衿川層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衿川層 또는 衿川-將星層
層서 範圍 : 石炭紀
三陟炭田 地域 平安 累層軍 柱狀斷面圖
類型 堆積巖
上位 單位 平安 累層軍
下層 平安 累層軍 灣港層
上層 平安 累層軍 將星層
地域 三陟炭田 , 江陵炭田 , 旌善 - 平昌 炭田, 寧越炭田 , 丹陽炭田
두께 三陟炭田  : 普通 70~120 m (部分的으로 尖滅)
丹陽炭田  : 50~70 m
巖質
沙巖 , 셰일
나머지 石灰巖 , 無煙炭
位置
이름 由來 江原特別自治道 太白市 금천동 , 將星炭鑛 衿川갱
命名者 정창희 (1969)
나라 대한민국의 기 大韓民國

衿川層 (Geumcheon formation, 黔川層)은 大韓民國 三陟炭田 , 江陵炭田 , 旌善 - 平昌 炭田, 寧越炭田 , 丹陽炭田 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堆積巖 地層으로 主로 沙巖 셰일 로 構成되며 石灰巖 無煙炭 을 包含한다. 地層의 地質時代 古生代 石炭紀 이며 過去 使動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衿川層의 이름은 江原特別自治道 太白市 금천동 에서 由來되었다.

槪要 [ 編輯 ]

大韓民國 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最大 1,400 m의 두께를 가진다. 平安 累層軍 은 過去 下部로부터 鴻漸統(→ 灣港層 ), 사동통(→ 衿川層 , 將星層), 고방산통(→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 綠巖桶(→東古層)으로 區分하였다. 코다이라(Kodaira, 1924)는 北韓 地域의 平南 盆地에 分布하는 後記 古生代 퇴적암층을 平安系(system)라고 提案하였고, 카와사키(Kawasaki, 1927)와 他테이와(Tateiwa, 1931)는 平安系를 4個의 桶(series; 現在의 層軍에 該當) 卽 鴻漸統, 사동통, 고방산통 그리고 綠巖通으로 區分하였다. 南韓 地域의 太白山 盆地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의 層序는 日本 學者들과 태박산地球地下資源調査團(GICTR, 1962)에 依해 처음으로 北韓 地域과 類似한 4個의 桶으로 區分되었다. [1] [2] 그러나 分斷 以後 北韓 地域의 接近이 不可能해졌을 뿐 아니라 平南 盆地와 太白山 盆地로 대표되는 兩 地域 間의 巖相 差異 및 對備 問題가 漸次 提起되었다. 이에 1969年 정창희는 三陟炭田을 平安 累層軍의 表式地로 삼고, 그 層序를 下部에서부터 灣港層 , 衿川層, 將星層, 함백산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 으로 새로 設定하였다. 그리고 灣港層 과 衿川層을 고목층群, 將星層과 함백산層을 鐵巖層群, 道士曲層, 高한層, 東古層을 黃지층군으로 設定하였다. [3] 이들 地層名은 오늘날 大韓民國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의 標準 層序로 자리잡아 現在는 大部分의 硏究者가 이 名稱을 使用한다.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의 平南 盆地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은 下部로부터 鴻漸統, 立席桶, 사동통, 고방산통 等으로 分類된다. 現在까지도 北韓 地域에서는 사동통의 下部를 後記 石炭紀 의 立席通으로 分離한 것을 除外하면 같은 層序를 使用하고 있다. [5]

平安 累層軍의 地質 系統表와 層序는 다음과 같다. 그間 平安 累層軍을 對象으로 이루어진 많은 調査 硏究가 石炭 開發을 目的으로 한 바, 平安 累層軍의 分布地는 一般的으로 地域名 뒤에 炭田(炭田)이라는 名稱을 붙여 使用한다. [6] [5]

