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심의식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심의식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心識론 에서 넘어옴)

심의식 (心意識)은 (心)  · (意)  · (識)의 세 낱말을 합친 複合語이다. [1] [2] [3] [4]

  • (心)은 산스크리트語 치타 (citta)의 번역어로 질다 (質多)라고도 音譯하며, 什器 (集起)를 뜻한다.
  • (意)는 산스크리트語 마나스 (manas)의 번역어로 末那 (末那)라고도 音譯하며, 사량 (思量)을 뜻한다.
  • (識)은 산스크리트語 비즈냐나 (vijn?na)의 번역어로 비야남 (毘若南)이라고도 音譯하며, 要별 (了別)을 뜻한다.

什器 (集起)는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李 마음作用 (心所法)을 비롯한 (身)  · (口)  · (意) 3업 (三業)을 쌓고 일으키는 側面 또는 能力이 있는 것을 말한다. 사량 (思量)은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李 過去, 卽 以前까지 쌓은 原因을 바탕으로 現在의 認識 對象 또는 마음作用 對象에 對해 이모저모로 생각하고 헤아리는 側面 또는 能力이 있는 것을 말한다. 要별 (了別)은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李 사량(思量)을 바탕으로 現在의 認識 對象 또는 마음作用 對象에 對해 ' 아는 것 '을 말한다. 例를 들어, 파란色이 소리가 아니라 色깔인줄 알며 나아가 노란色이 아니라 파란色인줄 아는 것을 말한다. [1] [2] [3] [4] [5]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心)  · (意)  · (識)의 側面 또는 能力에 對한 思想인 심의식 史上 (心意識思想)에서의 見解 差異는 部派佛敎 大乘佛敎 를 區別짓는 主要 思想的 側面들 中의 하나이다. [6]

槪要 [ 編輯 ]

(心)은 산스크리트語 치타(citta)의 번역어로 '新  · 區  · 의 3업(三業)을 쌓고 일으킨다'는 뜻의 什器 (集起)를 뜻하고, (意)는 산스크리트語 마나스(manas)의 번역어로 '過去에 쌓은 原因, 卽 業에 바탕하여 생각하고 헤아린다'는 뜻의 사량 (思量)을 뜻하며, (識)은 산스크리트語 비즈냐나(vijn?na)의 번역어로 '對象을 안다'는 뜻의 要별 (了別)을 뜻한다.

例를 들어, "야! 이 OST 正말 아름다운데! 어떤 歌手가 불렀을까? 音源을 어디에서 求할 수 있을까? 인터넷에서 檢索해서 찾아보고 音源購入處에서 다운로드를 받아야겠다"라고 할 때, 그 OST가 아름답다고 아는 것은 要별 (了別), 卽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要별作用 또는 尿別能力이고, 歌手가 누군지 그리고 音源을 어디서 求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 것은 사량 (思量), 卽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사량作用 또는 사량能力이고, 檢索과 다운로드를 해야겠다고 마음먹는 것(卽, 意志를 가지는 것)과 實際로 몸과 마음을 움직여 인터넷 檢索을 行하고 音源을 다운로드 받는 것은 什器 (集起), 卽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什器作用 또는 什器能力이다. [7]

크게 보면, 심의식(心意識), 卽 (心)  · (意)  · (識)은 모두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과 關聯된 것이므로, 심의식 (心意識)이라고 統稱하여 稱할 때나 (心)  · (意)  · (識) 個別로 稱할 때나 모두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3] [4]

하지만 細部的으로는 (心)  · (意)  · (識)의 個別에 對하여 이들이 具體的으로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어떤 面을 가리키는가에 對해서는 部派佛敎 大乘佛敎 間에 見解 差異가 있으며, 또한 이렇게 差異가 나는 大乘佛敎 의 見解에서도 다시 差異가 있다. 그럼에도 不拘하고, (心)李 什器(集起)를 뜻하고, (意)가 사량(思量)을 뜻하고, (識)李 要별(了別)을 뜻한다는 것에는 部派佛敎 大乘佛敎 모두가 意見을 같이 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에 什器 , 사량 , 要별 의 作用 또는 側面이 갖추어져 있다는 것에는 모두가 見解를 같이 하지만,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의 어떤 作用 또는 側面을 什器 라고 하고 사량 이라고 하고 要별 이라고 하는 가에 對해서는 意見이 갈린다. [2]

審: 什器 [ 編輯 ]

什器 (集起)는 심의식(心意識) 가운데 (心)의 산스크리트語 原語인 치타 (citta)를 뜻에 따라 飜譯한 것이다. 치타(citta)의 語源인 치트(cit)는 '생각하다, 理解하다'의 뜻이지만, 다시 이것은 '쌓다'라는 뜻의 치(ci)에서 由來한 것으로, 이 本來의 語源에 따라 '什器(集起)'라고 飜譯한 것이다. [4]

什器 (集起)라는 漢字語의 文字 그대로의 뜻은 '쌓고 일으킨다'로,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李 마음作用 (心所法)을 비롯한 (身)  · (口)  · (意) 3업 (三業)을 쌓고 일으킨다는 것을 말한다. 달리 말하면,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은 몸과 말과 마음을 使用하여 原因을 쌓으며 또한 이렇게 쌓은 原因을 바탕으로 行爲를 일으키는 能力 或은 側面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能力과 그 作用을 統稱하여 什器 (集起)라고 한다. [1] [2] [4] [5]

의: 사량 [ 編輯 ]

사량 (思量)은 심의식(心意識) 가운데 (意)의 산스크리트語 原語인 마나스 (manas)를 뜻에 따라 飜譯한 것이다. 마나스(manas)의 語根인 萬(man)은 '생각하다'의 뜻으로 이에 따라 '사량(思量)'이라 飜譯한 것이다. [4]

사량 (思量)이라는 漢字語의 文字 그대로의 뜻은 '생각하고 헤아린다'로,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은 前刹那 意根 (意根), 卽 바로 直前까지 什器 (集起)했던 行爲의 總體, 卽 바로 直前까지의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 卽 바로 直前까지 蓄積된 모든 經驗을 土臺로 現在의 認識 對象 또는 마음作用 對象에 對해 이모저모로 생각하고 헤아리는 能力 또는 側面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能力과 그 作用을 統稱하여 사량 (思量)이라고 한다. [1] [2] [4] [5]

式: 要별 [ 編輯 ]

