太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太王 (太王)은 高句麗 에서 主로 쓰인 韓半島의 獨自的인 君主戶이다. 中國 北朝의 境遇 皇帝 라는 뜻인 天王 (天王)이라는 稱號를 썼는데 그 影響을 받은 것으로 推定된다.

高句麗 [ 編輯 ]

三國史記 》, 《 三國遺事 》 等 韓國 의 사서와 中國 의 司書에서는 아무래도 後代나 他國의 立場에서 쓰인 司書에서는 一般的인 禮에 맞춰서 王과 大王이 混用되어 記述되는 傾向이 있는 便이고 [1] 廣開土王陵碑 ( 414年 ), 壺杅塚 出土 廣開土王豪雨 ( 415年 ), [2] 모두루 墓誌銘(5世紀 初), 中原高句麗碑 (5世紀), 胎王陵 出土 甓돌名 [3] 과 靑銅방울(5世紀), 瑞鳳塚 出土 銀盒禹( 451年 ) [4] 等 主로 5~7世紀 高句麗人들이 남긴 考古學 資料에서 太王 稱號가 一般的으로 쓰인다.

모두루 墓誌銘은 國岡上大開土地好太聖王(국江上大槪土地호태聖王)이라 하여 聖王(聖王)이란 用語도 나타난다. 또한 모두루 墓誌銘에서 다른 글字도 發見됐는데 國?上聖太王(국江上性太王)이라고 쓰여 있고 이것은 미천왕 또는 故國原王을 가르키는 것으로 보인다. [5] 中原高句麗碑는 磨耗가 甚하여 저마다 判讀이 다른데 主로 國麗太王(考慮太王)으로 判讀한다. [6] 胎王陵 出土 靑銅방울은 辛卯年好大王(神妙年好大王)이라고 적혀 있다. [7] 7世紀 高句麗 遺民인 고을德 墓誌銘에서도 榮留王을 巾舞太王이라 指稱한 用例가 있다.

이로 보아 太王은 王보다 높은 呼稱으로 보인다. [8] 太王이 처음 쓰인 時期는 저마다 意見이 다른데 미천왕 , 고국원왕 , [9] 고국양왕 [10] , 광개토왕 等이 있다.

一角에서는 大王(大王)을 一括的으로 太王(太王)으로 判讀하여 高句麗 獨自的인 稱號라고 主張하기도 한다. [11] 광개토왕까지는 美稱 或은 尊稱으로 쓰다가 장수왕 代부터 비로소 君主의 稱號로서 定着되었다고도 한다. [12] 더 나아가 好太王(好太王)의 好는 미천왕(美川王)을 好讓王(好壤王)이라고도 했다는 [13] 點을 들어 美와 같이 太王을 꾸미는 말로 報告, [14] 호왕이라 불렸던 문자명왕 [15] , 양원왕 [16] , 평원왕 [17] 도 好太王을 稱했는데 記錄하는 過程에서 太가 탈락했을 것이라는 主張도 있다.

新羅 [ 編輯 ]

오직 6世紀 법흥왕 [18] 진흥왕 [19] 代의 金石文에만 用例가 있으며 이때 亦是 王과 大王을 混用하였다. [20]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三國史記》25卷 백제본기 第3 蓋鹵王 21年
  2. 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국江上광개토地好太王)
  3. 願太王陵安如山固如岳(原態王陵안여산고女樂)
  4. 太王敎造合?用三斤六兩(태왕교조합우용삼근육량)
  5. 〈모두루 墓誌銘〉
  6. 〈中原高句麗碑〉
  7. 조법종, 〈中國 집안博物館 好太王名文 방울〉, 《韓國古代史硏究》vol.33, 한국고대사학회, 2004
  8. 미야자키 이치사다(宮?市定), 〈 天皇なる稱號の由來について〉, 《思想》646, 1978. 하마다 고사쿠(濱田耕策), 〈朝鮮古代の『太王』と『大王』〉, 《?沫集》5, 1987
  9. 모두루 墓誌銘에서 보이지 않는 다른 글字를 國?上聖太王(국江上性太王)으로 判讀한 境遇
  10. 故國原王의 成胎王을 추존호로 본 境遇
  11. 여호규, 〈高句麗太王湖의 制定과 국강型 王陵立地의 成立〉, 《歷史文化硏究》vol.35, 韓國外國語大學校 歷史文化硏究所, 2010
  12. 시노하라 히로카打(篠原啓方), 〈高句麗의 太王號와 太王街認識의 確立〉, 《韓國史硏究》Vol.125, 韓國史硏究會, 2004
  13. 《三國史記》17卷 高句麗本紀 第5 봉상왕 9年
  14. 박성봉, 〈‘광개토好太王’ 王號와 世界觀〉, 《高句麗渤海硏究》vol.2, 高句麗渤海學會, 1996
  15. 明治好王(明治好王) 《三國史記》19卷 高句麗本紀 第7 文咨王 1年
  16. 陽崗上好王(陽崗上好王) 《三國史記》19卷 高句麗本紀 第7 양원왕 1年
  17. 平崗上好王(平崗上好王) 《三國史記》19卷 高句麗本紀 第7 평원왕 1年
  18. 蔚州 천전리刻石 醜名〉( 539年 ) ??知太王妃夫乞支妃(영즉지태왕비부걸지비)
  19. 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6世紀) 眞興太王及衆臣等巡狩(진흥태王級重臣等純粹)
  20. 〈울주천전리刻石 乙妙明〉(535年)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