子
(皇太子)
아이신기오로 龍얀
(愛新覺羅 ?琰
/애신각라 옹廉)
1760年 ~ 1820年 [108] 孝義順皇后
位가씨
5男 9女 第7代 皇帝 가경제 (嘉慶帝).
16男 1762年 ~ 1763年 孝義順皇后
位가씨
夭折함.
17男 化石慶親王
(和碩慶親王)
喜(僖) 아이신기오로 융린
(愛新覺羅 永璘
/애신각라 영린)
1766年 ~ 1820年 [109] 孝義順皇后
位가씨
6男 7女 [106]

皇女 [ 編輯 ]

- 봉호 生沒年度 生母(生父) 駙馬 備考
長女 1728年 ~ 1729年 효현順皇后 俯察氏 夭折함.
次女 1731年 ~ 1732年 철민黃貴妃 俯察氏 夭折함.
3女 苦輪火鏡公州
(固倫和敬公主)
1731年 ~ 1792年 효현順皇后 俯察氏 化石의친왕
(和碩毅親王)
박이제길特 色抛등파勒州이
(博爾濟吉特 色布騰巴勒珠爾)
4女 化石化架空株
(和碩和嘉公主)
1745年 ~ 1767年 順惠貺貴妃 小가씨 一等忠勇勤恪공
(一等忠勇勤恪公)
푸車 풀룽가
(富察 福隆安)
5女 1753年 ~ 1755年 界皇后 휘발나랍씨 夭折함.
6女 1755年 ~ 1758年 흔貴妃 代價氏 夭折함.
7女 苦輪화정公主
(固倫和靜公主)
1756年 ~ 1775年 孝義順皇后 位가씨 化石찰살극친왕
(和碩?薩克親王)
박이제길特 납王다이제
(博爾濟吉特 拉旺多爾濟)
8女 1757年 ~ 1767年 흔貴妃 代價氏 早卒함.
9女 化石化角公州
(和碩和恪公主)
1758年 ~ 1780年 孝義順皇后 位가씨 一等無衣某容共
(一等武毅謀勇公)
烏鴉 刹欄태
(烏雅 札蘭泰)
10女 高輪火孝公主
(固倫和孝公主)
1775年 ~ 1823年 돈비 王氏 三等효민공
(三等孝愍公)
니午後루 펑셔닌더
(?祜祿 豊紳殷德)
養女
- 化石化안공주
(和碩和婉公主)
1734年 ~ 1760年 火恭親王(和恭親王)
아이신기오로 훙牴牾
(愛新覺羅 弘晝)
적匐進(嫡福晉)
誤拶次 氏(吳?庫氏)
다라파림牌勒
(多羅巴林貝勒)
박이제길特 德勒極
(博爾濟吉特 德勒克)
[110]

朞年과 年號 [ 編輯 ]

年號 使用期間 年壽 備考
乾隆 (乾隆) 1736年 1795年 60年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1796年은 陽曆의 勢年法을 따른 것이다. 乾隆帝는 1795年 (乾隆 60年) 陰曆 12月 30日 , 卽 陽曆으로는 1796年 2月 9日 皇位 에서 退位 하였다.
  2. 爵位를 받은 基準에 따라 황사자 (皇四子)로 불리나, 幼兒期에 죽은 雍正帝 의 皇子까지 包含시키면 乾隆帝는 雍正帝의 다섯 番째 아들이 된다.
  3. 側匐進 李氏는 後날 제비(齊妃)가 되는 人物이다.
  4.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年. ISBN   0-674-01212-7 914쪽
  5. 브리태니커 乾隆帝 〈乾隆帝〉. 《브리태니커 百科事典》.  
  6. 진만러우, 《康熙帝의 敎育 方式 - 向康熙學習》, 河南문예출판사(河南文藝出版社), 2008年 96쪽
  7.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 1999年, 915쪽
  8. 제비 李氏의 아들로 當時 살아있던 雍正帝의 皇子들 中 가장 年長者였다.
