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獨逸 帝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獨逸 帝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독일국
Deutsches Reich
1871年 ~ 1918年
標語 하느님께서 우리와 함께 하신다
( 獨逸語 : Gott mit uns )
國家 그대에게 勝利의 王冠을
수도 베를린 北緯 52° 31′ 東京 13° 24′  /  北緯 52.517° 東京 13.400°  / 52.517; 13.400
政治
政治體制 立憲君主制
皇帝
1871年 ~ 1888年
1888年
1888年 ~ 1918年

빌헬름 1歲 (初代)
프리드리히 3歲
빌헬름 2歲 (말대)
國家首相
1871年 ~ 1890年
1918. 11. 8-9

오토 폰 비스마르크 (初代)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말대)
王朝 호엔촐레른
立法府 라이히스탁
歷史
 ?  統一 1871年 1月 18日
 ?  共和國 宣言 1918年 11月 9日
 ? 正式 退位 1918年 11月 28日
지리
1910年 어림 面積 540,857.54 (208,826 sq mi)
人文
公用語 獨逸語
데모님 獨逸人
人口
1910年 어림 64,925,993名
人口 密度 120 (310.9/sq mi)
經濟
通話 페라人슈탈러
南獨逸 굴덴
베레멘 탈러
함부르크 마르크
프랑스 프랑 (모두 1873年까지)
金 마르크 (1873-1914)
파피語마르크 (1914年 以後) ( M )
宗敎
宗敎 루터교 (60%)
로마 가톨릭교회 (40%)
기타
以前 國家
다음 國家
북독일 聯邦
바이에른
뷔르템베르크
바덴
헤센
프랑스
바이에른 人民主
브레멘 소비에트 共和國
알자스-로렌
바이마르
메멜 地域
자르 盆地 地域
단치히
폴란드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植民地 所有物 을 除外한 面積과 人口이다.

獨逸 帝國 ( 獨逸語 : Deutsches Kaiserreich 도이체스 카이저라이히 [ * ] , 英語 : German Empire, Imperial Germany, Second Reich )은 1871年 부터 1918年 까지 存續했던 國家이다. 獨逸 地域에서 近代 民族 國家를 탄생시킴으로써 現代 獨逸의 母胎가 되었다. 프로이센 王國 獨逸의 統一 로 成立되어, 長期 19世紀 末의 代表的인 强大國 이었으나 第1次 世界 大戰 敗戰으로 制定이 崩壞하고 共和國 으로 바뀌었다. 독일국 ( 獨逸語 : Deutsches Reich 도이체스 라이히 [ * ] )이라는 名稱은 이 때부터 公式 名稱으로 使用하기 始作하여 바이마르 共和國 나치 獨逸 에서도 쓰였다. 나치 獨逸의 影響으로 獨逸 帝國을 第2帝國 ( 獨逸語 : Zweites Reich 츠바이테스 라이히 [ * ] , 英語 : Second Reich )이라 부르기도 한다.

聯邦의 形態로서 4個의 王國 , 6個의 大公國 , 5個의 公國 , 7個의 侯國 , 3個의 自由詩 및 " 엘자스-로트링겐 帝國領 "(Reichsland Elsaß-Lothringen)으로 이루어졌으나 프로이센 王國 이 帝國 面積의 3/5를, 人口의 2/3을 차지하였다.

槪要 [ 編輯 ]

成立 以前 [ 編輯 ]

30年 戰爭과 終戰 以後 [ 編輯 ]

1648年 베스트팔렌 條約 以後의 유럽地圖. 오늘날의 獨逸領土와 比較하면 當時 얼마나 크게 分裂했는지 斟酌할 수 있다.

獨逸은 1871年 統一 되기 以前까지 여러 諸侯國 形式으로 갈라졌었다. 特히, 獨逸內에 改新敎 와 로마 가톨릭의 宗敎葛藤으로 戰爭이 始作된 1618年 ~ 1648年 사이에 있던 30年 戰爭 으로 全 獨逸 國土의 3分의 1이 破壞되거나 사람들이 죽었다. 30年戰爭 以後 베스트팔렌 條約 으로 獨逸이 더더욱 여러 나라로 分割되어 諸侯國들의 勢力이 分裂되자 强大國인 옆나라 프랑스 로부터 壓力을 받아야만 했다.

