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究竟覺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究竟覺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完全한 깨달음 에서 넘어옴)

三昧에 든 고타마 붓다 ( 石窟庵 )

究竟覺 (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1] final enlightenment , supreme enlightenment [2] )은 佛敎 의 修行이 完成되어 證得 (證得)하게 된 完全한 깨달음 을 가리키는데 곧 部處 의 狀態를 이룬 것이나 部處 가 되는 자리를 뜻한다. [3]

究竟覺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다.

  • 보리 (菩提) 또는 (覺), 또는 飜譯하여 깨달음
  • 妙覺 (妙覺) 또는 飜譯하여 妙한 깨달음 [4]
  • 妙覺地 (妙覺地)  · 妙覺解止 (妙覺海地)  · 妙果 (妙果) [5] [6]
  • 寂滅審 (寂滅心)  · 寂滅審墓各地 (寂滅心妙覺地) [7] [8]
  • 보리 (菩提)  · 대보리 (大菩提) 또는 飜譯하여 큰 깨달음 [9]
  • 般若 (般若)  · 마하반야 (摩訶般若) [10] [11]

여러 佛敎 宗派와 經典 에서는 究竟覺을 깨우치게 되는 選定 (禪定)도 擧論하는데 예컨대 《 華嚴經 》과 華嚴宗 의 敎義에 따르면, 海印三昧 (海印三昧)에 들면 비로소 究竟覺을 깨우쳐 部處 가 된다. 《 金剛經 》에 따르면, 錦江三昧 (金剛三昧)에 依據해, 《 數楞嚴經 》에 따르면, 修能嚴三昧 (首楞嚴三昧)에 依據해 究竟覺을 깨치게 된다.

大乘佛敎 의 主要 논서 中 하나인 《 大乘起信論 》에서는 時刻 (始覺), 卽 隨行 을 통해 證得 한 깨달음의 耕地 의 差異를 不恪 (不覺)  · 相似覺 (相似覺)  · 隨分覺 (隨分覺)  · 究竟覺(究竟覺)의 4角 (四覺)으로 나누어 說明하고 있다. [12] [13]

妙覺 [ 編輯 ]

妙覺 (妙覺)은 온갖 煩惱 (煩惱)를 끊어버린 部處 地位 佛敎 의 究竟覺(究竟覺)을 가리킨다. [4]

妙覺(妙覺)은 大乘佛敎 菩薩 修行階位 中 마지막의 不過 (佛果)를 가리키는데, 《 華嚴經 》에 나오는 41位 (四十一位)나 《 零落頃 》에 나오는 52位 (五十二位)의 마지막 地位 에 該當한다. [4] [14]

特히, 《 零落頃 》에 나오는 10信 (十信)  · 10週 (十住)  · 10行 (十行)  · 10回向 (十?向)  · 10址 (十地)  · 等角 (等覺)  · 妙覺 (妙覺)의 52位 는 《 華嚴經 》의 10週   · 10行   · 10回向   · 10址   · 佛智 (佛地)의 41位 에 基盤하여 成立된 菩薩 修行階位 로, 大乘佛敎 에서 널리 使用하고 있는 菩薩 修行階位 이다. 이들 修行階位 에 對한 敎義에 따르면, 等角菩薩 等角 地位 에 있는 修行者 가 마지막으로 남은 한 가지[一品] 無名 (無明), 卽 最初[元品]의 無名 , 卽 無視無名 (無始無明) 卽 原品無名 (元品無明) 卽 根本無明 (根本無明)을 끊고 妙覺의 地位 에 들어간다. [14] [15] [16] [17] [18]

妙覺(妙覺)은 妙覺地 (妙覺地)라고도 하며 또는 妙覺의 바다의 地位라는 뜻에서 妙覺解止 (妙覺海地)라고도 한다. [19] [20] 또한 寂滅審 (寂滅心) [21] 또는 寂滅審墓各地 (寂滅心妙覺地) [7] [8] 라고도 한다.

