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겨울바람 뚫고 핀 ‘자주빛 生命’|週刊東亞

週刊東亞 213

..

겨울바람 뚫고 핀 ‘자주빛 生命’

나지막한 오름엔 “遲刻生 들꽃” 滿發… 冬柏·水仙花도 優雅한 姿態 뽐내

  • 入力 2007-05-11 13:59:00

  • 글字크기 설정 닫기
    겨울바람 뚫고 핀 ‘자주빛 생명’
    요맘때쯤의 初겨울에 우리나라의 中部地方이나 內陸地域에서는 꽃구경하기가 如干 어렵지 않다. 一年 열두 달 中에서도 꽃이 가장 드문 때가 바로 이즈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겨울날의 氣溫도 零下로 떨어지는 境遇가 거의 없는 濟州島에서는 如前히 싱그러운 가을꽃과 때 이른 冬柏꽃을 볼 수가 있다. 特히 가장 南쪽에 位置한 南濟州郡 대정읍 一帶의 나지막한 오름(寄生火山)이나 들녘에서는 一年 내내 갖가지의 들꽃들이 피고 진다.

    이맘때쯤 이곳에서 만날 수 있는 가을꽃으로는 들菊花의 一種인 눈쑥부쟁이가 가장 흔하다. 이 눈쑥부쟁이는 主로 漢拏山과 오름 中턱의 양지바른 풀숲에서 자라는데, 四寸뻘인 쑥부쟁이 개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섬쑥부쟁이 等과는 달리 키가 15~25㎝에 不過하다. 바람 많은 濟州島의 自然環境에 適應하려면 아무래도 작은 키가 유리하기 때문이다.

    大靜邑 毛蝨浦項의 東南쪽 바닷가에 우뚝한 松嶽山(104m)에 오르면 눈쑥부쟁이의 紫朱빛 꽃을 볼 수 있다. 巨大한 二重分化九老 이루어진 松嶽山 頂上은 가파도와 馬羅島, 山房山과 漢拏山이 한눈에 들어올 程度로 視野가 四方으로 툭 터진 곳이라 늘 거센 바닷바람이 끊임없이 몰아친다. 사람도 몸을 가누기 힘겨울 만큼 바람이 세찬 곳인데도 풀섶 곳곳에는 눈쑥부쟁이가 소담스럽게 꽃을 피우고 있다. 하나같이 땅바닥에 누운 듯 키가 작은 德澤에 바람이 모질게 불어도 줄기가 부러지거나 꽃잎을 떨구는 法이 없다. 눈쑥부쟁이는 이처럼 키도 작고 드문드문 자라기 때문에 무리지어 꽃이 핀 長官은 만나기 어렵다. 하지만 酷毒한 自然環境 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强靭한 生命力이 사뭇 感動的이다.

    冬柏은 濟州島의 어느 곳에나 흔하게 자라는 常綠樹다. 그러나 開花期가 本格的으로 始作되기 前인 12月 初旬에는 서귀포시와 南濟州郡 一帶의 바닷가 마을에서나 때 이른 冬柏꽃이 間間이 눈에 띈다. 松嶽山 隣近의 秋史敵거지(秋史謫居地)에서도 冬柏꽃을 鑑賞할 수 있다.



    大靜邑 보성리에 位置한 秋史敵거지는 濟州島의 여느 名勝地에 비해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便이다. 찬바람 부는 겨울철이면 을氏年스럽고도 스산한 기운마저 감돈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비좁은 마당 한구석에서 情念(情念)을 품은 듯한 붉은 꽃송이를 속절없이 떨구는 冬柏이 더욱 반갑고도 아리땁다.

    秋史의 자취가 서린 大靜邑의 들녘과 밭둑에는 유난히 水仙花가 많다. 아직은 때가 이르지만, 小寒 對한 의 寒節(寒節)을 넘기고 立春에 접어들 즈음이면 野生 水仙花의 貞潔하고도 優雅한 꽃빛을 鑑賞할 수 있다.