프로이센과 나폴레옹 戰爭 [ 編輯 ]

그러던 中 18世紀 後半부터 獨逸 北部地域에 프로이센 王國 이 크게 强盛해졌지만, 19世紀 初盤 나폴레옹 戰爭 으로 프로이센은 나폴레옹 프랑스 에 눌려 꼭두각시 身世로 지냈다. 나폴레옹 戰爭이 끝난 以後인 1830年代에는 獨逸 地域에서는 民族主義와 自由主義의 影響을 크게 받았다.

關稅同盟과 獨逸 革命 [ 編輯 ]

1848年 3月 19日, 베를린 革命蜂起.

19世紀, 39個의 群小國家로 分離되어 있던 狀況에 1834年 프로이센 을 中心으로 關稅 同盟 이 結成됨으로써 經濟統一의 基盤을 始作으로 促進되었다. 關稅同盟으로 獨逸안의 國家들이 서로 貿易할 때 賦課되었던 번거로운 關稅들이 廢止되었기에 獨逸經濟는 以前과 比較도 안 될정도로 急成長하기 始作했다. 關稅同盟은 獨逸의 民族意識을 일깨우는 役割을 한 셈이었다.

이어서 統一의 기운은 1848年 프랑스의 2月 革命으로 다시 한 番 影響을 받았는데, 프랑스에서 2月 革命이 일어나자 그 影響으로 獨逸에서는 프랑크푸르트 國民회의가 열리고, 이곳에서 로베르트 블룸 같은 自由主義者들이 主導하여 自由主義的 平和統一 方案이 論議되었으나, 오스트리아 帝國과 프로이센 王國內의 保守派(융커階層)에 依해 失敗하였다. 自由主義的인 聯邦統一을 主張했던 ‘프랑크푸르트 國民회의’가 끝내 挫折된 以後, 獨逸의 政治的 統一은 프로이센을 中心으로 展開됐다.

프로이센의 統一過程과 獨逸 帝國 成立 [ 編輯 ]

베르사유 宮殿에서의 獨逸 帝國 宣布式 .

1862年 오토 폰 비스마르크 가 프로이센 王國의 宰相 이 되었다. 그는 議會의 反對를 무릅쓰고 强力한 軍事力과 軍備增强을 主張하여 이른바 "鐵血政策"을 推進하였다. 그리고, 오스트리아 帝國 과 同盟을 締結하여 덴마크 와 戰爭을 벌인 結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戰爭 ), 프로이센 의 勝利로 덴마크 北部地方의 슐레스비히와 홀슈타인을 占領하였다.

1866年 에는, 産業과 軍事力이 增强한 프로이센이 이를 바탕으로 프로이센-오스트리아 戰爭 을 일으켜 쾨니히그레츠 戰鬪 에서 오스트리아 軍을 擊破하고 북독일 聯邦 을 結成, 오스트리아 帝國을 獨逸 聯邦에서 追放했다. 이로써 神聖로마帝國 以後 獨逸의 核心 勢力이었던 오스트리아가 排除된 小獨逸主義 의 形態로 統一이 進行된다. 1870年 에는 프로이센-프랑스 戰爭 에서 나폴레옹 3歲 가 引率하는 프랑스 를 크게 물리치고, 나폴레옹 3歲 를 捕虜를 잡는 等 乘勝長驅하여 파리 에 入城, 베르사유 宮殿 에서 獨逸 諸侯들에게 推戴되는 形態로 프로이센 國王 빌헬름 1歲 가 獨逸 帝國 皇帝 로 卽位함으로써 獨逸 帝國이 成立했다. 또한, 이 때에 오랜 歲月동안 프랑스와 領有權을 두고 다투었던 엘자스-로트링겐 地方을 베르사유 宮殿에서 맺은 條約을 통해 獲得했다.