透理野 [ 編輯 ]

佛敎 는 古代 印度 思想에 기초해 태어난 宗敎라서 理論도 비슷한데, 서로 對比시켜 謀免, 人間인 欲界 (欲界), 天使인 色界 (色界), 新人 無色界 (無色界)는 中生 의 世界이고 透理野 (Turiya)의 世界에 태어난 이를 部處 라고 한다.

또 古代 印度 思想 中 힌두敎 의 敎義에서 透理野 유상삼매 (有想三昧), 一時性 無相三昧 (無想三昧), 完全한 無相三昧 (無想三昧)에서 經驗하는데 유상삼매 에서는 매우 努力해야 잠깐 透理野 에 들고 一時性 無相三昧 는 매우 努力하지 않아도 얼마間[一時] 동안 透理野 에 드는 境地이고 完璧한 無相三昧 에서는 자나 깨나 어디에서나 透理野 狀態가 持續된다.

師事撫愛 [ 編輯 ]

華嚴敎學 에서는 須彌山을 겨자씨에 넣을 수 있는 神通力을 師事撫愛라고 하며, 그러한 神通力을 가진 이들이 사는 法階를 사사무애법계라고 한다. 이 境地가 佛敎의 最高 境地라고 한다. 維摩經 에서는 須彌山을 겨자씨에 넣을 수 있는 神通力을 不可思議解脫이라고 한다. 涅槃經 에서는 釋迦牟尼가 大涅槃에 머무른 이는 須彌山을 겨자씨에 넣을 수 있다고 說法한다.

