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르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豫衝親王
睿忠親王
예친왕 (睿親王)
在位 1636年 ~ 1650年
攝政王
在位 1643年 ~ 1650年
이름
廟號 成宗(成宗, 追奪)
시호 무덕수원광업정공안민입정성경의황제
(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 追奪)
豫衝親王(睿忠親王, 復權)
身上情報
出生日 1612年 11月 17日
死亡日 1650年 12月 31日
父親 천명제
母親 孝烈무皇后
配偶者 卿孝忠功醫皇后

아이新敎로 도르곤 ( 滿洲語 : ????? ?????
??????
, 愛新覺羅多爾袞, 1612年 11月 17日 ( 陰曆 10月 25日 ) ~ 1650年 12月 31日 ( 陰曆 12月 9日 ))은 靑 帝國 初期의 名將, 政治家이다. 作爲는 예친왕 (和碩睿親王, Ho?oi Mergen Cin Wang)이며, 시호 는 衝(忠), 正式 諡號는 豫衝親王 (睿忠親王)이다. 後金 의 初代 韓人 누르하치 의 14남이며, 세 番째 情實 孝烈무皇后 아바하이의 所生이다.

靑年 時節부터 異服兄 홍타이지를 따라 여러 戰爭에서 戰功을 세웠으며, 그 功으로 親王에 冊封되었고, 八旗軍 中 정백기와 量白旗를 管掌하였다. 1643年 (崇德 8年) 홍타이지가 急死하자, 조카이자 홍타이지의 長子 肅親王 好惡거 (Hooge, 豪格)와 皇位를 놓고 競爭을 벌였으나, 結局 홍타이지의 9남이던 어린 조카 順治帝 를 代身 玉座에 올리고 自身은 攝政王이 되어 죽을 때까지 事實上의 皇帝로써 實權을 行使하였다. [1]

以後 明나라 가 滅亡하고 入棺(入關)하여 중원을 차지하였고, 靑 帝國의 中院 支配를 鞏固히 하기 위해 努力하였으나, 한便으로는 自身의 權力 强化를 위해 또다른 攝政王이었던 正親王 지르갈랑 (Jirgalang, 濟爾哈朗)의 實權을 빼앗고, 競爭者인 好惡거 亦是 除去하여 獄死케 하였으며, 黃部(皇父), 卽 皇帝의 아버지라 自稱하는 等 順治帝의 攝政이란 名分으로 無所不爲의 權力을 휘두르다가 1650年 (脣齒 7年)에 죽었다.

事後 皇帝로 追崇되어 廟號는 成宗 (成宗)이고 諡號는 무덕수원광업정공안민입정성경의황제 (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라 올려졌으나, 곧 親庭을 開始한 順治帝에 依해 廟號와 諡號를 包含한 모든 名譽를 秋脫黨하고 剖棺斬屍 되었다. 그러나 死後 100年이 넘은 1778年 (乾隆 43年)에 다시 復權되어 親王의 作爲와 諡號를 追贈받았다.

生涯 [ 編輯 ]

初期 生涯 [ 編輯 ]

1612年 11月 17日 當時 東北 地域 一帶에서 勢力을 떨치던 建州女眞의 酋長 누르하치의 14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이름 도르곤은 滿洲語 오소리 를 뜻한다. [2] 도르곤의 어머니는 누르하치의 세 番째 情實, 卽 大福眞 (大福晉)으로 봉해져있던 울라나라氏 였다. 그女는 이미 어린 나이에 누르하치에게 시집온 以後 줄곧 누르하치의 큰 寵愛를 받았고 그女의 子息인 도르곤 兄弟 亦是 덩달아 아버지의 사랑을 받았다. [3] 도르곤이 5살 때인 1616年 1月, 누르하치는 스스로 이라 稱하며, 1618年 나라 이름을 金(金)이라 定하니 이것이 바로 淸나라의 前身인 後金 이다. [4] 1626年 (천명 11年) 누르하치는 永遠性 攻擊 途中 明나라의 將帥 원숭환 홍이포 를 맞고 重傷을 입고 얼마 뒤에 世上을 떠났다. [5] 이에 누르하치의 아들들과 조카들은 次期 칸(韓)으로 누르하치의 8男이자 도르곤보다 스무 살이 많던 異服兄 홍타이지 를 擁立하였다. 홍타이지를 비롯한 牌勒 (貝勒)들은 大福眞 울라나라氏에게 殉葬 을 하여 누르하치의 뒤를 따를 것을 强要하였고 結局 울라나라氏는 殉葬되었다. 도르곤과 그의 兄 阿只거 , 어린 동생 도도 는 한 瞬間에 아버지에 이어 어머니를 잃었으나 홍타이지는 도르곤 兄弟를 모두 패륵에 봉하여 그들을 달랬고 調整에 出仕케 하였다. [6]

차하르 몽골, 明나라와의 戰鬪 [ 編輯 ]

