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無償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無償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永遠하지 않은 것 에서 넘어옴)

無償 (無常) 또는 非常 (非常)은 끊임없이 變化하고 生滅(生滅)하며 時間的 持續性이 없음을 말한다. 卽 永遠하지 않은 것 을 말한다. [1] [2] [3] [4]

佛敎 에서는 一般的으로 諸行無常 (諸行無常)이라는 命題로써 無常을 說明한다. 諸行無常은 佛敎의 根本敎義를 나타내는 3法인 (三法印)의 하나로, 모든 것은 生滅變化(生滅變化)하여 變遷해 가며 暫時도 같은 狀態에 머무르지 않고 마치 이나 歡迎 이나 허깨비 처럼 實體 가 없는 것을 말한다. [5] 卽, 이 現實世界 의 모든 것은 每瞬間마다 生滅  · 變化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恒常不變(恒常不變)한 것은 單 하나도 存在할 수 없다는 것이 現實 實狀 (實相)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一切는 無償한데 사람은 賞(常)을 바란다. 거기에 矛盾 이 있고 (苦)가 있다. 佛敎 經典에 "無常한 까닭에 고인 것이다"라고 說明되어 있는 것과 같이 無償은 의 前提이다. [2]

또 現實을 그와 같이 認識하는 것을 無常觀 (無常觀)이라고 하며 無償의 덧없음은 夢幻泡影路奠(夢幻泡影露電:   · 幻想   · 물거품   · 그림자   · 이슬   · 번개 )에 比喩되어 佛敎的 人生觀의 特色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無常觀은 單純히 悲觀的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賞에 對하여 悲觀하거나 기뻐하는 것 自體가 賞이며, 그것 自體가 存在하지 않는 것임을 뜻하는 것이다. 無常하기 때문에 人間은 地位나 名譽에 執着하는 貪慾을 버리고 오늘 하루의 所重한 生命을 訪日(放逸)함이 없이 精進努力(精進努力)하려는 精神的인 決意가 생겨나게 되며, 이러한 것이 無常觀의 참된 뜻이다. [2]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耘虛 , " 非常(非常) ". 2013年 1月 6日에 確認
    "非常(非常): 또는 無償(無常). 恒常不變(恒常不變)하지 못하는 것. 곧 恒常하지 않음."
  2. 宗敎·哲學 > 世界의 宗敎 > 불 校 > 佛敎의 思想 > 根本佛敎의 思想 > 無償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
    "無償: 無常 無償이란 끊임없이 變化하고 生滅(生滅)하며 時間的 持續性이 없음을 말한다. 佛敎에서는 一般的으로 '諸行無常(諸行無常)'이라는 命題로써 無常을 說明한다. 卽 이 現實世界의 모든 것은 每瞬間마다 生滅, 變化하고 있다. 거기에는 恒常不變(恒常不變)이란 것은 하나도 存在할 수 없다. 이와 같은 現實의 實相(實相)李 諸行無常으로써 標示되었다. 그러나 一切는 無償한데 사람은 賞(常)을 바란다. 거기에 矛盾이 있고 고(苦)가 있다. 經典에도 "無常한 까닭에 고인 것이다"라고 說明되어 있는 것이 그것이며 無償은 故意 前提라고 했다. 또 現實을 그와 같이 認識하는 것을 無常觀(無常觀)이라고 하며 無償의 덧없음은 夢幻泡影路奠(夢幻泡影露電)에 比喩되어 佛敎的 人生觀의 特色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無常觀은 單純히 悲觀的인 덧없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無常하기 때문에 人間은 地位나 名譽에 執着하는 貪慾을 버리고 오늘 하루의 所重한 生命을 訪日(放逸)함이 없이 精進努力(精進努力)하려 하는 精神的인 決意가 생겨나게 되며 그것이야말로 佛敎의 眞意(眞意)라고 하는 것이다."
  3.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2卷. p. T29n1558_p0013a18 - T29n1558_p0013a20 . 上·無償 分別
    "十八界中無有一界全是常者。唯法一分無?是常。義准。無常法餘餘界。"
  4.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2卷. p. 109 / 1397 . 上·無償 分別
    " 18係 가운데 어떠한 啓導 그 全部가 永遠한 것 [常]은 아무것도 없으며, 오로지 法階 의 一部인 無爲法 만이 永遠 하다. 그리고 이러한 뜻에 準하여 본다면, 無償 [無常]韓 것은 無爲法 을 除外한 그 밖의 法階 와 다른 餘他의 [17]契이다."
  5. 世界史上 > 사 上 龍 어 > 東洋思想 關係 > 佛敎 關係 > 無償 , 《 글로벌 世界 大百科事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