地質 時代 地域
三陟炭田 江陵炭田 旌善 - 平昌炭田 寧越炭田 丹陽炭田 報恩炭田 和順炭田 平南盆地 두萬分之
中生代 三疊紀
201.3?252.17 Mya
中世 237?247.2 Mya 아니시안 東古層 박지산層 東古層 - 太子圓筒
傳貰 247.2?252.17 Mya 咽頭안 상원산層 -
古生代
페름기
252.17?298.9 Mya
로핑기아 252.17?259.8 Mya ch - 고방산통 송相通
과달루페
259.8?272.3 Mya
카피탄 高한層 (언별리層) 옥갑산層 高한層
워디안 道士曲層 망덕산層 道士曲層 -
로디안 천운산層
時數랄里아
272.3?298.9 Mya
쿤쿠리안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함백산層 鷄龍山桶
아르틴스키안 將星層 將星層 將星層 美炭層 將星層 將星層 含炭層 사동통
사크마리안 밤치層 밤치層 밤치層 暗記桶
아셀吏案 立席桶
古生代
石炭紀
252.17?298.9 Mya
펜실베이니아
298.9?323.2 Mya
모스크바 衿川層 衿川層 衿川層 板橋層 衿川層 오음리層 鴻漸統
灣港層 灣港層 灣港層 要鳳層 灣港層 灣港層 용마산層
바시키르

三陟炭田 [ 編輯 ]