維摩經에는 不可思議解脫을 다양한 境遇로 說明하는데, 華嚴敎學 에서 新羅 義湘大師 의 스승인 至嚴스님 은 十玄門 中에서 微細商用안立門(微細相容安立門)李 須彌山을 겨자씨에 넣는 것이며, 十玄門 中에서 한가지만 可能하면 나머지 아홉도 自由自在하게 된다고 한다. 卽, 維摩經의 不可思議解脫 中에서 單 한가지 神通力만 可能하면, 나머지도 다 可能하다는 것이다. 韓國佛敎에서 가장 重要視하는 金剛經 의 大勝正宗分에서, 釋迦牟尼는 師事撫愛를 冥想하라고 가르친다.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高麗大藏經硏究所 , " 究竟覺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究竟覺 究竟覺:
    * ⓟ
    * ⓣ
    * ⓢ
    * ⓔultimate enlightenment
    1]3角(覺), 4角(覺), 5角(覺) 中의 하나. 無明(無明)의 煩惱를 完全히 없애고 本覺(本覺)의 理致를 體得한 境地."
  2. 佛門網 , " 究竟覺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究竟覺: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Supreme enlightenment, that of Buddha; one of the four kinds of enlightenment in the 起信論 Awakening of Faith.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究竟之覺證,?指佛果。又作無上覺、正覺、大覺。乃大乘起信論所說「始覺」四覺之一。?始覺中之究竟位。?菩薩覺證妄心之本源,始覺之智與本覺之理相契合之覺悟。蓋證得佛果者,能覺了染心之源,遠離微細之念,故得徹見心性,其心常住,故稱其覺?究竟覺。 又以此覺之位乃斷盡無明之惑,通達諸法之實相,至最上至極之位,故稱究竟位,?佛果位。反之,金剛?定以下之覺,?未能究竟覺證心源,故稱非究竟覺。此外,一切之心相終究幻滅,非指心體之滅,稱?究竟滅。大乘起信論(大三二?五七八上):「若心滅者,云何相續?若相續者,云何說究竟滅?」〔成唯識論卷九、大明三藏法數卷九、卷二十一〕
    頁數: p2988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究竟?決定終窮之義也。謂能覺了染心之源,究竟終窮,同於本覺,故名究竟覺。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圓?極果,妙覺位中,無明之惑?盡,本覺之體全彰,得心見性,心?常住,是名究竟覺。
    出處: 明,一如《三藏法數》字庫
    解釋: 謂妙覺、佛,菩薩地盡,滿足方便,覺心初起,心無初相,以遠離微細念故,得見心性,心性?常住,是名究竟覺。(覺心初起者,謂覺知第八識心初起無明之妄惑也。心無初相者,至此究竟位中,達法性之底,窮無明之源,離念寂靜,則心無初動之相也。得見心性者,妄?窮源,則見本覺?心之性矣。心?常住者,心源?極,了無起滅,湛然常住也。)"
  3. 耘虛 , " 究竟覺(究竟覺)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究竟覺(究竟覺): 4角(覺)의 하나. 修行이 끝나서 얻은 구경의 깨달음, 곧 부처가 되는 자리."
  4. 耘虛 , " 妙覺(妙覺)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妙覺(妙覺): 不過(佛果)를 말한다. 菩薩 遂行의 地位 點差인 52位(位)나 41位의 마지막 地位. 等各位(等覺位)에 있는 菩薩이 다시 1品의 무명을 끊고 이 地位에 들어간다. 온갖 煩惱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자리."
