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末那識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末那識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第7式 에서 넘어옴)

末那識 (末那識, 산스크리트語 : manas 의 意, manas-vijn?na 意識 意識)은 有識유가행派 를 비롯한 大乘佛敎 에서 마음 을 이루고 있다고 보는 8式 (八識: 8가지의 式) 가운데 하나로 第7式 (第七識), 第7末那識 (第七末那識) 또는 末那 (末那)라고도 한다. 말나는 산스크리트語 마나스 (manas: 文字를 따라 意譯하면 意) 또는 마나스 비즈냐나 (manas-vijn?na: 文字를 따라 意譯하면 意識)를 音譯한 것으로 (意)라고도 意譯된다. 第6式 (第六識)인 意識 (意識, 산스크리트語 : mano-vijn?na )과 區別하기 위해서 醫役인 의(意)라고 하지 않고 音域을 使用하여 末那(末那)라고 하는데, 《 瑜伽師地論 》  · 顯揚聖敎論 》 等의 有識유가행派 의 初期 논서와 賑濟三藏 의 飜譯에서는 (意)가 使用되고 있기도 한다. [1] [2]

有識유가행派 의 敎學에 따르면 末那識은 第8 阿賴耶識 소의 (所衣)로 하여 成立된 이며 또한 第6 意識 (第六意識: 6番째 式)의 成立에 있어서 소의 가 되는 으로, 本質的인 性質 끊임없는 사량 (思量)이다. 末那識은 阿賴耶識 에 貯藏된 種子 를 이끌어 내어 現行 하게 함으로써 顯在的인 認識이 이루어지게 하고 생각과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는 役割을 한다. 말하자면, 末那識은 阿賴耶識 6式 (六識: 6가지 式) 사이에서 媒介 役割을 하여 끊임없이 6式 이 일어나게 하는 作用을 하는 마음 이다. [2] [3]

末那識의 本質的인 性質인 사량 (思量)은 否定的인 形態로 나타나기도 하고 肯定的인 形態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全義 (轉依: 質的 轉換)를 하지 못한 狀態 卽 煩惱 에 물들어 있는 狀態의 厭惡式 (染汚識)으로서의 末那識에서 사량 은 汚染된 自我意識 自己中心主義 로 나타나고, 反面 全義 한 狀態 卽 煩惱 가 淨化된 狀態의 淸淨式 (淸淨識)으로서의 末那識에서 사량 은 나와 남을 平等 하게 보는 平等心 (平等心)과 代慈悲心 (大慈悲心)으로 나타난다.

全義 하지 못한 狀態 卽 아직 煩惱 에 물들어 있는 狀態의 厭惡式 으로서의 末那識의 3星 의 觀點에서의 性質은 有婦武器 (有覆無記)로, 阿賴耶識 見分 (見分: 意識作用)을 끊임없이 自身의 內的 自我[自內我]라고 생각하고 執着하는 汚染된 自我意識 으로 作用한다. 具體的으로는, 厭惡式 으로서의 末那識은 恒常 아치 (我痴)  · 我見 (我見)  · 我慢 (我慢)  · 我愛 (我愛)의 4煩惱 卽 4가지의 根本的인 煩惱性 마음作用 과 함께 일어나며, 이들 4煩惱 外에도 함께 일어나는 마음作用 으로는 徧行心所 에 屬한 5가지 마음作用 모두와 別徑心所 에 屬한 (慧) 그리고 臺數煩惱心所 에 屬한 8가지 마음作用이 있다. 이들과 4煩惱 를 合하면 總 18가지의 마음作用 厭惡式 으로서의 末那識과 相應 하여 언제나 함께 일어난다. [1] [2]

反面, 全義 한 狀態의 末那識은 平等性智 (平等性智, 산스크리트語 : samat?-jn?na )로 質的 轉換이 되어 差別甚을 떠나서 나와 남을 平等 하게 보고 代慈悲心 을 일으킨다. 有識유가행派 의 修行論에 따르면, 5位 中 第3位인 通達位 에서 平等性智 의 一部分이 證得되고 第5位인 究竟位 에서 不過 (佛果)를 證得할 때 卽 成佛 (成佛)할 때 그 全體가 證得된다. [2] [4]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곽철환 (2003). 《 施工 佛敎事前 》. 時空社 / 네이버 知識百科.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無着 지음, 現場 漢譯 (K.571, T.1602). 《 顯揚聖敎論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571(16-1), T.1602(31-480).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彌勒 지음, 現場 漢譯, 강명희 飜譯 (K.614, T.1579). 《 瑜伽師地論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570(15-465), T.1579(30-279).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耘虛. 동국譯經院 編輯, 編輯. 《 佛敎 事前 》.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K.614, T.1585). 《 成唯識論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614(17-510), T.1585(31-1).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황욱 (1999). 《無着[Asa?ga]의 唯識學설 硏究》. 동국대學院 佛敎學과 博士學位論文.  
  • (中國語) 無着 兆, 現場 漢譯 (T.1602). 《 顯揚聖敎論(顯揚聖?論) 》. 對精神수大藏經. T31, No. 1602,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彌勒 兆, 現場 漢譯 (T.1579). 《 瑜伽師地論(瑜伽師地論) 》. 對精神수大藏經. T30, No. 1579.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星雲. 《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 3板.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T.1585). 《 成唯識論(成唯識論) 》. 對精神수大藏經. T31, No. 1585,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各州 [ 編輯 ]

