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巨人 : 東海岸, 全南 康津·黑山島, 濟州 等|新東亞

곽재식의 怪物餘地도

巨人 : 東海岸, 全南 康津·黑山島, 濟州 等

“외눈박이 巨人과 結婚한 朝鮮 女人이 脫出 도와” 〈18世紀 氣門〉

  • 곽재식 小說家

    gerecter@gmail.com

    入力 2019-07-13 10:00:01

  • 글字크기 설정 닫기
    • 우리나라와 그 周邊을 背景으로 하는 巨人 이야기는 생각보다 꽤 많다. 背景은 主로 드넓은 바다다. 우리 先祖들은 大洋을 航海하다 風浪을 만나고, 때로는 式인 巨人 等 各種 怪物의 威脅을 當하기도 하지만, 끝내 살아 돌아와 冒險談을 남겼다. 過去 資料를 보면 古代 中國人은 新羅人을 바다를 돌아다니는 冒險家의 象徵처럼 여기기도 했다.
    [일러스트레이션·이강훈/ 워크룸프레스 제공]

    [일러스트레이션·이강훈/ 워크룸프레스 提供]

    옛 記錄에 실린 韓國 巨人 이야기 中 가장 오래된 것이 뭘까. 나는 高句麗에 對한 中國 記錄 한 토막을 떠올리게 된다. 韓國에서도 친숙한 中國 歷史冊 ‘三國志’에 있는 이야기다. 

    曹操(曹操)의 孫子 代에 活躍한 魏나라 毌丘儉(丘儉)과 그의 軍士가 高句麗를 侵攻했다. 高句麗 東川王(東川王)은 毌丘儉의 軍士를 막고자 싸웠으나 結局 敗해 逃亡쳤다. 毌丘儉은 高句麗 여러 性을 무너뜨리고 마침내 高句麗에 服屬한 沃沮(沃沮) 地方까지 到達했다. 只今의 咸鏡道와 東海岸 隣近으로 推定된다. 이 時期 위나라 軍士가 남긴 遺物이 現代에 發見되기도 했으니, 나는 여기까지는 事實일 거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三國志’ 이 대목에 神奇한 이야기가 한 자락 덧붙어 있다. 毌丘儉 一行이 沃沮 사람에게 저 바다 끝에는 무엇이 있는지 물었다는 內容이다. 그들은 東쪽으로 行軍한 끝에 바다에까지 이르자 아마 땅끝에 到着했다고 여긴 듯하다. 그래서 그 너머를 물은 것이다. 沃沮 사람은 “바다 저便에 女子들만 사는 나라가 있다고 들었다” 等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 이런 말도 곁들인다.

    바다 건너 巨人

    “바다에서 옷을 하나 건졌는데, 그 옷의 소매 길이가 세 길이나 됐다.” 

    當時 單位 ‘길’李 正確히 어느 程度 길이인지는 分明치 않다. ‘길’은 사람 키 程度의 길이를 뜻하기도 하고, 때로는 2.4m 또는 3m를 意味한다. 어쨌든 ‘세 길’은 相當히 길다고 할 수 있다. 소매가 그 程度면 옷은 全體的으로 매우 컸을 것이다. 바다 건너에 그렇게 큰 옷을 입을 만큼 몸집이 아주 큰 巨人들이 있었던 게 아닐까. 



    ‘三國志’와 비슷한 時期 刊行된 中國冊 ‘博物誌’에도 高句麗 東쪽 바다에서 發見된 큰 옷 이야기가 실려 있다. ‘博物誌’는 世上 곳곳의 奇異한 事物에 對한 짧은 記錄을 모아놓은 冊이다. 여기에는 巨人 이야기가 적잖이 실려 있다. 

    中國 記錄을 살펴보면 以後에도 韓半島와 關聯된 巨人 이야기가 몇 個 더 보인다. 唐나라 時期 前後 만들어진 資料에는 “新羅 사람들은 神奇하고 異常한 바다 건너 다른 世上을 알고 있다”는 套의 말이 제법 나온다. 

    唐나라 사람이 보기에 新羅 사람은 바다 건너에서 나타난 낯설고 特異한 風習을 가진 存在였을 것이다. 마침 이 時期 中國 文學의 想像力이 豐富했다. 그 結果 “新羅 사람을 따라갔다가 바다 저便에서 異常한 怪物을 봤다”는 內容의 이야기가 많이 만들어지기도 했다. 

    例를 들어 ‘令票錄이’에는 이런 內容이 실려 있다. 어떤 中國人이 新羅 사람을 따라 배를 타고 아주 먼 나라들을 다녔다. 그러다 어떤 異常한 나라에 到着하자 新羅 사람이 그곳을 ‘救國(狗國)’, 곧 個의 나라라고 紹介했다. 이 이야기의 話者는 新羅人과 함께 巨人들이 사는 ‘大人國(大人國)’, 小人들이 사는 ‘小人國(小人國)’에도 가봤다고 記錄했다. 