비스마르크 體制 [ 編輯 ]

獨逸 帝國의 領土

오토 폰 비스마르크 프로이센-프랑스 戰爭 에서 敗戰한 프랑스의 報復을 未然에 防止하고자, 西歐 列强과 複雜한 同盟 關係를 構築해 프랑스를 孤立化시키는 外交 政策을 取했다. 이것을 "비스마르크 體制"라고 부른다.

1873年 獨逸 帝國은 러시아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의 3帝國間 同盟(芟除 同盟)을 맺었다. 後에 러시아 帝國은 이 同盟 體制에서 離脫하였다. 이어 1879年 獨逸 帝國과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러시아 帝國을 牽制하기 위해 防衛 同盟을 締結했다. 1882年 獨逸 帝國,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이탈리아 王國 間에 三國 同盟을 結成했다. 1887年에는 발칸반도와 關聯하여 러시아 帝國의 再保障 條約을 締結했다.

當時 英國과는 별다른 對立이 없었고, 이미 홀로 充分히 國力이 强盛했던 英國은 同盟에 參加하지는 않았다. 한便 프랑스는 비스마르크 體制의 外交로 孤立됐다.

빌헬름 2歲의 膨脹政策 [ 編輯 ]

獨逸 帝國의 領土

1888年 빌헬름 1歲 가 死亡하고, 皇太子 프리드리히 3歲 가 卽位했지만, 在位 6個月만에 喉頭癌으로 死亡했다. 이어서 프리드리히 3世의 아들인 빌헬름 2歲 가 卽位하는데, 이를 "3皇帝의 해"라고 부른다. 卽位한 빌헬름 2歲 오토 폰 비스마르크 와 對立하여 1890年 에 그를 隱退시킨다. 비스마르크가 失脚하자마자 親庭을 實施한 빌헬름 2世는 비스마르크가 推進했던 外交政策과는 달리 對外 膨脹政策을 推進하여 오스만 帝國 과 '바그다드 鐵道 敷設條約'을 맺어 베를린 비잔티움 , 바그다드 를 連結하는 " 3B 政策 "이라는 帝國主義 敵人 植民 政策을 推進하였다.

이러한 膨脹政策은 유럽 國家들을 긴장시켜 러시아帝國과 프랑스가 손을 잡았으며, 英佛協商을 맺어 러시아 帝國 - 英國 - 프랑스 를 主軸으로 ' 三國 協商 '을 맺어 獨逸帝國을 牽制하고자 하였다. 特히 英國은 카이로 케이프타운 , 캘커타 를 連結하는 " 3C 政策 "을 내세웠는데, 西아시아에서 獨逸帝國과 衝突하여 對立했던 狀況이었다.

따라서 유럽의 版圖는 新興 强國인 獨逸 帝國을 筆頭로 同盟國 勢力과 旣存의 列强이었던 英國과 프랑스, 러시아帝國을 中心으로하는 協商國勢力으로 나뉘어 對立하게 된다. 이어서 1905年 ~ 1906年 1911年 모로코 에서 프랑스 가 支配權을 確保하여 影響圈을 行使하려 하자, 獨逸帝國은 모로코에 2次例 걸쳐서 介入하여 프랑스와 衝突( 모로코 事件 )하기도 했다. 또한, 범슬라브주의를 標榜하여 永久 不凍港을 確保하려는 帝政 러시아 의 南下 政策과의 獨逸 帝國과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의 범게르만주의와의 對立 等으로 발칸반도에서 問題가 擴散되면서 더욱더 深化되어갔다.

膨脹政策에 依해 獨逸은 三國 協商 構成 國家와의 外交的 摩擦과 經濟的인 負擔을 안았고, 樣相이 漸漸 深化됨에 따라 1914年 第1次 世界 大戰 이 勃發했다.