  5. 軸불念 漢譯 & T.1485 , 下卷 〈7. 對中數學品(大衆受學品)〉. p. T24n1485_p1021c21 - T24n1485_p1022a15 . 5住持番腦(五住地煩惱)
    "從十信乃至十向。自然流入平等道。無得一相?實觀。一照相入初地道。佛子。復從是地正觀一照智中。入百萬阿僧祇功德門。於一相觀中一時行。乃至第十地。心心寂滅自然流入無垢地。佛子。復從是地以一照智。了一切業因業果法界無不一觀。以智知一切?生識始起一相住於緣。順第一義諦起名善背第一義諦起名惑。以此二?住地故。名生得善生得惑。因此二善惑?本。起後一切善惑。從一切法緣生善惑名。作以得善作以得惑。而心非善惑。從二得名故善惑二心。起欲界惑名欲界住地。起色界惑名色界住地。起心惑故名無色界住地。以此四住地。起一切煩惱故。?始起四住地。其四住地前更無法起故。故名無始無明住地。金剛智知此始起一相有終。而不知其始前有法無法云何。而得知生得一住地作得三住地。唯佛知始知終。是無垢菩薩一切智齊知自地。常住第一義諦中。自然流入 妙覺海地 。佛子。住是 妙覺地 中。唯現化可名。有無量義有無量名其出一體所謂 妙果 常住?淨至若虛空。不可思議不可說不可名數。不可名入界分可得。"
  6. 軸불念 漢譯, 老慧能 飜譯 & K.530, T.1485 , 下卷 〈7. 對中數學品(大衆受學品)〉. pp. 57-58 / 62 . 5住持番腦(五住地煩惱)
    "十信(十信)에서부터 十香(十向)에 이르기까지 自然히 平等의 도(道)에 흘러들지만, 日常(一相)을 얻는 것은 아니고 眞實하게 일祖上(一照相)을 關하여 草地(初地)의 道에 들어가느니라.
    佛子餘, 다시 이 지(地)에서 바르게 一助地(一照智)를 關하는 가운데 百萬 阿僧祇의 功德文에 들어가느니라. 日想觀 中에서 一時에 行하여 나아가 第十地(第十地)에 이르기까지 온갖 마음이 寂滅하여 自然히 舞具地(無垢地)에 흘러드느니라.
    佛子餘, 다시 이 誌에서 一助地로써 一切의 業因業과(業因業果)를 명료히 理解하되 法階를 하나로 管夏至 않음이 없느니라. 그것은 智慧로써 一切 衆生의 式(識)李 처음 日常(一相)을 일으켜 鳶(緣)에 머무는 것을 아는 것이니라. 第一義諦(第一義諦)에 따라서 일어남을 線(善)이라 하고 第一義諦를 등지고 일어남을 煩惱라고 이름 하느니라. 이 두 가지를 가지고 주지(住地)로 하기 때문에 生得(生得)의 선(善), 生得의 煩惱라고 하고, 이 두 가지 善과 煩惱를 根本으로 하기 때문에 後의 一切 善惡을 일으키느니라. 一切法의 年(緣)에 따라서 善과 煩惱의 이름이 생기고, 行爲 함으로써 線을 얻고 行爲 함으로써 煩惱를 얻지만 마음은 線도 아니고 煩惱도 아니니라. 이 두 가지를 따라 이름을 얻기 때문에 線과 煩惱의 두 가지 마음이 있느니라. 欲界의 煩惱를 일으키는 것을 欲界주지(欲界住地)라고 이름하고, 色界의 煩惱를 일으키는 것을 色界주지(色界住地)라고 이름 하며, 마음[心]의 煩惱를 일으키므로 無色界주지(無色界住地)라고 이름 하느니라. 이 네 가지 주지(住地)로써 日誌(一地)의 煩惱를 일으키므로 처음 일어나는[始起] 것을 사주지(四住地)라고 하고, 이 사주지 앞에 다시 法이 일어나는 것이 없기 때문에 無視(無始)의 無名州地(無明住地)라고 하느니라. 金剛砥(金剛智)로써 이 처음으로 일어나는 日常(一相)은 끝이 있음을 아느니라. 그러나 또한 그 最初의 앞에 法이 있는지 法이 없는지 어떠한지를 알지 못하지만, 先天的으로 얻는 一周地(一住地)와 行爲 함으로써 얻는 삼주地(三住地)를 알 수 있는 것은 오직 부처님만이 始作을 알고 끝을 알 수가 있느니라. 이 無垢(無垢)菩薩은 一切智로써 가지런히 자지(自地)를 알고 恒常 第一義諦 속에 머물면서 自然히 妙覺解止 (妙覺海地)로 흘러 들어가느니라.
