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天上道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天上道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天神도 에서 넘어옴)

티베트 佛敎 6도윤회度 (六道輪廻圖, bhavacakra ):

天上道 (天上道, 산스크리트語 : deva-gati )는 佛敎에서 中生 깨달음 證得 하지 못하고 輪廻 하여 다시 태어날 때, 前生 에서 지은 先業 또는 惡業 의 總合에 따라 그 果報 로서 現生에서 태어나는 世界 또는 意識 狀態 또는 存在 狀態인 地獄도 (地獄道)  · 餓鬼道 (餓鬼道)  · 畜生도 (畜生道)  · 阿修羅道 (阿修羅道)  · 人間도 (人間道)  · 天上道(天上道)의 6度 (六道) 中 하나이다. [1] [2] [3] 또는, 佛敎 剖破 또는 宗派들 中 설일체유부 上座部 佛敎 등에서는 6度 가 있는 것이 아니라 6度 에서 阿修羅道 를 除外한 5度 (五道)가 있다고 보는데, 따라서 天上道는 이 5度 가운데 하나이다. [2] [4] [5]

天上道(天上道)는 天常 (天上) 또는 遷都 (天道), 또는 簡單히 (天)이라고도 하며, '業因(業因)에 따라 나아가는 곳'이라는 뜻의 取(趣)를 使用하여 千상취 (天上趣) 또는 遷就 (天趣)라고도 한다. 또한 天上의 (有: 輪廻의 삶 또는 輪廻하는 存在)라는 뜻에서 賤儒 (天有)라고도 하며, 天上世界 또는 하늘나라 라는 뜻에서 天界 (天界, 산스크리트語 : deva-loka ) 또는 天上界 (天上界)라고도 한다. deva-gati (天道 또는 天上道)와 deva-loka (天界 또는 天上界)에서 deva를 音譯하여 呼稱으로 삼아 제바 (提婆) 또는 데바 라고도 한다. [2] [3] [6] [7] [8] [9]

天上道 또는 天上界에 태어나는 것을 生천 (生天: 文字 그대로는 '하늘에 태어남')이라고 하며, 生천은 後代 佛敎의 極樂往生 (極樂往生: 文字 그대로는 '極樂으로 가서 태어남') 等과 事實上 같은 말이다. [9] [10] [11]

3先導와의 關係 [ 編輯 ]

6度 阿修羅道   · 人間도   · 天上道의 3가지는 앞의 3가지, 卽 地獄도   · 餓鬼道   · 畜生도 에 비해 좋은 곳이라는 뜻에서 3線도 (三善道) 또는 3先取 (三善趣)라고도 하는데, 天上道는 이들 3線도 또는 3先取 中에서도 가장 最高의 先導 (善道) 또는 先取 (善趣), 卽 가장 좋은 世界 또는 착한 世界 또는 多福한 世界 이다. [2] [7] [8] [12] [13] [14] 달리 말하면, 天上道는 現生에서 5係 (五戒)와 10選 (十善)과 布施 (布施) 等의 을 많이 쌓았을 때, 卽 世間의 선法 [世間善法]을 充實히 實行했을 때 來生 에서 태어나는 世界 또는 意識 狀態 또는 存在 狀態로, 많은 (福)을 누리며 사는 存在 狀態이다. [7] [8]

이와 關聯하여 大乘佛敎 의 主要 人物인 用水 는 《 大智度論 》 第30卷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 引用文에서 用水 出世間의 선法 으로 37盜品 을 말하고 있는데, 出世間의 선法 에는 4성제 (四聖諦)  · 3學 (三學)  · 5온설 (五蘊說)  · 12延期說 (十二緣起說)  · 8程度 (八正道)  · 37盜品 (三十七道品)  · 6波羅蜜 (六波羅蜜) 等이 있다. 이들 中에서 嚴密히 修行法만을 말하자면, 8程度 37盜品 의 7番째 그룹에 該當하고, 6波羅蜜 初期佛敎 37盜品 大乘佛敎 에 依해 綜合되어 새로운 形態로 提出된 것이므로, 出世間의 선法 이란 37盜品 을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趣旨에서 用水 는 이 引用文에서 出世間의 선法 으로 37盜品 을 말하고 있다.

問曰: 善法亦有三果: 下者?人,中者?天,上者涅槃。

答曰: 是中 不應說涅槃,但應分別?生果報住處, 涅槃非報故。 善法有二種:一者、三十七品能至涅槃,二者、能生後世樂。今但說受身善法,不說至涅槃善法。

世間善有三品:上分因緣故,天道果報;中分因緣故,人道果報;下分因緣故,阿修羅道果報。

? 《大智度論》 第30卷 漢文本

[門] [6道(六道)와 關聯된] 착한 法에도 亦是 세 가지 果報가 있나니, 아래는 사람 이요 中間에는 하늘 이며 맨 位는 涅槃 이다.