要별 (了別)은 심의식(心意識) 가운데 (識)의 산스크리트語 原語인 비즈냐나 (vijn?na)를 뜻에 따라 飜譯한 것이다. 비즈냐나(vijn?na)는 '다르게 알다'라는 뜻의 비즈냐(vijn?)에서 由來한 낱말로 이에 따라 '要별(了別)'이라 飜譯한 것이다. [4]

要별 (了別)이라는 漢字語의 文字 그대로의 뜻은 '분명하게 分別한다'로, 對象을 분명하게 區別하여 認識 (認識: 事物을 分別하고 判斷하여 앎 [8] )하는 것을 말한다. 卽 要별 (了別)은 對象을 아는 것 , 卽 을 말하는 것으로,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은 사량 (思量: 생각하고 헤아림)을 바탕으로 現在의 認識 對象 또는 마음作用 對象에 對해 아는 能力 또는 側面 또는 分別하는 能力 또는 側面 , 卽 知識의 能力 또는 側面 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1] [2] [4] [5]

例를 들어, 마음 (6式 또는 8式, 卽 心王, 卽 心法)은 파란色이 소리 가 아니라 色깔 인 줄 아는 能力과 파란色이 노란色과는 다른 色깔 인 줄 아는 能力을 지니고 있으며, 다른 例로는, 色깔 이 아니라 소리 인 줄 아는 能力과 와는 다른 소리 ( 音程 , 音높이 )인 줄 아는 能力을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能力과 그 作用을 統稱하여 要별 (了別: 아는 것, 知識)이라고 한다.

佛敎 傳統에서의 심의식 [ 編輯 ]

初期佛敎 [ 編輯 ]

(心)  · (意)  · (識)이라는 낱말은 初期佛敎 經典인 《 잡아함경 》에서 使用되고 있다. 《 잡아함경 》에 收錄된 고타마 붓다 의 說法에는, 마음 (心)  · (意)  · (識)이라는 3가지 名稱을 使用하여 가리키기도 하고 또한 6式 (六識)에 對해서도 言及하고 있다. 하지만 (心)  · (意)  · 의 差別性을 明確히 說明하거나 또는 이들의 差別性이 明確히 드러나 있는 說法이 없기 때문에, 《 잡아함경 》 自體에 依해서는 그 差異를 分明히 區別 할 수가 없다. 다만, (心)  · (意)  · (識)의 3가지가 서로 이름은 다르지만 그 本質 [體, 性]은 하나라는 것만은 確認할 수 있다. [9]

《잡亞合慶》에서 (心)  · (意)  · (識)이라는 낱말이 使用되고 있는 소경(小經)들로는 다음과 같은 卿들이 있다.

  • 《잡아함경》 第2卷 第35景 〈3정사경(三正士經)〉 [10] [11]
  • 《잡아함경》 第23卷 第604景 〈아육왕頃(阿育王經)〉 [12] [13]
  • 《잡아함경》 第33卷 第930景 〈者恭敬(自恐經)〉 [14] [15]
  • 《잡아함경》 第39卷 第1086景 〈마박경(魔縛經)〉 [16] [17]

위의 卿들 中 〈者恭敬(自恐經)〉에서는 고타마 붓다 는 다음과 같이 審(心)  · 의(意)  · 式(識)을 言及하고 있다.

佛告摩訶男。汝亦如是。若命終時。不生惡趣。終亦無惡。所以者何。汝已長夜修習念佛.念法.念僧。若命終時。此身若火燒。若棄塚間。風飄日曝。久成塵末。而 心意識 久遠長夜正信所熏。戒.施.聞.慧所熏。 神識 上昇。向安樂處。未來生天。 時。摩訶男聞佛所說。歡喜隨喜。作禮而去。



고타마 붓다 는 마하남에게 말하였다. 너도 그와 같아서, 목숨을 마친 뒤에도 惡臭 (惡趣: 나쁜 곳, 卽 5惡臭)에 태어나지 않을 것이요, 끝끝내 나쁜 일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너는 오랫동안 念佛 (念佛: 函, 6念, 8念, 10念意 하나)  · 染法 (念法: 函, 6念 , 8念 , 10念 의 하나)  · 念僧 (念僧: 僧伽 函, 6念 , 8念 , 10念 의 하나)의 隨行 을 닦고 익혀왔기[修習] 때문이다. 따라서, 목숨을 마치고 나서 이 몸이 불에 태워지거나 墓地에 버려져서 오랫동안 바람에 불리고 햇볕에 쪼여 마침내 가루가 된다 하더라도 (心) · (意) · (識)李 오랜 歲月 동안 바른 믿음 [正信]에 薰習(薰習)되었고, (戒) · 布施 [施] · 들音 [聞: 聞慧 , 有漏慧 3慧 中 하나] · 智慧 [慧, 無漏慧 ]에 薰習되었기 때문에 新式 (神識)은 위로 올라가 安樂한 곳으로 向해 갈 것이요, 未來에는 天常 (天上)에 태어나게 될 것이다."

? 《잡아함경》, 第33卷 第930景 〈者恭敬(自恐經)〉. 漢文本 & 한글本

部派佛敎 [ 編輯 ]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의 論死因 細雨 (世友)는 《 阿毘達磨品類族론 》에서 마음 [心]을 다음과 같이 定義하고 있다.

心云何。謂心意識。

此復云何。謂六識身。?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

마음[心]이란 무엇인가? 심의식(心意識)을 말한다.
이것[심의식]은 또 무엇을 말하는가? 6式[六識身, 6가지 式]을 말한다. [6式, 卽 6가지 式이란] 곧 安息(眼識)  · 移植(耳識)  · 鼻息(鼻識)  · 舌識(舌識)  · 新式(身識)  · 意識(意識)이다.