    佛子餘, 이 妙覺地 (妙覺地) 中에 머물러 오직 禍(化)라고 이름 지을 수 있는 것을 나타내자면 헤아릴 수 없는 뜻이 있고 헤아릴 수 없는 이름이 있느니라. 그 가운데 一切(一體)를 出生하면 이른바 妙果 (妙果)가 恒常 淸淨하게 머무는 것이 虛空과 같아서 생각할 수 없고 말할 수 없으며, 이름으로 헤아릴 수 없고 이름으로 들어갈 수 없으나 寡婦(果分)은 얻을 수 있느니라."
  7. 軸불念 漢譯 & T.1485 , 商圈. p. T24n1485_p1015c09 - T24n1485_p1015c15 . 寂滅審墓各地(寂滅心妙覺地)
    "佛子。第四十二地名 寂滅心妙覺地 常住一相。第一無極湛若虛空。一切種智照達無生有諦始終。唯佛窮盡?生根本有始有終。佛亦照盡乃至一切煩惱一切?生果報。佛一心念稱量盡原。一切佛國一切佛因果。一切佛菩薩神變。亦一念一時知住不可思議二諦之外獨在無二。"
  8. 軸불念 漢譯, 老慧能 飜譯 & K.530, T.1485 , 商圈. pp. 29-30 / 62 . 寂滅審墓各地(寂滅心妙覺地)
    "佛子餘, 第四十이지(第四十二地)를 寂滅審墓各地 (寂滅心妙覺地)라고 이름하느니라. 恒常 한 模樣에 머물러 第一無極(第一無極)이며, 淡淡하기가 虛空과 같으니라. 一切種智로써 存在가 생겨남이 없는 眞理의 처음과 끝을 널리 비치는데, 오직 부처님만이 衆生의 根本과 有始有終(有始有終)을 窮究하여 다하셨느니라. 부처님은 또 一切 煩惱와 一切 衆生의 果報를 다 비추어 보시고 부처님은 또 일心念(一心念)으로써 헤아리고 根源을 다하시며, 모든 佛國土와 모든 불의 因果와 모든 菩薩의 神通 變化까지도 또한 한 생각, 한 瞬間에 다 알고 不可思議한 이제(二諦)의 밖에 머물러 홀로 存在하시며 둘이 없느니라."
  9. 호법 等 지음, 現場 漢譯, 김묘주 飜譯 & K.614, T.1585 , 第1卷. p. 2 / 583 . 涅槃(涅槃)과 보리(菩提)
    "두 가지 功을 證得하면, 그 障礙도 따라서 끊어진다. 障礙를 끊는 것은 두 가지 뛰어난 證果(涅槃  · 보리)를 얻기 위해서이다. 12)
    12) 我空의 道理를 깨쳐서 煩惱障을 끊으면 解脫, 卽 涅槃을 證得한다. 法空의 道理를 깨쳐서 所知障을 끊으면 곧 큰 깨달음[大菩提]을 成就해서 붓다가 된다."
  10. 耘虛 , " 般若(般若)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般若(般若): 【汎】 prajn? 般若(班若)ㆍ바야(波若)ㆍ발야(鉢若)ㆍ반라야(般羅若)ㆍ발랄야(鉢剌若)ㆍ발라지양(鉢羅枳孃)이라고도 쓰며, 慧(慧)ㆍ名(明)ㆍ智慧(智慧)라 飜譯. 法의 참다운 理致에 契合한 最上의 智慧. 이 般若 를 얻어야만 成佛하며, 般若 를 얻은 이는 부처님이므로 반야는 모든 부처님의 스승 또는 어머니라 일컬으며, 또 이는 法의 如實한 理致에 契合한 平等ㆍ絶對ㆍ無念(無念)ㆍ無分別日 뿐만 아니라, 반드시 相對 差別을 觀照하여 衆生을 敎化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이 特色이다. 이를 普通 2種ㆍ3種ㆍ5種 等으로 나눔."
  11. 星雲 , " 摩訶般若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摩訶般若:  梵語 mah?prajn?。mah?,意?大;prajn?,意?慧。摩訶般若?照了諸法實相,最極最勝之大智慧。禪苑?規卷十(卍續一一一?四六五上):「若未悟摩訶般若者,但依佛語修行。」〔唯識樞要卷上本〕 p6080"