  9. 廉凶年. “淸나라 12名의 皇帝의 眞짜 모습(正說淸朝十二帝)” (中國語). 2013年 10月 31日에 原本 文書 (HTML)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1月 17日에 確認함 .  
  10.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 1999年, 916쪽
  11.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912쪽.
  12. 寶親王皇四子弘歷,秉性仁慈,居心孝友,聖祖皇考於諸孫之中,最?鐘愛,撫養宮中,其後仍封親王者,蓋令備位藩封,?習政事,以增廣識見,今?遭大事,著繼朕登極,?皇帝位。
  13. 이시바시 다카오, 홍성구 옮김, 《大廳帝國 1616~1799 - 100萬의 滿洲族은 어떻게 1億의 한족을 支配하였을까?》휴머니스트, 2009年 ISBN   978-89-5862-267-3 .
  14.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 1999年, 918쪽
  15.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 1999年, 919쪽
  16. 구성회 著, 《리더들의 리더가 된 中國의 帝王들》, 신서원, 2009年, ISBN   978-89-7940-084-7
  17.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 1999年, 936쪽
  18. 〈乾隆帝〉. 《후동》.  
  19. 백범흠, 《中國》 (늘品플러스, 2010) 362페이지
  20. 백범흠, 《中國》 (늘品플러스, 2010) 359페이지
  21. 當時 滿洲族 風習 中 머리를 자른다는 것은 男便이나 父母, 媤父母가 죽었을 때에만 자르는 것으로 乾隆帝가 죽지 않은 狀況에서 자르는 것은 詛呪를 뜻한다.
  22. " [우종근의 史史로운 이야기] 베이징 圓明園의 十二支神像 ", 《韓國經濟》, 2009年 2月 27日.
  23.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21쪽
  24.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22쪽
  25.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23쪽
  26.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25쪽
  27. 〈乾隆帝〉.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28.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26쪽
  29. 炭鑛룽 (2002年 12月 10日). “枉斷網의 賂物收受事件(王亶望貪縱牽出連環窩案)” (中國語). 2011年 12月 3日에 原本 文書 (HTML)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2月 6日에 確認함 .  
  30.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31쪽
  31.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332쪽
  32. 〈베네딕토 14歲〉. 《엔싸이버》.  
  33. Harlow, Vincent; Frederick Madden (1953). 《British Colonial Developments, 1774-1834》 (英語). Oxford.  
  34. 매카트니, 존 倍러우 (1807年). “매카트니 見聞錄( Some account of the public life, and a selection from the unpublished writings of the earl of Macartney )” (英語) . 2012年 5月 28日에 確認함 .  
  35. 半 브람 후키스트, 안드레아스 에베라두스 (1798年). “네덜란드 東印度 會社가 中國의 皇帝에게 보낸 使節團( An authentic account of the embassy of the Dutch East-India company, to the court of the emperor of China, in the years 1974 and 1795 )” (英語). 2009年 2月 15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0年 2月 11日에 確認함 .  
  36. 昔皇祖禦極六十 一年,予不敢相比,若邀穹蒼眷佑,至乾隆六十年乙 卯,予壽?八十有五,?當傳位皇子,歸政退閒
  37. Mote, Frederick W. Imperial China 900 - 1800, 913쪽.
  38. 朕不敢仰希皇祖以次增載。 特宣布詔旨,明定儲位,以丙辰?嘉慶元年。 皇太子於丙辰正月上日?皇帝位。朕親禦太和殿,躬授寶璽,可稱朕?太上皇帝。凡軍國重務、用人行政大端,朕未至倦勤。
  39. 권삼윤 (2003年 2月 1日). “그믐밤엔 宮女, 보름엔 皇后와 ‘雲雨之情’” (社說) . 2010年 2月 13日에 確認함 .  
  40. 적匐進(嫡福晉)
  41. 側匐進(側福晉)/韓肥(?妃)/한貴妃(??妃)/旱荒貴妃(?皇貴妃)
  42. 位貴人(魏貴人)/迎賓(令嬪)/營婢(令妃)/榮貴非(令貴妃)
  43. 가경제 卽位 後 皇后로 推尊됨.