? 《阿毘達磨品類族론》, 第1卷, 〈1. 便誤사품(辯五事品)〉. 漢文本 & 한글本

部派佛敎 설일체유부 의 敎學을 批判的으로 集大成한 世親 (世親: 316~396)의 《 俱舍論 》에 따르면, (心)  · (意)  · (識)은 모두 마음 (卽 心王, 卽 心法)의 다른 이름일 뿐이며 本質은 同一하다. [4] 그리고 部派佛敎 에 따르면 마음 (卽 心王, 卽 心法)은 1가지로 單一한 것이만 그 作動 根據에 따라 安息   · 移植   · 鼻息   · 舌識   · 新式   · 意識 6式 ( 六識 )으로 나뉜다. [18]

卽, 部派佛敎 에서는 各種 마음作用 을 쌓고 일으키는 什器 (集起)의 作用으로서의 (心)과, 생각하고 헤아리는 사량 (思量)의 作用으로서의 (意)와, 對象을 認識하는 要별 (了別) 卽 앎 또는 分別의 作用으로서의 (識)의 各各이 모두 마음 (卽 心王, 卽 心法) 卽 6式 의 한 側面 또는 狀態일 뿐이라고 보았다. [2] [4]

그리고 部派佛敎 에서는 또한 다음과 같이 (心)  · (意)  · (識)에 對해 解釋하기도 한다.

(心)으로 飜譯되는 치타(citta)에는 치트라(citra, 種種)의 뜻이 있는데, 이것은 마음 (6式, 卽 心王, 卽 心法)에는 닦고 닦지 않음에 依해   · 不宣   · 武器 等 여러 段階의 差別이 存在한다는 것을 意味한다. 이러한 種種(種種)의 뜻에서는 마음 (心)이라고 한다. 그리고 種種(種種)의 뜻의 마음 , 卽 (心)은 現行하는 마음 卽 現行하는 認識의 根據가 되는 前刹那 意根 (意根)이 되어 現行하는 마음 의 소意志(所依止: 의지되는 者)가 되는데, 이러한 意根 (意根)의 뜻에서는 마음 (意)라고 부른다. 그리고 現行하는 마음 卽 現行하는 認識은 意根 (意根)의 뜻의 마음 , 卽 (意)를 依支하여 現在에 나타나므로 陵意志(能依止: 依支하는 者)가 되는데, 이러한 現行(現行)의 뜻에서는 마음 (識)이라고 부른다. [2] [4]

大乘佛敎 [ 編輯 ]

大乘佛敎 에서는 (心)  · (意)  · (識)이 모두 마음 (卽 心王, 卽 心法) 卽 6式 의 한 側面 또는 狀態일 뿐이라는 部派佛敎 의 見解에 同意하지 않는다. 大乘佛敎 에서는 (識)은 部派佛敎 에서 把握한 第6食人 意識 (意識)에 該當하지만 (意)와 (心)은 마음 의 더 깊은 層으로 6式 , 卽 全5式과 第6式의 다른 側面 또는 狀態가 아니라 各各 第7式과 第8式으로 別途로 設定하여야 한다고 본다. [2]

大乘佛敎 에서는 마음 (卽 心王, 卽 心法)李 1가지로 單一하며 (心: 什器)  · (意: 사량)  · (識: 要별)의 側面을 지니고 있다는 點에는 部派佛敎 와 意見을 같이하지만, 마음 (卽 心王, 卽 心法)을 6式 으로 나누는 部派佛敎 와는 달리 마음 (卽 心王, 卽 心法)을 8式 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見解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大乘佛敎 에서는 第6息은 部派佛敎 에서 使用하는 同一한 이름을 그대로 使用하여 意識 (意識)이라 명명하지만, 제7식인 (意)와 第8食人 (心)에 對해서는 別途의 이름을 附與하여 各各 末那識 阿賴耶識 이라 명명한다. [2]

이를 더 仔細히 說明하자면, 部派佛敎 에서는 마음   ·   · 또는 6式 이라고 할 때, 本來부터 6가지의 서로 다른 마음 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마음 은 本來 1가지로 單一한 것이지만 時刻 聽覺 이 서로 다르듯이 그 認識의 種類에는 差別이 있는데 그 差別에 따라 6式 으로 나누는 것이 便利하기에 그렇게 分類하는 것일 뿐이라고 본다. 卽   ·   · 또는 6式 (體)가 하나라고 본다. [18] [19] 이러한 理由로 설일체유부 5位 75法 法體系 에서 心法(心法)은 6式 을 하나로 묶은 1가지의 으로 構成되어 있다. 이에 비해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에는 마음   ·   · 또는 8式 (體)가 하나라는 心體一說 (心體一說) 또는 食滯一說 (識體一說)의 見解와   ·   · 또는 8式 各各에는 別途의 (體)가 있다는 心體別設 (心體別說) 또는 食滯別設 (識體別說)의 見解가 있다. 電子의 心體一說 또는 食滯一說 안혜 系統의 無償唯識派 (無相唯識派)의 見解이고, 後者의 心體別設 또는 食滯別設 호법 系統의 有償唯識派 (有相唯識派)와 中國의 法相宗 의 見解이다. [20] [21] 이러한 理由로 有識유가행派 (正確히 말하면, 有償唯識派)와 法相宗 5位 100法 法體系 에서 心法(心法)은 8式 에 該當하는 8가지의 으로 構成되어 있다.

有識유가행派 [ 編輯 ]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에서는 第8食人 阿賴耶識 의 種子(種子)를 積集하는 能力을 가지고 있으며 因緣 이 갖추어지면 積集된 의 種子가 現行의 狀態로 나타나게 된다고 主張하였으며 이러한 能力은 種種(種種)과 什器 (集起)의 뜻으로서의 (心)과 符合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제7식인 末那識 은 種子(種子)를 積集하는 能力을 가진 阿賴耶識 에 對해 잘못된 생각과 헤아림을 가져 阿賴耶識 을 '나[我]'로 執着하는 我執 (我執)을 가진다고 보았으며, 末那識 의 이러한 性格은 사량 (思量: 생각하고 헤아림)의 뜻으로서의 (意)와 符合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나머지 6式 , 卽 前5式 意識 (意識)은 對象을 認識하는 것이므로 要별 의 뜻으로서의 (識)과 符合한다고 보았다. [2]

이와 같이 大乘佛敎 有識유가행派 法相宗 에서는 阿賴耶識 (心)에, 末那識 (意)에, 前5式 과 第6 意識 (意識)을 合한 6式 (識)에 該當한다고 보았다. [2]

달리 말하면, 有識유가행派 에서는 (識)이란 視覺器官   · 聽覺器官   · 嗅覺器官   · 味覺器官   · 觸覺器官   · 思考力 을 媒介로 하는 6가지 認識機能, 卽 6式 (六識)을 말한다. 그리고 (意)는 이 6가지의 認識機能에 隨伴되는 自我意識 을 의미하는데, 이 自我意識을 末那識 (末那識)이라 한다. 마지막의 (心)은 普遍的인 認識機能의 根底에 있는 潛在意識 을 의미하는데, 이 潛在意識을 阿賴耶識 (阿賴耶識)이라 한다. [22]