  12. 耘虛 , " 四覺(사각)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四覺(사각): 時刻(始覺)의 內容을 4位(位)로 區分한 것. (1) 不恪(不覺). 視角의 第 1報(步)로 이미 業因果報(業因果報)의 理致를 깨달은 地位, 아직 혹(惑)을 끊는 智慧가 생기지 않은 자리. (2) 相似覺(相似覺). 我執(我執)을 여의고, 아공(我空)의 理致를 깨달은 地位, 아직 眞覺(眞覺)을 얻지 못한 자리. (3) 隨分覺(隨分覺). 草地(初地)인 正心紙(淨心地)에 들어가 一切 모든 法은 다 侑食(唯識)의 소현(所現)임을 깨닫고, 法執(法執)을 끊고 眞如 法身을 日分一分(一分一分)씩 깨달아 가는 地位. (4) 究竟覺(究竟覺). 根本 無明(無明)을 끊고, 絶對의 眞覺(眞覺)을 얻어 本覺(本覺) 自身이 나타난 자리. ⇒相似覺(相似覺)"
  13. 耘虛 , " 始覺(視覺)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始覺(視覺): ↔ 本覺(本覺). 『大乘起信論(大乘起信論)』에서 本覺, 곧 一切 有情(有情)ㆍ非情(非情)에 통하여 그 自省 本體로서 갖추어 있는 如來장진여(如來藏眞如)에 對하여, 道路 그 本覺이 修行의 功(功)을 가자(假藉)하여 角症(覺證)韓 各(覺)을 視角이라 函. 그러므로 本覺과 視角의 各體(覺體)는 다르지 않으나, 다만 地位가 같지 않으므로 本覺ㆍ視角의 이름을 붙인 것. 例를 들면 땅 속에 묻힌 金덩이를 本覺이라 하면, 努力하여 파낸 金덩이는 視角. 그 自體는 同一한 金덩이. ⇒地法新(智法身)"
  14. 星雲 , " 妙覺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妙覺:  ?大乘菩薩修行五十二階位之一,四十二位之一。指覺行圓滿之究竟佛果,故亦?佛果之別稱。又稱妙覺地。?究極理想境地之表現;係由等覺位更斷一品之無明,而得此妙覺位。於此位能斷盡一切煩惱,智慧圓妙,覺悟涅槃之理。
     天台四?儀一書說明別、圓二?妙覺位之差異,謂別?之妙覺位坐於蓮華藏世界七寶菩提樹下大寶華王座,現圓滿報身,?鈍根菩薩轉無量四諦之法輪;圓?之妙覺位則以虛空?座,成就?淨法身,居於常寂光土。〔菩薩瓔珞本業經卷上賢聖學觀品、大佛頂首楞嚴經卷八、四?義卷五、卷六、法華玄義卷四下、卷五上、大乘四論玄義卷二〕 p2857"
  15. 星雲 , " 無始無明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無始無明:  謂無始以來??常存在之無明。?生死流轉之根本惑體。平等法界之理不達,妄隔平等之理性,稱?無明;又如是闇惑之心,隔離理性,故又作間隔。依此無明之間隔而生種種煩惱,造種種業,受種種果報。故勝?經、大乘起信論等諸經論稱?無始無明,菩提心論則稱?無始間隔。關於無始之名,有如下三種解釋:(一)就因緣生之理而言,謂凡一切有?法,乃因緣和合而生,現世之果,由前世之因而生;前世之果,更由前世之因而生,如是推究,故知無初始,若以?有初始,?是無因生之外道,而非佛法。(二)就惑體相依之義而言,謂枝末無明依根本無明,根本無明依?如,此乃緣起法自然之理。此時無明?惑之根本,無明之先更無初始之惑法,故稱?無始。依此釋,則無始?根本之異稱,以成無明有始之義。依此義,大乘起信論以忽然念起?無明;天台家稱?元品無明,大乘起信論之注疏家則稱?根本無明。故如忽然、元品、根本等,皆?有始之異稱。大乘經論所說,多依此義。此?去妄歸?之一種?法。乃「權大乘」之義。(三)就?妄同體之義而言,謂?如與無明,乃一法之異稱,如水與?,?之自性??水,無明之自性???如。非先?水而後??,如言先?水,則僅??法之方便說而已。〔圓覺經、勝?寶窟卷中末、大乘起信論義記卷下末〕(參閱「無明」5094) p5090"
  16. 耘虛 , " 無始無明(無視無名)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無始無明(無視無名): 原品無名(元品無明)과 같음."
