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平壤 女子’ 문연희의 서울冷麵 vs 평양랭면|新東亞

‘平壤 女子’ 문연희의 서울冷麵 vs 평양랭면

“平壤 고려호텔, 서울 우래옥 最高” “옥류관? 觀光客 相對라 퀄리티 낮아”

  • reporterImage

    송홍근 記者

    carrot@donga.com

    入力 2019-06-28 14: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北韓 女學生의 로망’ 장철구商業大學 나온 財源

    • 고려호텔서 일한 어머니 冷麵 서울서 再現

    • 平壤서 서울로 移住해 ‘비즈니스’ 뛰어들어

    • 평양랭면, 서울冷麵은 ‘다른’ 冷麵

    [김도균 객원기자]

    [金度均 客員記者]

    문연희 氏는 平壤 女子다. 1991年生. 장철구平壤商業大學을 卒業했다. 

    - 北韓에도 相對가 있어요? 

    “그럼요. 經營學部 나왔어요.” 

    平壤 坪千區域에 터 잡은 장철구相對는 서비스業 專門人을 養成한다. 商業, 料理, 被服, 觀光을 가르친다. 北韓 女學生이 羨望하는 大學이다. 平壤의 호텔이나 옥류관을 비롯한 國營 飮食店에서 일하는 女性 大部分이 이 學校 出身이다. 

    “女學生에게 로망과도 같은 大學이에요. 김일성대보다 더 들어가기 어렵습니다. 商業 部門에서 第一가는 大學이거든요. 入學했더니 女子 先輩들 平均 키가 168㎝더라고요. 다들 예쁘고요. 옥류관, 청류관 같은 奉仕 部門으로 進出합니다. 호텔, 百貨店도 우리 學校 出身을 選別해 가고요.” 

    - 서비스業을 工夫하는 곳이군요



    “서비스 業種과 關聯한 모든 것, 옷 만드는 것 가르치는 學部度 있어요.” 

    그는 2008年 大學에 入學해 2014年 卒業했다. 3學年 때는 大集團體操를 基盤으로 한 藝術公演 ‘아리랑’에도 參與했다. 

    “아리랑 公演에서 미니스커트 軍服 차림으로 춤추는 파트가 있어요. 2010年 公演 映像에 제 얼굴이 살짝 나와요. 맨 앞줄 센터에서 춤췄거든요. 아침 7時부터 밤 11時까지 練習했습니다.” 

    社會 建設 動員으로 2年間 大學을 쉬고 勞動을 했다. 

    “義務的으로 해야 해요. 昌廛거리 아파트를 지었습니다. 20層, 30層까지 올라가 일했어요.” 

    2015年 北韓에서 韓國으로 移住했다. 양강도 惠山에서 鴨綠江을 건넜다. 어머니와 男동생도 뒤따라 서울로 터전을 옮겼다. 1人當 1萬5000달러(1775萬 원)의 費用이 들었다. 

    - 어떻게 韓國에 왔어요. 

    “뭐랄까. 自由가 고팠다고나 할까요. 寫眞이나 映像을 통해 다른 나라가 어떻게 사는지 알았거든요.”

    “平壤 사람은 옥류관 冷麵 안 먹어”

    [김도균 객원기자]

    [金度均 客員記者]

    그는 最近 서울 서초구에 平壤冷麵집을 냈다. 가게 이름은 ‘설눈’. 

    “설날에 내리는 눈이라는 뜻이에요. 화이트 크리스마스 같은 느낌? 北韓에서는 눈 흩날리는 설날을 宏壯히 기다려요. 새해 첫눈이잖아요.” 

    - 事業하러 韓國에 온 거네요. 

    “그러네요. 하하”. 

    - 創業費用이 만만치 않았을 텐데요. 

    “親戚이 外國에 사세요. 제가 만든 提案書가 通過됐죠. 親戚한테 投資받았습니다.” 

    文氏의 어머니가 卓子에서 饅頭를 빚는다. 밀가루 반죽을 밀대로 밀어 피를 만든다. 피가 크고 두껍다. 큰 그릇에 담은 소를 숟가락으로 퍼 피 위에 동그랗게 올린다. 饅頭 빚는 모습에서 功力이 느껴진다. 平壤 고려호텔에서 ‘冷麵’을 내던 솜씨다. 北韓에서는 冷麵을 冷麵이라고 한다. 

    “고려호텔 1層과 地下 1層에 食堂이 하나씩 있어요. 地下 1層 食堂 社長이 親戚이었어요. 어머니는 그곳에서 일하다 다른 곳에서 開業했고요. 脫北 直前까지 運營한 食堂이 牡丹峯區域에서 宏壯히 有名한 곳이에요. 平壤에는 서울처럼 冷麵만 파는 가게는 없어요. 料理와 밥을 팔면서 冷麵도 내는 거죠.” 