三陟炭田 地質圖
三陟炭田 地質斷面圖
상동鑛山 周邊의 地質圖. 白雲山 향사代의 構造가 잘 드러나 있다.
太白市 地域 炭鑛 分布圖. 炭鑛은 平安 累層軍 中의 無煙炭 을 採掘한다.
  • 정창희 (1969)에 依하면 衿川層은 暗灰色 沙巖, 셰일, 石灰巖이 交好하며 石炭 이 0.5 m 두께로 렌즈上으로 협재된다. 太白市 장성동-금천동 地域의 將星炭鑛 地域에서 衿川層이 가장 잘 드러나며 이 地域에서는 7個 石灰巖層과 2 乃至 3個의 石炭層이 협재된다. 石炭層은 셰일 或은 石灰巖에 협재된다. 衿川-長城 地域에서 衿川層의 두께는 120 m 以上이나 같은 地域에서도 橫的인 變化가 甚해 平均 두께는 70 m이다. 各 암석층의 두께는 沙巖이 1~3 m, 石灰巖이 0~5 m, 셰일層 10 m 以上이다. 衿川層 石炭의 熱量은 6,000 cal 以上으로 推定된다. 下部의 灣港層으로 갈수록 漸移的으로 色이 軟해져 下限을 定하지 어렵다. 衿川層 上限 위에는 將星層의 JA 輪廻層이 있어 衿川層의 上限을 定하기 쉽다. 衿川層은 地域別로 암상과 두께의 變化가 크다. [3]
    • 將星炭鑛 : 衿川層은 120 m 以上의 두께로 잘 發達하나 講院炭鑛에서는 두께가 減少한다. 衿川鑛山과 함태鑛山 간 地域에서는 衿川層이 함백산 斷層에 依해 잘려나가고 위에 將星層만 남아 있다.
    • 道界炭鑛 : 衿川層은 60 m 두께로 發達하며 2~4個 石灰巖層을 협재한다.
    • 荒地炭鑛 : 이 地域에서 衿川層은 두께가 다양하며 地層의 두께는 20 m 까지 減少한다. 한 斷面에서는 2個 石灰巖層이 1 m 두께로 협재된다.
    • 魚龍-東古炭鑛 : 이 地域에서 衿川層은 두께가 20 m 以下이며 單 하나의 石灰巖層만 협재된다.
    • 東古-함백炭鑛 간 地域에서 衿川層은 매우 얇아지며 사북 地域에서는 石炭層이 出現하지 않는다. 紫微垣-함백 地域에서는 衿川層이 尖滅해 將星層의 JA 層이 灣港層 위에 바로 오게 된다.
    • 함백炭鑛 地域에서 衿川層은 尖滅한다. 이 地域에서 平安 累層軍은 白雲山 향사臺를 따라 半圓形으로 分布하고 灣港層은 褶曲軸 西쪽으로 더 이어진다. 白雲山 享祀대 南쪽 날개 地域에서도 衿川層은 두께가 매우 얇거나 아예 없다. 이런 狀態가 持續되다가 動員鑛山의 火절치부터 衿川層이 1~2枚의 石灰巖을 협재하며 20 m 두께로 나타난다.
    • 動員-정암炭鑛 地域에서 衿川層은 두께가 70 m 以上으로 增加하며 石灰巖層度 4枚 或은 더 많이 협재된다. 정암 炭鑛과 周邊 地域에서는 褶曲에 依해 衿川層 分布地域이 매우 넓어져 2 km 에 이른다. 3~4回 反復되는 이 褶曲은 謄寫(isoclinal) 褶曲이어서 指標에서는 認知되지 않는다.
  • 정창희(1973)에 依하면 衿川層은 元來 사동통 下部에 該當하는 것으로 石灰巖 層을 협재하는 部分을 分離하여 명명한 것이다. 사동통은 平壤 附近에 發達된 含炭層과 그 下位의 黑色 地層을 合하여 부른 것으로 地質時代는 페름기 로 規定되어 있다. 따라서 過去 三陟炭田 地質調査 當時 三陟炭田 의 黑色層을 사동통에 對備했다. 그러나 三陟炭田 의 所謂 '사동통' 下部에서는 모스코飛雁 上部에 該當하는 紡錘蟲의 化石이 發見되었고 페름기의 化石은 全혀 發見되지 않아 以後 衿川層으로 命名되었다. 衿川層은 곳에 따라 1~4枚의 石灰巖 層을 협재한다. 본 層이 命名된 將星炭鑛의 衿川坑에서는 4枚의 石灰巖 層이 發見된다. 石灰巖層은 얇은층의 石炭層과 密接한 關係를 가지고 發達한다. 沙巖 , 셰일 , 石灰巖 , 石炭 層과 함께 數 會議 輪廻(輪廻)層을 構成한다. 이는 上位의 將星層이 陸成層으로만 構成된 輪廻層과는 對照的인 事實이다. 衿川層은 70~100 m의 두께를 가지며 三陟炭田에서는 將星層과 密接한 關係를 가지고 全 炭田에 걸쳐 發達되어 있다. [7]