  44. 格格(格格) → 側匐進(側福晉) → 貴妃(貴妃)
  45. 格格(格格) → 순빈(純嬪) → 순비(純妃) → 純貴妃(純貴妃)
  46. 格格(格格) → 側匐進(側福晉)
  47. 乾隆帝 卽位 前에 薨逝함.
  48. 格格(格格) → 金貴人(金貴人) → 가빈(嘉嬪) → 가비(嘉妃) → 가귀비(嘉貴妃)
  49. 朝鮮人 出身으로 滿洲정황기 所屬.
  50. 陸上再(陸常在) → 陸貴人(陸貴人) → 경빈(慶嬪) → 警備(慶妃) → 경귀非(慶貴妃)
  51. 海上再(海常在) → 해貴人(海貴人) → 유빈(愉嬪) → 劉備(愉妃)
  52. 진상재(陳常在) → 珍貴人(陳貴人) → 완빈(婉嬪) → 完備(婉妃) → 黃고완귀태비(皇考婉貴太妃)
  53. 나상재(那常在) → 나귀人(那貴人) → 迎賓(穎嬪) → 營婢(穎妃) → 黃고영귀태비(皇考穎貴太妃)
  54. 흔빈(?嬪) → 흔非(?妃)
  55. 순빈(循嬪) → 순비(循妃)
  56. 貴人(貴人) → 鉏빈(舒嬪)
  57. 貴人(貴人) → 예빈(豫嬪)
  58. 額이極祕(額爾克妃)
  59. 火貴人(和貴人) → 용빈(容嬪) → 향비(香妃)
  60. 진상재(陳常在) → 珍貴人(陳貴人) → 완빈(婉嬪)
  61. 珍貴人(晉貴人) → 黃조진태非(皇祖晉太妃)
  62. 冥想再(明常在) → 명귀인(明貴人) → 防貧(芳嬪) → 太上皇防備(太上皇芳妃)
  63. 貴人(貴人)
  64. 곽상재(郭常在) → 곽귀인(郭貴人) → 곽빈(郭嬪)
  65. 이귀인(伊貴人)
  66. 임상재(林常在) → 임貴人(林貴人)
  67. 難商才(蘭常在) → 難貴人(蘭貴人)
  68. 上貴人(常貴人) → 순빈(順嬪) → 순비(順妃) → 순빈(順嬪) → 純貴人(順貴人)
  69. 어상재(漁常在) → 惡鬼인(鄂貴人) → 惡鬼태인
  70. 서상재 → 서귀인
  71. 乾隆 24年 6月 22日, 營婢 의 學則거녀 中 하나를 서상재로 봉함.
  72. 綠商才 → 綠貴人
  73. 燒酒 한족 民人. 子女는 없고, 生年未詳. 生日 9月 23日. 乾隆 43年 8月 3日, 乾隆帝는 陸上再議 親族을 訪問調査하도록 名銜. 남순시에 陸上再議 親族을 團束하도록 專門 人員 派遣. 乾隆 53年 尹5月 5日 丑時에 薨去. 같은 해 12月 18日, 純貴人과 함께 裕陵非園寢에 묻힘. 乾隆 54年 10月 9日, 綠貴人의 親언니 等이 聖地를 받아 입기. 全量 等을 주었다.
  74. 가경제 時期, 最初 외팔機 修女選拔에서 內政의 周圍로 指定. 같이 入宮한 珍貴人 俯察氏 와 함께 乾隆帝를 모심. 수貴人과 나답응이 같은 사람인지 아닌지는 確實하지 않다. 佳境 14年 2月 21日에 薨去.