  1. 耘虛 , " 末那識(末那識) ". 2013年 1月 28日에 確認
    "末那識(末那識): 【汎】 manas 8式의 하나. 第7食餌라고도 한다. 末那가 곧 式으로서 제6의식(意識)과 區別하기 위하여 梵語대로 末那識이라 한다. 8食이 모두 사량(思量)하는 作用이 있으나, 이 式은 特別히 港(恒)과 審(審)의 두 가지 뜻을 함께 가지고 있어, 다른 7式보다 나은 것이므로 末那(意)라 한다. 第8息을 소의(所衣)로 하고, 제8식의 見分(見分)을 攀緣하여 그것으로써 者內衙(自內我)라고 사량ㆍ執着하며, 모든 迷妄(迷妄)의 根本이 되는 式(識). 第7式과 相應(相應)하는 것은 아치(我癡)ㆍ我見(我見)ㆍ我慢(我慢)ㆍ我愛(我愛)의 4煩惱, 5徧行(遍行)ㆍ別徑(別境)의 慧(慧)ㆍ臺數혹(大隨惑)의 8이다."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耘虛"[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BA790EB8298EC8B9Drowno1 末那識(末那識)]". 2013年 1月 28日에 確認"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2. 星雲 , " 末那識 ". 2013年 1月 28日에 確認
    "末那識: 末那,?梵語 manas 之音譯,意譯?意,思量之義。唯識宗將有情之心識立?八種,末那識??八識中之第七識。??執第八阿賴耶識?「我」之染?識。?與第六意識(梵 mano-vijn?na,意之識,乃依末那之識)區別,而特用梵語音譯稱?「末那識」。此識?與我癡、我見、我慢、我愛等四煩惱相應,?審第八阿賴耶識之見分?「我、我所」而執著,故其特質??審思量。又此識?我執之根本,若執著迷妄則造諸惡業,反之,則斷滅煩惱惡業,徹悟人法二空之?理,故稱染淨識,又稱思量識、思量能變識。且其自無始以來,微細相續,不用外力,自然而起,故其性質?「有覆無記」;乃不引生異熟果,?能覆聖道、蔽心性。
     法相宗依修行階段之淺深,而在末那識中立三位,稱?末那三位,?:(一)補特伽羅(梵 pudgala,?人)我見相應位,?末那識緣第八阿賴耶識而起人我見之位。如凡夫、二乘之有學、七地以前之菩薩等有漏心位。(二)法我見相應位,?末那識緣第八異熟識起法我見之位。此乃指凡夫、二乘及未得法空智果之菩薩位而言。(三)平等性智相應位,乃起無漏平等性智之位,?菩薩以法空觀入見道,又於修道位起法空智果及佛果。以上三位之中,前二位屬有漏之位,第三位則屬無漏之位。
     又依成唯識論卷五載,末那識之存在,可引用入楞伽經、解脫經二種?說,及六種道理證明之,此謂「二?六理」。二?,?:(一)入楞伽經卷九謂,思量之性,名意。(二)解脫經謂,染?意?時與諸惑俱生滅。六理,?:(一)不共無明證,謂第六識之作用雖有間斷,凡夫不共無明,則?無間斷而相續,故須有末那識。(二)六二緣證,前五識以前五根?所依,以前五境?所緣,第六意識亦須有末那識作?其所依之意根。(三)意名證,末那名意,因係?審思量,故末那識必須?存。(四)二定差別證,聖者所入之滅盡定與外道所入之無想定有所區別,因滅盡定無末那識,而無想定有末那識之存在。(五)無想有染證,修無想定而得生之無想天,雖無第六意識,但仍有我執,故須有末那識。(六)有情我不成證,凡夫行布施等善,不會成?無漏,無法脫離我執,乃因有末那識之故。〔入楞伽經卷八、瑜伽師地論卷六十三、顯揚聖?論卷一、成唯識論卷四、成唯識論述記卷四末、卷五本、卷五末、成唯識論樞要卷下、大乘義章卷三末〕" 認容 誤謬: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8610DTITLEA5BDA8BAC3D1 末那識]". 2013年 1月 28日에 確認"李 다른 콘텐츠로 여러 番 定義되었습니다
  3. 곽철환 2003 , " 末那識(末那識) ". 2013年 1月 28日에 確認
    "末那識(末那識): 末那(末那)는 산스크리트語 manas의 淫祀로, 의(意)라고 飜譯. 式(識)은 산스크리트語 vijn?na의 飜譯. 阿賴耶識(阿賴耶識)을 끊임없이 自我(自我)라고 誤認하여 執着하고, 阿賴耶識과 肉食(六識) 사이에서 媒介 役割을 하여 끊임없이 肉食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作用으로, 恒常 아치(我痴)·我見(我見)·我慢(我慢)·我愛(我愛)의 네 煩惱와 함께 일어남. 阿賴耶識에 貯藏된 種子(種子)를 이끌어 내어 認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생각과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나게 하는 마음 作用."
  4. 耘虛 , " 平等性智(平等性智) ". 2013年 1月 28日에 確認
    "平等性智(平等性智): 5紙(智)의 하나. 第7息을 전(轉)하여 얻은 無漏 智慧니, 通達位(通達位)에서 그 一部分을 證得하고, 佛果(佛果)에 이르러 그 全體를 證得한다. 一切 모든 法과 自己나 다른 油井들을 半連하여 平等 一如한 異性(理性)을 官하고 너와 나의 差別甚을 여의어 大慈大悲心을 일으키며, 菩薩을 위하여 여러 가지로 敎化하여 利益되게 하는 智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