  • 김항묵(1978)에 依하면 衿川層은 灣港層 위에 整合 敵으로 놓인다. 構成 巖石은 沙巖 , 셰일 , 石灰巖 이고 얇은 石炭層을 협재한다. 全 層에 걸쳐 灣港層에 비해 셰일 이 優勢하고 沙巖이 보다 조립질이며 顯著히 暗灰色이다. 본 層의 石灰巖은 灣港層에 비해 협재 頻度가 頻度가 높고 더 두껍다. 石灰巖은 紡錘蟲, 코노돈트 , 海百合 줄기 化石을 包含하며 江東炭鑛에서는 石灰巖 中에서 完足牌 化石이 發見되었다. 본 層에는 石灰巖이 普通 3枚 협재되어 있으나 最大 7枚에 達하는 곳도 있고 單位層의 두께는 普通 2~3 m, 最大 10 m에 達하는 곳도 있다. 두께 50 cm 以上의 앏은 石炭層은 石灰巖層 사이에 놓이거나 그 上位 或은 下位에 놓이기도 한다. 셰일은 흔히 炭質이다. 江東炭鑛의 暗灰色 셰일 中에는 直徑 2 cm의 니질(泥質) 黃鐵石 團塊가 算出된다. 三陟市 도계읍 상덕炭鑛 附近의 본 層은 斜層理 를 발달시키는 組立沙巖을 主로 한다. 본 層의 암상은 甚한 橫的 變化를 보여 주는 것은 確實하나 함백炭鑛과 묵산탄광에서는 본 層이 없고 灣港層 위에 將星層이 바로 놓이는 境遇도 있다. 본 層의 두께는 함백炭鑛에서 0 m~將星炭鑛 衿川區에서 最大 120 m이다. [8]
  • 三陟炭田 西部 地域에서의 衿川層은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 과 細粒 沙巖 으로 構成되며 3~4枚의 暗灰色 石灰巖 및 2~3枚의 石炭層을 협재한다. 이들 石炭層은 加行 對象이 되지 않는다. 본 地層에서는 小型 有孔蟲, 紡錘蟲, 完足類, 코노돈트 의 化石이 産出되며 灣港層과 본 層이 海成層임을 指示한다. [9]
  • 김정환과 金泰浩(1985)에 依하면 함백산 單層 東部 소도동-금천동-장성동 地域에서의 衿川層은 灣港層 整合 敵으로 덮는다. 衿川層의 最下部는 暗灰色 石灰巖 을 基底로 하여 細粒質 沙巖과 셰일의 輪廻層으로 構成되며 中部는 暗灰色 石灰巖 , 셰일 및 石炭層의 輪廻層이며, 上部는 石灰巖 , 셰일 및 沙巖의 號層대로 構成된다. 衿川層 內에 含有된 含有된 여러 種類의 化石들은 본 地層이 海成層임을 指示한다. [10]
  • 최덕근(1988)은 寧越郡 상동읍 舊江東 地域에 分布하는 衿川層의 暗灰色 셰일에서 韓國에서 最初로 發見된 코뉴라리드 化石 Paraconularia geumcheonensis 을 報告하였다. [11]
  • 박수인(1989)에 依하면 旌善郡 사북-告한 地域에서의 衿川層은 主로 (癌)灰色 셰일 과 細粒質 沙巖 으로 構成되며, 暗灰色 石灰巖 이 3~4枚 협재된다. 衿川層 石灰巖의 두께는 곳에 따라 差異가 있는데 6 m에 達하는 石灰巖度 있다. 또한 이들 石灰巖 內에는 얇은 처트 가 수 매 협재되어 있다. 이들 石灰巖에는 紡錘蟲, 完足類, 開形類, 海百合 줄기, 코노돈트 等이 풍부히 算出된다. 地層의 두께는 約 70 m 內外이다. [12]
  • 원명숙(1999)은 통리再 - 도계읍 에 分布하는 灣港層 과 衿川層의 石灰巖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와 그 生層序를 硏究하였다. 衿川層은 主로 暗灰色 沙巖, 셰일, 石灰巖으로 構成되고 大部分의 石灰巖은 셰일 內에 협재되며 그 두께는 多樣하다. 衿川層의 石灰巖에서 Idiognathodus delicatus , Idiognathodus claviformis , Neognathodus medexultimus , Gondolella bella , Hindeodus minutus , Diplognathodus edentulus , Diplognathodus orphnus 가 算出되어 衿川層에서 Gondolella bella 生層序帶가 設定되었고 衿川層의 地質時代 石炭紀 모스크바節 더모이네試案(Desmoinesian)조이다. [13]
