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明洞聖堂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明洞聖堂

主敎座 명동대성당
明洞聖堂
主敎座 明洞大聖堂
Myeongdong Catholic Cathedral
명동성당 전경
明洞聖堂 前景
宗派 로마 가톨릭교회
位置 國家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所屬 管區 서울館區
所屬 敎區 天主敎 서울大敎區
所在地 서울特別市 中區 明洞길 74
設立日 1898年 5月 29日
主保聖人 無染始胎 마리아
웹사이트 명동대성당
서울 明洞聖堂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私的
種目 私的 第258號
( 1977年 11月 22日 指定)
面積 1,668m 2
時代 大韓帝國
所有 (財)天主敎서울大敎區維持財團
位置
서울 중구 명동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서울 중구 명동
서울 中區 鳴動
서울 中區 鳴動(大韓民國)
住所 서울特別市 中區 明洞2街 1-8番地
座標 北緯 37° 33′ 51″ 東經 126° 59′ 14.3″  /  北緯 37.56417° 東京 126.987306°  / 37.56417; 126.987306
情報 國家遺産靑 國家遺産포털 情報

韓國 天主敎 서울大敎區 主敎座 명동대성당 (韓國 天主敎 서울大敎區 主敎座 明洞大聖堂), 通稱 明洞聖堂 (明洞聖堂, 英語 : Myeongdong Cathedral )은 大韓民國 서울特別市 中區 明洞2街에 있는 天主敎 서울大敎區 大聖堂 이다.

明洞聖堂은 韓國 最初의 本堂( 私製 가 常住하며 司牧하는 聖堂)으로, 그 聖堂 建物은 韓國 最初로 지어진 大規模 고딕 樣式 天主敎 聖堂 으로 1977年 11月 22日 大韓民國의 史跡 第258號로 指定되었다.

明洞聖堂은 서울大敎區 의 敎區長 大主敎의 主敎座가 있는 서울大敎區의 中心聖堂으로, 現在 敎區長은 2021年 서울大敎區의 敎區長大主敎에 着座한 정순택 (베드로) 大主敎이며, 本堂 主任 神父는 조성풍(아우구스티노) 神父이다.

酒保 成人 은 ' 原罪 없이 孕胎되신 복되신 同情 마리아 '다.

周邊에 서울대敎區廳, 가톨릭 會館, 聖 바오로 서원, 다양한 文化施設 等이 있다.

2009年 外壁 甓돌 補修工事가 이뤄졌으며, 2011年 以後부터 언덕 南쪽에 別館을 짓는 開發 工事가 進行 中이다.

歷史 [ 編輯 ]

朝鮮 天主敎의 始作 [ 編輯 ]

朝鮮人 最初로 北京에서 天主敎 洗禮를 받은 이승훈 (베드로)李 1784年 봄에 歸國하여 서울 明禮坊(現 明洞)에 있는 通譯官 김범우 (토마스)의 집에서 信仰모임인 '明禮坊共同體'를 [1] 結成하였다. [2]

이승훈 , 정약용 (요한) 3兄弟, 권일신 (프란시스 자비에르) 兄弟 等이 광암 李蘗 (洗禮者 요한)을 指導者로 삼아 宗敎 集會를 가짐으로써 韓國 最初의 天主敎會가 創立되었다. [3] [4]

그러나 이 信仰 共同體는 이듬해 '明禮坊 事件'으로 김범우 가 流配된후 1787年에 逝去하면서 [5] 瓦解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뿌린 씨앗은 밀알이 되어 김범우 가 逝去한지 1世紀(100年)가 흐른 1887年에 김범우 의 집이 있던 一帶의 大地를 買入 完了한후 鳴動聖堂 建立을 위한 첫삽을 뜨면서 빛을 보게 되었다. [6] [7] [8] [9] [10] [11] [12] [13] [14]

垈地買入하고 停止作業 [ 編輯 ]

1882年 韓美修好 條約 의 締結로 宗敎의 自由를 얻게 될 것을 豫見한 第7代 敎區長 블랑 主敎가 '金哥밀로'라는 韓國人 全校會長 名義로 垈地買入 作業을 始作하였다. [15] [16]

買入하고 建築에 따른 財政支援은 파리宣敎會가 하였다. [15]

現在의 明洞聖堂 자리는 침系 윤정현 (?溪 尹定鉉)의 邸宅이 있었는데 바깥채만도 60칸이 넘는 넓은 집이어서 처음에는 韓屋 그대로 敎會로 利用했다.