[答] [6道(六道)에 對해 論議하고 있는] 여기서는 涅槃 을 말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中生 果報 로서 머무를 곳만을 分別해야 하나니, [6度 卽 3係를 벗어난 狀態인] 涅槃 은 [6度(六道)의] 果報 가 아니기 때문이다. 착한 法 [善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37品 (三十七品, 卽 37盜品)으로는 涅槃 에 이르게 하고, 둘째는 뒷世上[後世]의 즐거움을 내게 하는 것이다. 只今은 다만 몸을 받는 착한 法 [受身善法]을 말할 뿐이요 涅槃 에 이르는 착한 法 [至涅槃善法]은 말하지 않는다.

世間의 線 [世間善]에는 세 가지가 있다. 위 갈래[上分]의 因緣 때문에 遷都 (天道)의 果報가 있고, 中間 갈래[中分]의 因緣 때문에 印度 (人道)의 果報가 있으며, 아래 갈래[下分]의 因緣 때문에 阿修羅道 (阿修羅道)의 果報가 있다.

? 《大智度論》 第30卷 한글本

3界와의 關係 [ 編輯 ]

3係 (三界)와의 關係를 살펴보면, 天上道 또는 天上界는 欲界 天上世界 6欲天 (六欲天) 卽 欲界 의 여섯 千(天: 하늘)들과, 欲界 天上世界 보다 더 뛰어난 天上世界 들인 色界 17千 (또는 16千 또는 18千 ) 全部와, 色界 보다 더 뛰어난 天上世界 無色界 4無色天 (四無色天) 全部로 이루어져 있다. 卽, 天上道는 欲界 부터 無色界 까지 3係 全體에 걸쳐 있다. [15]

初期佛敎 時代에서는 敎法이 涅槃 (涅槃)을 中心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出家者 의 境遇 涅槃 證得 이라는 出世間 의 目標와 이에 따른 實踐 修行法으로 37盜品 이 主로 說해졌고 在家信徒 들의 境遇 天上道 또는 天上界에 태어나는 것 卽 生천 (生天: 後代 佛敎의 極樂往生 과 事實上 같은 말)을 爲主로 하였다. 이에 따라 5係   · 10選 等의 先行 을 行함으로써 生천 할 수 있다는 가르침이 널리 설법되었다. 한便, 이러한 生천(生天)의 思想은 佛敎만의 것은 아니었으며 輪廻思想 과 더불어 當時 古代 印度 宗敎의 普遍的인 思想이었다. [9] [10] [11]

例를 들어, 힌두敎 의 正統 6派哲學 中의 하나인 美맘社 學派 에 따르면, 《 베다 》에 規定되어 있는 特定한 祭祀 (祭祀: 힌두敎의 立場에서는 單純한 祭祀가 아닌 祈禱와 進言과 集中 等이 隨伴된 特定한 修行法 또는 遂行體系의 實踐이라고 할 수 있음, 말하자면 가톨릭의 미사나 改新敎의 禮拜, 佛敎의 供養 또는 禮佛 또는 念佛에 該當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음)를 實行하면 그 實行者에게 一種의 餘力이 남아 그것이 나중에 果報 를 가져온다. 이 때의 餘力을 新得力 (新得力: 새로이 얻은 힘)이라 하는데, 美맘社 學派 에서는 이 新得力 의 總合이 바르고 착하면 다음 生 에서 生천(生天: 天界에 태어남) 等의 繁榮(繁榮, abhyudaya)의 果報 를 얻어 福樂을 享受한다는 敎義를 가르쳤다. [16] 生천 (生天)에 對한 思想이 있었다는 것에는 美맘社 學派 佛敎 間에 서로 一致하는 事項이지만, 美맘社 學派 가 《 베다 》에 따른 祭祀의 實行을 통해 蓄積된 新得力 (新得力: 새로이 얻은 힘, 卽 充分히 蓄積된 境遇 以前의 業을 바꿀 수 있는 새로운 힘)에 依해 生천(生天)할 수 있다고 主張한 反面, 佛敎 에서는 5係   · 10選   · 布施 等의 世間의 선法 [世間善法]을 行함으로써 蓄積된 先業 (善業: 善한 카르마, 卽 善한 潛在力 또는 形成力)에 依해 生천(生天)할 수 있다고 主張한 것은 서로 間의 差異點이다.

選定과의 關係 [ 編輯 ]

天上道 또는 天上界로 가는 方法으로는 5係 10選 布施 等의 先業 을 쌓아 목숨이 다했을 때 天上道에서 태어날 수도 있고 , 살아 있는 狀態에서 選定 (禪定: 禪 또는 靜慮 또는 等至라고도 한다.) 遂行을 통해 天上界를 往來할 수도 있다.

選定 遂行과 關聯하여, 色界 17千 (또는 16千 또는 18千 )은 크게 4가지 천(天: 하늘)으로 나뉘는데, 이것을 4先天 (四禪天) 또는 4旌閭千 (四靜慮天) 또는 色界 4千 (色界四天)이라고 하며, [15] [17] 選定 遂行의 觀點에서 簡單히 4選 (四禪) 또는 4禪定 (四禪定) 또는 4靜慮 (四靜慮)라고도 한다. [18] [19] 그리고, 無色界 4無色天 은 選定 遂行의 觀點에서 4無色定 (四無色定) 또는 4工程 (四空定)이라고도 한다. [20]