  • 박수인과 오재경(2000)은 三陟炭田 太白市 地域에 分布하는 灣港層 과 衿川層의 石灰巖에서 코노돈트 化石을 硏究하였다. 이 地域의 衿川層은 두께 70 m로 主로 暗灰色 沙巖 , 셰일 , 石灰巖 으로 構成되며 통리-新番地 間 國道邊, 함백산高原陸上訓鍊場 一帶, 심포리 一帶에 잘 드러나 있다. 衿川層의 石灰巖은 大槪 셰일 內에 협재되며 그 두께는 多樣하다. 衿川層의 走向은 北東 45~70°, 警査는 北서 40~70°이고 變化가 甚하다. 衿川層의 石灰巖에서는 Neognathodus medexultimus , Neognathodus roundyi , Neognathodus dilatus , Gondolella bella ,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 Diplognathodus edentulus , Hindeodus minutus , Idiognathodus delicatus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等의 코노돈트가 産出되어 灣港層과 衿川層의 石灰巖이 海水의 循環이 좋은 얕은 바다에서 堆積되었음을 指示한다. [14]
  • 박수인과 禪僧臺(2001)는 三陟炭田 太白市 地域의 灣港層 과 衿川層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調査하고 生層序帶를 設定하였다. 이 地域의 衿川層은 暗灰色 沙巖과 셰일, 綠灰色 셰일과 셰일에 협재되는 (癌)灰色 石灰巖으로 構成되며 드물게 石炭 을 협재한다. 衿川層 石灰巖에서 Idiognathodus delicatus , Neognathodus medexultimus , Neognathodus roundyi , Neognathodus dilatus , Diplognathodus edentulus , Hindeodus minutus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 Gondolella bella 이 算出되어 衿川層의 코노돈트 生層序帶는 Neognathodus roundyi 臺로 指定될 수 있다. 이 生層序帶와 衿川層 코노돈트에 依해 衿川層의 地質時代 는 北아메리카의 中企 石炭紀 더모이네試案兆(Desmoinesian stage, 모스크바節)에 對比될 수 있다. 이 硏究에서 硏究者들은 다음 7個 地點에서 石灰巖 의 標品을 採取하였다. [15]
位置 座標 地層과 巖石
싸리재 附近 國道 제38호선 道路邊 北緯 37° 11′ 55″ 東京 128° 55′ 30″  /  北緯 37.19861° 東京 128.92500°  / 37.19861; 128.92500 灣港層 렌즈上 石灰巖
太白高原陸上訓鍊場 事務室 附近 節槪地 北緯 37° 09′ 16″ 東京 128° 55′ 17″  /  北緯 37.15444° 東京 128.92139°  / 37.15444; 128.92139 衿川層 石灰巖
例낭骨 마을 개울가 北緯 37° 11′ 15″ 東京 129° 00′ 35″  /  北緯 37.18750° 東京 129.00972°  / 37.18750; 129.00972 灣港層 과 衿川層 石灰巖
심포리 마을에서 38番 國道 쪽으로 小路邊 北緯 37° 10′ 47″ 東京 129° 02′ 12″  /  北緯 37.17972° 東京 129.03667°  / 37.17972; 129.03667 衿川層 石灰巖
新番地 계성農場 養鷄場에서 上流쪽 北緯 37° 11′ 18″ 東京 129° 01′ 34″  /  北緯 37.18833° 東京 129.02611°  / 37.18833; 129.02611 衿川層 石灰巖
新番地 國道 제38호선 道路邊 北緯 37° 11′ 16″ 東京 129° 01′ 57″  /  北緯 37.18778° 東京 129.03250°  / 37.18778; 129.03250 衿川層 上部石灰巖
금천동 最初石炭發見記念碑塔 附近 北緯 37° 05′ 59″ 東京 129° 00′ 06″  /  北緯 37.09972° 東京 129.00167°  / 37.09972; 129.00167 灣港層 과 衿川層 石灰巖