1628年 (千摠 2年), 홍타이지는 軍士를 몰아 몽골의 차하르 를 攻擊하였는데 이 때, 17歲의 도르곤度 從軍하였다. 도르곤은 先鋒에 서서 차하르의 軍士를 大破하였고 1200餘名의 차하르人을 生捕하는 專攻을 세웠다. 以後 1635年 (千摠 9年) 2月에는 直接 軍士를 몰고 몽골을 攻略하여 몽골의 마지막 칸 에制이 칸 의 降伏을 받아내었고 元나라 의 玉璽를 獲得하였다. [7] [8] 이를 契機로 홍타이지는 도르곤을 크게 致賀하고 이듬해인 1636年 (千摠 10年), 國號를 금에서 (淸)으로 바꾸고 스스로 皇帝에 올랐다. 도르곤은 그間의 專攻으로 化石親王 (和碩親王)에 冊封, 예친왕(睿親王)이라 불리게 되었다.

같은 해에는 朝鮮 을 侵略하여 丙子胡亂 을 일으켰으며 平安道 黃海道 , 咸鏡道 地域을 掠奪하였다. 이어서 朝鮮의 王子인 봉림大君 인평대군 , 그리고 世子嬪 姜氏 가 避身해 있던 江華島를 攻掠하였으나 홍타이지가 嚴命을 내려 朝鮮의 王族들을 殺戮하지 말라하니 그 名을 쫓아 砲擊을 하는 代身 城을 겹겹이 包圍하였다. 結局 江華를 지키던 봉림大君은 籠城을 풀고 도르곤을 城 안으로 迎接하였고 도르곤은 大軍들과 世子嬪 姜氏를 사로잡아 南漢山城 에 숨어있던 朝鮮의 國王 人組 를 壓迫하였다. [9] 이듬해인 1637年 (崇德 2年, 朝鮮 仁祖 14年) 1月 30日 , 仁祖는 南漢山城에서 나와 三田渡에서 홍타이지에게 三軌勾股豆를 올렸다. [10] 戰爭이 끝나자 靑軍은 朝鮮人 捕虜와 人蔘, 금 等의 貢物과 貢女 數百餘 名을 사로잡아 首都인 묵던 으로 歸還하였다.

1638年 (崇德 3年) 8月, 홍타이지는 도르곤을 奉命大將軍으로 삼고 軍隊를 몰아 明나라 를 치게 하였다. 이 때, 홍타이지의 長子이자 도르곤보다 세 살이 많은 조카 버일러 好惡거 도 도르곤을 따라 從軍하였다. 以後 河北省 山西省 의 여러 都市를 攻略, 이듬해인 1639年 (崇德 4年) 3月에야 묵던으로 回軍하였다. 도르곤은 明나라 의 性 36곳을 陷落시키고 6곳의 投降을 받아냈으며 12萬餘 名의 捕虜를 生捕하는 等 戰果를 올렸다. 以後 그는 淸나라 軍이 베이징 을 占領하는 作戰에 投入되었다. 1641年 (崇德 6年)에는 홍타이지의 命을 받고 正親王 지르갈랑 과 함께 10餘萬의 軍士를 이끌고 山海關을 攻略하였다. 戰線 뒤에서는 皇帝인 홍타이지度 親히 參戰하여 應援軍을 이끌고 있었다. 名君에서는 當時 北方의 行政과 兵力을 管掌하던 計料總督 홍승주 (洪承疇)가 송山城에서 指揮하였으나 性이 무너진 後 生捕, 投降하였고, 今週性을 지키던 조대수(祖大壽) 亦是도 生捕하였다. [7] 이로써 明나라는 山海關 以北의 땅을 모두 잃었고 淸나라는 搖動을 차지하였다.

叔姪間의 皇位 爭奪 [ 編輯 ]

瀋陽古宮 大停電(大政殿)의 玉座. 예전에는 毒空轉(篤恭殿)으로 불리었으며 順治帝는 이곳에서 卽位하였다.

1643年 (崇德 8年) 9月 21日 , 홍타이지는 아무런 有照度 남기지 않은 채 52歲의 나이로 急死하였다. 홍타이지는 生前에 아무런 後繼者도 定하지 않았기 때문에 朝廷은 큰 波瀾에 휩싸이게 되었다. 홍타이지 事後 5日 後에 當時 皇族 中 가장 序列이 높았던 누르하치의 次男이자 도르곤의 異服兄 예친왕(禮親王) 多이샨 聖經 皇宮 의 崇政殿(崇政殿)에서 醫定王大臣會議 를 召集하여 다음 皇位에 對해 論議하였다. [11] 이 中 도르곤과 도르곤의 조카이자 홍타이지의 長男인 肅親王 好惡거 가 角逐을 벌였다. 도르곤의 親兄 無影君王 阿只거와 冬服 아우인 예친왕(豫親王) 도도를 비롯한 黨與들은 그의 序列이 好惡거보다 위이고 專攻 또한 好惡거보다 높은데다가 元來 누르하치가 도르곤을 限에 앉히려 하였으나 그 자리를 홍타이지를 비롯한 4代 버일러 [週 1] 가 가로채갔다고 主張하였다. [3]