    고려호텔에서 冷麵을 만들던 黃海道 出身 어머니와 平壤의 相對에서 經營學을 工夫한 딸이 韓國으로 移住해 서울 江南 한복판에서 冷麵 비즈니스를 始作한 것이다. 

    - 옥류관 冷麵이 平壤에서 正말로 最高예요? 

    “고려호텔 冷麵이 더 맛있죠. 玉流館은 하루에 1萬 그릇을 供給해요. 販賣가 아니라 供給이라고 봐야 해요. 庶民들의 觀光 코스이기도 하고요. 地方에서 平壤을 구경하러 온 사람들에게 國家가 配給해주는 方式입니다. 冷麵이 여섯 種類인데 배불리 먹으라고 1人當 두 그릇씩 줘요.” 

    - 團體觀光客이 가는 食堂? 

    “맞아요. 서울로 치면 南山타워나 롯데월드 같은 곳이에요. 그래서 퀄리티가 떨어져요. 工場, 企業所에도 票를 나눠줍니다. 50名이 일하는 企業所이면 1人當 두 그릇씩 100그릇을 먹고 가는 거죠. 平壤 사람들은 옥류관 가서 冷麵 안 먹습니다. 달러 받는 食堂에 가요. 平壤호텔, 天地館 같은 곳이 맛있죠.” 

    - 平壤에서 冷麵 값은 얼마나 해요. 

    “4달러.” 

    - 비싼 飮食인가요. 

    “아뇨. 高級 飮食은 아니고 밥 한 그릇 값이죠. 국밥이 4~5달러 해요. 料理는 8~10달러, 高級 料理는 30~40달러도 하죠. 北韓 食堂은 메뉴板이 宏壯히 두꺼워요. 돼지국밥 소고기국밥 肉개醬 같은 株式類가 있고요. 麵類에는 平壤冷麵, 서울에서 咸興冷麵이라고 하는 冷麵, 고기錚盤국수, 김치말이국수, 농마국수(綠末국수의 北韓 表現), 綠茶國手, 綠豆국수가 있어요. 料理는 온料理, 냉요리로 나뉩니다. 사시미, 肉膾 같은 게 냉요리죠.” 

    - 國營食堂과 自營業 飮食店 比率은 어때요. 

    “90%가 個人이 하는 거예요.”

    創業 準備하며 2年間 ‘冷麵 투어’… 100군데 넘는 가게 探訪

    그는 ‘설눈’ 創業을 準備하면서 2年間 ‘冷麵 투어’를 했다. 이름난 가게를 찾아다니며 冷麵을 먹었다. 

    “釜山 元山面玉부터 濟州島에 있는 冷麵집까지 안 간 곳이 없어요. 平壤冷麵만 찾아다녔죠. 100군데 넘게 가봤어요. 서울의 有名한 冷麵집은 가게마다 네댓 番씩 들렀고요. 평양면옥부터 始作해 議政府파도 다 돌았어요.” 

    - 議政府파란 表現도 아네요. 

    “工夫했죠.” 

    議政府파는 홍영남·김경필 氏 夫婦가 1969年 京畿 漣川郡에서 開業해 1987年 議政府市로 옮긴 평양면옥이 뿌리다. 1980年 長女, 次女가 各各 필동면옥, 을지면옥을 開店하면서 系列이 分離됐다. 

    “議政府派 가게는 돼지고기가 맛있어요. 쫀득쫀득한 食感으로 차갑게 내는 게 印象的이었습니다.” 

    필동면옥에서 ‘제肉’, 을지면옥에서 ‘片肉’이라고 일컫는 삶은 돼지고기를 가리키는 것이다. 

    - 冷麵은 어디가 좋았어요. 

    “우래옥!” 

    - 왜요? 

    “面이 괜찮아요. 平壤에서 먹은 面과 맛, 食感이 비슷해요.” 

    우래옥은 1946年 西北館이라는 商號로 開業했다가 6·25戰爭 直後 우래옥으로 이름을 바꿨다. 

    - 肉水는 어디가 좋았어요. 

    “다 비슷해요. 平壤보다 밍밍하고 심심해요. 到底히 뭔 맛인지 알 수 없는 곳도 있고요.” 

    - 乙密臺는 어땠어요. 

    “별점 5個 基準으로 1個. 제 입에는 第一 下位였어요”

    “가위로 잘라 먹는 건 아닌 것 같아요”

    [김도균 객원기자]

    [金度均 客員記者]

    그가 덧붙여 말했다. 

    “冷麵 맛을 評價할 位置에 있지 않아요. 冷麵 마니아로서 제 입맛에 따라 말한 것입니다. 分斷이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北에서는 北의 方式대로, 남에서는 남의 方式으로 料理法이 進化한 겁니다. 사람 입맛이라는 게 地域뿐 아니라 時代別로도 다릅니다. 南北에서 제가끔 發展하면서 다른 冷麵이 된 거예요. 예컨대 韓國 平壤冷麵은 北韓 平壤冷麵과 比較해 고명이 매우 적어요. 서울에서는 面을 낼 때 밀가루를 많이 쓰고요. 平壤冷麵과 서울冷麵 中 어느 게 더 맛있느냐고 묻는 건 意味가 없습니다. 사람마다 選好하는 冷麵이 다르니 比較할 수 없는 거죠. 

