順川 松廣寺 국사전

順川 松廣寺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
(Guksajeon Shrine of Songgwangsa Temple, Suncheon)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國寶
種目 國寶 第56號
( 1962年 12月 20日 指定)
數量 1棟
時代 朝鮮時代
所有 松廣寺
位置
순천 송광사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순천 송광사
順川 松廣寺
順川 松廣寺(大韓民國)
住所 全羅南道   順天市   송광면 松廣寺안길 100,
松廣寺
座標 北緯 35° 0′ 6.8″ 東京 127° 16′ 35.2″  /  北緯 35.001889° 東經 127.276444°  / 35.001889; 127.276444
情報 文化財廳 國家文化遺産포털 情報

順川 松廣寺 국사전 (順天 松廣寺 國師殿)은 全羅南道   順天市   송광면 松廣寺 에 있는 朝鮮時代 의 佛殿이다. 1962年 12月 20日 大韓民國 國寶 第56號로 指定되었다.

正面 4칸, 側面 3칸, 單層 맞배지붕으로 柱心包집이다. 朝鮮 初期(1400年代) 柱心包 建物로 內部 全體에 걸쳐 우물天障이 架設되었으며 柱頭(柱頭)에 壁面으로 뻗는 행공檐遮 形態의 집이다. 建物의 丹靑은 建立 當時의 것으로 推定되며 天障의 蓮花紋, 大들보의 용문 等은 보기 힘든 當時의 丹靑文樣이며, 現在 16局社陣營 을 奉安하고 있다.

槪要 [ 編輯 ]

曹溪山에 있는 松廣寺는 우리나라 3大 寺刹 中 하나로 매우 由緖 깊은 절이다. ‘송광’이라는 절 이름은 曹溪山의 옛 이름인 송광산에서 따 왔다고 하는데, 절을 언제 세웠는지 正確한 資料는 없고 新羅 末期에 替徵이 세웠다는 記錄이 있다.

松廣寺 국사전은 나라를 빛낸 큰 스님 16分의 影幀을 모시고 그 德을 기리기 위해 세운 建物로, 옛날에는 參禪을 하던 곳이었다. 高麗 恭愍王 18年(1369)에 처음 지었고, 그 뒤 두 次例에 걸쳐 補修하였다.

앞面 4칸·옆面 3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面에서 볼 때 사람 人(人)字 模樣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裝飾하여 짜은 構造가 기둥 위에만 있는 柱心包 樣式이다. 建物 안의 天障은 우물 鄭(井)字 模樣의 天障으로 꾸미고 蓮꽃무늬로 裝飾하였는데, 天障의 蓮꽃무늬와 大들보의 龍무늬는 建物을 지을 當時의 모습을 그대로 保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建築 構造上 朝鮮 初期 樣式을 지니고 있는 이 建物은 順川 松廣寺 하사당 (寶物 第263號)과 같은 時代에 지은 것으로 斟酌되며, 素朴하고 雅淡한 形態와 그 技法에서도 柱心包 中期 形式의 標準이라고 할 만한 重要한 建築物이다.

文化財 實測保存調査(拔萃) [ 編輯 ]

1. 沿革(沿革) [ 編輯 ]

? 新羅(新羅) 말(末) 혜린局社(慧隣國師) 創建(創建)(吉祥寺라 稱하다)

? 書記 1197年(高麗(高麗) 明宗(明宗) 27年 情事(丁巳)) 普照國師(普照國師)가 弟子 수우(守愚)에게 命하여 大規模 擴張함.

? 수선사(修禪寺)로 改名(改名)하여 부르다가 書記 1208年(稀種(熙宗) 4年 無盡(戊辰)) 王命(王名)에 依하여 松廣寺라 명명함.