블랑 主敎는 이 곳에다 于先 종현 書堂을 設立, 運營하면서 豫備 神學生을 養成하는 한便 聖堂 建立을 推進해 韓佛 修好 通商 條約(1886年)을 締結한 이듬해인 1887年(高宗 24) 5月, 大地를 마저 購入하면서 그 해 겨울부터 언덕을 깎아 내는 停止 作業을 始作했다. [3]

所有權 紛爭과 金敎令 [ 編輯 ]

朝鮮 王室은 天主敎 側에 作業 中止와 土地圈의 抛棄를 要求하지만 天主敎 側은 工事를 强行했다. [17]

聖堂의 建設은 朝鮮 社會에 큰 物議를 일으켰다.

1888年 4月 朝鮮 政府는 金敎令을 發表하며 天主敎를 彈壓했는데 이 原因이 鳴動聖堂 建立 때문이었다.

當時 高宗은 王宮보다 더 높은 자리에 훨씬 높은 建物이 올라 가는 것에 憤慨했다.

朝鮮王朝 歷代 王들의 御眞(御眞)을 모신 永禧殿 (永禧殿)과 가까워 聖堂 建立으로 永禧殿의 風水(風水)를 侵害할 憂慮가 있다는 理由로 調整에서 所有權을 抑留하여 工事를 遲延시켰다. [18]

特히 이 邸宅과 敷地는 平素 淸白吏로 소문났던 침系 윤정현을 위해 高宗이 直接 하사한 집 [19] 이었기에 高宗의 憤怒는 더 컸다.

高宗은 天主敎 側에 當場 建築의 中斷을 要求했지만 天主敎 側은 高宗의 要求를 拒絶했다.

結局 高宗은 金敎令을 發表해 天主敎 및 改新敎의 傳道 活動을 막았다. [20]

4月 28日 朝鮮의 督辦交涉通商事務 趙秉式이 美國, 러시아, 이탈리아 3國 公使에게 基督敎 傳敎를 禁하라는 朝會文을 通報한 것이다.

明洞聖堂 建設로 인한 朝鮮 政府의 金敎令 發表로 天主敎 뿐만 아니라 改新敎 宣敎師들까지 宣敎活動에 발목이 묶이기도 했다. [21]

이 때문에 한동안 聖堂 建設은 遲延될 수밖에 없었다.

聖堂 建築과 完工 [ 編輯 ]

所有權 紛爭이 解決된 後 邸宅을 허문 뒤 1892年 8月 5日 起工式을 하고 工事를 始作했다. [22]

初代 主任 블랑 主敎가 1890年 腺腫하고 두세 神父가 2代 主任으로 赴任했다. [3] 聖堂 設計와 公使의 指揮 監督은 코스트 新婦가 맡았는데 그는 약현(現 中林洞) 聖堂과 용산 神學校의 設計 監督도 맡았다.

有進 코스트 神父가 1896年 死亡한 뒤 프와넬 新婦가 남은 工事를 마무리했다.

1898年 5月 29日 朝鮮 敎區長 뮈텔 主敎의 執典으로 歷史的인 祝聖式을 가졌다. [3]

이 當時의 이름은 종현聖堂(鐘峴聖堂)으로, 종현은 明洞聖堂이 세워진 場所를 말한다.

丁酉再亂 때 明나라 將軍 良好가 이곳(當時 北달재, 北고개)에 陣을 치고 南大門에 있는 種을 가져다 달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23]

1909年 12月 22日 에는 獨立運動家 李在明 이 벨기에 國王 레오폴드 2歲의 追悼 미사에 參席하고 나오던 이완용 을 明洞聖堂 앞에서 칼로 3次例 찔러 暗殺을 試圖했으나 依據에 失敗했다.

李在明은 當時 군밤장수로 變裝하고 聖堂 앞門에서 待機하다가 나오는 李完用의 허리와 어깨를 3番 찔렀는데, 李完用은 이로 인해 큰 負傷을 입었고 人럭거꾼 박원문이 칼에 찔려 死亡했다.

李完用은 被襲 直後 大韓議員에서 當時 朝鮮 基準 最高의 外科手術을 받고 가까스로 回復되었으며, 李在明은 逮捕되어 이듬 해 9月 15日 絞首刑을 言渡받고 處刑됐다.

1924年 에는 파이프오르간 이 輸入되어 처음으로 聖堂 內에 設置되었다. 現在 이 오르간은 消失되었다. [24] 1945年 解放 以後에는 이름을 明洞聖堂으로 바꾸었다.

民主化 運動의 聖地 [ 編輯 ]

1980年代에는 民主化 運動에 關聯된 手配者나 示威隊가 全斗煥 軍事獨裁政權의 彈壓을 避해 明洞聖堂으로 모여들어 民主化 運動의 聖地로 認識되기도 하였다. [25]

1987年 6.10 抗爭 當時 示威隊들이 鎭壓을 被害 明洞聖堂 內部로 避身했는데 金壽煥 樞機卿은 "警察들이 聖堂에 들어온다면 第一 먼저 나를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 다음 籠城 中인 神父님들을 보게 될 것이고, 그 뒤에는 修女님들이 있습니다.