好惡거는 홍타이지가 아들로서 누르하치의 뒤를 이은 것을 前例로 하여 다음 黃位도 父子承繼로 이어져야 한다고 맞섰다. 當時 도르곤은 八旗軍 中 정백기를 거느리고 있었고 그의 동생 도도는 羊白旗를 管掌하며 정백기와 量百基의 支持를 確保하였다. 好惡거는 自身이 長官하던 正嵐氣는 勿論 홍타이지의 隸下 部隊였던 情況기와 洋黃期의 支持를 얻으며 팽팽히 맞서고 있었다. [3] 이 사이에 醫定王大臣會議의 議長인 多이샨이 정홍기를, 正親王 지르갈랑이 洋藍氣를 거느리며 두 勢力을 牽制하고 있었다.

그러나 途中 다이샨의 아들인 牌勒 時오토와 다이샨의 孫子인 領軍王 阿다리가 몰래 도르곤을 皇位에 앉히려 圖謀하였다가 發覺되었다. 이에 議政王大臣會議에서 도르곤을 疑心하기 始作하자, 도르곤은 이 事件이 自身과 無關하다고 抗辯하고 둘을 바로 斬刑에 處한 後 自身이 皇位에 아무런 欲心이 없다는 뜻을 내비쳤다. [12] 그리하여 그는 好惡巨加 主張하는 父子承繼의 例를 따르되 홍타이지의 아홉 番째 아들인 푸린 을 代身 皇位에 올리고 自身과 中道派인 지르갈랑이 左, 右 攝政王으로서 國事를 돌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折衷冊을 내놓았다. [3] 好惡거와 多이샨은 이에 同意하였고 그리하여 홍타이지가 崩御한지 17日 뒤인 10月 8日 , 6살에 不過한 푸린이 聖經의 毒空轉(篤恭殿)에서 卽位를 하니 이가 順治帝이다.

明나라의 滅亡과 靑軍의 入棺 [ 編輯 ]

山海關

예친왕 도르곤과 正親王 지르갈랑은 攝政王이 되자 親王, 君王, 牌勒 等의 宗親들이 不足 業務를 管掌하는 것을 정지시키는 措置를 取하여 順治帝 初期의 淸나라 調整은 各部 패륵들이 中心이 된 合意正體에서 攝政王 2人에 依한 統治 體制로 變化되었으며 結果的으로 議政王大臣會議의 權限이 크게 縮小되었다. [13] 비록 도르곤은 좌섭정왕으로서 兵權을 責任지고, 지르갈랑은 우섭정왕으로 調整의 國事를 책임지고 있었으나 淸나라의 모든 權限은 順治帝 卽位 直後 이미 도르곤의 손아귀에 있었다. 이를 눈치챈 지르갈랑은 朝廷의 議決權까지 그에게 넘겨줌으로써, 도르곤은 單純히 어린 皇帝를 輔弼하는 攝政王이 아닌 事實상의 皇帝로서 나라를 다스리기 始作하였다. [14] 順治帝가 卽位한 이듬해인 1644年 (脣齒 元年) 4月, 肅親王 好惡거의 手下 下落回(何洛會)가 도르곤에게 密告하였는데 好惡巨加 도르곤을 죽이고 自身이 攝政王에 오를 것이라고 謀陷하였다. 이미 皇位 繼承을 놓고 好惡거와 極甚한 軋轢을 빚었던 도르곤은 이 말을 믿고 卽時 好惡거를 逮捕, 肅親王의 爵位를 剝奪하고 監獄에 가두었으며 그 黨與들을 모두 處刑하였다. [15] 이 事件으로 도르곤은 自身의 部下들을 好惡巨加 거느리던 情況기와 洋黃期의 要職에 임명하며 淸나라의 最精銳 部隊인 上三機(上三旗) [週 2] 의 指揮權을 손에 넣었다. 以後 好惡거는 白衣從軍으로 軍功을 세워 같은 해 10月에 肅親王으로 복작되어 1646年 (脣齒 3年)에 泗川 地域을 平定하는 戰果를 올리지만 같은 해 3月 6日에 다시 罪를 받아 爵位를 박탈당한 채 유금을 當하였으며, 1648年 (脣齒 4年)에 年金에서 풀리지 못한채 死亡하였다. [16] 好惡거 事後에 도르곤은 好惡거의 아내를 自身의 媵妾으로 取하기도 하였다. 도르곤은 이렇게 自身에게 對抗하던 이들을 除去하고 無所不爲의 權力을 휘두를 발板을 마련하였다.