    이런 이야기 中 널리 퍼진 것은 ‘氣門’에 실린 ‘장인국(長人國)’에 對한 傳說이다. ‘장인국’은 이름 그대로 ‘키 큰 사람’이 사는 나라다. ‘氣門’에 따르면 丈人은 新羅 東쪽의 먼 나라에 산다. 키가 普通 사람의 네다섯 倍 程度 되고 온몸이 검은 털로 뒤덮여 있으며, 이빨은 톱니처럼 생겼다. 손톱도 갈고리처럼 생긴 사나운 怪物이다. 이들은 옷을 입지 않고 불에 익힌 飮食을 먹지 않으며 사람과 動物을 잡아먹는다고 한다. ‘氣門’에서 新羅人들은 이 匠人들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튼튼한 關門, 卽 鐵棺(鐵關)을 建設했다. 거기에 화살을 發射하는 機械도 設置했다고 돼 있다. 

    新羅 東쪽 장인국 얘기는 中國 歷史冊 ‘新唐書’에 실려 高麗, 朝鮮 學者들에게 逆으로 紹介되기도 했다. 그러다 보니 ‘三國史記’ 같은 高麗 歷史冊에 그 內容이 담겨 있기도 하다. 單 三國史記 著者는 “新羅에 對한 이런 이야기는 헛所聞일 뿐”이라는 態度를 取했다. 

    그래도 巨人 이야기는 韓半島에서 널리 퍼져나갔던 듯하다. 朝鮮時代에 이르면 國內 文獻에서 비슷한 巨人을 直接 봤다거나 直接 본 사람들에게서 이야기를 傳해 들었다는 式의 記錄이 本格的으로 나타나기 始作한다. 

    比較的 時期가 앞서는 것은 朝鮮 中期 實學者 李睟光에 얽힌 이야기다. 그의 冊 ‘芝峯類說’에는 巨人을 聯想케 하는 口傳이 담겨 있다. 李睟光이 어느 사람에게 들은 이야기다. 이 사람은 偶然히 외딴섬에 갔다가 좋은 家口로 裝飾된 커다랗고 훌륭한 집을 봤다. 그 앞에는 巨大한 크기의 신발이 놓여 있었다. 그 신발을 보고 문득 두려운 생각이 들어 도망쳤다는 얘기다. 

    비슷한 時期 出刊된 冊 ‘於于野談’에는 李睟光이 只今의 江原道 安邊에서 살 때 그 고장 사람에게 들었다는 冒險談이 記錄돼 있다. 主人公은 7日 동안 바다를 漂流하다 巨人을 目擊했다. 그는 自身이 본 巨人의 키가 사람의 數十 倍를 가뿐히 넘을 程度로 컸다고 傳한다. 또 허리 윗部分을 물 밖에 내놓은 이 巨人이 손으로 배를 뒤집으려고 攻擊해 와 도끼를 들고 맞섰다고 밝혔다. 그가 同僚들과 함께 도끼로 巨人의 팔을 잘라낸 뒤 겨우겨우 도망쳐 精神을 차리고 보니 只今의 全南 康津 地域에 있었다고 한다. 

    ‘於于野談’의 主人公은 巨人 신발만 보고 달아난 게 아니라 直接 巨人을 만나 싸우기까지 한 것이다. 巨人의 屬性도 좋은 집과 아름다운 家具를 장만해두고 사는 存在가 아니다. 물속에 우뚝 서서 맨손으로 배를 攻擊하는 怪物이다.

    ‘式인 巨人’으로 가득한 恐怖의 섬

    우리나라와 그 周邊을 背景으로 하는 巨人 이야기는 以外에도 꽤 많다. 朝鮮 仁祖 때 發刊된 冊 ‘용주遺稿’에 실린 ‘通川海척票風說’이라는 글에는 色다른 巨人이 登場한다. 江原道 通川의 어느 뱃사람이 暴風에 휘말려 漂流하다 巨人이 사는 異常한 곳에 다녀왔다는 內容이다. 이 이야기에 登場하는 男女 巨人은 매우 사납다. 두려움에 떨며 외양間에 숨어 있던 뱃사람은 巨人이 말과 소를 放牧할 때 그 무리에 섞여 脫出에 成功한다. 이런 이야기는 古代 그리스 古典 ‘오디세이아’에 나오는 외눈박이 巨人 키클롭스(Κu′κλωψ) 이야기와 닮아 보인다. 

    아닌 게 아니라 바다 건너便에서 외눈박이 巨人을 보았다는 이야기도 傳해진다. 18世紀 作家 유만주가 남긴 ‘通院高’라는 冊에 실린 ‘氣門’이라는 題目의 글이다. 이番엔 全南 黑山島에서 배를 타고 가다가 漂流한 사람의 目擊談이다. 이 사람은 눈이 하나밖에 없는 凶暴한 巨人이 사는 바다 먼 곳의 땅을 ‘大人國(大人國)’이라고 불렀다. 大人國 사람들은 다른 데서 온 사람을 불에 구워 먹으며 火爐를 쇠꼬챙이로 뒤적거리면서 사람을 料理한다고 傳했다. 이들은 사람을 잡으면 窟 같은 데 가둬두고 살이 찐 사람부터 次例로 구워 먹는다고 한다. 