? 書記 1212年(康宗(康宗) 元年(元年) 妊娠(壬申)) 진각國師(眞覺國師) 收租地이증구(受朝旨而增構) (昇平속紙)

? 書記 1400年(朝鮮(朝鮮) 正宗(定宗) 2年 競進(庚辰))고봉화上(高峰和尙)李 34個 建物을 重建함(重建三四宇) (昇平속紙)

? 書記 1420年(世宗(世宗) 2年 경자(庚子)) 中人船社(中印禪師) 고봉화上의 뜻을 이어 繼續 지음(承高峰之志而續建) (昇平속紙)

? 書記 1601年(宣祖(宣祖) 34年 新築(辛丑)) 응選火傷이 水閣, 賃耕當, 천자암, 補助癌을 重建함(應禪和尙重建水閣臨鏡堂天子庵普照庵) (昇平속紙)

? 書記 1609年(光海君(光海君) 元年 己酉(己酉)) 扶携船社가 門도 碧巖 等 400名에게 重水를 名銜(浮休禪師命門徒碧岩等四百餘名而重修) (昇平속紙)

? 書記 1660∼1720年(玄宗(顯宗)?肅宗(肅宗) 年間) 大雄殿(大雄殿)을 再建(再建)艦(松廣寺性空中窓록(松廣寺成功重?錄))

? 書記 1842年(憲宗(憲宗) 8年 壬人(壬寅)) 大火災로 班을 태우다 다음 해 癸卯(癸卯)年에 용운船社(龍雲禪師)가 重建(重建)하다.

? 書記 1899年(光武(光武) 3年 期해(己亥)) 가을에 總攝(摠攝) 수현大使(守玹大師)가 下士黨(下舍堂)을 中搜函(松廣寺地(松廣寺誌))

? 6.25動亂 때 大部分(大部分)李 火災(火災)로 消失(燒失)(국사전(國師殿)은 火災를 면함)

2. 建築樣式(建築樣式) [ 編輯 ]

『昇平속紙(昇平續誌)』에「松廣寺新羅末慧隣禪師始創 吉祥寺而居之僅一百間居僧不過三四十名也」로 되어 그 創建(創建)李 新羅末로 믿어진다. 創建 當時의 使命(寺名)을 吉祥紗(吉祥寺)라 하였으나 善饌普照國師悲鳴(宣撰普照國師碑銘)에「上自潛邸素重其道及卽位命改山名爲曹溪山修禪社」라 하여 途中에 수선사(修禪社)라 고쳐 불렀음을 알 수 있고 다시 『昇平속紙』에「熙宗四年戊辰歲 上聞而嘉之 御題曰曹溪山松廣寺」라 하여 王命(王名)에 依하여 松廣寺(松廣寺)라 명명하였다한다.

그 後 壬辰倭亂(壬辰倭亂)과 憲宗(憲宗) 8年(1842)에 병화(兵火) 및 火災를 입었고 6.25動亂 때 또다시 災害(災害)를 입어 많은 建物들이 消失되었고 現在 남아있는 建物로는 寓話角(羽化閣), 天王門(天王門), 침類루(枕流樓), 鐘閣(鍾樓), 賃耕當(臨鏡堂), 法性癌(法性庵), 영산전(靈山殿), 藥師殿(藥師殿) 等 사지(寺地) 入口(入口)에 있는 建物들과 東邦 古代(東方高臺) 위에 있는 下士黨(下舍堂), 삼일당(三曰堂), 응진전(應眞殿), 진영당(眞影堂) 그리고 국사전(國師殿)과 南方(南方)에 있는 華嚴前(華嚴殿) 一郭(一廓)뿐이다.

東邦(東方) 高地帶에 언덕中턱을 깎아 뒤에는 石築(石築)을 하여 自然石(自然石)을 上部(上部)만 평평히 主座(柱座)를 내어 週初(柱礎) 상면(上面)의 높이도 일매지지 않게 놓아 큰 엔타시스를 갖는 原州(圓柱)를 세워 正面(正面) 4칸, 側面(側面) 2칸, 3칸 內部(內部) 通칸(通間)인 柱心包(柱心包) 5輛(五梁) 맞배집으로 짜 올렸다.