같은 해, 중원을 차지하고 있던 明나라는 이미 틈王(闖王)을 自處한 이자성 의 農民軍에 依해 勢力을 急激히 잃어갔고 이자성軍은 首都인 北京에 다다르고 있었다. 1644年 (脣齒 元年, 名 숭정 17年) 4月 21日 이자성의 軍隊는 북경성에 攻擊을 加하였고 그 다음날, 明나라의 마지막 皇帝 崇禎帝 는 紫禁城 뒤의 後援人 매산에서 목을 매 自盡하였다. [17] 이로써 明나라는 1368年 朱元璋 에 依해 建國된 以後 277年만에 그 終末을 告하였다. 淸나라의 滿洲族 大臣들은 只今이 중원을 차지할 好機라 主張하였으나 明나라의 降將(降將) 出身으로 淸나라 朝廷에 出仕하고 있던 홍승주나 범문정 等은 李子晟이 먼저 北京을 陷落하게 내버려두고 때를 기다렸다가 明나라 皇帝의 怨讐를 갚는다는 名分으로 李自成을 攻擊하자고 提案하였다. 하지만 明나라로 들어갈 가장 重要한 關門인 山海關 (山海關)에는 總兵官 吳三桂 가 버티고 있었다. 도르곤은 吳三桂를 여러 次例에 걸쳐 說得하였으나 別 所得이 없었다. 그러나 北京을 陷落한 이자성의 軍士가 吳三桂의 아버지와 愛妾을 끌고갔다 하자 吳三桂는 憤怒하였고 結局 靑軍과 손을 잡아 山海關의 빗장을 열었다. 이로써 靑軍은 아무런 戰鬪도 벌이지 않고 손쉽게 山海關을 通過하여 중원 땅을 처음으로 밟게 되었다. [18]

도르곤은 이 때 總司令官으로서 淸軍을 指揮하여 吳三桂와 聯合軍을 結成하였고 結局 山海關 近處의 일偏析(一片石)에서 利子聖君과 對峙하였다. [18] 靑軍과 吳三桂軍은 이자성의 軍隊를 크게 擊破하였고 李子晟은 몰래 北京으로 돌아와 紫禁城에 불을 지르고 逃亡쳤다. 이렇게 도르곤은 1644年(脣齒 元年) 6月 5日 , 북경성을 占領하고 皇宮人 紫禁城을 掌握하였다. 곧이어 自進한 崇禎帝의 葬禮를 厚하게 치르고 그 遺骸를 明十三陵 에다 葬事지내는 等 滅亡한 明나라의 皇室을 尊重함과 同時에 北京의 百姓들을 慰撫하였다. [19] 그는 이어서 北京으로의 遷都 作業을 서둘렀고 이자성에 依해 불탄 紫禁城을 復舊하였다. 같은 해 10月 19日 , 도르곤은 북경성 北門에서 皇帝인 順治帝와 皇族들을 맞이하고 열하루 뒤인 10月 30日 에 順治帝를 모시고 天壇 에서 祭를 올려 이제 北京이 淸나라의 首都가 되었으며 順治帝가 새로이 中國의 天子가 되었음을 對內外에 宣布하였다.

權力 强化와 大陸 統治 [ 編輯 ]

報道士(普度寺). 紫禁城 近處에 있으며 도르곤이 居住하던 예친왕부(睿親王府)를 改修하여 지은 절이다.

1644年 (脣齒 元年) 11月 8日 , 順治帝는 紫禁城 태화전에서 다시 한番 卽位式을 가졌다. 여기서 順治帝는 도르곤의 그間의 功績이 古代 中國의 住公 段 과 같다며 크게 致賀하였으며 도르곤의 稱號를 攝政王에서 叔父攝政王(叔父攝政王)으로 올렸다. [20] 또다른 攝政王이었던 지르갈랑은 步貞淑王(補政叔王)으로 除授하였는데, 이는 從前의 攝政王보다 더 낮은 作爲였다. 이듬해인 1645年 (脣齒 2年)에 도르곤은 自身에게 올리는 모든 狀啓에 黃熟부섭定王(皇叔父攝政王)이라 일컫게 하는 等 스스로의 權限을 强化하는 同時에 玉座에 한段階 더 다가설 수 있는 발板을 마련하였다. [21] 末年인 1649年 (脣齒 6年)에는 황부섭定王(皇父攝政王)이라 自稱, 줄여서 黃副王이라 하였다. 도르곤이 叔父와 黃部 等의 呼稱에 크게 神經을 쓴 理由는 여러 皇族들과 같이 親王이나 君王 等의 作爲로 불리는 것보다 皇帝의 叔父로 公認받아 불리는 것이 더 格調가 있었기 때문이다. [22] 1647年 (脣齒 4年)에 도르곤은 지르갈랑을 權座에서 끌어내리고 그의 作位인 正親王을 正君王(鄭郡王)으로 格下시켰으며, 空席이 된 步貞淑王에는 自身의 아우 도도를 앉히는 等 朝廷을 完全히 掌握하였다. 또한 어릴 때 殉葬된 自身의 어머니 大福眞 울라나라氏를 孝烈무皇后로 追崇하여 自身의 正統性을 높였다. [23]