그리고, 有識유가행派 에서는 (心)도 (意)도 모두 普遍的인 認識機能, 卽 넓은 意味의 (識)의 一部로 본다. 넓은 意味의 (識) 槪念에서, 6가지 認識機能 卽 6式 (六識)과 自我意識 末那識 (末那識)은 潛在意識 阿賴耶識 (阿賴耶識)에 對하여 '現在化된 式, 現行하는 式 또는 現世的인 式'이라는 意味에서 現行式 (現行識, prav?tti-vijn?na)이라 불리거나 [23] '阿賴耶識이 前變하여 現在 나타나 있는 式'이라는 意味에서 전식 (轉識)이라 불린다. [24] " 侑食 (唯識)"이라는 낱말에서의 (識)은 潛在意識 이 現在化된다는 것과, 現在化된 6式 (六識)의 現行하는 認識과 作用뿐 아니라 그 根底에 있는 自我意識 이나 潛在意識 을 모두 包括하여 (識)이라고 한 것인데, 이러한 點은 唯識學 의 特徵的인 事項이다. [22]

囚衣 蕙園 [ 編輯 ]

隋나라 蕙園 (慧遠: 523~592))은 《 大乘起信論의소 (大乘起信論義疏)》에서 有識유가행派 와는 多少 다른 見解를 表明하고 있는데, 그는 제8식인 阿賴耶識 (心)에 該當하며, 業式 (業識)  · 전식 (轉識)  · 現識 (現識)  · 知識 (智識)  · 相續式 (相續識)의 5의 (五意)가 第7食人 末那識 을 이루고 이 末那識 (意)에 該當하며, 前5式 과 第6 意識 (意識)을 合한 6式 (識)에 該當한다고 보았다. [25] [26] [27]

新羅의 元曉 [ 編輯 ]

新羅 元曉 (元曉: 617~686)는 《 起信論소 (起信論疏)》에서 5의 (五意) 中 業式 (業識)  · 전식 (轉識)  · 現識 (現識)李 第8食人 阿賴耶識 을 이루고 이 阿賴耶識 (心)에 該當하며, 5의 (五意) 中 知識 (智識)李 第7食人 末那識 을 이루고 이 末那識 (意)에 該當하며, 5의 (五意) 中 마지막 相續式 (相續識)李 第6食人 意識 (意識)을 이루고 이 第6 意識 前5式 과 第6 意識 (意識)을 統稱하는 (識)의 一部를 이룬다고 보았다. [25]

黨의 法匠 [ 編輯 ]

唐나라 法匠 (法藏: 643~712)은 《 大乘起信論의기 (大乘起信論義記)》에서 5의 (五意) 中 業式 (業識)  · 전식 (轉識)  · 現識 (現識)李 第8食人 阿賴耶識 을 이루고 이 阿賴耶識 (心)에 該當하며, 5의 (五意) 中 나머지 知識 (智識)  · 相續式 (相續識)李 第6食人 意識 (意識)을 이루고 이 第6 意識 前5式 과 第6 意識 (意識)을 統稱하는 (識)의 一部를 이룬다고 보았다. 그리고 法匠 은 第7食人 末那識 에 對해서는 言及하지 않았다. [25]

世親과 眞際 [ 編輯 ]

한便, 大乘佛敎 權의 이러한 見解들과는 相異한 見解로서, 大乘佛敎 의 主要 논사들 中 한 名인 世親 (世親: 316~396)의 《 佛性論 (佛性論)》의 眞際 (眞諦)의 韓譯本 의 第3卷에서는 前5式 과 第6 意識 (意識)을 合한 6式 (六識)을 (心)에 該當시키고, 아타나式 (阿陀那識) 卽 집知識 (執持識)을 (意)에 該當시키고, 阿賴耶識 (識)에 該當시키고 있다. [2] [25] 지론종 , 眞際 (眞諦) 系統의 攝論宗 , 그리고 天台宗 등에서는 아타나式 末那識 의 別名인 것으로 보았으며, 現場 (玄?) 系統의 法相宗 에서는 아타나式 阿賴耶識 의 別名인 것으로 보았다. [28] [29] [30]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各州 [ 編輯 ]