또한 色界 4禪定 無色界 4無色定 을 統稱하여 8梃 (八定) 또는 8等地 (八等至)라고 하며, [21] 또는 8梃 色界 4選 이 包含되지만 色界 4選 을 特히 浮刻시켜 4線8梃 (四禪八定)이라고도 한다. [22]

그리고, 8梃 (八定) 또는 8等地 (八等至)에 欲界 全體를 合하여 9址 (九地)라고 하는데, 이것은 곧 3係 를 9가지의 (地)로 나눈 것이므로 9址 (九地)라고 따로 稱하기도 하지만 3係9址 (三界九地)라고도 흔히 稱한다. [23] [24] 3係9址 選定 隨行  · 煩惱   · 等을 論할 때 거의 恒常 關聯하여 使用되는 體系로, 部派佛敎 阿毘達磨 敎學課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의 敎學에서 자주 登場한다. [25] [26]

參考 文獻 [ 編輯 ]

  • 곽철환 (2003). 《 施工 佛敎事前 》. 時空社 / 네이버 知識百科.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권오민 (2003). 《阿毘達磨佛敎》. 民族史.  
  • 目犍連 지음,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K.945, T.1537). 《 阿毘達磨法溫足론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945(24-1091), T.1537(26-453).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K.955, T.1558). 《 阿毘達磨俱舍論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用水 지음, 鳩摩羅什 漢譯, 김성구 飜譯 (K.549, T.1509). 《 大智度論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549(14-493), T.1509(25-57).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耘虛. 동국譯經院 編輯, 編輯. 《 佛敎 事前 》.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目犍連 兆, 現場 漢譯 (T.1537). 《 阿毘達磨法溫足론(阿毘達磨法蘊足論) 》. 對精神수大藏經. T26, No. 1537,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星雲. 《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 3板.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世親 兆, 現場 漢譯 (T.1558). 《 阿毘達磨俱舍論(阿毘達磨俱舍論) 》. 對精神수大藏經. T29, No. 1558,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用水 兆, 鳩摩羅什 漢譯 (T.1509). 《 大智度論(大智度論) 》. 對精神수大藏經. T25, No. 1509,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各州 [ 編輯 ]