北京에 들어온지 이틀 後, 도르곤은 勅令을 내려 官吏들에게 앞머리를 깎고 辮髮 을 하면 朝廷의 出仕를 許容케 한다고 指示하였다. [24] 그러나 도르곤은 3週 만에 이 政策을 取消하였는데 北京 周邊 到處에서 斷髮을 拒否하는 百姓들의 民亂이 연이어 일어났기 때문이다. 한便 도르곤은 北京 以北의 땅을 八旗軍에게 하사하여 北京의 防衛를 책임지도록 하였고 그에 對한 報答으로 北京 以北의 田畓 또한 從前의 韓人에게서 沒收하여 그들에게 나누어주었다. [25] 이리하여 한족들은 새로이 支柱가 된 滿洲族들에게 一定量의 穀物을 바치며 小作農으로 살아가야했다. [26]

비록 淸나라가 明나라의 首都 北京을 차지하였으나, 南쪽에는 如前히 明나라에 충성하는 臣下들과 宗親들이 健在하였다. 崇禎帝가 自殺한 直後, 崇禎帝의 四寸인 복왕 駐油松 南京 에서 皇帝로 卽位하고 年號를 紅光(弘光)으로 定하였다. 아직 淸나라가 차지한 領土는 중원의 華北 地方에 그쳤기 때문에 도르곤은 親王들과 여러 將帥들을 南쪽의 戰線으로 派遣하여 明나라의 殘黨을 討伐하게 하였다. 도르곤은 特히 自身의 親同生인 도도를 總司令官으로 내려보내어 南京을 壓迫하였고 結局 南京은 陷落되고 도도는 靑軍에게 抗拒했던 百姓들을 殺戮하는 洋酒 大虐殺 을 敢行하였다. 이로 因해 도르곤은 한족들에게 恐怖를 심어주었고 1645年 (脣齒 2年) 7月 21日 , 모든 韓人에게 辮髮을 틀 것을 命하고 이를 拒否하면 極刑에 處할 것이라는 勅令을 내렸다. [27] 韓人들은 孝經의 句節인 “身體髮膚, 수지부모, 俯瞰毁傷, 孝指示野” [週 3] 를 들어 辮髮을 극렬히 反對하였다. [28] 斷髮令은 韓人들의 敵愾心을 더욱 키우는 結果를 가져왔고, 北京의 調整은 明나라에서 降伏해 온 將帥들을 앞장세워 抗拒하는 百姓들을 慘殺하였다. 一部 韓人 知識層은 山 속 깊숙이 隱居하며 淸나라의 中院 統治를 끝까지 否定하였다. [29]

死亡과 그 以後 [ 編輯 ]

도르곤은 以前의 松山成果 今週性 戰鬪에서 負傷을 입은 後, 極度의 疲勞感을 느끼며 자주 咯血과 中風 을 앓았다. 1648年 (脣齒 4年), 도르곤의 威勢를 두려워한 臣僚들이 도르곤의 健康을 핑계로 들어 順治帝에게 도르곤의 臣下의 例를 省略할 것을 奏請하였고 順治帝는 이를 許諾하였다. [30] 그럼에도 不拘하고 도르곤의 病勢는 漸漸 惡化되어갔는데, 國事에 專念하며 事實上의 皇帝로서 淸나라를 統治하느라 疲勞가 가시지 않았고 이로 인해 健康을 回復할 時間이 없었다. [31]

1650年 (脣齒 7年) 12月 8日 , 도르곤은 카라好툰 (中國名 裂罅(熱河))으로 親王 , 君王 , 牌勒, 敗者 等을 이끌고 사냥을 나갔다. 그러나 사냥을 나간 사이 갑자기 病勢가 危重해져 北京을 떠나고 23日 뒤인 12月 31日 에 카라好툰 城에서 39歲의 나이로 急死하였다. [32] 位特(魏特)의 《 湯若望 前》(湯若望傳)에는 사냥 中 넘어져 負傷을 입고 死亡한 것으로 記錄되어 있으며, 痰喘(淡遷)의 《北柳綠》(北游錄), 〈氣門〉(紀聞)에는 무릎關節이 벗겨지는 負傷을 입었는데 藥을 잘못 服用하여 死亡한 것으로 적혀있다. [33] 順治帝는 도르곤의 죽음을 哀悼하며 그의 葬禮를 國相으로 하며 皇帝의 格에 따라 치르도록 하라고 指示하였다. [34]

