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佛敎)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身)의 基本的인 뜻은 산스크리트語 팔리어 k?ya 에 該當하는 또는 身體 이지만, 以外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다. 산스크리트語 팔리어 k?ya 를 音譯하여 伽倻 (迦耶)라고 한다. 《 대승광오온론 》에 따르면 伽倻(迦耶, k?ya)라는 낱말은 여러 가지 要素들의 和合積聚 (和合積聚: 和合하여 쌓임 또는 和合하여 쌓인 것) 또는 積集 (積集: 쌓임, 쌓인 것)을 뜻한다. [1] [2]

特히, 6食神 (六識身)  · 6鏃身 (六觸身)  · 6受信 (六受身)  · 6愛臣 (六愛身)  · 6相臣 (六想身)  · 6使臣 (六思身)이나 食神 (識身)  · 鏃身 (觸身)  · 受信 (受身)  · 愛臣 (愛身)  · 文身 (文身)  · 名臣 (名身)  · 구신 (句身) 等에서는 神(身)李 複數型 接尾辭 ‘ ’이나 集合 [合集, 總說, 산스크리트語 : samukti ]의 意味로 使用되고 있다. [3] [4] 이러한 用語들이 《 阿含經 》 等의 漢譯 佛敎經典 과 《 俱舍論 》 等의 佛敎논서 에 드물지 않게 登場한다.

몸·身體 [ 編輯 ]

(身, k?ya)의 基本的인 뜻은 산스크리트語 팔리어 k?ya 에 該當하는 또는 身體 이다.

나·自我 [ 編輯 ]

(身, k?ya)은 [我], 자아 (自我) 또는 아트만 (?tman)을 뜻하기도 한다. [5]

例를 들어, 5가지 汚染된 見解인 5犬 (五見) 中의 하나인 有身見 (有身見, 산스크리트語 : satk?ya-drsti , 팔리어 : sakk?ya-ditthi )에서 神(身, k?ya)은 '몸'李 아니라 '나' 또는 '自我'를 뜻한다. 有身見 (有身見)의 文字 그대로의 뜻은 '몸이 있다는 見解'가 아니라 '나 또는 自我가 있다는 見解'이다. [6] [7] [8]

신근 [ 編輯 ]

(身, k?ya)은 신근 (身根, 산스크리트語 : k?yendriya )의 줄임말이다. [3] [4]

複數型 接尾辭 [ 編輯 ]

(身)은 '集合'의 뜻을 가지는데, 單語의 끝에 붙어서 該當 單語가 複數型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3] [4] 잡아함경 》 第13卷 第304景 〈 陸六頃 (六六經)〉은 이 境遇의 좋은 例文이다.

有六六法。何等?六六法?謂六內入處、六外入處、 六識身 六觸身 六受身 六愛身


何等?六內入處?謂眼入處、耳入處、鼻入處、舌入處、身入處、意入處。
何等?六外入處,色入處、聲入處、香入處、味入處、觸入處、法入處。
云何 六識身 ?謂 眼識身 耳識身 鼻識身 舌識身 身識身 意識身
云何 六觸身 ?謂眼觸、耳觸、鼻觸、舌觸、身觸、意觸。
云何 六受身 ?謂眼觸生受、耳觸生受、鼻觸生受、舌觸生受、身觸生受、意觸生受。
云何 六愛身 ?謂眼觸生愛、耳觸生愛、鼻觸生愛、舌觸生愛、身觸生愛、意觸生愛。

여섯 가지 6法[六六法]李 있다. 어떤 것을 여섯 가지 6法이라고 하는가?
6內入處(內入處)·6外入處(外入處)· 6食神 (識身)· 6鏃身 (觸身)· 6受信 (受身)· 6愛臣 (愛身)을 말한다.
어떤 것을 6內入處(內入處)라고 하는가? 안입處(眼入處)·移入處(耳入處)·飛入處(鼻入處)·설입處(舌入處)·新入處(身入處)·擬入處(意入處)를 말한다.
어떤 것을 6外入處(外入處)라고 하는가? 色입處(色入處)·性입처(聲入處)·香입處(香入處)·美입처(味入處)·觸입處(觸入處)·法입處(法入處)를 말한다.
어떤 것을 6食神 (識身)이라고 하는가? 安息新 (眼識身)· 移植新 (耳識身)· 非食神 (鼻識身)· 舌識新 (舌識身)· 新式新 (身識身)· 意識神 (意識身)을 말한다.
어떤 것을 6鏃身 (觸身)이라고 하는가? 안鏃(眼觸)·이촉(耳觸)·非觸(鼻觸)·설촉(舌觸)·新觸(身觸)·依囑(意觸)을 말한다.
어떤 것을 6受信 (受身)이라고 하는가? 안鏃과 同時에 생겨나는 느낌[眼觸生受]·이촉과 同時에 생겨나는 느낌[耳觸生受]·非鏃과 同時에 생겨나는 느낌[鼻觸生受]·설촉과 同時에 생겨나는 느낌[舌觸生受]·新鏃과 同時에 생겨나는 느낌[身觸生受]·依囑과 同時에 생겨나는 느낌[意觸生受]을 말한다.
어떤 것을 6愛臣 (愛身)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안鏃으로 생기는 愛慾[眼觸生愛]·이촉으로 생기는 愛慾[耳觸生愛]·非鏃으로 생기는 愛慾[鼻觸生愛]·설촉으로 생기는 愛慾[舌觸生愛]·新鏃으로 생기는 愛慾[身觸生愛]·依囑으로 생기는 愛慾[意觸生愛]을 말한다.