이 建物의 草創(初創) 連帶(年代)는 記錄이 없어 알 길이 없으나 다음과 같은 特徵으로 미루어 朝鮮 初期 建物이라고 推定할 수 있다.

첫째, 礎石 上部는 主座를 加工한 痕跡은 있으나 그 굽이 纖細(纖細)하지 않고 낮으며 地盤(地盤) 위 露出 部分 옆面은 거의 自然石(自然石) 그대로이다.

둘째, 기둥의 엔타시스가 큰 便이다.

셋째, 包作(包作)에 있어 다음과 같은 特徵이 있다.

① 柱心包系(柱心包系)의 헛檐遮가 있는 抛(包)를 따르고 있으나 松廣寺 하사당(松廣寺 下舍堂)에서와 같이 柱頭(柱頭)밑의 살미(山彌)는 이미 헛檐遮를 벗어나 無爲寺 極樂殿(無爲寺 極樂殿)의 第1段 살미와 비슷하고 주두 위에 살미는 道岬寺 解脫門(道岬寺 解脫門)의 살미와 비슷하나 이들의 包作(包作)과는 또다른 봉정사 華嚴講堂(鳳停寺 華嚴講堂)과 같은 匿空系(翼工系)로 기우는 抛構造를 나타내고 있다.

② 행공檐遮(行工?遮)는 柱心包系(柱心包系)의 雙(雙)S型(形)李 조각(彫刻)되어 있으나 枓栱檐遮(頭工?遮)는 하사당과는 달리 多包系(多包係)의 敎頭型(翹頭形)으로 變해 있고 또 하사당은 枓栱 위 접시받침 模樣의 小路(小累)를 두어 保와 주두 위 第1單살미와 間隔을 둔 것에 비하여 여기서는 이것이 없이 直接하였다.

③ 抛(包)의 조각(彫刻)(檐遮(?遮), 蜂聚型 보머리(鳳嘴形樑頭)等)은 하사당의 彫刻보다 날카롭기는하나 그 線(線)의 美(美)는 하사당에 비하여 頹落하기 始作한다.

넷째, 목家具(木架構)에 있어 5輛(五樑)의 1出目(一出目) 柱心包(柱心包) 맞배집人 點은 하사당과 같으나 하사당은 側面(側面) 2高柱(高柱) 中間 1高柱 및 退칸으로 짜여 있는데 비하여 이 建物은 側面 2高柱(單 北側은 1高柱 및 퇴칸형식임) 中間 通칸으로 짜였고 斷面(斷面)으로 보아 밑의 두 귀를 굴린 大量(大樑) 위에 童子柱(童子柱)와 宗보(宗樑)를 올리고 하사당의 雙鳳凰型(雙鳳凰形) 對共(臺工)보다는 좀 頹落한 形態의 소로 없이 대공을 놓아 宗도리(宗道里)와 長欐(長舌)를 받치고 있다. 丈餘의 單付(端部)에는 短長여(短長舌)에서와 같이 배를 굴려 曲線(曲線)을 이루었고 하사당에서 宗보 밑에 짜인 뜬창방과 뜬보는 여기서는 養蜂(樑奉)과 檐遮(?遮)로 바꾸었다.

다섯째, 內部 바닥은 普通 우물마루로 되어 있으나 반자는 多包界(多包係)에서 볼 수 있는 우물반자가 架設되어 우리 나라 柱心包系(柱心包系) 맞배집에서의 特異한 點을 나타내고 있다.

以上으로 본 建物의 特徵을 다른 建物과 比較하여 記述하였으나 內部半子, 부연(浮椽) 等 아직도 原形(原形)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많은 部分에 對하여 疑心을 풀기는 힘든 것이다.

寫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資料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