도르곤이 죽고 난 後 도르곤을 追從하던 臣僚들은 順治帝에게 上疏를 올려 황부섭定王 도르곤을 皇帝에 追崇하여야 한다고 主張하였다. 비록 도르곤이 죽었으나 名目上으론 如前히 實權이 없던 順治帝였기에 그 主張에 따랐고 結局 順治帝는 도르곤이 死亡한지 며칠 後 도르곤에게 成宗(成宗)의 廟號와 무덕수원광업정공안민입정성경의황제(懋德修遠廣業定功安民立政誠敬義皇帝)의 諡號를 올려 皇帝에 追崇하였으며 그의 葬禮를 國相으로 치루었다. 그러나 도르곤의 國喪을 치르고 한달 半 後, 도르곤의 手下에 있던 정백기와 量百基의 將軍들이 도르곤의 兄인 英親王 阿只거를 새로이 攝政王으로 모시고 自身들은 朝廷의 要職을 차지하려 圖謀했다가 發覺되는 事件이 있었다. 이러한 事件은 도르곤에 依해 失脚되었던 正君王 지르갈랑에게 好機가 되었으며 곧 도르곤에게 不滿을 품고 있던 代身들과 八旗軍의 將帥들을 糾合하기 始作하였다. 阿只거는 이에 自進하였고 逆謀에 關聯되어 있던 정백기와 量百基의 將帥는 모두 處刑되었다. 1651年 (脣齒 8年) 2月 1日 , 지르下欄은 親王의 爵位를 回復함과 同時에 順治帝에게 大權을 奉還하였고, 14살의 順治帝는 그날로 親庭을 開始하였다. [34]

얼마 後, 지르下欄은 順治帝에게 도르곤이 攝政王으로서 專橫을 휘두르고, 황제만 입을 수 있는 黃布를 隨時로 입었으며, 또한 順治帝의 異服兄인 好惡거를 謀陷하여 獄死하게 하고 自身은 그 妾을 取하였다는 等을 쓴 長文의 上疏를 올렸다. [35] 順治帝는 이에 激怒하여 도르곤의 廟號와 諡號를 모두 追奪하고 皇室 大同譜에서 그의 이름을 除名하였으며, 太廟에 奉安된 그의 新株를 내쳤다. 또한 그의 陵을 파헤치고 棺을 꺼내어 그 屍體를 荒野에다 버리고 몽둥이로 屍體를 數十 次例 때리는 刑罰을 내렸으며 그 遺骸의 머리를 잘라서 各誌마다 그 머리를 돌려 梟首하게 하는 等 도르곤에 對한 順治帝의 敵愾心은 매우 컸다. [36]

追贈 [ 編輯 ]

도르곤은 以後 順治帝의 아들인 康熙帝 年間에 가서야 身元되었으나, 如前히 皇族으로서의 身分을 完全히 回復하지 못하였다. 以後 1778年 (乾隆 43年), 乾隆帝 는 비록 小人들의 奸計에 빠져 專橫에 휘둘렀으나 開國에 큰 功이 있으므로 個國 當時 活躍했던 多이샨이나 동생 도도 等과 같이 太廟 에 配享됨과 同時에 도르곤에게 예친王의 爵位를 다시 내리고 諡號로 衝(忠)을 붙여 豫衝親王(睿忠親王)으로 追贈하였다. [37] 도르곤은 生前 아들을 두지 못하여 同腹아우人 도도의 셋째 아들 도르步 를 養子로 들였고 歲月이 흘러 乾隆帝가 도르곤을 追贈할 때 도르補宜 5世孫인 巡營(淳潁)으로 하여금 예친王으로 봉하여 그 後嗣를 잇게 하였다.

評價 [ 編輯 ]

도르곤은 主로 攝政王 當時의 行跡에 對해 많은 批判이 따르고 있다. 예수회 宣敎師인 마르티盧 마티니 (中國名 威光國(衛匡國))는 自身의 著書 《타타르 電氣》에서 위아래 모두 도르곤의 威勢를 두려워하며 그를 敢히 直接 마주하여 말을 꺼내지 못하였고, 그가 外出하였다 돌아올 時에는 百官이 整列하여 그를 謁見하였다며 도르곤의 威勢를 좋게 보지 않았다. [38] 朝鮮王朝實錄 》 〈孝宗實錄〉에서는 正親王 지르갈랑이 順治帝에게 아뢰기를 도르곤이 叔父로서 盟誓를 어기고 權力을 恣行하고 스스로 皇帝의 아버지를 自處하는 等 度를 넘은 專橫을 휘둘렀다고 批判하였다. 또한 肅親王 好惡거를 謀陷하여 죽이고 그 夫人을 차지하는 等 悖倫을 저질렀으며 좋아하는 사람에겐 限없이 높은 官職을 주었으나 싫어하는 者는 내치거나 턱없이 낮은 官職을 주는 等 朋黨을 形成했다고도 하였다. [39]