? 《잡아함경》 第13卷 第304景 〈陸六頃(六六經)〉. 漢文本 & 한글本

參考 文獻 [ 編輯 ]

  • 곽철환 (2003). 《 施工 佛敎事前 》. 時空社 / 네이버 知識百科.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世親 지음, 現場 漢譯, 송성수 飜譯 (K.618, T.1612). 《 大勝五蘊론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618(17-637), T.1612(31-848).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K.619, T.1613). 《 대승광오온론 》. 한글大藏經 檢索시스템 - 電子佛殿硏究所 / 동국譯經院. K.619(17-641), T.1613(31-850).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耘虛. 동국譯經院 編輯, 編輯. 《 佛敎 事前 》.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區喇叭타라(求那跋陀羅) 漢譯 (T.99). 《 잡아함경(雜阿含經) 》. 對精神수大藏經. T2, No. 99,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星雲. 《 佛光大辭典(불광대事前) 》 3板.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世親 兆, 現場 漢譯 (T.1612). 《 大勝五蘊론(大乘五蘊論) 》. 對精神수大藏經. T31, No. 1612,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 (中國語)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T.1613). 《 대승광오온론(大乘廣五蘊論) 》. 對精神수大藏經. T31, No. 1613, CBETA.   |title= 에 外部 링크가 있음 ( 도움말 )

各州 [ 編輯 ]

  1. 안혜 兆, 지바하라 漢譯 & T.1613 , p. T31n1613_p0852c23 - T31n1613_p0852c29 . 살伽倻犬(薩迦耶見)
    "云何薩迦耶見。謂於五取蘊。隨執?我。或?我所。染慧?性。薩謂敗壞義。迦耶謂和合積聚義。?於此中。見一見常。異蘊有我蘊。?我所等。何故復如是說。謂薩者破常想。迦耶破一想。無常積集。是中無我及我所故。染慧者。謂煩惱俱。一切見品所依?業。"
  2. 안혜 지음, 지바하라 漢譯, 조환기 飜譯 & K.619, T.1613 , p. 11 / 24 . 살伽倻犬(薩迦耶見)
    "무엇을 살伽倻犬이라고 하는가? 5取온에 對해서 執着함에 따라 나 或은 나의 것이라는 汚染된 智慧를 性質로 한다. 살(薩, sat)이란 깨어지고 부서진다는 뜻이다. 伽倻(迦耶, kaya)란 和合하여 쌓임의 뜻을 말한다. 卽 이 가운데서 하나[一]라는 見解, 永遠[常]하다는 見解, 다른 온이 나라는 온으로 있고, 나의 것 等이라고 한다. 어떤 까닭으로 다시 이와 같이 말하는가? 煞이란 永遠하다는 생각을 깨트리고, 伽倻란 하나라는 생각을 깨트린다. 永遠히 쌓여 있는 것이 없어 이 가운데서 나와 나의 것이 없기 때문이다. 汚染된 智慧란 煩惱와 함께 하는 것을 말한다. 모든 見解의 種類들이 나타나는 行動樣式이다."
  3. 곽철환 2003 , " 新(身) ". 2012年 9月 26日에 確認
    "新(身):
    ① 산스크리트語 k?ya 몸. 身體.
    ② 산스크리트語 ?tman 나. 自身.
    ③ 산스크리트語 janma 生存.
    ④ 산스크리트語 k?ya 신근(身根)의 준말.
    ⑤ 산스크리트語 k?ya 認識 主體. 認識 作用을 일으키는 主體.
    ⑥ 산스크리트語 k?ya 모임·種類의 뜻으로, 어미에 붙어 復讐를 나타냄."
  4. 星雲 , " ". 2012年 9月 27日에 確認
    "身:
     (一)梵語 k?ya。音譯迦耶。屬六根之第五,?身根。指觸覺器官之皮膚及其機能。然有部主張,身根乃眼所不能見之精妙物質(淨色),亦?指勝義根而言。然通常所說身與心?稱?身心,身與語(或口)、意?稱身語意(或身口意)之「身」則係指身體、肉體而言。
     (二)集合之意。?附加於語尾,表示複數之語,如六識身。
     (三)梵語 ?ar?ra。身骨、遺骨之意。(參閱「舍利」3495)"
  5. 곽철환 2003 , " 新(身) ". 2012年 10月 6日에 確認.
  6. 星雲 , " 有身見 ". 2012年 10月 6日에 確認.
  7. 耘虛 , " 有身見(有身見) ". 2012年 10月 6日에 確認.
  8. 곽철환 2003 , " 有身見(有身見) ". 2012年 10月 6日에 確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