  1. 耘虛 , " 六道(六道)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六道(六道): 衆生의 業因(業因)에 따라 輪廻하는 길을 6으로 나눈 것. 地獄도(地獄道)ㆍ아귀도(餓鬼道)ㆍ축생도(畜生道)ㆍ아수라도(阿修羅道)ㆍ인간도(人間道)ㆍ천상도(天上道)."
  2. 星雲 , " 六道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六道: 又作六趣。??生各依其業而趣往之世界。?:(一)地獄道(梵 narakagati),(二)餓鬼道(梵 pretagati),(三)畜生道(梵 tiryagyonigati),(四)修羅道(梵 asura-gati),(五)人間道(梵 manusya-gati),(六)天道(梵 deva-gati)。此六道中,前三者稱?三惡道,後三者稱?三善道。  有關五道六道之廢立,各從其部派而不同,依大毘婆沙論卷一七二、大智度論卷十等載,說一切有部刪除阿修羅道,唯說五道;犢子部等則立六道。我國及日本皆專行六道之說。又摩訶止觀卷五上謂六道加聲聞、緣覺、菩薩、佛等四界,稱?十界,復立六觀音、六地藏等,?六道能化之救主。〔法華經卷一、北本大般涅槃經卷三十五、大智度論卷三十、俱舍論光記卷八、往生要集卷上〕(參閱「五趣」、「阿修羅」)"
  3. 곽철환 2003 , " 六道(六道)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六道(六道): 도(道)는 狀態·世界를 뜻함. 衆生이 저지른 行爲에 따라 받는다고 하는 生存 狀態, 또는 迷惑한 衆生의 心理 狀態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形象化한 것. 衆生이 생각에 따라 머물게 되는 여섯 가지 世界.
    (1) 地獄도(地獄道). 須彌山의 四方에 있는 네 大陸의 하나인 南쪽의 섬부주(贍部洲) 밑에 있다고 하며, 뜨거운 불길로 刑罰을 받는 八熱地獄(八熱地獄)과 酷毒한 추위로 刑罰을 받는 八寒地獄(八寒地獄)으로 크게 나뉨.
    (2) 餓鬼道(餓鬼道). 財物에 인색하거나 飮食에 欲心이 많거나 남을 時期·嫉妬하는 者가 죽어서 가게 된다는 곳으로, 늘 굶주림과 목마름으로 괴로움을 겪는다고 函. 섬부주(贍部洲) 밑과 印度(人道)와 遷都(天道)에 있다고 函.
    (3) 畜生道(畜生道). 온갖 動物들의 世界.
    (4) 阿修羅道(阿修羅道). 人間과 畜生의 中間에 位置한 世界로, 須彌山과 持雙山 사이의 바다 밑에 있다고 函.
    (5) 印度(人道). 須彌山 東쪽에 있는 승신주(勝身洲), 南쪽에 있는 섬부주(贍部洲), 西쪽에 있는 寓話週(牛貨洲), 北쪽에 있는 구로주(俱盧洲)의 네 大陸을 말함.
    (6) 遷都(天道). 新(神)들의 世界라는 뜻으로, 須彌山 中턱에 있는 四王天(四王天)에서 無色界의 有頂天(有頂天)까지를 말함. "
  4.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8卷. p. T29n1558_p0042a13 - T29n1558_p0042a20 . 5度 또는 6度
    "已說三界。五趣云何。頌曰。
      於中地獄等  自名說五趣
      唯無覆無記  有情非中有
    論曰。於三界中說有五趣。?地獄等如自名說。謂前所說地獄傍生鬼及人天是名五趣。唯於欲界有四趣全。三界各有天趣一分。"
  5.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8卷. p. 373 / 1397 . 5度 또는 6度
    "3係에 對해 이미 論說하였다. 5趣(趣)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偈頌으로 말하겠다.
      [3係] 中에 있어서 地獄 等은
      自身의 名稱에 따라 5趣(趣)로 說해지니
      오로지 巫夫武器로서
      油井에 屬하지만, 中油(中有)는 아니다.
      於中地獄等 自名說五趣
      唯無覆無記 有情非中有
    論하여 말하겠다. 3係 中에는 地獄 等의 5取(趣)가 있다고 說한다. 卽 地獄 等을 自身의 名稱대로 說한 것으로, 이를테면 앞에서 說한 地獄  · 放生(傍生)  · 아귀(餓鬼), 그리고 人間과 千(天), 이것을 5取라고 이름한다. 27) 그리고 오로지 欲界에만 네 가지 取 全部가 있으며, 3契에는 各其 遷就의 一部만이 있다.
    27) 여기에 阿修羅(阿修羅)를 더한 6吹雪이 一般에 알려져 있지만, 이는 독자부(犢子部)의 主張이고, 有婦나 上座部의 定說은 5吹雪이다. 그리고 大乘經典에서도 大槪 5吹雪을 取하는 境遇가 많다."
  6. 耘虛 , " 六趣(六趣)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六趣(六趣): 6度(道)라고도 함. 美(迷)韓 衆生이 業因(業因)에 따라 나아가는 곳을 6處로 나눈 것. (1) 지옥취(地獄趣). 8寒(寒)ㆍ8列(熱) 等의 苦痛받는 곳으로 地下에 있음. (2) 아귀취(餓鬼趣). 恒常 밥을 求하는 鬼神들이 사는 곳. 사람들과 섞여 있어도 보지 못함. (3) 畜生趣(畜生趣). 禁輸가 사는 곳으로 引繼(人界)와 있는 곳을 같이 함. (4) 아수라취(阿修羅趣). 恒常 眞心을 품고 싸움을 좋아한다는 대력신(大力神)이 사는 곳으로 심산 幽谷을 疑處(依處)로 函. (5) 人間取(人間趣). 人類의 사는 곳. 南贍部洲 等의 4大洲(大洲). (6) 千상취(天上趣). 몸에 光明을 갖추고 自然히 快樂을 받는 衆生이 사는 곳으로 6欲天과 색계천(色界天)ㆍ무색계천(無色界天)."