第1次 世界大戰과 制定의 終熄 및 戰後 社會 [ 編輯 ]

第1次 世界大戰 [ 編輯 ]

1914年의 協商國과 同盟國 유럽版圖.(노란色 國歌는 中立國)

1914年 ,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세르비아 사이에서 緊張이 높아가던중 세르비아의 한 民族主義者 靑年이 보스니아 의 數도 사라예보 를 訪問한 오스트리아 皇太子 夫婦를 暗殺하는 事件이 일어났다. ( 사라예보 事件 ). 이를 契機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세르비아 에 宣戰布告를 하였다.

그러자 발칸반도에 南下政策을 推進하던 러시아 帝國 은 세르비아 支援을 宣言한 뒤 總動員令을 내렸고, 이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 同盟國이었던 獨逸帝國은 러시아 帝國 , 프랑스 , 벨기에 , 大英帝國 에 宣戰布告, 攻擊함으로써 第1次 世界大戰 이 始作되었다.

獨逸은 짧은 時間內에 戰爭이 끝날것이라는 豫想했지만, 프랑스의 豫想意外에 激烈한 抵抗과 마른 戰鬪 에서 敗北하면서 西部戰線 戰爭의 樣相은 塹壕戰과 長期戰 形式으로 되어갔다. 또한, 東部戰線 亦是 러시아 帝國의 大規模 電線配置로 인해 戰爭이 進行됨에 따라 固着化되었다.

第1次 大戰 期間 동안 이탈리아 王國, 불가리아, 루마니아, 오스만 帝國 等 周邊國家들이 利害關係에 따라 同盟國 或은 協商國에 參戰하였다. 한便, 獨逸 帝國은 英國에 制海權을 빼앗기면서 이를 克服하기 위해 無制限 潛水艦 攻擊 을 加했고, 戰爭의 樣相은 漸漸 더 熾烈해져 갔다.

1917年 러시아에서 10月 革命 이 일어나 制定 體制와 自由主義 政府 體制가 무너지고 소비에트 政權 이 들어섰다. 1918年 3月, 獨逸 帝國과 소비에트 政權은 브레스트-리토프스크 條約 을 맺었다. 이 條約의 條件으로 소비에트 政權은 過去 러시아 帝國때 相當部分 領土와 賠償金을 獨逸 帝國에 提供해야 했다. 新生 政權인 소비에트 政權이 1次 大戰 協商國인 英國과 프랑스 等의 勢力으로부터 離脫하자 東部戰線에 配置돼 있던 獨逸兵力이 大擧 西部戰線으로 移動하면서 戰爭의 樣相은 變化하기 始作한다.

制定의 終熄 및 第1次 世界大戰 終戰 [ 編輯 ]

에서 革命을 일으킨 獨逸市民들

1917年 에는 中立 體制를 維持해오던 美國 은 自國 商船이 獨逸 潛水艦에 依해 격침당한 事件과 치머만 電報事件 을 契機로 獨逸에 宣戰을 布告하고, 이어서 200萬名이라는 大規模 軍隊를 派遣하여 西部유럽 戰線에 參戰, 戰爭의 樣相은 獨逸帝國 이 不利해져 갔다. [1]

1918年 에는 同盟國이던 오스만 帝國 이 脫退했다. 特히 러시아 革命으로부터 同盟國 오스트리아와 獨逸 國民들이 크게 影響을 받아 反戰 運動이 頻繁하게 일어났다.

1918年 11月 9日 獨逸 킬 軍港에서의 水兵들 叛亂을 始作으로 市民들이 合勢하여 獨逸 11月 革命 으로 飛火하자, 結局 11月 10日 빌헬름 2歲 네덜란드 로 亡命하면서 制定이 무너졌고 共和國이 出帆하면서 革命은 成功하였다. 以後에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를 政府首班으로 바이마르 共和國 이라고 불리는 共和制 政府 가 세워졌다.

1918年 11月, 獨逸 臨時政府는 協商國(英國, 프랑스, 美國)에 無條件 降伏을 宣言함으로써 第1次 世界大戰 은 終戰을 맞이하였다.