  1. 耘虛 , " 心意識(심의식) ". 2012年 10月 3日에 確認
    "心意識(심의식): 審(心)은 梵語 질다(質多)의 飜譯, 什器(集起)의 뜻. 의(意)는 梵語 末那(末那)의 飜譯, 사량(思量)의 뜻. 式(識)은 梵語 비야남(毘若南)의 飜譯, 要별(了別)의 뜻. 俱舍宗에서는 心王(心王)에 6式(識)을 세우고 心王의 作用에 對하여 그 이름을 달리 函. (1) 審(心). 온갖 心理 作用을 集合하여 人氣(引起)하므로 什器의 뜻이 있음. (2) 의(意). 여러 가지 大經을 헤아리고 생각하므로 사량의 뜻이 있음. (3) 式(識). 大經을 要별(了別)하는 뜻이 있으므로 式이라 函. 이 세 가지는 모두 6式의 다른 이름이라 函. 唯識宗에서는 8息을 통틀어 審ㆍ의ㆍ식의 세 뜻이 있다 函. 第8息은 온갖 種子를 모았고, 또 種子로 하여금 活動케 하므로 審(心)이라 하고, 제7식은 大經을 恒常 살펴 思量하는 뜻이 殊勝하므로 사량이라 하고, 전(前) 6息은 自己 앞의 大經을 잘 識別(識別)하는 作用이 殊勝하므로 式이라 이름한다 函. ⇒式(識)ㆍ心識(心識)"
  2. 星雲 , " 心意識 ". 2012年 10月 3日에 確認
    "心意識:  指心、意、識三者。心?梵語 citta 之意譯,音譯作質多,?集起之義。意?梵語 manas 之意譯,音譯作末那,?思量之義。識?梵語 vijn?na 之意譯,音譯作毘若南,?了別之義。大略言之,心是主體意與識是心作用之兩面。有關此詞之語意,大小乘論典有種種不同之說法。
     據俱舍宗,心、意、識三者?六識之異名,其體實?同一。?心(心王)能集起各種精神作用或業,故稱?心;心能思惟量度,故稱?意;心能了知識別,故稱?識。或謂心有種種差別(從梵語 citta 所導出之種種義)之義、意有起識所依止(所依止)之義、識有依託於意而起(能依止)之義。
     據大乘之解釋,心、意、識三者各別。唯識宗主張第八阿賴耶識能積集種子,故稱?心;第七末那識能思量起我執,故稱?意;前六識能認識對象,故稱?識。據大乘起信論載,阿賴耶識?心,五意?意,六識?識;其所異於唯識等說者,以意有五種別名,其餘說法均同。此外,佛性論卷三分別以六識心配於心,阿陀那識配於意,阿賴耶識配於識,亦異前述諸說。〔入楞伽經卷七、解深密經卷二、大毘婆沙論卷七十二、俱舍論卷四、瑜伽師地論卷六十二、成唯識論卷五、成實論卷五〕 p1407"
  3. 世親 兆, 現場 漢譯 & T.1558 , 第4卷. p. T29n1558_p0021c15 - T29n1558_p0021c24 . 審(心)·義(意)·食(識)
    "別之相。如是已說諸心心所品類不同俱生異相。然心心所於契經中隨義建立種種名想。今當辯此名義差別。頌曰。
      心意識體一  心心所有依
      有緣有行相  相應義有五
    論曰。集起故名心。思量故名意。了別故名識。復有釋言。淨不淨界種種差別故名?心。?此?他作所依止故名?意。作能依止故名?識。故心意識三名所詮。義雖有異而體是一。"
  4. 世親 지음, 現場 漢譯, 권오민 飜譯 & K.955, T.1558 , 第4卷. pp. 188-189 / 1397 . 審(心)·義(意)·食(識)
    "이와 같이 온갖 審과 心所의 品類의 同一하지 않음과 同時생기[俱生]의 關係와 그 以上(異相)에 對해 이미 論說하였다. 그런데 審과 心所에 對해 季經 中에서는 그 뜻에 따라 여러 가지의 名稱과 槪念[名想]을 設定하고 있다. 이제 여기서 마땅히 이러한 名稱의 뜻의 差別에 對해 分別해 보아야 할 것이다.
    偈頌으로 말하겠다.
      심(心)·義(意)·食(識)은 그 本質이 同一하며
      審과 心所는 流蘇의(有所依)로도
      유소연(有所緣)으로도, 유행상(有行相)으로도,
      相應(相應)으로도 일컬어지니, 뜻에 다섯 가지가 있기 때문이다.
      心意識體一 心心所有依
      有緣有行相 相應義有五
    論하여 말하겠다. 什器(集起)하기 때문에 '審(心)'이라 이름한 것이고, 사량(思量)하기 때문에 '의(意)'라고 이름한 것이며, 要별(了別)하기 때문에 '式(識)'이라고 이름한 것이다. 89) 다시 어떤 이는 解釋하여 말하기를, "鄭(淨)과 不正(不淨)의 界(界)에 여러 가지의 差別이 있기 때문에 '沈'이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며, 90) 이러한 '審'은 다른 것의 소意志(所依止)가 되기 때문에 '의'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며, 陵意志(能依止)가 되기 때문에 '式'이라고 이름하게 된 것이다. 91) 그렇기 때문에 審·義·式의 세 가지 名稱은 비록 그것이 드러내는 뜻은 다를지라도 그 本質은 同一하다"고 하였다.
    89) 審(心, citta)의 어원 cit는 생각하다, 理解하다의 뜻이지만, 그것은 다시 ci(쌓다)에서 由來한 것으로 보고 '什器'라고 飜譯한 것이다. 곧 마음은 申(身)·區(口)·義(意) 3業을 집기한다. 의(意, manas)는 語根 man(생각하다)에 根據하여 '사량'으로 飜譯한 것이고, 式(識, vijn?na)는 vi-√jn? (다르게 알다)에서 由來한 것이므로 '要별'이라고 飜譯한 것이다.
    90) 여기서 鄭(淨)·否定(不淨)이란 線·不善을 말한다. 卽 마음에는 닦고 닦지 않음에 依해 선·불선·무기 等 여러 段階의 差別이 있기 때문에 citta로 이름한 것으로, 이는 citra(種種)에 根據한 京釜(經部) 或은 瑜伽師(瑜伽師)의 解釋이다.
    91) 소意志가 된다고 함은 現行式의 根據가 되는 前刹那의 意根(意根)을 말하며, 능意志가 된다고 函銀의 斤에 根據하는 現行의 意識(意識)을 말한다. 卽 本論 勸第1에서 意根을 分別하면서 過去로 落仕한 無間滅(無間滅)의 의(意)가 다음 刹那 意識의 소意志가 된다고 하였는데, 여기서는 이를 根據로 解釋한 것이다."
  5. 원휘(圓暉) & T.1823 , 第4卷. p. T41n1823_p0843c01 - T41n1823_p0843c12 . 審(心)·義(意)·食(識)