  7. 目犍連 지음, 現場 漢譯 & T.1537 , 第1卷 〈1. 學處品(學處品)〉. pp. T26n1537_p0453c07 - T26n1537_p0454a05 . 惡臭(惡趣)와 先取(善趣)
    "爾時世尊。告苾芻?。
    諸有於彼五怖罪怨不寂靜者。彼於現世。?諸聖賢同所訶厭。名?犯戒自損傷者。有罪有貶。生多 非福 。身壞命終。墮險 惡趣 。生地 獄中
    何等?五。
    謂殺生者。殺生緣故。生怖罪怨。不離殺生。是名第一。
    不與取者。劫盜緣故。生怖罪怨。不離劫盜。是名第二。
    欲邪行者。邪行緣故。生怖罪怨。不離邪行。是名第三。
    虛?語者。虛?緣故。生怖罪怨。不離虛?。是名第四。
    ?味諸酒放逸處者。?味諸酒放逸處緣故。生怖罪怨。不離?酒諸放逸處。是名第五。
    有於如是五怖罪怨不寂靜者。彼於現世。?諸聖賢同所訶厭。名?犯戒自損傷者。有罪有貶。生多 非福 。身壞命終。墮險 惡趣 。生地 獄中
    諸有於彼五怖罪怨能寂靜者。彼於現世。?諸聖賢同所欽歎。名?持戒自防護者。無罪無貶。生多 勝福 。身壞命終。升安 善趣 。生於 中。
    何等?五。
    謂離殺生者。離殺生緣故。滅怖罪怨。能離殺生。是名第一。
    離不與取者。離劫盜緣故。滅怖罪怨。能離劫盜。是名第二。
    離欲邪行者。離邪行緣故。滅怖罪怨。能離邪行。是名第三。
    離虛?語者。離虛?緣故。滅怖罪怨。能離虛?。是名第四。
    離?諸酒放逸處者。離?諸酒放逸處緣故。滅怖罪怨。能離?酒諸放逸處。是名第五。
    有於如是五怖罪怨能寂靜者。彼於現世。?諸聖賢同所欽歎。名?持戒自防護者。無罪無貶。生多 勝福 。身壞命終。升安 善趣 。生於 中。"
  8. 目犍連 지음,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 K.945, T.1537 , 第1卷 〈1. 學處品(學處品)〉. pp. 2-3 / 306 . 惡臭(惡趣)와 先取(善趣)
    "그때에 世尊께서 苾芻들에게 말씀하셨다.
    “저 5抛罪源(怖罪怨: 5惡의 다른 말)이 있어 고요히 安定되지 못한 이는 現在 世上의 모든 聖賢에게서 다 같이 꾸지람과 恝視를 받을 뿐이요 戒律을 犯하여[犯戒] 自己 自身을 損傷하는 理라 하며 罪도 있고 모자라기도 하여 태어나면 大部分 福이 없고 [非福]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치면 險하고 惡한 世界 [險 惡趣 ]에 떨어져 地獄 으로 들어가느니라.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산목숨을 죽이는 이[殺生者]는 殺生한 因緣 때문에 두려운 罪와 怨恨[怖罪怨]을 내어 殺生을 如意池 못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첫째라 하고, 주지 않는데 取하는 이[不與取者]는 도둑질한 因緣 때문에 두려운 罪와 怨恨을 내어 도둑질을 如意池 못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둘째라 하며, 삿된 淫慾을 行한 이[欲邪行者]는 삿된 淫行의 因緣 때문에 두려운 罪와 怨恨을 내어 삿된 淫行을 如意池 못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셋째라 하고, 거짓말을 한 이[虛?語者]는 남을 속인 因緣 때문에 두려운 罪와 怨恨을 내어 거짓말을 如意池 못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넷째라 하며, 여러 가지 술[酒]을 마시고 訪日한 이[放逸者]는 여러 가지 술을 마시고 訪日한 因緣 때문에 두려운 罪와 怨恨을 내어 여러 가지 술을 마시고 訪日한 짓을 如意池 못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다섯째라 하느니라. 이와 같은 5抛罪源에 對하여 고요하고 安定하지 못한 이는 現在 世上에서는 모든 聖賢에게서 똑같이 꾸지람과 恝視를 받을 뿐더러 戒律을 犯해서 自己 自身을 損傷하는 理라 하며 罪가 있고 모자람도 있어서 이 世上에 태어나면 大部分 薄福하게 살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치면 險하고 惡한 世界 에 떨어져 地獄 에 나느니라.
    그러나 저 5抛罪源에 고요하고 安靜하는 이는 現在 世上의 모든 聖賢에게서 다같이 恭敬과 讚歎을 받을 뿐더러 戒律을 지켜서[持戒] 自己 自身을 防護(防護)하는 理라 하며 罪도 없고 不足함도 없어서 이 世上에 태어나면 大部分 많은 福[勝福]을 누리며 살다가 몸이 무너지고 목숨이 마치면 便安하고 착한 世界 [安 善趣 ]에 올라가 天常 에 나느니라.