戰後 社會 [ 編輯 ]

베르사유 條約 體制 [ 編輯 ]

第1次 世界大戰 의 敗戰國이 된 獨逸은 베르사유 條約 으로 인하여 포젠 서프로이센 폴란드 에 割讓되었고, 알자스 로렌 地方은 프랑스 에, 北슐레스비히 덴마크 에 割讓해야만 하였다.

거기에 南陽 群島 와 칭다오는 日本 帝國 에, 아프리카 植民地는 大英 帝國 , 프랑스 , 南아메리카 聯邦 , 벨기에 等에게 割讓하였고 戰爭 挑發 賠償金人 1,320億 마르크까지 支拂해야 했다. 게다가 라인란트 地域은 프랑스 中心의 聯合軍에 依해 非武裝化되었다.

한便 第1次 世界大戰은 獨逸이 始作한 것이 아닌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 이 始作했고, 戰爭 期間 中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은 主로 세르비아人 유대人 을 虐殺했다는 點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이 獨逸 帝國보다 더 많은 賠償을 내야 했었다.'고 主張하는 意見도 있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과 오스만 帝國 의 國土 損失이 甚했던 것과는 比較하면 獨逸이나 불가리아 王國 은 本土 損失이 相對的으로 크지는 않았다.

1920年代 바이마르 共和國 混亂期 [ 編輯 ]
1923年 때 獨逸의 貨幣.

그러나, 베르사유 條約 이라는 敗戰國 獨逸에 對한 苛酷한 條約은 뒷날 第2次 世界大戰 勃發의 씨앗이 됐다. 當時 獨逸은 바이마르 共和政 體制였는데, 이 時期의 獨逸에서는 가는 곳마다 失業者들이 넘쳐났을뿐 아니라 罷業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베르사유 條約에 따라 勝戰國인 프랑스, 英國 等에 賠償金 支拂을 위해서 獨逸은 無制限으로 紙幣를 發行했는데, 1914年 에 감자 하나에 1마르크이면 살 수 있었던 것을, 1920年 에는 數十億 마르크 로 殺人的인 인플레이션 現象이 나타났다.

여기에 1923年 프랑스가 루르 地方을 武力으로 占領함에 따라 獨逸과 프랑스의 關係는 더욱 惡化했다. 이에 美國 이 仲裁를 나서 獨逸에 對한 借款을 提供하고 賠償金額을 낮춤으로 解決하고자 하였으나, 獨逸에 對한 莫大한 戰爭 賠償金 要求는 인플레이션 現象으로 繼續 이어져 改善의 幾微가 全혀 보이지 않게 되고, 이는 獨逸 國民들의 不滿을 가져와 뒷날 나치스 登場의 背景이 된다.

政治 [ 編輯 ]

1890年代 帝國議會

獨逸帝國의 政治形態는 4王國·6大公國(大公國)·5公國(公國)·7侯國(侯國) 및 3自由詩(自由市)로 構成된 聯邦國家였다. 프로이센 왕이 皇帝가 되고, 프로이센 宰相이 帝國의 宰相을 兼任하였다. 皇帝는 政治權·軍事權·外交權 等을 掌握하였고, 議會는 上院議員인 聯邦參議員과 男性中心으로 普通選擧에 依한 帝國議會 가 下院으로 構成되었으나, 下院議會의 權限은 豫算審議權을 가지고 있는 것 程度일뿐 權限은 적었다.


