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國王 에서 넘어옴)

샤를마뉴 或은 샤를 大帝 (748?814)는 프랑크 王國의 王, 롬바르드 王國의 王, 그리고 첫 神聖 로마 皇帝였다. 그의 軍事的인 業績들과 征服들 때문에, 그는 "유럽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王, 英語 : King ) 또는 國王 (國王)은 君主 稱號의 一種이다. 賃金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君主의 呼稱 中에서도 가장 基本的이자 代表的이며 第一 많이 쓰이던 呼稱이기 때문에 種種 君主 自體와 同義語로 쓰이고 있다.

아시아 [ 編輯 ]

東아시아 [ 編輯 ]

中國 [ 編輯 ]

「왕(王)」이라는 말은 中國에서 만들어졌다. 商나라 (商)와 周나라 (周)의 君主는 王을 稱하고 있었다. 當時 王은 天子의 稱號였으며, 春秋時代 (春秋時代)에 周나라의 統治 能力이 衰弱해져 群雄割據의 時代가 되어도 封建制 아래, 各 君主는 紂王(周王)을 尊重하고 王을 自稱하는 일이 없었다. 楚나라 (楚), 吳나라 (吳), 越나라 (越)가 王을 自稱하는 것은 周나라를 無視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戰國時代 (戰國時代)에 들어서는 封建制가 崩壞하기 始作하여, 各國의 諸侯가 王을 自稱하여 王의 價値가 暴落했다. 그 때문에 戰國時代를 統一한 辰王 影幀 (秦王 ?政)은 스스로를 皇帝 (皇帝)라고 稱하게 되었다. 그 뒤에 일어난 한나라 도 皇帝를 君主 名稱으로 使用하고, 三國時代나 東進(東晉) 16國 時代, 5代 10國 時代 等 皇帝가 亂立하는 時代는 있었지만, 마지막 王朝인 淸나라까지 皇帝는 中國 君主의 名稱으로 繼續 쓰여졌다.

한(漢)나라와 三國時代의 境遇 王은 태需給 地方官으로 皇帝와 皇太子(皇太子) 以外의 皇族들을 태需給 地方官으로 삼았는데 一般 士族(士族)들이 地方官을 擔當하는 地域은 郡(郡)이라 하며 그 首長을 태수(太守)라 하지만 皇族이 地方官을 擔當하는 地域을 國(國)이라 하며 그 首長을 王(王)이라 했다. 다만 國의 王은 태수와는 달리 但只 얼굴마담日 뿐이였고 태수가 直接 다스리는 軍과는 달리 國은 王이 아닌 國喪(國相)李 實質的으로 다스리는 立憲君主制 地方이었다. 結果的으로 王은 皇室 宗親으로 태어난 것 하나만으로 얻어지는 職責이며 郡이나 국이 州(州)의 隸下에 놓이기 때문에 行政分類上 州의 首長인 自社(刺史)의 麾下에 놓이게 된다.

한便 王은 皇帝에 뒤잇는 地位로 여겨져, 皇帝의 一族이나 功臣에게 봉해 줄 수 있는 稱號가 되었다. 또, 皇帝의 支配가 미치지 않는 外國의 君主를 王으로 "冊封"하여, '世界를 支配하고 있다고 하는 觀念'을 만들려고 한 것이 바로 冊封 體制이다. 그 때문에, 中華 文化圈에서는 "왕"은 中國 皇帝로부터 받는 稱號이며, 中國 皇帝에 服從한다는 證明이 되었다. 또한 外國의 君主의 境遇는 國王(國王), 國內 皇族의 境遇는 親王 (親王) 또는 君王(郡王) 等에 봉하였으며, 國王은 君王 等 보다 地位가 높았다. 그 때문에 外國의 王이라 해도 別로 重要視하지 않는 나라의 境遇에는 君王 等으로 格下의 稱號를 주는 境遇도 있었다.