  75. 乾隆 10年 (1745年) 10月 14日 薨去
  76. 백상재 → 백귀인 → 百態貴人
  77. 이빈 의 女同生으로 子女는 없다. 生年은 正確히 알 수 없고, 生日은 6月 17日. 佳境 8年 6月에 薨去함. 佳境 10年 3月 17日, 裕陵非園寢에 묻힘
  78. 無償再 → 무貴人
  79. 乾隆 49年 9月 8日 聖貧, 新(新)貴人, 新(?)貴人과 함께 裕陵非園寢에 묻힘
  80. 金賞再 → 金貴人
  81. 生日 9月 11日. 郎中 豐年의 딸이다. 乾隆 41年 純貴妃 이르乾期誤로氏와 함께 入宮. 乾隆 43年 9月 以前에 薨去, 9月 9日에 裕陵非園寢에 묻힘. 乾隆 43年 11月 28日 遺物을 整理함.
  82. 生日 8月 8日. 몽골 外藩出身으로, 豫備 의 宮女였다. 乾隆 27年 6月 27日, 신상재로 처음 封爵됨. 乾隆 40年 1月 1日, 신귀인에 封해짐. 乾隆 40年 6月 13日 卯時에 薨去. 尹4月 9日 遺物을 交付. 乾隆 49年 9月 8日 聖貧 , 新(?)貴人과 함께 裕陵非園寢에 묻힘.
  83. 乾隆 13年 1月, 신귀인으로 봉하였다. 件룽 42年 9月 9日 新詩에 薨去. 乾隆 49年 9月 8日, 裕陵非園寢에 묻힘.
  84. 生年未詳. 生日 1月 19日. 《撥用行文底?》의 記錄에 따르면, 羊고기를 먹는 것을 보아, 宂費 , 映像材와 함께 回附의 女子임을 알 수 있다. 乾隆 28年 10月 3日, 服喪材로 처음 封爵되었다. 乾隆 29年 3月 22日, 復歸仁으로 진봉. 乾隆 29年 8月 5日, 承德에서 兵士函. 乾隆 29年 11月 26日, 遺物을 돌려받았다. 乾隆 30年 尹2月 2日에 裕陵非園寢에 묻힘.
  85. 生日 11月 14日로 子女는 없다. 乾隆 28年 10月 25日 映像再. 南쪽 巡視를 같이 감. 乾隆 46年 12月 前에 死亡. 12月 2日에 遺物을 받음. 乾隆 49年 9月 8日, 聖貧 과 신귀인과 함께 裕陵非園寢에 묻힘. 羊고기 供給하는 記錄이 있는 것으로 보아, 回族사람일 可能性이 크다.
  86. 生年 未詳, 生日 7月 12日이고, 子女는 없다. 乾隆 33年 5月 21日, 警備 의 宮女를 平常材로 봉함. 乾隆 43年 9月 前에 死亡. 9月 9日, 金貴人과 함께 裕陵非園寢에 묻힘.
  87. 子女는 없다. 乾隆 元年 1月, 入宮하여 商才로 封해졌고, 潛邸出身이 아니다. 乾隆 2年 12月 31日, 유상재로 封해짐. 乾隆 10年 10月 18日 死亡. 乾隆 11年 10月 27日 처음으로 裕陵非園寢에 묻힘.
  88. 乾隆 18年 7月 15日 入宮, 上귀人에 封해짐. 乾隆 25年 4月 9日 想像재에서 貴人으로 封해짐. 乾隆 25年 6月 18日 上貴人은 寵愛를 잃은 것으로 보임. 乾隆 25年 7月에 賞貴人이 됨. 乾隆 29年 11月 27日 貴人의 物件을 돌려받고, 上沓응로 降等. 乾隆 38年 3月 28日 兵士.
  89. 乾隆 29年 3月 22日, 劉備 의 宮女를 나상재로 봉함. 乾隆 40年 4月 25日 나상재에서 나答應으로 降等. 乾隆 53年 3月 16日 나답응이 꾸중을 들은 後, 投身하기로 하고, 4月 4日 傾斜房에서 物件을 받음. 乾隆 61年 12月 12日 그 約束이 없다 또는 行方이 杳然하다.