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마이닝겐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대공국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로이스그라이츠작센알텐부르크 공국작센알텐부르크 공국작센알텐부르크 공국작센알텐부르크 공국작센알텐부르크 공국로이스게라로이스게라로이스게라로이스게라로이스게라로이스게라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튀링겐 국가들튀링겐 국가들튀링겐 국가들튀링겐 국가들알자스-로렌바덴 대공국뷔르템베르크 왕국바이에른 왕국바이에른 왕국바이에른 왕국작센 왕국헤센 대공국헤센 대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안할트 공국발데크피르몬트 후국발데크피르몬트 후국발데크피르몬트 후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브라운슈바이크 공국리페 후국리페 후국샤움부르크리페 후국샤움부르크리페 후국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함부르크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뤼베크 자유시브레멘주브레멘주브레멘주브레멘주브레멘주브레멘주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올덴부르크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프로이센 왕국
國家 수도
王國 ( Konigreiche )
프로이센 베를린
바이에른 뮌헨
작센 드레스덴
뷔르템베르크 슈투트가르트
大公國
( Großherzogtumer )
바덴 카를스루에
헤센 다름슈타트
메클렌부르크슈베린 슈베린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노이슈트렐리츠
올덴부르크 올덴부르크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바이마르
公國 ( Herzogtumer )
안할트 데사우
브라운슈바이크 브라운슈바이크
작센알텐부르크 알텐부르크
작센코부르크고타 코부르크
작센마이닝겐 마이닝겐
侯國 ( Furstentumer )
리페 데트몰트
로이스게라 게라
로이스그라이츠 그라이츠
샤움부르크리페 뷔케부르크
슈바르츠부르크루돌슈타트 壘돌슈타트
슈바르츠부르크존더샤우젠 존더샤우젠
발데크피르몬트 亞롤젠
自由/漢字 都市
( Freie und Hansestadte )
브레멘
함부르크
뤼베크
帝國領 ( Reichslander )
알자스-로렌 스트라스부르크


反面, 各 地方 政府를 代表하는 聯邦參議員이 上院의 境遇는 帝國의 重大한 事案에 對해 이곳에서 여러 問題가 決定되었다. 그러나 各 地方 政府들은 各各 從來의 政治制度와 法律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고, 또 行政權度 거의 掌握하고 있었기 때문에 聯邦政府 形態를 띠었다.

獨逸 帝國의 政府는 皇帝의 任命과 뜻대로 되었고, 議會에 責任을 지지 않았다. 聯邦國家 形態로 構成된 地方勢力들 中 프로이센 은 面積과 人口에서 全 獨逸의 3/5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事實上 獨逸帝國은 皇帝가 直接 支配하는 形態로 그 權限은 莫强했다.

또 獨逸 帝國에서는 皇帝 못지않게 宰相의 權限이 컸기 때문에 비스마르크와 같은 有力한 人物이 宰相인 때에는 事實上 그의 獨裁가 되었고, 그렇지 않은 境遇에는 統一의 意志가 喪失되었다.

이처럼 獨逸帝國은 議會가 構成되어 있으면서도 自由主義 的인 性向도 아닌 융커 階層, 卽 大地主 或은 貴族이 軍部와 官僚의 中心勢力을 獨占하였기 때문에 近代的인 意識과 改革은 크게 沮害되었다.

經濟 [ 編輯 ]

1862年 에 프로이센 宰相으로 오른 비스마르크의 '鐵血政策'을 바탕으로 重工業 育成과 軍事力 增强 等 國力이 剛해지면서 以後 1871年 統一된 獨逸帝國은 旣存의 封建的인 土地貴族 階層이자 保守層인 융커 階層 官僚들의 後援과 基盤으로 1870年代부터 生産이 急激히 늘어났다. 그러나, 保守層인 융커 階層의 主導下에 이루어진 産業化 政策은 市場의 規模가 制限되었기 때문에 經濟不況을 맞기도 하였다. 獨逸帝國은 이러한 狀況의 克服을 위해, 優秀한 技術과 自國의 經濟를 발전시키고자 原料 供給地와 商品 市場뿐만 아닌 資本을 投資할 海外 植民地를 必要로하여 帝國主義의 길로 발을 내밀게 된다. 그러나, 大英 帝國 , 프랑스 植民 帝國 에 비해 늦게 植民地 政策을 始作하였기에 1890年代 빌헬름 2歲 는 軍事力을 動員하여 보다 積極的으로 海外 植民地를 確保하고자 하였다.