日本 [ 編輯 ]

日本에서는 初期에는 그 임금을 王(大君, 오키美)으로 불렸다가 그 後에는 中國의 冊封 體制를 無視하고, 君主에게는 皇帝 의 稱號인 天皇 (天皇)이라는 稱號를 使用해 왔다. 한便, 日本의 實質的인 支配者였던 程頥大將軍 (征夷大?軍)은 中國이나 朝鮮과의 外交에서 日本국 大君(日本國大君)의 稱號를 利用했다. 그리고 現行 皇室典範 에 따르면 日本의 은 天皇의 直系로서 3寸 以上 떨어진 먼 親戚에게 주어진다.

韓國 [ 編輯 ]

韓國에서는 古朝鮮 이 이웃 燕나라 逆王 (燕 易王)이 自身을 王으로 稱하자, 그에 對應해 君主의 稱號를 後(侯)에서 王으로 稱하였다. 그後, 朝鮮時代까지 王이라는 呼稱을 使用하다가 1897年 ( 光武 1) 高宗이 大韓帝國 皇帝를 稱하였고, 이에 따라 大韓帝國이 滅亡할 때까지 王의 地位는 皇族들이 使用하였다.

南아시아 [ 編輯 ]

南아시아에서는 라자 와 라자의 上級王에 該當하는 마하라자 가 王의 稱號로 使用되었다.

東南아시아 [ 編輯 ]

캄보디아 에서는 데바라자 라는 單語를 王의 稱號로 使用하였으며, 泰國 에서는 마하라자 의 泰國式 表現인 마하랏 이라는 稱號를 使用하고 있다.

유럽 [ 編輯 ]

王權의 象徵, 王冠

유럽 의 君主에는 皇帝 (Emperor), 國王(King), (duke)이라는 3個의 槪念이 있다. 元來는 各 地域마다 獨自的인 君主의 名稱이 있지만, 로마 帝國 以後의 유럽의 秩序에서는 皇帝나 敎皇 (Pope)으로부터 王으로서 承認을 받은 存在만이 王이며, 그러한 承認을 받지 않는 소君主는 總稱的으로 프린스로 불렸다.

皇帝가 共和制 로마의 職名을 起源으로 하고 있는 데 對해, 英語의 king과 같은 게르만系의 王의 名稱은 血統을 意味하는 kin로부터 派生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血統이 重視되었다. 皇帝는 實力이 있는 사람이 推戴되는 것이 基本이며, 이 때문에 로마 帝國 , 東로마 帝國 에서는 자주 實力者가 武力 鬪爭이나 쿠데타에 依해서 皇帝가 되었고, 神聖 로마 帝國 에서는 選擧 制度를 통해서 皇帝가 뽑혔다. 코르시카 섬 出身 軍人에 지나지 않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는 이 點 때문에 皇帝가 되었다.

게르만 系의 王은 元來는 戰爭時에 臨時로 選擇되는 것으로, 이것이 게르만· 슬라브 系의 選擧王制로 連結되어 있지만, 이 境遇에서도 王의 血統을 重要視하는 것이 選出의 條件이 되었다. 또 켈트 足械의 타니스트리第 (制)에서도 王의 血統을 가지는 사람이 選擇된다. 19世紀 中盤 以後 새롭게 獨立한 나라들이 君主制를 採用한 境遇, 많은 나라에서는 本來 王이 存在하지 않거나 이미 王家의 後孫이 없어진 境遇가 많았지만, 그 境遇에도 自國의 貴族으로부터 君主를 選擇하지 않고 外國 君主의 一族을 王으로 推戴한 일이 자주 있었다( 루마니아 , 그리스 , 불가리아 , 노르웨이 等). 그것은 王이란 王의 血統을 가진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 하는 槪念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에서는 거의 大部分의 境遇, 王朝 交替가 있어도 傍系나 母系의 血統을 가진 者에 依해 이루어졌다.

王位 繼承法에 依해 女性의 王位 繼承을 認定하는 境遇와 그렇지 않은 境遇가 있다. 프랑스 獨逸 , 이탈리아 等 살리카法 地域에서는 女性의 王位 繼承을 認定하지 않는 例가 많다. 近代에는 女性의 王位 繼承을 認定하는 나라가 增加하고 있다. 女性 君主를 女王(女王)이라고 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