中國의 歷史學者 샤오이산(蕭一山)은 淸나라에 依한 中國 統一에 도르곤의 攝政이 重要한 要素 中의 하나로 作用하였다고 評價하였다. [40] 中國의 歷史學者 옌總니엔度 비록 도르곤이 名-靑 交替期에 重要한 役割을 하였고 開國에 큰 功이 있던 것은 事實이나, 權力慾이 强하여 黃副라는 極尊稱까지 自稱하는 等 죽을 때까지 조카이자 皇帝인 順治帝를 有名無實하게 만들었다고 評價하였다. [36] 美國의 歷史學者 프레드릭 모트 亦是 도르곤이 비록 훌륭한 政治가요 勇猛한 將軍이었으나 攝政王에 오른 뒤 傲慢放恣해졌으며 그 傲慢함이 皇族들과 大臣들의 不安感을 惹起하여 結局 도르곤 死後 그의 모든 名譽를 追奪하는데 큰 一助를 하였다고 指摘하였다. [41]

家族 關係 [ 編輯 ]

도르곤은 整備인 原費를 비롯하여 10名의 婦人과 妾을 두었으나, 後嗣를 보지 못하여 조카인 도르步를 養子로 들였다. [42]

婦人과 媵妾 [ 編輯 ]

  • 警效忠公正宮苑비 보르地기트氏(敬孝忠恭正宮元妃 博爾濟吉特氏, 1611年 ~ 1649年 ) - 諡號는 卿孝忠功醫皇后(敬孝忠恭義皇后). 順治帝 의 生母인 驍將門皇后 의 四寸언니.
  • 戒福眞 퉁기야氏(繼福晉 ?佳氏) - 相서 몽阿道(蒙阿圖)의 딸
  • 戒福眞 보르地기트氏 - 이름 札이망(紮爾莽). 찰로特部 태길 筋斗이(紮魯特部 台吉 根杜爾)의 딸.
  • 戒福眞 보르地기트氏 - 커얼親 태길 납포희서(拉布希西)의 딸
  • 戒福眞 보르地기트氏 - 커얼親 태길 色낙포(索諾布)의 딸, 肅親王 好惡거의 정복진.
  • 계실 大福眞 李氏 (大福晉 李氏, 1635年 ~ 1662年 ) - 朝鮮 出身, 宗室 金림軍 이개윤(錦林君 李愷胤)의 딸, 의순공주 (義順公主).
  • 側匐進 窮氣트氏(側福晉 公齊特氏): 차하르 태길 砲煙도(布延圖)의 딸
  • 側匐進 보르地기트氏: 태길 두蛇蝎이탁농(杜思?爾卓農)의 딸
  • 側匐進 紀異모트氏(側福晉 濟爾莫特氏) : 方道무(幇圖武)의 딸
  • 側匐進 李氏(側福晉 李氏) - 朝鮮 女人, 二世서(李世緖)의 딸.
  • 오이高豫(吳爾庫霓) : 커얼親親王 五極選(吳克善)의 奴婢, 도르곤 事後 殉葬.

子女 [ 編輯 ]

  • 예친왕 도르步(睿親王 多爾博, 1643年 ~ 1673年 ) - 동생 예친왕 도도 의 5男. 도르곤의 後嗣를 위해 出系함.
  • 東亞格格 (東莪格格) - 側匐進 李氏 蘇生.

註解 [ 編輯 ]

  1. 누르하치가 後金 建國 直後 任命한 네 名의 八旗軍 冀州(旗主)를 일컫는 말로, 정홍기를 隸下로 둔 누르하치의 次男 多이샨 , 洋藍氣를 管掌한 누르하치의 조카로 슈르하치의 次男 아민 , 正嵐氣를 손에 쥔 누르하치의 5男 亡骨타이 , 그리고 洋黃期의 冀州 홍타이지이다.
  2. 八旗軍 中 정황기, 洋黃機, 그리고 정백기를 일컫는다.
  3. 身體髮膚,受之父母,不敢毁傷,孝之始也. 몸과 머리, 皮膚는 父母로부터 물려받았으니 이를 다치지 않게 하는 것이 모든 孝의 始作이다.

各州 [ 編輯 ]

