綿山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綿山層
層서 範圍 : 캄브리아기
類型 堆積巖
上位 單位 朝鮮 累層軍
下層 선캄브리아기 基盤巖
洪祭祀 花崗巖
上層 묘봉層
地域 江原特別自治道 太白市 綿山 一帶
두께 100 m
巖質
沙巖 李嵒
나머지 礫巖
位置
이름 由來 江原特別自治道 太白市 三陟市 , 慶尙北道 奉化郡 綿山
脂肪 江原特別自治道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綿山層 (Myeonsan formation, 綿山層)은 古生代 朝鮮 累層軍 太白層群의 地層이다. 이 地層에는 大量의 타이타늄 鑛床이 賦存되어 있어 開發 可能性이 높은 地層이다.

槪要 [ 編輯 ]

綿山層 (Myeonsan formation, 綿山層)은 江原特別自治道 太白市 同點驛 附近에 있는 同點 單層 의 東쪽에 分布하는 地層으로, 太白市 三陟市 , 奉化郡 의 境界에 位置한 綿山(1246.2 m)에서 그 이름이 由來되었다. 萇山 硅巖層에 對比되는 것으로 보이는 이 地層은 선캄브리아기 의 화강片麻巖을 不整合 으로 덮고 7 m 두께의 礫巖으로 이루어진 下部와 그 上位에 約 100 m 두께의 暗灰色 沙巖 및 실트암으로 이루어진 上部의 地層을 가리키며 이 地層은 潮流가 優勢한 潮間帶 環境에서 堆積된 것으로 解釋된다. [1] [2] [3]

綿山層의 存在는 김정률과 정창희 (1987)에 依해 처음 確認되었다. 김정률과 정창희는 同點 單層의 東部에서 朝鮮 累層軍 萇山 硅巖層 과 암상이 다른 綿山層이 連續的으로 分布하는 것을 發見하였고, 綿山層은 萇山 硅巖層과 같이 화강片麻巖 위에 不整合 으로 놓이고 묘봉層 에 依해 整合 으로 덮이며 標準 化石이 發見되지 않았으나 層序的으로 萇山 硅巖層 과 對比된다고 하였다. [4]

巖相 [ 編輯 ]

  • 綿山層은 同點-綿山-연화 II 鑛山-鐵巖 地域 그리고 샘터-묘봉-德風溪谷 地域에 分布한다. 綿山層은 同點-연화 II 鑛山 그리고 묘봉-德風 地域에서 北東 走向에 北西로 警査한다. 綿山層의 下限은 基底 礫巖層 或은 淡色의 沙巖 層과 선캄브리아기 花崗巖質 片麻巖 사이에 놓이고 綿山層 上限은 묘봉層의 沙巖 內에 협재되는 어두운 色의 沙巖과 粘板巖 사이에 놓인다. 티타늄 을 含有하는 綿山層은 主로 沙巖 李嵒 , 基底 礫巖으로 構成되며 巖石의 化學 成分은 主로 二酸化 硅素, 酸化 철(III) , 二酸化 타이타늄 , 酸化 알루미늄 等으로 構成된다. 선캄브리아기 片麻巖과 接하는 基底 礫巖은 鐵巖에서 0 m, 오정골에서 10 m, 平均 1 m의 두께를 보인다. 地層의 全體 두께는 平均 90 m이며 漣痕 과 乾熱 構造가 算出된다. 綿山層에서는 Skolithos Laevicyclus 와 같은 痕跡 化石이 算出되어 綿山層의 地質時代 는 電氣 캄브리아기 에 該當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5]
  • 綿山層의 타이타늄 含量을 調査한 結果 綿山層의 平均 타이타늄 含量은 4.3%로 朝鮮 累層軍의 다른 地層에 비해 最小 10倍 以上의 含量을 보인다. 그러나, 綿山層의 타이타늄 含量은 最小 含量 0.51%에서 最大 含量 21.36%로 變異가 甚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綿山層 內의 타이타늄 이 含有되는 沙質(沙質)癌과 니질(泥質)癌이 交互 反復되는데 沙質 部分은 니질 部分보다 타이타늄의 含量이 相對的으로 높기 때문이다. [6]
  • 유병용 等(2020)은 三陟市 가곡면 풍곡리의 綿山層과 그 上下部의 묘봉層 및 洪祭祀 花崗巖을 對象으로 Ti-Fe 酸化鑛物의 山上과 紙貨學 造成 等을 調査하였다. 調査 結果 綿山層의 金紅石 赤鐵石 含量은 下部에서 上部로 갈수록 減少하며 金紅石과 티탄철석의 二酸化 타이타늄 (TiO 2 ) 含量도 上部로 갈수록 減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綿山層의 티타늄이 上部로 가면서 광물군과 티타늄 含量이 順次的으로 變하는 古鐵질 火成巖體의 風化에 起因하였음을 指示한다. [7]

타이타늄 [ 編輯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은 鑛山 開發 專門企業인 경동과 함께 太白·三陟·奉化 地域 綿山層의 타이타늄 · 鑛床을 共同 開發할 豫定이라고 밝혔다. 본 綿山層에는 延長 10 km 以上, 鑛體 幅 10∼50 m, 心府 延長 200 m 以上의 大規模 鑛床이 分布한다. 韓國地質資源硏究院이 2012~2015年 一帶를 探査한 結果 大規模 티타늄 이 있을 것으로 豫想한 바 있다. 티타늄의 豫想 자원량은 8千500萬t 以上일 것으로 推定된다. 韓國地質資源硏究院은 鑛山 開發 專門企業과 함께 正確한 埋藏量을 確認하기 爲해 2023年에도 10곳에서 試錐作業을 벌일 計劃이다. 앞으로 3∼4年 동안 試錐作業을 벌이면 鑛山 開發 事業性이 있는지 判斷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8] [9] [10]