    어떤 것이 다섯 가지인가? 산목숨을 죽이지 않는 이는 殺生하는 因緣을 여읜 까닭에 두려운 罪와 怨恨이 없어서 殺生을 여의게 되나니 이것을 첫째라 하고, 주지 않는 것은 取하지 아니한 이는 도둑의 因緣을 여읜 까닭에 두려운 罪와 怨恨이 없어서 도둑질을 여의게 되나니 이것을 둘째라 하며, 삿된 淫慾을 끊은 이는 삿된 淫行의 因緣을 여읜 까닭에 두려운 罪와 怨恨이 없어서 삿된 行을 여의게 되나니 이것을 셋째라 하고, 거짓말을 여읜 이는 속이는 因緣을 여읜 까닭에 두려운 罪와 怨恨이 없어서 거짓말을 여의게 되나니 이것을 넷째라 하며, 모든 술을 마시고 訪日한 것을 여읜 이는 모든 술을 마시고 訪日한 因緣을 여읜 까닭에 두려운 罪와 怨恨이 없어서 모든 술을 마시고 訪日을 여의게 되나니 이것을 다섯째라 하느니라.
    이와 같은 5抛罪源에 對하여 고요하고 安定된 이는 現在 世上의 모든 聖賢에게서 다같이 恭敬과 讚歎을 받을 뿐더러 戒律을 지켜 自己 自身을 防護하는 理라 하며 罪가 없고 不足함도 없어서 이 世上에 태어나면 大部分 많은 福을 누리며 살고 몸이 무너지고 목숨을 마치면 便安하고 착한 世界 에 올라가 天常 에 나느니라.”"
  9. 星雲 , " ". 2012年 11月 16日에 確認
    "天:  梵語 deva-loka。音譯作提婆。與天上、天有、天趣、天道、天界、天上界等同義。指在迷界之五趣及六趣中,最高最勝之有情,或指彼等所居之世界;若指有情自體時,稱?天人、天部(複數)、天?(複數),相當於通俗所謂「神」一詞。此外,說明死後生天之因(十善、四禪、八定)之?,稱?天乘。在初期佛?中,其?法以涅槃?中心,對在家信徒之?說,則以生天?主,謂依道德行善,?可生天。最古之經典經集(巴 Sutta-nip?ta)有云,如施食予沙門、婆羅門、乞食者,死後?可生天。其後,施論、戒論、生天論等成?對在家信徒宣?之三大論。天之原語,除 deve-loka 外,?有 devanagara, sagga, saggapatha, saggapada 等,均?單數型,亦?天僅?一,而無詳細內容之規定與階層等區別。此「天」之思想,?非佛?所獨有者,乃係當時印度一般民?之信仰,後?佛?所沿用。 "
  10. " 往生(往生) ", 《두산百科》. 네이버 知識百科.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往生(往生): 佛敎에서 사람이 죽은 後 다른 世上에 가서 태어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西方 極樂世界에 다시 태어날 것을 願하는 極樂往生(極樂往生), 十方世界의 佛國土에 다시 태어나기를 願하는 時方(十方)往生, 彌勒菩薩이 계시는 兜率天에 다시 태어나기를 願하는 도솔(兜率)往生 等이 있다. 極樂往生은 《無量壽經(無量壽經)》을, 十方往生은 《時防水願往生警(十方授願往生經)》을, 兜率往生은 《彌勒상생경(彌勒上生經)》을 所依經典으로 한다. 往生이라 하면 이 中 特히 極樂往生을 말하는데, 阿彌陀佛의 西方淨土에 태어나려는 淨土信仰은 이를 目的으로 하는 가르침이며, 大乘佛敎에서는 衆生의 救濟手段으로 이 思想을 널리 說法한다."
  11. 星雲 , " 生天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生天: 生於天界之意。生天之思想,非佛?所獨有,原係古印度普遍之信仰,後?佛?所沿用。於印度哲學諸派中,「彌曼差派」以?行祭祀後可得一種新的能力;此能力若屬於善,則由其力量能於未來世生天(梵 abhyudaya),享受至樂,解脫輪?。abhyudaya,有上升、成功、繁榮等義。勝論派將其學說與實踐歸納?「法」(梵 Dharma),法又分生天及最上善(梵 nih?reyasa)二方面,以生天乃吠陀的「權證」之結果,最上善則??究六句義哲學之「知」,以得解脫之結果。蓋該派雖亦行吠陀之祭祀,但認?吠陀之權證惟在生天之果報,而此果報仍未能脫出輪?,故應?究六句義哲學及實修,才能得?解脫。
     於佛?而言,天乃六道之一,故仍難免於輪?。有關因善業而生天之說,散見於諸經典。阿含經中?載有諸多生天之因,如禮敬佛蹟、父母、六方等,修習梵行、善行、持戒等,供養沙門衣食等。此外,般若經、金光明經、楞伽經等,皆有生天之說。〔長阿含經卷四、撰集百緣經卷六、法華經卷三、大乘入楞伽經卷二、大品般若經卷一〕"
  12. 耘虛 , " 三善道(三善道)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三善道(三善道): 三線翠瓦 같음."
  13. 耘虛 , " 三善趣(三先取)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三善趣(三先取): ↔三惡趣(三惡趣). 인취(人趣)ㆍ아수라취(阿修羅趣)ㆍ遷就(天趣). 3惡臭에 比較하여 若干 殊勝한 世上이라는 뜻으로 하는 말."
  14. 耘虛 , " 善趣(先取) ". 2012年 11月 15日에 確認
    "善趣(先取): ↔惡臭(惡趣). 좋은 業因(業因)에 對한 果報로 衆生이 태어나는 곳. 6醉中의 人間ㆍ天上의 2趣(趣). 或은 阿修羅ㆍ人間ㆍ天上의 3取를 들기도 함."
  15. 星雲 , " ". 2012年 11月 16日에 確認. 3界의 千(天: 하늘)들
    " 據佛經之記載,天之世界,乃於距離地上遙遠之上方;由下向上,依次?四大王?天(又稱四天王;持國天、增長天、廣目天、多聞天等及其眷屬之住所)、三十三天(又稱?利天;此天之主稱釋提桓因,?帝釋天)、夜摩天(又稱焰摩天、第三焰天)、睹史多天(又稱兜率天)、樂變化天(又稱化樂天)、他化自在天(又稱第六天、魔天),合稱「六欲天」,?「屬欲界六天」之意。