    板門店에서 열린 南北 頂上會談 때 나온 옥류관 冷麵에 金正恩 委員長이 붉은色 양념醬을 넣어 먹는 것을 보고 韓國의 平壤冷麵 愛好家들이 화들짝 놀랐잖아요. 平壤에서는 양념醬이 나와요. 빨간色 肉水도 平壤冷麵입니다. 食醋와 겨자만 넣는 사람, 양념醬만 넣는 사람이 있습니다. 입맛대로 먹는 거예요. 半쯤 먹은 後 양념醬을 넣어 다른 맛을 즐기기도 하고요.” 

    - 北韓에는 ‘冷麵 먹는 法’이 있다고 들었는데 잘못 알려진 거네요. 

    “아뇨. 있긴 해요. 김정일 委員長이 옥류관을 現地指導하면서 冷麵을 먹을 때 食醋는 面 위에 뿌리고, 겨자는 肉水에 풀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게 룰처럼 普及됐어요. 食醋를 面 위에 뿌리면 食感이 탱글탱글해진다고 하는데 冷麵 마니아로서 말하면 이렇게 하나, 저렇게 하나 똑같아요.” 

    - 가위로 面을 잘라 먹는 것은 어떻게 봐요. 

    “그건 아닌 것 같아요. 쇠가 닿으면 맛이 나빠진다는 얘기는 아니고요. 平壤에서는 설날이나 生日, 結婚式 때 麵을 꼭 먹어요. 面처럼 길게 오래 살라는 意味거든요. 이 같은 俗說 탓인지 面을 잘라 먹는 風習이 없어요. 가위를 왜 대는지 모르겠습니다. 平壤 出身으로서 理解하기 힘든 部分이에요.” 

    文氏의 어머니 손맛이 담긴 冷麵이 나왔다. 面 色이 짙은 게 特徵이다. 고명이 10가지가 넘는다. 달걀지단,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무生菜, 무짠지, 소금에 절인 오이가 層層이 쌓여 있다. 고춧가루를 肉水에 갠 後 파, 마늘을 다져 넣은 양념醬도 食卓에 올랐다. 

    “메밀은 今方 消化돼요. 그래서 고명을 넉넉하게 올려야 해요. 달걀지단 채 썬 模樣이 예쁘지 않나요? 다른 곳은 사서 쓰는데 어머니가 直接 부친 거예요. 손님에 對한 禮儀가 아니라면서 直接 만드세요.” 

    肉水는 서울의 이름난 平壤冷麵 가게들 肉水보다 津하게 느껴진다. 面은 食感이 미끄덩거려 ‘冷麵人’ 사이에서 好不好가 갈릴 듯하다.

    고명을 層層이 쌓는 까닭

    “韓國의 冷麵은 메밀을 적게 씁니다. 面에서 검은빛이 돌아야 하는데 아이보리色 느낌이 剛해요. 메밀은 끈氣가 없어 面을 내면 툭툭 끊어져요. 반죽할 때 밀가루를 섞는 건 그래서죠. 北韓에서는 메밀을 껍질째 製粉하고 밀가루를 쓰지 않습니다. 製粉所를 찾아 껍질까지 갈아달라고 했더니 機械가 망가져 안 된다더군요. 1年을 搜所聞해 江原道 平昌에서 껍질째 製粉하는 곳을 찾았습니다. 껍질째 製粉한 메밀과 감자澱粉을 섞어 面을 내는 게 北韓 方式이에요. 우리 가게도 메밀과 감자澱粉만 使用합니다. 面이 미끄덩거린다는 분도 있고, 탱글탱글 쫀득쫀득해서 좋다는 분도 있습니다.” 

    - 장사는 잘됩니까.

    “點心에는 豫約 손님을 못 받고 있어요. 午前 11時 半부터 줄을 섭니다. 午後 5時 半부터 다시 붐비고요.” 

    ‘설눈 CEO 문연희’ 名銜을 가리키며 물었다. 

    - 將來 希望은요. 

    “프랜차이즈로 키울 생각은 없습니다. 그렇게 하면 퀄리티가 떨어질 수밖에 없거든요. 直營店으로 2號, 3號, 4號를 내가는 게 目標예요.”



    송홍근 편집장

    송홍근 編輯長

    Alex's husband. tennis player. 午後햇살을 사랑함. 冊 세 卷을 냄. ‘北韓이 버린 天才 音樂家 精麤’ ‘統一先進國의 戰略을 묻다’ ‘DOG’

    車輪型裝甲車에 스마트 遠隔武裝 단다

    “終戰宣言이 美軍撤收로 이어지는 걸 文이 모를 理 없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