  17. 耘虛 , " [1]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元品無明(原品無名): 根本無明(根本無明)ㆍ無視무명(無始無明)이라고도 函. 美(迷)의 根源인 無知(無知), 곧 愚癡한 것을 無名이라 하고, 그 無名에 거칠고 微細한 分別이 있으므로 天台宗(天台宗)에서 이를 12種(別敎) 或은 42種(원교)에 나누고, 그 中에 가장 微細한 맨 처음의 무명을 原品이라 函. 이는 一切 衆生의 美(迷)의 처음 根本이므로 根本無明, 眞如가 비롯이 없는 것과 같이 이것도 비롯이 없는 存在이므로 無視無名이라 函. 그러므로 이를 다 끊으면 今方 부처를 이룸."
  18. 곽철환 2003 , " 原品無名(元品無明) ". 2013年 5月 6日에 確認
    "原品無名(元品無明): 있는 그대로의 참모습을 깨닫지 못하여 差別을 일으키는 原初的 煩惱."
  19. 軸불念 漢譯 & T.1485 , 商圈. p. T24n1485_p1010b24 - T24n1485_p1010b27 . 本業零落(本業瓔珞)
    "佛念吾等建立大志。乃悉現我諸佛世界所有好惡殊勝之土。佛所遊居闡隆導化。光明神足?誨我等開示我意。佛本業瓔珞十住十行十向十地無垢地 妙覺地 。"
  20. 軸불念 漢譯, 老慧能 飜譯 & K.530, T.1485 , 商圈. p. 2 / 62 . 本業零落(本業瓔珞)
    "부처님이시여, 저희들이 큰 뜻을 세운 것을 생각하여 주시고, 또한 저희들에게 모든 부처님 世界에 있는 좋거나 나쁘거나 殊勝한 國土를 나타내어 住所서. 부처님께서 노니시는 곳마다 敎化를 일으키시며, 빛나는 神通力으로써 저희들을 가르치고 일깨우시며 저희들의 뜻을 열어보여 住所서. 저희들을 위해 부처님의 本業零落(本業瓔珞)인 十住(十住)ㆍ十行(十行)ㆍ十廻向[十向]ㆍ十地(十地)ㆍ舞具地(無垢地)ㆍ 妙覺地 (妙覺地)를 말씀해 住所서."
  21. 星雲 , " 五十二位 ". 2013年 4月 9日에 確認
    "五十二位:  大乘菩薩之五十二種階位。?十信、十住、十行、十?向、十地、等覺、妙覺。此等菩薩之階位,諸經論所說不一,如華嚴經說十住、十行、十?向、十地、佛地等四十一位;仁王經卷上菩薩?化品說十善、三賢三十心、十地、佛地等五十一位;菩薩瓔珞本業經則?前位十信與四十二賢聖位,稱?十信心、十心住、十行心、十?向心、十地心、入法界心、 寂滅心 ;大佛頂首楞嚴經卷八更於十信之前說乾慧地,於十?向之後加煖、頂、忍、世第一法等四善根,合?五十七階位。其中,瓔珞經所?之五十二位名義整足,位次無缺,故自古廣?大乘諸家所採用,其名數?:(一)十信心,?信心、念心、精進心、慧心、定心、不退心、?向心、護法心、戒心、願心。(二)十心住,?發心住、治地心住、修行心住、生貴心住、方便心住、正心住、不退心住、童?心住、法王子心住、灌頂心住。(三)十行心,?歡喜心行、饒益心行、無瞋恨心行、無盡心行、離癡亂心行、善現心行、無著心行、尊重心行、善法心行、?實心行。(四)十?向心,?救護一切?生離相?向心、不壞?向心、等一切佛?向心、至一切處?向心、無盡功德藏?向心、隨順平等善根?向心、隨順等觀一切?生?向心、如相?向心、無縛解脫?向心、法界無量?向心。(五)十地心,?四無量心、十善心、明光心、焰慧心、大勝心、現前心、無生心、不思議心、慧光心、受位心。第四十一地之心稱?入法界心,??等覺。第四十二地之心稱?寂滅心,??妙覺。此中,十住、十行、十?向、十地、等覺與妙覺,依次配習種性、性種性、道種性、聖種性、等覺性、妙覺性等。〔梁譯攝大乘論釋卷七、瑜伽師地論略纂卷十二、法華經玄義卷四下、成唯識論述記卷九末、菩薩戒義疏卷上、華嚴經探玄記卷五至卷十四〕(參閱「菩薩階位」5221) p10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