     其次,屬色界之天可大別?四禪天,總有十七天(或十六天、十八天)。?初禪天,有梵?天、梵輔天、大梵天等三天。第二禪天,有少光天、無量光天、極光淨天等三天。第三禪天,有少淨天、無量淨天、遍淨天等三天。第四禪天,有無雲天、福生天、廣果天、無煩天、無熱天、善現天、善見天、色究竟天(阿迦尼?天)等八天。若稱十六天,是以大梵天包含於梵輔天之中;若稱十八天,則是於廣果天上別立無想天。屬初禪天、第二禪天、第三禪天之九天,均?生樂受樂之天,故稱樂生天。大梵天又稱梵天、大梵天王,與帝釋天?稱?「釋梵」;若再加四天王,則稱「釋梵四王」,均?守護佛法之善神。又如四天王、帝釋天及大梵天率領?多天?,故稱天王。
     以上諸天中之四大王?天與三十三天,住於須彌山之上部,故稱地居天。夜摩天以上則住於空中,故稱空居天。此等諸天所住之宮殿,稱天宮、天堂。諸天所居愈在上方,則天?身體愈大,壽命亦次第增長,肉體條件也愈加殊勝。
     此外,屬無色界之諸天,乃由空無邊處天、識無邊處天、無所有處天、非想非非想處天(有頂天)等四無色天形成。此等諸天均屬無色(超越物質)之天,故無住處。在四大王?天或三十三天中,若因起瞋心或耽迷遊?之樂,而失正念者,則自天界墮落。前者稱意憤天(意憤?天),後者則稱?忘天(?忘念天)。"
  16. 東洋思想 > 東洋의 思想 > 印度의 思想 > 正統婆羅門 系統의 哲學體系 > 美맘社 學派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美맘社 學派(Mimamsa 學派): 美맘社 學派는 <베다 聖典(聖典)>속에 規定되어 있는 祭祀 儀禮(祭祀儀禮)의 實行 意義를 哲學的으로 硏究하여 統一的 解釋을 주는 學派이다. 이 學問을 祭祀(祭事) 美맘社(카르마 美맘社)라고 하는데 美맘史라고 하는 것은 審察故舊(審察考究)라고 하는 意味이다. 이 學問은 쟈이미니(前200∼前100 ?)에 依하여 確立되었는데, 이 系統의 學說을 記錄한 짧은 文句가 暗誦에 依하여 傳해져, 起源 100年頃 하나의 組織으로 綜合 編纂되어 根本 經典(根本經典) <美맘社 수트라>가 成立되었다. 이 學派는 法(法:達磨)의 古刹 硏究가 그 目的이라고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法은 <베다 聖典>에 規定되어 있는 制式(祭式)의 實行이며, 그것이 宗敎上의 理想을 실현시키는 것이라고 解釋한다. 制式(祭式)의 實害은 上層3階級(上層三階級)에게만 許容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美맘辭意 學者에게는 <베다 聖典>의 絶對性을 論證하는 것이 于先 第一 必要한 것이 되었다. 그들의 信念에 依하면, <베다 聖典>은 人間이 製作한 것이 아니고 宇宙의 變化生滅을 超越하여 永遠토록 實在하고 있다. 그러나 베다는 言語로 된 것이기 때문에 베다의 尙州永遠性(常住永遠性)을 主張하기 위해서는 言語의 尙州性(常住性)을 認定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들에 依하면 言語라는 것은 但只 陰性(音聲)뿐 아니라 音聲을 超越하여 實在하는 것이다. 音聲은 無償(無常)한 것이지만 言語는 音聲과 意味와의 媒介體(媒介體)이므로 尙州(常住)이다. 그런데 正當한 觀念 乃至 知識은 恒久的으로 實在하는 것(常住)으로서 先天的인 것이요, 人間의 經驗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베다 속에만 있다. 사람들은 여기에 絶對的으로 服從해야 된다. 이것에 服從하는 것이 이른바 法(法)이다. 特定한 祭祀를 實行하면 우리들 自身에 一種의 餘力이 남아 그것이 나중에 果報(果報)를 가져온다. 그 餘力을 新得力(新得力:亞푸르바)라 한다. 그 神得力(新得力)李 바르고 착하면 未來에 있어서 生천(生天) 等 繁榮(繁榮:아브휴다야)의 果報(果報)를 얻어 福樂을 享受한다. 後에 쿠마릴라 (650 ?∼700 ?)와 프라바카라 (650 ? ∼ 750 ?)가 나타나서 若干 相異한 學說을 主張하였다."
  17. 耘虛 , " 四禪天(四禪天)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四禪天(四禪天): 4禪定(禪定)을 닦아서 나는 色界의 네 하늘. 初禪天(3千)ㆍ2先天(3千)ㆍ3先天(3千)ㆍ4先天(9千). 모두 18千(天)."
  18. 耘虛 , " 四禪定(四禪定)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四禪定(四禪定): 色界 4宣川에 나는 選定. ⇒事情려(四靜廬)"
  19. 耘虛 , " 四靜慮(事情려)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四靜慮(事情려): 【汎】 catv?ri-dhy?n?ni 或은 私選(四禪)ㆍ色計定(色界定). 이 鄭은 고요함과 함께 智慧가 있어, 능히 仔細하게 생각하는 뜻으로 旌閭라 函. 이에 初(初)ㆍ2ㆍ3ㆍ4의 區別이 있으니, 初選(初禪)은 유심類事情(有尋有伺定)ㆍ2線은 無心類事情(無心唯伺定)ㆍ3線은 無心무事情(無尋無伺定)ㆍ4線은 思念法事情(捨念法事定). ⇒四禪定(四禪定)ㆍ八定(八定)"