    "從此第四。明?名別者。論云。然心心所。於契經中。隨義建立種種名相。今當辨此名義差別。頌曰。
      心意識體一  心心所有依
      有緣有行相  相應義有五釋曰。心意識體一者。集起名心 謂能集起三業事也。思量名意。了別名識 復有釋言。淨不淨界。種種差別。故名?心(淨者善也。不淨者惡也。界者體也)。?此?他。作所依止。故名?意
      ?此者?此心也。將所依義。釋意也。作能依止。故名?識 識能依意也。據上兩解。是心意識三。名義雖異。其體一也。"
  6. 오형근 , " 唯識學과 人間性 - (3) 심의식(心意識)思想의 槪要 ". 2012年 10月 3日에 確認
    "다시 말하면 小乘佛敎에서 大體로 심의식의 體性을 同一하다고 본 것에 對하여 大乘佛敎의 油價唯識學派(瑜伽唯識學派)에서는 다르다고 본 것이다. 그리하여 佛敎에는 心體(心體)의 同一說과 心體의 區別說을 말하는 心體一說(心體一說)과 心體別設(心體別說)李 傳統的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
    以上과 같이 심의식의 思想은 원시佛敎에서 始作하고 小乘佛敎에서 더욱 發展하며 大乘佛敎에 들어와서는 유식학的인 八識思想의 發達에 基礎가 된다. 卽 審(心)은 阿羅耶識이라고 하고, 의(意)는 末那識(末那識)이라 하며, 式(識)은 안(眼), 이(耳), 비(鼻), 설(舌), 新(身), 의(意) 等 肉食(六識)이라 하는 等 심의식을 各各 八識(八識)에 排定하여 大乘的인 唯識思想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7. 권오민 2003 , 67?69쪽.
  8. " 認識(認識) ", 《네이버 國語辭典》. 2012年 10月 18日에 確認.
  9. 水産 2007 , 2. 初期佛敎의 審意識쪽
    "主體인 心王 卽 審에는 大槪 세 가지 다른 이름이 있다. 阿含經戰에서 심을 心  · 意  · 識이라는 세 가지 이름을 使用하고 3) 六識을 說하고 있지만, 審  · 의  · 式에 對한 差別性이 明確하게 나타나고 있지는 않다. 다만 審  · 의  · 式의 세 가지가 이름은 다르지만 그 體는 하나라는 것이 아함의 敎說이다. 4)
    3) 『雜阿含經』 2(『大正藏』 1卷, 8床).
    “此心此意此識 常思惟…”
    4) 金東華, 『唯識哲學』(서울: 寶蓮閣, 1980), 57面."
  10.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T.99 , 第2卷 第35景 〈삼정사頃(三正士經)〉. p. T02n0099_p0008a07 - T02n0099_p0008a18 . 심의식(心意識)
    "爾時。世尊知彼心中所念。而??誡。比丘。 此心.此意.此識 。當思惟此。莫思惟此。斷此欲.斷此色。身作證具足住。比丘。寧有色。若常.不變易.正住不。比丘白佛。不也。世尊。 佛告比丘。善哉。善哉。色是無常.變易.正住不。 比丘白佛。不也。世尊。 佛告比丘。善哉。善哉。色是無常.變易之法。厭.離欲.滅.寂沒。如是色從本以來。一切無常.苦.變易法。如是知已。緣彼色生諸漏害.熾然.憂惱皆悉斷滅。斷滅已。無所著。無所著已。安樂住。安樂住已。得般涅槃。受.想.行.識亦復如是。"
  11.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K.650, T.99 , 第2卷 第35景 〈삼정사頃(三正士經)〉. p. 40 / 2145 . 심의식(心意識)
    "그 때 世尊께서는 그들의 마음 속 생각을 아시고 곧 訓戒하여 말씀하셨다. "比丘들아, 이 마음[心]과 이 뜻[意]과 이 意識[識] 으로 마땅히 이렇게 思惟하고, 이렇게 事由하지는 말며, 이 貪慾을 끊고, 이 色을 끊으며, 몸으로 完全히 眞理를 證得하여 거기에 머물러야 한다. 比丘들아, 果然 恒常하고 變하거나 바뀌지 않으며 바르게 머무르는 色이 있는가?" 比丘들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色은 無常하며 變하고 바뀌는 것이다. 그런 것이 바르게 머무를 수 있겠는가?" "없습니다. 世尊이시여."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色은 無常하며 變하고 바뀌는 法(法)으로서 싫어하고, 貪慾을 떠나며, 없애고, 고요하게 하며, 사라지게 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色은 本來부터 그 一切가 無常하고, 괴로우며, 變하고 바뀌는 法이다. 이렇게 알고 나면 그 色으로 말미암아 생겼던 모든 煩惱의 해로움과 불꽃, 근심과 煩悶은 모두 끊어져 없어진다. 그것이 끊어져 없어진 뒤에는 執着할 것이 없게 되고, 執着할 것이 없게 된 뒤에는 安樂하게 머무르게 되며, 安樂하게 머무른 뒤에는 反涅槃(般涅槃)을 얻게 된다. 수·上·行·食道 그와 같으니라.""
  12.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T.99 , 第23卷 第604景 〈아육왕頃(阿育王經)〉. p. T02n0099_p0164b12 - T02n0099_p0164b18 . 심의식(心意識)
    "比丘以偈答曰。   我心得解脫  無明大黑闇
      斷除諸有蓋  以殺煩惱賊
      慧日今已出  鑒察 心意識
      明了見生死  今者愍人時
      隨順修聖法  我今此身骸
      任爾之所?  無復有吝惜"
  13.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K.650, T.99 , 第23卷 第604景 〈아육왕頃(阿育王經)〉. p. 909 / 2145 . 심의식(心意識)
    "比丘는 偈頌으로 對答한다.
      內 마음 이미
      無名(無明)의 臺暗黑을 벗어나 解脫하였네
      온갖 有(有)의 덮개[蓋]를 끊어 사라지게 하였고
      그에 따라 [온갖] 煩惱의 盜賊이 [모두] 죽어버렸네.