    눈에 띄는 것은 大人國 외눈박이 巨人의 아내가 過去 朝鮮에서 偶然히 그 나라에 가게 된 사람이라는 句節이다. 이 朝鮮 女性은 大人國에 붙잡힌 채 외눈박이 巨人과의 사이에 子息을 12名 낳았다고 한다. 이 女性이 主人公 一行도 朝鮮 사람인 것을 보고 불쌍히 여겨 도망치는 方法을 알려준다. 도망치는 手法이란 게 재미있다. 달아나면서 物件을 이리저리 어지럽히라는 것. 그러면 巨人이 그것을 整理하느라 재빨리 따라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朝鮮 女性은 主人公에게 “서두르지 않으면 외눈박이 巨人이 다른 同僚들에게 連絡할 것”이라고 귀띔한다. 卽 섬에 巨人이 한 名만 사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외눈박이 巨人으로 가득한 섬이라니, 읽는 이를 더욱 오싹하게 만드는 設定이다. 


    아르놀트 뵈클린의 ‘오디세우스와 폴리페무스’(1896, 왼쪽)와 존 플랙스먼의 ‘폴리페무스에게 와인을 따라주는 오디세우스’(1805). [보스톤미술관 소장]

    아르놀트 뵈클린의 ‘오디세우스와 폴리페무스’(1896, 왼쪽)와 존 플랙스먼의 ‘폴리페무스에게 와인을 따라주는 오디세우스’(1805). [보스톤美術館 所長]

    19世紀 出刊된 이야기冊 ‘靑邱野談’에는 더욱 劇的인 巨人 이야기도 실려 있다. 濟州에서 배를 타고 出發한 어떤 사람은 結局 航路에서 벗어나 바다를 헤매다 눈과 머리카락이 붉은 巨人을 마주친다. 이 巨人도 食人 怪物이다. 主人公은 巨人의 눈을 찔러 攻擊한 뒤 그가 키우는 羊과 돼지를 풀어준다. 巨人이 混亂에 빠진 틈을 타서 家畜 무리에 섞여 도망친다. 이 줄거리는 ‘오디세이아’의 키클롭스 이야기와 거의 同一하다. 新羅 때부터 傳해 내려온 우리 巨人 이야기가 저 멀리 유럽의 巨人 이야기와 鮮明히 맞닿는 것이다. 

    濟州島에는 헨드릭 하멜 等 네덜란드 船員이 風浪에 떠밀려와 한동안 살았다. 그들과 말이 통하게 된 地域 사람들이 ‘재밌는 이야기’를 請하고, 古代 그리스 키클롭스 이야기를 들은 뒤 元來부터 傳해오던 우리 바다怪物 이야기와 섞은 것이 아닐까 하는 想像도 해본다. 

    新羅人은 바다 누비는 冒險家

    [테이트미술관 소장]

    [테이트美術館 所長]

    그러고 보면 世界 各地에는 古代 그리스 神話, 北유럽 神話, 中世 유럽 아서왕 傳說 等 여러 形態로 巨人 이야기가 傳해온다. ‘오디세이아’를 닮은 朝鮮 後期 巨人 이야기도 비슷한 틀에서 理解해볼 수 있을 것 같다. 

    最近 우리나라의 판타지 冒險談은 저승이나 鬼神 이야기에 過하게 치우친 面이 있다. ‘朝鮮時代 鎖國政策’에 對한 固定觀念 때문인지 다른 素材가 充分히 活用되지 못하는 듯해 아쉽다. 過去 資料를 보면 古代 中國人은 新羅人을 바다를 누비는 冒險家의 象徵처럼 여겼다. 장인국의 巨人 怪物이 慶州 等 新羅 市街地에 나타나 亂動을 부리고 그것을 막아내고자 畫廊과 新羅 將帥들이 애쓰는 式의 이야기를 만들어보면 어떨까. 韓國 傳統에서 決코 멀지 않은 흥미로운 이야기가 誕生할 수 있을 것이다.


    곽재식 | 1982年 釜山 出生. 大學에서 兩者工學, 大學院에서 化學과 技術政策을 工夫했다. 2006年 短篇小說 ‘토끼의 아리아’로 作家 生活을 始作했으며 小說集 ‘當身과 꼭 結婚하고 싶습니다’, 敎養書 ‘로봇 共和國에서 살아남는 法’ ‘韓國 怪物 百科’ 等을 펴냈다.



    댓글 0
    닫기

    매거진東亞

    • youtube
    • youtube
    • youtube

    에디터 推薦記事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