化學 成分 [ 編輯 ]

아래 表는 江原特別自治道 寧越郡 太白市 에 分布하는 朝鮮 累層軍 最下部 地層인 삼방산層 과 綿山層의 化學 成分表이다. [11] 삼방산層에 비해, 綿山層에 二酸化 티타늄 의 含量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다. 主要 元素 分析 結果, 鐵과 티타늄 酸化鑛物(Fe 2 O 3 , TiO 2 )들의 含量이 綿山層 試料에서 삼방산層 試料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剝片 觀察視에 마그네타이트(magnetite)와 티탄철석 (ilmenite) 等이 綿山層에서 더 많이 觀察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綿山層과 삼방산層 의 元素 含量 比較도
地層 太白市 綿山層 寧越郡 삼방산層
試料 MS 1 MS 2 MS 3 MS 4 SM 1 SM 3 SM 4 SM 8
主要 成分 (%)
二酸化 硅素 76.52 51.97 63.89 68.74 66.84 58.27 82.34 73.02
酸化 알루미늄 5.57 5.61 6.75 6.66 14.21 16.13 7.11 9.81
二酸化 티타늄 2.88 10.84 5.43 2.96 0.87 1.14 0.50 0.50
酸化 철(III) 7.97 24.26 15.92 12.88 7.30 10.98 4.44 7.85
酸化 亡家니즈 0.28 0.30 0.09 0.14 0.02 0.03 0.08 0.05
酸化 마그네슘 1.52 2.41 3.29 4.07 2.24 2.94 0.81 2.78
酸化 칼슘 2.15 0.65 0.31 0.71 0.06 0.20 0.06 0.14
酸化 나트륨 0.00 0.36 0.42 0.70 0.01 0.04 0.00 0.00
酸化 칼륨 0.59 0.96 1.40 0.68 4.52 5.01 2.92 2.2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장휘民 ( 韓國海洋科學技術院 ); 유인창 ( 경북대학교 ) (2021年 8月). “A review of the stratigraphy of the Lower Paleozoic Joseon Supergroup (下部 古生代 朝鮮累層軍 層서 再考察)” . 《 大寒地質學會 57 (4). doi : 10.14770/jgsk.2021.57.4.495 .  
  2. Choi, Duck K; Chough, Sung Kwun; Kwon, Yi Kyun; Lee, Seung-bae; Woo, Jusun (2004年 6月).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 《Geosciences Journal》 8 (2): 125-151. doi : 10.1007/BF02910190 .  
  3. Woo, Jusun; Chough, Sung Kwun; Shinn, Y. J.; Kwon, Y. K. “The Jangsan and Myeonsan formations (Early Cambrian) of the Taebaek Group, mideast Korea: depositional processes and environments” . 《Geosciences Journal》. doi : 10.1007/BF02910331 .  
  4. 김정률; 정창희 (1987年 6月). “The Precambrian-Cambrian Boundary in the East of the Dongjeom Fault, Gangweon-do, Korea 江原道 銅店斷層 東部에서의 先캠브리아-캠브리아系의 境界)” . 《 大寒地質學會 23 (2): 145-158.  
  5. 김정률 (1991年 6月). “Stratigraphy of the Myeonsan Formation in Samchenggun, Kangwondo and Ponghwagun, Kyongsangbukdo (江原道 三陟郡 및 慶尙北道 奉化郡에 分布하는 綿山層의 層序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7 (3): 22-245.  
  6. 박찬혁; 유재형; 오민규; 이길재; 이기연 (2022年). “分光分析과 機械學習技法을 活用한 朝鮮累層軍 타이타늄 含有 綿山層 探知 (Detection of Titanium bearing Myeonsan Formation in the Joseon Supergroup based on Spectral Analysi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55 (2): 197-207. doi : 10.9719/EEG.2022.55.2.197 .  
  7. 유병용; 임진아; 고영진; 박영록; 신동복 (2023年 6月). “가곡면 綿山層 내 Ti-Fe 酸化鑛物의 山上 및 組成變化 (Occurrence and compositional variation of Ti-Fe oxide minerals in the Myeonsan Formation, Gagokmyeon, South Korea)” . 《 大寒地質學會 59 (2): 309-327. doi : 10.14770/jgsk.2023.024 . ISSN   2288-7377 .  
  8. “地質年, 民間 企業과 太白·三陟·奉化 타이타늄·철 鑛山 開發” . The Science Time. 2022年 4月 1日.  
  9. “無慮 8,500萬 톤! 大規模 티타늄 鑛脈 發見” . YTN . 2023年 1月 16日.  
  10. ' 꿈의 素材' 티타늄 大規模 鑛脈...鑛山 開發되나?” . YTN . 2023年 1月 16日.  
  11. 황미경 (2011年). “江原特別者도 寧越과 太白地域에 分布하는 造船累層軍 최下部層(삼방산層과 綿山層)의 巖石學的-地球化學的 比較分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