20世紀 初에는 重工業生産에서 世界 第2位의 急速한 經濟發展을 背景으로 海外 膨脹 政策을 推進하였다. 全般的으로 獨逸의 産業化는 經濟市場의 變化에 對應하는 受動的인 姿勢가 아닌 그것을 先導하는 能動的인 姿勢로 進行되었다. 그러나, 이 結果 獨逸 社會는 한便으로는 保守層인 융커 層 및 그들을 後援하는 資本家와 또 다른 한便으로는 프롤레타리아 (無産層)의 勞動者勢力으로 兩分되어 內部的인 葛藤과 分裂을 惹起했다. 이러한 社會的 對立은 長期的으로 第1次 世界大戰의 原因을 提供했다. [2]

行政 區域 [ 編輯 ]

所屬 國家 [ 編輯 ]

歷代 카이저 [ 編輯 ]

카이저 (Kaiser)는 獨逸語 皇帝 라는 뜻이다. 로마의 카이사르 의 이름에서 由來했다. 또한 오스트리아-헝가리 帝國에서도 이 呼稱을 使用한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甚至於 이 때 스페인毒感 까지 퍼지고 있을 때였다
  2. <<世界의 歷史>>, 韓國放送通信大學校出版部. p392

參考 資料 [ 編輯 ]

  • Aronson, Theo. The Kaisers . London: Cassell, 1971.
  • Blackbourn, David and Eley, Geoff. The Peculiarities Of German History: Bourgeois Society and Politics In Nineteenth-Century Germany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4 ISBN   0-19-873058-6 .
  • Craig, Gordon . Germany: 1866-1945 , Oxford : Clarendon Press, 1978 ISBN   0-19-822113-4 .
  • Fischer, Fritz . From Kaiserreich to Third Reich: Elements of Continuity in German History, 1871-1945 . (transla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Roger Fletcher) London: Allen & Unwin, 1986. ISBN   0-04-943043-2 .
  • Fischer, Fritz . War of Illusions: German Policies from 1911 to 1914 .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Marian Jackson) New York: Norton, 1975. ISBN   0-393-05480-2 .
  • Geiss, Imanuel . German Foreign Policy 1871-1914 . USA: Routledge and Kegan Paul, 1976. ISBN   0-7100-8303-3
  • Jefferies, Mattew. Imperial Culture in Germany, 1871-1918 . New York and London: Palgrave, 2003. 1-4039-0421-9.
  • Louis, Wm. Roger. Ruanda-Urundi 1884-1919 . Oxford: Clarendon Press. 1963.
  • Luke, Martina G.: Zwischen Tradition und Aufbruch. Deutschunterricht und Lesebuch im Deutschen Kaiserreich . Frankfurt am Main 2007, ISBN   978-3-631-56408-0 .
  • Mommsen, Wolfgang . Imperial Germany 1867-1918: Politics, Culture, and Society in an Authoritarian Sate . (translated by Richard Deveson from Der Autoritare Nationalstaat ) London: Arnold, 1995. ISBN   0-340-64534-2 .
  • Nipperdey, Thomas. Deutsche Geschichte 1800 - 1918. Arbeitswelt und Burgergeist. Machtstaat vor der Demokratie. 3 vols. Beck: Munchen, 1998, ISBN   978-3-406-44038-0 .
  • Retallack, James. Germany In The Age of Kaiser Wilhelm II , Houndmills, Basingstoke, Hampshire : Macmillan ; New York : St. Martin's Press, 1996 ISBN   0-312-16031-3 .
  • Ritter, Gerhard . The Sword and the Scepter; the Problem of Militarism in Germany .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Heinz Norden) Coral Gables: University of Miami Press 1969?73.
  • Schollgen, Gregor. Escape into War? The Foreign Policy of Imperial Germany . UK: Berg, 1990. ISBN   0-85496-275-1 .
  • Sturmer, Michael . The German Empire, 1870-1918 . New York: Random House, 2000. ISBN   0-679-64090-8 .
  • Wehler, Hans-Ulrich . The German Empire, 1871-1918 . (translated from the German by Kim Traynor) Leamington Spa, Warwickshire: Berg Publishers, 1985. ISBN   0-907582-22-2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