學生들은 修女님들 뒤에 있습니다. 그들을 逮捕하려면 나와 神父님들과 修女님들을 짓밟고 가십시오" 라는 말로 警察들의 聖堂 進入을 막았다. [26]

2009年 金壽煥 樞機卿이 善終할 當時에는 敎皇長으로 葬禮를 치르기 前에는 弔問 人波로 긴 行列을 보였다. [27] [28]

그 外 情報 [ 編輯 ]

歷代 主任神父 [ 編輯 ]

  1. 마리腸구스타브 블랑 (1882~1890)
  2. Doucet (1890~1892)
  3. 빅토르루이 푸아넬 (1892~1926)
  4. Marie Pierre Paul Villemot (1926~1942)
  5. 이기준 토마스 (1942~1950)
  6. 장금구 요한 크리소스토모 (1950~1957)
  7. 양기섭 베드로 (1957~1962)
  8. 이종순 라우렌시오 (1962~1963)
  9. 신인식 바오로 (1963~1964)
  10. 황민성 베드로 (1964~1965)
  11. 이계중 요한 (1965~1968)
  12. 이문근 요한 (1968~1971)
  13. 최석우 안드레아 (1971~1972)
  14. 김몽은 요한 (1972~1978)
  15. 경갑룡 요셉 (1978~1982)
  16. 김수창 야고보 (1982~1986)
  17. 김병도 프란치스코 (1986~1988)
  18. 정의채 바오로 (1988年~1988)
  19. 조순창 街詩味로 (1988~1994)
  20. 장덕필 니콜라오 (1994~1999)
  21. 백남용 바오로 (1999~2003)
  22. 이성만 토마스 (2003~2004)
  23. 박신언 라파엘 (2004~2010)
  24. 여형구 미카엘 (2010~2013)
  25. 고찬筋 루카 (2013~2018)
  26. 조학문 바오로 (2018~2023)
  27. 조성풍 아우구스티노 (2023~)

司祭團 [ 編輯 ]

私製 [ 編輯 ]

私製(洗禮名) 職位 擔當 祝日 司祭敍品
조성풍(아우구스티노) 主任 總括 8月 28日 1993.07.16
전두병(요아킴) 首席副主任 7月 26日 2007.07.06
진슬기(토마스 아퀴나스) 副主任 靑年ㆍ文化藝術 1月 28日 2011.02.08
조인기(암브로시오) 副主任 宣敎ㆍ敎育 12月 7日 2016.02.05
李喆圭(아우구스티노) 副主任 前例ㆍ性音樂分課 8月 28日 2020.02.07
金榮宇(스테파노) 副主任 障礙人信仰敎育 12月 26日
세베로 이사악(이사악) 補佐 英語미사ㆍ外國人 專擔 司牧 11月 30日 2024.02.02

修道者

  • 院長修女님 - 손명옥(벨라뎃다)

김옥경(마리아 유스티나), 이숙이(아가다), 이수정(젤뜨壘다)

미사 時間 [ 編輯 ]

主日 미사 [ 編輯 ]

미사場所 主日 미사時間
大聖堂(午前) 07:00(一般) 09:00(English) 10:00(아미쿠스) 11:00(一般) 12:00(敎中)
大聖堂(午後) 16:00(一般) 17:00(一般) 18:00(一般) 19:00(靑年) 21:00(一般)
小聖堂
土曜저녁主日미사 18:00(一般) 19:00(3545+) - - -
英語미사(English Mass) 09:00