衿川-將星層 [ 編輯 ]

이현석과 조성권(2006)은 衿川層과 將星層 이 그 境界部에서 암상이 漸移的으로 變하고 두 地層이 암상에 依해 區分되지 않는다고 하여 두 地層을 하나로 묶어 衿川-將星層 (Geumcheon-Jangseong Formation)을 새로 提案하였다. [16]

  • 이현석과 조성권(2006)에 依해 새로 定해진 衿川-將星層은 暗灰色/黑色 沙巖과 셰일로 이루어지며 灰色의 石灰巖層이 협재된다. 江東 斷面에서는 數 미터 두께의 生物攪亂(bioturbated) 石灰巖層이 협재된다. 上下部에 나타나는 黑色 셰일은 Annularia , Lobatannularia , Sphenophyllum , Neuropteris 과 같은 植物 化石을 包含한다. 이러한 巖相 組合은 얕은 潮下帶에서 海岸 濕地나 潟湖(coastal swamp or coastal lagoonal) 環境에서 堆積된 것으로 解釋된다. 地層의 두께는 將星 斷面에서 90 m이다. [16]
  • 이常民 等(2010)은 장성동 北西쪽 13 km의 江東 斷面(N 37°09'43", E 128°52'53"), 장성동의 將星 斷面(N 37°06'01", E 129°00'07"), 장성동 東쪽 5 km의 동광 斷面 (N 37°06'12", E 129°03'15") 3個 斷面을 調査하였다. 結果로 Rhipidomella parva n. sp. 그리고 Stenoscisma wooi n. sp. 2個 神宗을 包含한 20屬 23種의 完足類 化石을 바탕으로 衿川-將星層에서 Choristites , Rhipidomella , Hustedia 3個의 腕足動物 化石君을 찾아내었다. [17]
    • 舊來 地域의 登山路에 드러난 江東 斷面은 衿川-將星層 下部에 該當하며 黑色 셰일, 暗灰色 실트스톤, 黑色 沙巖과 박층의 石灰巖으로 構成된다. 이곳의 2個 셰일 層準에서는 完足類와 二枚貝類 化石이 豐富하게 産出된다.
    • 衿川 마을로 가는 길에 있는 將星 斷面은 灣港層 最上部에서 衿川-將星層 最上部까지 150 m가 드러나 있다. 이 斷面의 中部는 礫巖, 沙巖, 植物 化石이 産出되는 暗灰色과 黑色 셰일로 構成되며 完足類, 二枚貝類, 珊瑚, 三葉蟲 等의 化石이 産出되는 層準은 灣港層과 衿川-將星層의 境界에 가깝다. 斷面의 上部는 礫巖, 黑色 沙巖과 셰일로 構成된다.
    • 구문소 隣近의 四面에 200 m 두께로 드러난 동광 斷面에는 衿川-將星層의 大部分이 드러나 있다. 斷面의 下部는 灰色 실트스톤, 綠灰色 沙巖, 不連續的인 石灰巖으로, 黑色의 괴相 沙巖과 셰일로 構成되어 있으며 中間에 植物 化石을 包含하는 두께 4 m의 灰色 셰일層이 있다.