      智慧[慧]의 해가 이제 完全히 솟아올라
      審(心)·義(意)·食(識) 의 거울에 밝게 비치니[鑒察]
      生死(生死)를 分明히 알고[明了] 分明히 보게 되었다[明見]
      [이렇게 할 일을 마쳤으니] 只今은 다른 사람을 가엾이 여길[愍] 때이다.

      [智慧와 慈悲의] 聖스러운 無漏法[聖法]을 그대로 따라 닦으며
      나는 이제 내 이 몸뚱이를
      네가 願하는 대로 너에게 맡겨두고
      다시는 아끼거나 아까워하지 않으리."
  14.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T.99 , 第33卷 第930景 〈者恭敬(自恐經)〉. p. T02n0099_p0237c02 - T02n0099_p0237c08 . 심의식(心意識)
    "佛告摩訶男。汝亦如是。若命終時。不生惡趣。終亦無惡。所以者何。汝已長夜修習念佛.念法.念僧。若命終時。此身若火燒。若棄塚間。風飄日曝。久成塵末。而 心意識 久遠長夜正信所熏。戒.施.聞.慧所熏。 神識 上昇。向安樂處。未來生天。 時。摩訶男聞佛所說。歡喜隨喜。作禮而去。"
  15.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K.650, T.99 , 第33卷 第930景 〈者恭敬(自恐經)〉. p. 1324 / 2145 . 심의식(心意識)
    "부처님께서 마하남에게 말씀하셨다. 너도 그와 같아서, 목숨을 마친 뒤에도 惡臭(惡趣: 나쁜 곳, 卽 5惡臭)에 태어나지 않을 것이요, 끝끝내 나쁜 일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너는 오랫동안 念佛(念佛)  · 染法(念法)  · 念僧(念僧)의 修行을 닦고 익혀왔기[修習] 때문이다. 따라서, 목숨을 마치고 나서 이 몸이 불에 태워지거나 墓地에 버려져서 오랫동안 바람에 불리고 햇볕에 쪼여 마침내 가루가 된다 하더라도 審(心)·義(意)·食(識) 이 오랜 歲月 동안 바른 믿음[正信]에 薰習(薰習)되었고, 界(戒)·布施[施]·들음[聞]·지혜[慧]에 薰習되었기 때문에 新式(神識) 銀 위로 올라가 安樂한 곳으로 向해 갈 것이요, 未來에는 天上(天上)에 태어나게 될 것이다." 그 때 마하남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禮拜하고 떠나갔다."
  16.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T.99 , 第39卷 第1086景 〈마박경(魔縛經)〉. pp. T02n0099_p0284c28 - T02n0099_p0285a15 . 심의식(心意識)
    "如是我聞。 一時。佛住王舍城迦蘭陀竹園。 爾時。世尊夜起經行。至於後夜。洗足入室。斂身正坐。專心繫念。 時。魔波旬作是念。今沙門瞿曇於王舍城迦蘭陀竹園。夜起經行。於後夜時。洗足入室。正身端坐。繫念禪思。我今當往。?作?亂。?化作年少。住於佛前。而說偈言。   我心於空中  執長繩?下
      政欲縛沙門  不令汝得脫
    爾時。世尊作是念。惡魔波旬欲作?亂。?說偈言。
      我說於世間  五欲 意第六
      於彼永已離  一切苦已斷
      我已離彼欲   心意識 亦滅
      波旬我知汝  速於此滅去
    時。魔波旬作是念。沙門已知我心。?愧憂?。?沒不現。"
  17.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 K.650, T.99 , 第39卷 第1086景 〈마박경(魔縛經)〉. p. 1600-1602 / 2145 . 심의식(心意識)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王舍城에 있는 가란다竹園(迦蘭陀竹園)에 계셨다. 그 때 世尊께서 밤에 일어나 거니시다가[經行], 새벽이 되자 발을 씻고 房에 들어가 몸을 추스리고 端正히 앉아 前일(專一)한 마음으로 생각을 모으셨다. 그 때 惡魔 派순이 이렇게 생각하였다. '只今 沙門 口談은 王舍城에 있는 가란다竹園에서 밤에 일어나 거닐다가 새벽이 되자 발을 씻고, 房에 들어가 몸을 추스리고 端正히 앉아 생각을 모으고 選定에 들어 있다. 내가 只今 저곳에 가서 攪亂[?亂]시키리라.' 그는 곧 젊은 사람의 모습으로 變化하여 부처님 앞에 서서 偈頌으로 말했다.
      저 虛空[空]에서 움직이는7) 내 마음의
      긴 올가미를 가지고 내려와
      그대 沙門을 단단히 묶어[縛]
      그대 벗어나지[脫] 못하게 하리.
    그 때 世尊께서는, '이는 틀림없이 惡魔 派순이 攪亂[?亂]시키려는 것이다'라고 생각하시고, 곧 偈頌을 說하셨다.
      나는 世上의 5辱(五欲: 5景에 對한 貪慾)과
      第6意識[意第六] 을 늘 말한다.
      나는 그것을 永遠히 여의었기에
      온갖 괴로움[苦]李 이미 끊어졌노라.
      나는 이미 저 5辱[欲]을 벗어났고
      審(心)·義(意)·食(識) 까지도 사라졌노라.
      派순아, 나는 너를 아노니
      여기에서 어서 썩 사라지거라[滅去].
    그러자 惡魔 波旬은 '沙門 구담이 벌써 내 마음을 알고 있구나' 하고, 부끄럽고[?愧] 근심[憂?]스러워하면서 이내 사라지더니 나타나지 않았다.
    7) 感覺能力[根]과 感覺對象[境]에 關聯된 感覺領域에서 일어나는 體驗的 現象을 比喩한 것임."
  18. 권오민 2003 , 67쪽.
  19. "오형근. 《月刊불광》, 〈 唯識學과 人間性: (3) 심의식(心意識)思想의 槪要 Archived 2014年 3月 17日 - 웨이백 머신 〉. 불광出版社. 2013年 1月 19日에 確認.
    "小乘佛敎時代에 著述된 품류족론(品類足論)과 阿毘曇審論(阿毘曇心論) 等에 依하면 『審(心)은 곧 의(意)이며, 의(意)는 또 式(識)으로서 그 體性(體性)은 서로 같으며 이름만 다를 뿐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依하면 小乘佛敎時代에는 심의식(心意識)이라는 名稱이 서로 表現만 다를 뿐 그 體性은 同一한 것으로 보았으며 同時에 이러한 심의식 思想이 一般化되었다고 할 수 있다. 勿論 全體 小乘思想을 통해 본다면 人間의 心性은 그 體性이 各其 다르며 活動도 다르게 한다는 學說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大體로 人間의 心體(心體)는 唯一한 것이며 그 活動하는 作用만 다를 뿐이라고 主張한 學說이 大部分이었다. 그 代表的인 學說은 小乘佛敎를 最終的으로 綜合하여 整理하였다는 世親論士(世親, AD. 4世紀)의 阿毘達磨俱舍論(阿毘達磨俱舍論)에 잘 나타나 있다.