寫眞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네이버 知識百科] 明禮坊共同體 [明禮坊共同體]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信者들의 規模가 漸次 擴大되자, 모임 場所를 水標橋에서 멀지 않은 掌樂院(掌樂院) 앞 金範禹의 집으로 옮겼는데 이곳이 行政區域上 明禮坊에 屬했기 때문에 當時 天主敎 信者들의 信仰共同體를 오늘날 硏究者들이 ‘明禮坊共同體(明禮坊共同體)’라고 부른다.
  2. [명동대성당 홈페이지] 民族史 100年의 명동대성당 01 .... 이러한 過程을 통해 形成되고 發展된 韓國 天主敎會 모든 信者들의 意識 한 가운데 '서울의 信仰共同體', 特히 李蘗과 이승훈에 依해 始作된 '明禮坊 共同體'가 자리하고 있고, 이 共同體가 誕生한 地域에 朝鮮代牧區 主敎座本堂이 設定됨으로써 韓國 天主敎會의 傳統을 다시 이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런 意味에서 明禮坊 共同體는 韓國 天主敎會의 까따꼼바이고, '鳴動本堂'은 韓國 天主敎會의 바티칸과 같은 意味를 지닌다고 하겠다.
  3. [명동대성당 홈페이지] 명동대성당의 歷史
  4. 康俊晩 <韓國 近代史 散策 1> 人物과 思想史 2011.3.31 p28
  5. 康俊晩 <韓國 近代史 散策 1> 人物과 思想史 2011.3.31 p29
  6. [네이버 知識百科] 金範禹의 집이 後날의 明洞聖堂으로… (文化콘텐츠닷컴 (文化原形百科 朝鮮時代 流配文化), 2005., 韓國콘텐츠振興院)
  7. <宗敎新聞> 2004年 1月 2日子
  8. 康俊晩 <韓國 近代史 散策 1> 人物과 思想史 2011.3.31 p28
  9. [네이버 知識百科] 明洞聖堂 (踏査旅行의 길잡이 15 - 서울, 初版 2004., 5刷 2009., 한국문화유산답사회, 김효형, 한미자, 김성철, 유홍준, 최세정, 鄭容起). ....本來 이 聖堂이 선 자리는 敎會堂 創設 때 敎會堂으로 삼았던 殉敎者 金範禹의 집이 있던 곳으로서 블랑 主敎가 金哥밀로라는 韓國人 名義로 買收하였었다.
  10. [네이버 知識百科] 서울 明洞聖堂 [─明洞聖堂]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明洞聖堂이 자리잡은 垈地는 종현(鐘峴)이라고 불리던 곳이다. 일찍이 1784年(正祖 8) 明禮坊(明禮坊: 只今의 鳴動 附近) 所在 譯官(譯官) 김범우(金範禹)의 집에서 이승훈(李承薰)과 정약전(丁若銓)의 3兄弟, 권일신(權日身) 兄弟 等이 모여 宗敎集會를 가짐으로써 朝鮮天主敎會가 創設된 곳이기도 하다.
  11. [다음百科] 明洞聖堂 (明洞聖堂) .....明洞聖堂 자리는 1784年(正祖 8) 譯官 김범우(金範禹)의 집으로 이승훈(李承熏), 정약전(丁若銓)의 3兄弟, 권일신(權日身) 兄弟 等이 모여 宗敎集會를 가짐으로써 朝鮮天主敎會가 創設된 곳이기도 하다.
  12. [文化財廳 國家文化遺跡포털] 서울 明洞聖堂 (서울 明洞聖堂) .....本來 殉敎者 金範禹의 집이 있던 곳으로, 블랑主敎가 金 가밀로라는 韓國人 名義로 사들였다.
  13. [Good News 카톨릭事前] 종현聖堂.....이곳의 信仰 共同體는 1784年 李蘗의 집에서 洗禮式이 있은 다음해, 金範禹의 집에서 이승훈 丁若銓과 함께 宗敎 集會를 가짐으로써 始作되었다.
  14. [Godd News 카톨릭事前] 鳴動本堂.... .이곳에 信仰共同體가 形成된 것은 그보다 104年 前인 1784年의 일이다. 그 해 가을부터 水標橋(手標橋)의 李蘗(李檗)의 집에서 領洗式이 있었고, 다음 해에는 明禮坊(明禮坊; 現 鳴動 附近) 所在 中國語 譯官(譯官) 김범우(金範禹, 토마스)의 집 大廳마루에 모인 이승훈(李承薰, 베드로), 정약전(丁若銓)의 3兄弟, 권일신(權日身) 兄弟 等이 李蘗을 指導者로 삼아 宗敎集會를 가짐으로써 朝鮮에 敎會를 創設하였던 것이다.
  15. [文化財廳 國家文化遺跡포털] 서울 明洞聖堂 (서울 明洞聖堂)
  16. [Good News 카톨릭事前] 종현聖堂.....블랑 主敎가 全校 會長 金 街밀로의 名義로 이곳을 買入하였다.
  17. 《踏査旅行의 길잡이 15》(서울, 初版 2004, 5刷 2009, 돌베개)
  18. [네이버 知識百科] 서울 明洞聖堂 [─明洞聖堂] (韓國民族文化大百科, 韓國學中央硏究院)
  19. “明洞聖堂 再開發 現場에 高宗 下士 옛 집터” (MBN) . 2011年 12月9日에 確認함 .  
  20. “[韓國宣敎 130年 最初 宣敎師 알렌 이야기] (18) 알렌 外交官인가 宣敎師인가” (국민일보) . 2014年 6月6日에 確認함 .  
  21. 손윤탁《韓國 改新敎 初期의 宣敎 歷史》
  22. 임덕순 <읽고 떠나는 國土巡禮> 집문당 1994年 p109
  23. [Good News 카톨릭事前] 종현聖堂
  24. “保管된 寫本” . 2017年 1月 31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月 19日에 確認함 .  
  25. http://news.donga.com/3/all/20120621/47199877/1
  26. https://m.catholictimes.org/mobile/article_view.php?aid=177331
  27.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28659
  28.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071316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