江陵炭田 [ 編輯 ]

衿川層 (Geumcheon Formation)은 過去의 上部 紅點層에 該當하며 暗灰色 沙巖, 黑色 細粒質沙巖, 沙質셰일과 셰일 로 構成되고 2枚 以上의 렌즈上 石灰巖 을 협재한다. 이 石灰巖層準에서 4種의 紡錘蟲 化石과 기타 有孔蟲의 化石이 報告되어 있다. 地層의 두께는 80~120 m이다. [18]

旌善-平昌炭田 [ 編輯 ]

平昌郡 - 旌善郡 一帶에 分布하는 平安 累層軍 [19]

衿川層 (黔川層)은 使動層으로 불려지던 含炭層의 下部 石灰巖臺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主로 黑色 乃至 暗灰色 셰일과 灰色 乃至 暗灰色 沙巖 및 2~3枚의 暗灰色 렌즈上 石灰巖 으로 構成되며 局部的으로 石炭層이 협재되기도 한다. 地層의 두께는 60 m 程度이다. [20] [21]

丹陽炭田 [ 編輯 ]

丹陽 地域 衿川層의 警査는 大體로 北東 50~70°, 警査는 北서 20~70°이다.

  • 정창희(1971)에 依하면 衿川層은 暗灰色 中立沙巖 乃至 細粒沙巖을 두고 싱部에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이 있으며 暗灰色 石灰巖層을 2~3枚 협재함이 特徵이다. 이 石灰巖에는 後記 모스코祕案을 指示하는 紡錘蟲의 化石이 發見된다. 衿川層의 두께는 50~70 m으로 얇지만 丹陽炭田 全 地域에 發達하며 단양읍 고수리에서는 週 分布帶 西쪽에 스러스트 斷層에 依해 다시 露出된다. 衿川層은 灣港層을 整合으로 덮고 將星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인다. [22]
  • 손치무(1975)에 依하면 함백산層 은 가장 넓게 分布하며 將星層 위에 있지만 灣港層 및 衿川層, 朝鮮 累層軍 過度 直接 接하며 이러한 現象이 單層 에 依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고 하였다. [23]
  • 衿川層은 從來의 使動層 下部에 該當하는 地層이다. 太白山地區 地下資源調査 當時의 地質圖(1962)에는 단양읍 고수리에서 가곡면 덕천리로 가는 고수재路에 灣港層(洪漸層)만이 드러난 것으로 되어 있으나 1993年 정창희의 調査에 依해 衿川層의 下部가 灣港層의 西側에 同伴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고수리 自動車 道路 고개 附近에서는 黑色의 셰일이 發見되고 暗灰色의 沙巖 도 發見된다. 注目할 만한 點은 셰일 中에 暗灰色의 石灰巖 層이 협재되는 것으로 石灰巖層은 3枚가 發見되는데 그 中의 한 層은 두께가 2 m에 達하며 여기서 石炭紀 의 紡錘蟲과 함께 珊瑚(珊瑚)의 化石이 發見되었다.(→따라서 衿川層은 海成層) 衿川層은 그 西側에서 單層을 사이에 두고 막동 石灰巖層 과 接한다. 이곳의 막동 石灰巖層은 쥐라紀 의 搬送層에 依해 不整合 으로 덮여 있다. 衿川層 分布의 幅은 고수리 고갯길에서 250 m이고, 두께는 60 m이며 고수洞窟 南東쪽에서는 分布의 幅이 70 m, 두께 70 m이다. [24]
  • 이창진과 김기룡(1995)은 丹陽炭田 고수리 地域의 衿川層 中部의 石灰巖 層準에서 Ozawainella turgida , Neostaffella sphaeroidea , Beedeina schellwieni , Fusulina sp., Hanostaffella sp. 5屬 5種의 紡錘蟲(푸줄리나) 化石을 發見하였다. Hanostaffella 는 三陟炭田의 衿川層에서도 報告된 바 있으며 丹陽炭田 地域에서의 衿川層은 石炭紀 펜실베이니아歲 모스크바節( Moscovian , 모스코飛雁) 中部에 堆積된 것으로 보인다. [25]
  • 丹陽 地域의 衿川層은 主로 暗灰色 乃至 黑色 셰일과 細粒沙巖, 暗灰色 石灰巖으로 構成되며 一部 地域에서 石灰巖 內에 처트 가 發達하고 두께는 기촌리에서 92 m 程度이다. 衿川層 에서 Neognathodus medexultimus , Neognathodus roundyi , Neognathodus dilatus , Gondolella bella , Diplognathodus coloradoensis , Diplognathodus edentulus , Diplognathodus papilla n. sp. Park, Idiognathodus delicatus , Streptognathodus elegantulus 等의 코노돈트 化石이 産出되었으며 地質時代는 中企 石炭紀 더모이네試案조이고 이 化石들에 根據하여 衿川層에 Neognathodus roundyi 生層序帶가 設定되었다. [26]
  • 丹陽郡 대강면 장림리 167番地 竹嶺千 河川邊(36°55'19.07"N, 128°20'53.83"E)에는 暗灰色 乃至 灰白色의 沙巖 으로 構成된 衿川層 노두가 드러나 있다. 노두의 衿川層 走向은 北東 25°, 警査는 北서 87°이며 水平의 單層朝鮮 이 發達하고 炊煙性 變形作用의 結果物인 안行商 印章斷熱이 發達한다. [27]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2. 김형수 (2019年). “平安累層群의 再照明: 松林 造山運動의 變成作用과 變形作用”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  
  3. 정창희 (1969年 3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Samcheog Coalfield, Gangweondo, Korea (I) (江原道 炭三田陟의 層序 및 古生物)” . 《 大寒地質學會 5 (1): 13-55.  
  4. “땅_地盤을 알게 하는 地質學(Geology) -南韓은 어떤 巖石으로 構成되어 있나 Ⅰ(서울, 京畿도, 江原道, 忠淸道 地域) -” . 《한국지반공학회》 36 (2): 17-25. 2020年 3月.  
  5. 金文起; 이용일 (2017年 4月). “韓半島 南部의 上部 古生代 平安累層群의 層序와 對備 (The stratigraphy and correlation of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 A review)” . 《 大寒地質學會 53 (2): 321-338. doi : 10.14770/jgsk.2017.53.2.321 .  
  6. 韓國地區科學會 (2001). 《地球科學槪論》. 서울: 교학연구사.  
  7. 정창희 (1973年 6月). “A Paleontological Study of the Fusulinids from the Samcheog Coalfield, Korea (三陟炭田 紡錘蟲의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9 (2): 47-88.  