    阿毘達磨俱舍論에 依하면 『심의식의 3가지 이름은 그 表現의 뜻이 비록 다르다 할지라도 그 體性은 唯一하다<心意識三名 所 異 而體是一>』라고 하였다. 이에 依하여 小乘佛敎는 우리 人間의 心體(心體)를 하나로 본 것이 支配的이었다고 볼 수 있다. "
  20. 星雲 , " ". 2013年 1月 19日에 確認
    "識: 梵語 vijn?na,巴利語 vinn?na。音譯作毘?那、毘若南。vijn?na ? vi(分析、分割)與 jn?na(知)之合成語,乃謂分析、分類對象而後認知之作用。雖至後世時,心(梵 citta,巴同)、意(梵 mano,巴同)、識三語彙分別使用,然於初期時皆混合使用。依唯識宗之解釋,吾人能識別、了別外境,乃因識對外境之作用所顯現,故於此狀態之識稱?表識、記識(梵 vijnapti,音譯作毘若底)。
     於大、小乘佛?皆立有六識說。六識各以眼、耳、鼻、舌、身、意等六根?所依,對色、聲、香、味、觸、法等六境,?生見、聞、嗅、味、觸、知之了別作用,此?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等六種心識。?如「六?一猿」,六識之體?一,而起作用之門戶則六,?係六識說最初之意義。六識中,第六之意識稱?第六識,後世更賦予六識、意識、分別事識、四住識、攀緣識、巡舊識、波浪識、人我識、煩惱障識、分段死識等十名,稱?六識十名。
     除以上六識外,唯識宗??末那識與阿賴耶識(?阿梨耶識),成立八識說。其中從眼識至身識之五識(與六識說相同),總稱?前五識。至第六意識,稱?前六識。至第七末那識(?第七識,或單稱七識),稱?前七識(或單稱七識)。前七識以阿賴耶識?所依,而緣各境轉起,故稱?七轉識或轉識。而前六識能??識別對象,故稱?了別境識。第七末那識稱思量識,第八阿賴耶識稱異熟識。據護法之唯識說,八識中第六與第七識具有執著虛妄之對象?我或?法之遍計性,故稱「六七能遍計」。而前五識與第八阿賴耶識因無我、法之執著,故稱此?「五八無執」。復次,印度之 無相唯識派 認?八識之體性皆同,故主張八 識體一之說 。但 有相唯識派 唯識宗 則謂其體性各別,而主張八 識體別說 ;且二識乃至八識同時?起,同時轉起(俱轉),稱?八識俱轉。然而,小乘有部宗等不主張二識?起,異於前說。
     攝論宗(?諦所創)於八識外?立第九阿摩羅識(菴摩羅識),成立九識說。阿摩羅識別名無垢識、?如識、?識,?所謂淨識,依此而言,第八阿梨耶識被解作妄識或?妄和合識。地論宗、天台宗亦有人主張此說。
     ?言宗立十識,?於八識之外別立二種:(一)多一識心,?生滅門之所依,相當於了知差別現象界之後得智。(二)一一識心,??如門之所依,相當於體悟平等一如?理之根本智。
     據?諦譯之世親所著攝論釋卷五謂,因阿梨耶識變異所生之識,共有:身識、身者識、受者識、應受識、正受識、世識、數識、處識、言說識、自他差別識與善惡兩道生死識等十一種差別。於此,「顯識論」?出顯識與分別識二種,其中因阿梨耶識所顯現之顯識復分?:身識、塵識、用識、世識、器識、數識、四種言說識、自他異識與善惡生死識等九識;而分別識?虛妄分別之主體,又可分成有身者識與受者識二種,其看法大致與?諦所說相符。
     又楞伽經卷一說三識,?:(一)?識,相當於阿摩羅識,或相當於阿梨耶識。(二)現識,相當於顯現萬法之阿賴耶識,或阿陀那識(?末那識)。(三)分別事識,?七轉識,或前六識。然?識之說僅見於楞伽經,而不見於梵本及其他譯本。按智吉祥賢之楞伽經註謂,現識?前五識,分別事識則?第六意識。
     據大乘起信論所說,由於阿梨耶識中之根本無明在阿梨耶識上起動妄念,以至認識對象而生起執著心,其相狀可分?:(一)業識,起動業作之始相。(二)轉識,因業識作用,所生見照的主觀作用之相。(三)現識,轉識成?客觀之境所現之相。(四)智識,執著現識?實在之相。(五)相續識,對現識執著不斷之相。上記五種識總稱?五意,或五識;相當於三細六粗中之前五者。此外,依無明能起動阿梨耶識,而展開迷界之相狀,如風吹大海成浪,故?稱?識浪。〔雜阿含經卷三十六、大毘婆沙論卷九、卷二十三、俱舍論卷二、卷九、釋摩訶衍論卷二、大乘義章卷三、成唯識論述記卷五末、俱舍論光記卷四、宗鏡錄卷五十、十住心論卷十〕(參閱「末那識」1941、「阿摩羅識」3671、「阿賴耶識」3676)"
  21. "오형근. 《月刊불광》, 〈 唯識學과 人間性: (3) 심의식(心意識)思想의 槪要 Archived 2014年 3月 17日 - 웨이백 머신 〉. 불광出版社. 2013年 1月 19日에 確認.
    "以上과 같이 世親論士는 심의식을 매우 合理的으로 解釋하여 精神 活動의 內容을 從來의 理論보다 훨씬 깊고 넓게 解釋하고 있다. 이러한 심의식 思想은 大乘佛敎에 이어지면서 唯識學에서는 小乘的인 思想을 大幅 改革하고 또 그 思想을 大乘的으로 크게 增補 하였다.
    그리고 심의식을 各各 分離시켜 오늘날의 八識思想으로 組織化하였던 것이다. 唯識學에서 심의식 思想을 가장 重要視 하고 있는 經典과 論戰의 例를 들면 解深密經(解心密經)의 심의식商品(心意識相品)을 비롯하여 瑜伽師地論(瑜伽師地論), 顯揚聖敎論(顯揚聖敎論), 阿毘達磨집론(阿비達磨集論) 等 여러 經論 等을 들 수 있다.
    이들 經論에 依하면 審(心)과 의(意)와 式(識) 等은 그 活動과 役割하는 作用이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그 體性度 各其 다르다고 하였다.
    다시 말하면 小乘佛敎에서 大體로 심의식의 體性을 同一하다고 본 것에 對하여 大乘佛敎의 油價唯識學派(瑜伽唯識學派)에서는 다르다고 본 것이다. 그리하여 佛敎에는 心體(心體)의 同一說과 心體의 區別說을 말하는 心體一說(心體一說)과 心體別設(心體別說)李 傳統的으로 내려오고 있었다. "
  22. 황욱 1999 , 5쪽.
  23. 星雲 , " 現行 ". 2012年 10月 11日에 確認.
  24. 星雲 , " 轉識 ". 2012年 10月 11日에 確認.
  25. 星雲 , " 五意 ". 2012年 10月 4日에 確認.
  26. 耘虛 , " 五意(吳의) ". 2012年 10月 4日에 確認.
  27. 곽철환 2003 , " 吳의(五意) ". 2012年 10月 4日에 確認.
  28. 곽철환 2003 , " 아타나式(阿陀那識) ". 2012年 10月 4日에 確認.
  29. 耘虛 , " 阿陀那識(아타나式) ". 2012年 10月 4日에 確認.
  30. 星雲 , " 阿陀那識 ". 2012年 10月 4日에 確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