  1. Makeham, John (2008). 《China: The World's Oldest Living Civilization Revealed》. Lane Cove, NSW: Global Book Publishing. 314쪽. ISBN   978-174048069-7 .  
  2. Elliott, Mark (2001). 《The Manchu Way: The Eight Banners and Ethnic Identity in Late Imperial China》 . Stanford University Press. 242쪽. ISBN   9780804746847 .  
  3. 옌총니엔(閻崇年). “?治帝福?(1) - 正??朝十二帝” (中國語). 中??局 . 2013年 12月 16日에 確認함 .  
  4. 김희영 (2006年). 《이야기 中國史 3》. 청아출판사. 202쪽. ISBN   9788936803476 .  
  5. 김희영 2006年, 212-213쪽.
  6. 淸史稿 》 卷2, 太宗門皇帝本紀 第1.
  7. 덩샤오盞(??箴) (2008年 12月). 《多??之?》 (中國語). 北京: 中?社?科?出版社. 69-72쪽. ISBN   978-7-5004-7271-1 .  
  8. Frederic E. Wakeman (1985).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 860. ISBN 978-0-520-04804-1 .
  9. 朝鮮王朝實錄. “人組 34卷, 15年(1637 丁丑 / 名 숭정(崇禎) 10年) 1月 22日(壬戌) 8番째 記事 -强度가 陷落되는 前後 事情” . 2013年 12月 27日에 確認함 .  
  10. 朝鮮王朝實錄. “人組 34卷, 15年(1637 丁丑 / 名 숭정(崇禎) 10年) 1月 30日(경오) 2番째 記事 - 三田渡에서 三拜九叩頭禮를 行하다. 서울 昌慶宮으로 나아가다” . 2013年 12月 27日에 確認함 .  
  11. 조재덕 (1997). “馴致時期 中央權力의 性格 - 팔기왕공의 權力鬪爭을 中心으로”. 《東洋學硏究》 3 : 171.  
  12. 淸史稿 》 熱前提3卷, 帝王2.
  13. 조재덕 1997年, 174쪽.
  14. Wakeman, Frederick (1985). 《The Great Enterprise: The Manchu Reconstruction of Imperial Order in Seventeenth-Century China》 . Berkele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99쪽. ISBN   0-520-04804-0 .  
  15. 《淸史稿》 卷 246, 列傳 第33.
  16. 조재덕 1997年, 178쪽.
  17. Mote, Frederick W. (1999). 《Imperial China, 900?1800》 .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809쪽. ISBN   0-674-44515-5 .  
  18. 김희영 2006年, 250-251쪽.
  19. Makeham 2008, 304쪽.
  20. Wakeman 1985, 858쪽.
  21. Wakeman 1985, 861쪽.
  22. Wakeman 1985, 860-861쪽.
  23. 朝鮮王朝實錄. “孝宗 5卷, 1年(1650 京仁 / 靑 脣齒(順治) 7年) 10月 4日(甲申) 1番째 記事 - 西郊에서 淸의 使臣을 맞이하고 인정전에서 接見하고 勅書를 받다” . 2013年 12月 25日에 確認함 .  
  24. Mote 1999, 827-828쪽.
  25. Naquin, Susan (2000). 《Peking: Temples and City Life, 1400?1900》.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9-290쪽. ISBN   0-520-21991-0 .  
  26. Naquin 2000, 291쪽.
  27. Dennerline, Jerry (2002). 〈The Shun-chih Reign〉. Peterson, Willard J.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9, Part 1: The Ch'ing Dynasty to 1800》 .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7쪽. ISBN   0-521-24334-3 .  
  28. Wakeman 1985, 648-650쪽.
  29. Wakeman 1985, 674쪽.
  30. 위안위안이(鴛淵一). 《?朝順治初世的派閥抗爭》 (中國語). 6-7쪽.  
  31. 《多爾袞攝政日記》第10쪽.
  32. 《歲助長皇帝實錄》, 脣齒 7年 12月 初9日 무自嘲
  33. 조재덕 1997年, 189쪽.
  34. 《淸史稿》 卷4. 歲助長皇帝本基.
  35. 朝鮮王朝實錄. “孝宗 6卷, 2年(1651 辛卯 / 靑 脣齒(順治) 8年) 2月 18日(乙丑) 3番째 記事 - 이시방과 정유성이 攝政王의 王位 簒奪 陰謀와 意恂 公主의 去就를 알리다” . 2013年 12月 27日에 確認함 .  
  36. 옌총니엔(閻崇年). “?治帝福?(3) - 正??朝十二帝” (中國語). 中??局 . 2013年 12月 20日에 確認함 .  
  37. 《淸史稿》 卷14, 고종순皇帝本基5.
  38. 마르티盧 마티니(Martino Martini). 《〈??漂流記〉,〈?史?究集〉第一輯》. 378쪽.  
  39. 朝鮮王朝實錄. “孝宗 6卷, 2年(1651 辛卯 / 靑 脣齒(順治) 8年) 3月 17日(甲午) 3番째記事 - 廳舍를 인정전에서 接見하고 攝政王의 母斑 內容이 있는 勅書를 받다” . 2013年 12月 25日에 確認함 .  
  40. 샤오이산(蕭一山) (1985). 《淸代通史 1》 (中國語). 中華書局. 406쪽.  
  41. Mote 1999, 821-822쪽.
  42. 《淸史稿》權142, 皇子世表2.

參考 資料 [ 編輯 ]

  • 淸史稿 》(淸史稿) 卷218 - 〈豫衝親王列傳〉(睿忠親王列傳)
  • 《淸史稿》 卷2, 卷3 - 〈太宗門皇帝本紀〉(太宗文皇帝本紀)
  • 《淸史稿》 卷4, 卷5 - 〈歲助長皇帝本基〉(世祖章皇帝本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