  90. 乾隆 5年 10月 15日, 어느 名家의 布衣로 選拔된 答應 以下의 關與者. 그女를 答應으로 불렀을뿐, 具體的인 位置는 알 수 없음.
  91. 上沓응과 같이 購入記錄에 나타나, 조팔利鈍에 묻혔음. 乾隆 38年 3月 28日 상답응이 病死하고 나서야 비로소 故人이 된 것으로 推測됨.
  92. 上沓응과 같이 購入記錄에 나타나 조팔利鈍에 묻혔음.
  93. 乾隆帝가 皇子時節의 詩帖.
  94. 10月에 兵士函
  95. 7月 30日 兵士
  96. 乾隆帝가 皇子時節의 詩帖. 雍正 12年 10月, "步親王 4名의 格格에게 慣例대로 賞을 받는다", "化石步親王의 4格格에게 乳母를 사면 前例에 비추어서는 안된다"라는 記錄이 있음
  97. 乾隆 21年 외팔機 修女先發로 入宮. 乾隆 22年, 乾隆帝가 다른 后妃들과 順行을 갔는데 정귀인은 없었음. 貴人이 죽은 뒤, 유릉비원침에도 묻히지 않음. 整備였는데 貴人으로 左遷된 理由는 알려지지 않음.
  98. 事後 定親王으로 追封.
  99. 夭折함. 死亡 後 皇太子로 追封.
  100. 事後 純君王으로 追封.
  101. 이의친왕(履懿親王) 윤토誤(允?)의 養孫子로 入籍됨.
  102. 다라패륵(多羅貝勒)/다라질君王(多羅質郡王)
  103. 신정군王(愼靖郡王) 尹히(允禧)의 養孫子로 入籍됨.
  104. 夭折함. 가경제 卽位 後 鐵親王으로 追封함.
  105. 다라醫君王(多羅儀郡王)
  106. 가경제 卽位 後에도 살아남음.
  107. 孤山敗者(固山貝子)
  108. 化石街親王(和碩嘉親王)
  109. 다라패륵(多羅貝勒)/다라惠君王(多羅惠郡王)/다라頃君王(多羅慶郡王)
  110. 火恭親王(和恭親王) 훙牴牾(弘晝)의 長女.

參考 資料 [ 編輯 ]

  • 《淸史稿》(淸史稿) - 〈고종순皇帝實錄〉(高宗純皇帝實錄)
  • 《淸史稿》(淸史稿) - 〈인종예皇帝實錄〉(仁宗睿皇帝實錄)
  • 周遠廉, 《乾隆皇帝大傳》
  • 組螺旋 D. 스펜스, 《現代 中國을 찾아서 1》, 이산出版社, 김희교 옮김, 1999年 ISBN   89-87608-07-7 .
  • 미야지마 히로시, 《朝鮮과 中國 近世 五百年을 가다 (일國事를 넘어선 東아시아 읽기)》, 역사비평사, 김현영 옮김, 2003年 , ISBN   89-7696-707-0 .
  • 둥豫쥔, 《平天下 (乾隆 原電)》, 시아출판사, 송하진 옮김, 2004年 , ISBN   89-8144-148-0 .
  • 김희영, 《이야기 中國史 3》, 청아출판사, 2006年 , ISBN   89-368-0347-6 .
  • 정진홍, 《人文의 숲에서 經營을 만나다》, 21世紀북스, 2007年 ISBN   978-89-509-1276-5 .
  • 시앙쓰, 男警師範大學 中韓文化硏究센터, 《乾隆皇帝의 人生 經營》, 세종서적, 2007年 , ISBN   978-89-8407-235-0 .

外部 링크 [ 編輯 ]

  • 위키미디어 公用에 乾隆帝 關聯 미디어 分類가 있습니다.
前任
雍正帝
第5代 淸나라 의 皇帝
1735年 ~ 1796年
後任
가경제
前任
雍正帝
中國 의 國家 元首
1735年 ~ 1796年
後任
가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