  8. 김항묵 (1978年 1月). “後記(後期) 石炭紀(石炭紀) 테티스해內(海內) 韓國 三陟炭田(三涉炭田)의 千海流(淺海流) 分析(分折)”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鑛山地質》 11 (1): 21-37.  
  9. 서해길 (1981年 6月). “Geology of the Western Part of the Samcheog Coalfield (三陟炭田 西部地域의 地質)” . 《 大寒地質學會 17 (2): 117-121.  
  10. 金正煥; 金泰浩 (1985年 9月). “Structural Analysis of Hambaeg-san Area, Samcheog Coalfield, S. Korea (三陟炭田 咸白山一帶의 地質構造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1 (3): 157-171.  
  11. 최덕근 (1988年 6月). “A Conulariid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Upper Carboniferous), Sangdong Area, Korea (상동地域 衿川層의 코뉴라리드)” . 《 大寒地質學會 24 (2): 87-92.  
  12. 박수인 (1989年 6月).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Pyeongan Supergroup in Sabuk-Gohan Area (사북-告한 地域의 平安累層群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 生層序에 關한 硏究)” . 《 大寒地質學會 25 (2): 192-201.  
  13. 원명숙 (1999年 3月). “江原道 太白市 통리-도계 一帶의 中期 石炭紀 코노돈트와 그 生層序” . 《江原科學敎育硏究會》 4 (1): 65-79.  
  14. 박수인; 오재경 (2000年). “江原道 太白 地域의 中期 石炭系의 코노돈트와 古生態 (Conodont Fauna and Its Paleoecology of the Middle Carboniferous System in Taebaek Area, Gangwon,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21 (3): 337-348.  
  15. 박수인; 禪僧臺 (2001年). “江原道 太白 地域의 中部 石炭系 코노돈트 生層序 (Conodont Biostratigraphy of the Middle Carboniferous System in the Taebaek Area, Kangwondo,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22 (6): 558-570.  
  16. 이현석; 조성권 (2006年). “Lithostratigraphy and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Pyeongan Supergroup (Carboniferous?Permian) in the Taebaek area, mid-east Korea” .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6 (3-4): 339-352. doi : 10.1016/j.jseaes.2005.05.003 .  
  17. 李尙玟; 최덕근; Shi, G R (2010年 5月). “Pennsylvanian Brachiopods from the Geumcheon-Jangseong Formation, Pyeongan Supergroup, Taebaeksan Basin, Korea” . 《Journal of Paleontology》 84 (3): 417-443.  
  18. 엄상호; 전희영; 이호영; 최성자; 김복철; 권영인 (1990年). “韓半島 上部 古生代의 層서 確立을 위한 硏究(Ⅱ) The Stratigraphy of the Upper Paleozoic Formations in Korea)”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 “5萬 地質圖”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20. “旌善圖幅 廣域地化學圖 調査硏究 (旌善圖幅 廣域紙貨學도 調査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93年.  
  21. “旌善炭田 開發方案 硏究 (旌善炭田 開發方案 硏究)” . 韓國地質資源硏究院 . 1981年.  
  22. 정창희 (1971年 6月).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Danyang Coalfield, N. Chungcheong-do, Korea (丹陽炭田의 層序 및 古生物學的 硏究)” . 《 大寒地質學會 7 (2): 63-85.  
  23. 손치무 (1975年 9月). “Geological Structure in the vicinity of Yeongchun (永春附近의 地質構造)” . 《 大寒地質學會 11 (31): 145-165.  
  24. 정창희 (1993年 1月). “고수洞窟의 地質에 關한 硏究” . 《韓國洞窟學會》 32 (33): 63-76.  
  25. 이창진; 김기룡 (1995年 4月). “丹陽炭田 衿川層에서 發見되는 紡錘蟲 (Fusulinids from the Geumcheon Formation in Danyang Coalfield , Korea)” . 《韓國地區科學會》 16 (2): 144-151.  
  26. 박수인 (1997年 4月). “忠北 丹陽 地域에 分布하는 後記 石炭紀 地層에서 産出되는 코노돈트의 層서.고생물학적 硏究 (Conodont faun and its biostratigraphy of the late carboniferous strata of Danyang area, Chunghuk)” . 강원대학교 .  
  27. 정수호; 권오상; 김태형; Naik Sambit Prasanajit; 이진현; 손효錄; 김영석 (2020年). “丹陽地域 地質·지형자원의 價値와 지오투어리즘 觀點에서의 活用方案 (Value of Geologic·Geomorphic Resources of Danyang-gun and Its Application from Geotourism Perspective)” . 《 大寒資源環境地質學會 53 (1): 45-69. doi : 10.9719/EEG.2020.53.1.45 . ISSN   2288-79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