  20. 耘虛 , " 四無色定(四無色定)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四無色定(四無色定): 四空定(四空定)과 같음. ⇒八定(八定)"
  21. 耘虛 , " 八定(八定)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八定(八定): 또는 팔등지(八等至). 色界의 4禪定(禪定)과 無色界의 4工程(空定)을 말한다. 超選定ㆍ이선정ㆍ三選定ㆍ四禪定ㆍ공무변처정ㆍ식무변처정ㆍ무소유처정ㆍ비상비비상처정. ⇒事情려(四靜慮)ㆍ四無色定(四無色定)"
  22. 耘虛 , " 四禪八定(私選八定)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四禪八定(私選八定): 4線은 色界의 4線, 8定은 色界의 4線과 無色界의 4無色定(無色定)."
  23. 耘虛 , " 三界九地(三界九地)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三界九地(三界九地): 欲界ㆍ色界ㆍ無色界의 3係를 다시 9지로 나눔. 五趣雜居地(五趣雜居地)ㆍ이생희落地(離生喜樂地)ㆍ정생희落地(定生喜樂地)ㆍ이희묘落地(離喜妙樂地)ㆍ思念請停止(捨念淸淨地)ㆍ空無邊處地(空無邊處地)ㆍ識無邊處地(識無邊處地)ㆍ無所有處地(無所有處地)ㆍ非想非非想處地(非想非非想處地)."
  24. 耘虛 , " 九地(九地) ". 2012年 11月 17日에 確認
    "九地(九地): 3係(界)를 9種으로 나눈 것. (1) 欲界誤趣旨(欲界五趣地). 欲界 안에 있는 地獄ㆍ아귀ㆍ畜生ㆍ人間ㆍ天上의 5趣(趣)를 合하여 1紙(地)로 한다. (2) 이생희落地(離生喜樂地). 色界의 初禪天(初禪天). 欲界를 떠남으로 말미암아 喜(喜)ㆍ樂(樂)의 느낌을 내는 곳. (3) 정생희落地(定生喜樂地). 色界 第2先天(禪天). 情(定)에서 즐거움을 내는 곳. (4) 이희묘落地(離喜妙樂地). 色界 第3先天. 2線(禪)의 喜樂을 여의고 마음이 安定되어 妙한 즐거움이 있는 곳. (5) 思念請停止(捨念淸淨地). 色界 第4先天. 앞의 즐거움을 여의고 淸淨 平等한 死守(捨受)의 생각에 安住하는 곳. (6) 空無邊處地(空無邊處地). 無色界에서 色(色)의 束縛을 싫어하는 마음에 色相(色想)을 버리고 한없는 虛空을 反衍하는 禪定을 닦는 곳. (7) 識無邊處地(識無邊處地). 다시 공(空)인 생각을 버리고 心識(心識)이 끝없이 擴大되는 管狀(觀想)에 머물러 禪定을 닦는 곳. (8) 無所有處地(無所有處地). 다시 한 걸음 나아가 食傷(識想)을 버리고 審無所有(心無所有)라고 關하는 禪定을 닦는 곳. (9) 非想非非想處地(非想非非想處地). 앞의 識無邊處地(識無邊處地)는 式(識)이 限없이 擴大됨을 官銜으로 有償(有想)이고, 다음 無所有處地(無所有處地)는 式의 非存在를 官銜으로 無償(無想)인데, 그 有償을 버림으로 非常(非想)이라 하고, 그 無常을 여의므로 非非想(非非想)이라 函. ⇒下팔지(下八地)"
  25. 권오민 2003 , 125-131. 3係9址(三界九地)쪽
    "佛敎에서의 世界는 이처럼 다만 人間의 世界에 限定되지 않는다. 現實의 經驗을 土臺로 하여 人間의 思惟가 미치는 森羅萬象의 世界를 包括한다. 따라서 世界에 對해 解明한다고 할 境遇, 이 모든 世界에 適用되어야 하며, 그래서 阿毘達磨의 모든 問題는 至極히 難解하다. 다시 말해 阿毘達磨佛敎 特히 설一切油腐에서는 그들의 一切의 論議 - 存在의 分析과 煩惱와 業, 그리고 修行 實踐에 關한 一切의 論議를 3係 9址(欲界와 色界 4旌閭와 無色界 4無色定의 段階)와 관련시켜 論議함으로써 대단히 複雜한 理論體系를 構成하게 되었던 것이다."
  26.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5卷. pp. 259-260 / 583 . 3係9址(三界九地)
    "그런데 『瑜伽師地論』에서 여섯 種類를 合해서 다섯 種類로 한 것은, 169) 煩惱心所와 隨煩惱心所가 모두 잡廉이기 때문이다. 다시 네 가지 一切로써 다섯 種類의 差異를 判別하니, 곧 一切의 性品[性] 170)   · 머무는 곳[地] 171)   · 時間[時] 172)   · 함께함[俱] 173) 을 말한다.
    169) 『瑜伽師地論』 第3卷(『高麗大藏經』 15, p.483上:『臺正裝』 30, p.291上).
    170) 선  · 惡  · 武器의 3省(性)을 말한다.
    171) 여기서 지(地)는 유정이 머무는 場所를 말한다. 一切智(一切地)는 3界의 9址(地) 或은 3址(地)이다. 9지는 欲界 1址, 色界 4址, 無色界 4支를 合한 것이다. 3지는 心垢[尋]  · 査察[伺] 心所가 일어나고 일어나지 않음에 따라, 유심類似地(有尋有伺地)  · 無心類似地(無尋有伺地)  · 無心無事地(無尋無伺地)로 分類한 것이다.
    172) 一切의 유심(有心)의 時期, 또는 아득한 옛적부터 斷絶되지 않는 것, 또는 모든 對象을 反衍할 때를 가리킨다.
    173) 一切와 반드시 함께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