    겨울바람 뚫고 핀 ‘자주빛 생명’
    秋史는 水仙花에 對한 愛情이 매우 각별했다. 流配 當時에 권돈인이라는 벗에게 보낸 便紙를 보면, “水仙花는 正말 天下의 구경거리다. 中國의 江南은 어떠한지 알 수 없지만, 여기는 坊坊曲曲 손바닥만한 땅이라도 水仙花 없는 데가 없다”는 內容이 들어 있을 程度였다. 어쩌면 自然의 試鍊 속에서도 香氣 그윽한 꽃을 피우는 水仙花와 힘겨운 流配生活 中에도 不斷히 琢磨(琢磨)하는 自身을 同一視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松嶽山 山房山 龍머리海岸 毛蝨浦項 秋史敵거지 형제섬 和順海水浴場 等의 絶景과 名所가 櫛比한 濟州島 西南部地域에는 濟州사람들의 피눈물로 얼룩진 歷史遺跡도 여럿이다.

    第2次 世界大戰이 막바지에 이를 즈음 聯合軍의 對反擊으로 戰勢가 漸漸 不利해진 日本軍은 本土를 死守하는 最後의 防禦陣地로 活用하기 위해 濟州島에 7萬名의 大兵力을 駐屯시켰다. 그리고 軍事施設物을 構築하는 作業에 住民들을 强制로 動員하여 섬 全體를 要塞化했다. 그 代表的인 곳이 松嶽山 北쪽의 상모리 들녘에 構築된 알뜨르飛行場인데, 當時 오무라 海軍航空隊가 駐屯하던 이 飛行場에는 20餘個의 格納庫가 設置됐다. 現在 밭으로 變한 이 飛行場터에는 當時의 格納庫가 흉물스럽게 남아 있다.

    日帝는 또한 松嶽山 기슭과 海岸絶壁에 魚雷艇機智와 防空壕로 活用하기 위해 수많은 人工洞窟을 뚫었다. 只今껏 남아 있는 이 洞窟들은 언뜻 自然洞窟처럼 보인다. 그러나 안으로 들어가면 여러 갈래의 크고 작은 굴들이 迷路처럼 얽혀 있고, 오르내리거나 軍事物資를 備蓄하기에 便利하도록 곳곳마다 階段과 廣場을 만들어 놓았다. 그밖에 알뜨르飛行場 隣近의 섯알오름에는 美軍의 攻襲을 對備한 高射砲陣地가 設置되기도 했다.

    日帝가 敗亡하자 濟州 사람들의 苦難도 모두 끝나는 듯했다. 그러나 解放의 感激이 미처 가시기도 前에 同族끼리의 殺戮戰이 始作됐다. 그 渦中에서 自身이 왜 죽어야 하는지도 모른 채 抑鬱하게 죽어간 이들도 적지 않았다. 알뜨르飛行場 附近의 섯알오름은 바로 그런 冤魂이 떠도는 歷史的 現場이다.

    韓國戰爭 當時 豫備檢束(豫備檢束)으로 檢擧된 뒤 섯알오름에서 處刑된 사람은 모두 193名이었다 . 1950年 8月 20日 새벽 2時에 處刑된 사람들의 屍身은 遺族들에 依해 모두 收拾됐지만 같은 날 새벽 5時에 處刑된 132名의 屍身은 當局에서 引渡를 拒否하는 바람에 事件 發生 後 6年8個月만인 1957年 4月에야 비로소 收拾되었다. 그러나 遺骨만 남은데다 屍身이 서로 뒤엉켜 있어 身元을 把握하기가 어려웠다. 遺族들은 할 수 없이 遺骨을 適當히 나누어 132個의 무덤을 만든 다음 遺族들 모두가 犧牲者 132名을 한 祖上으로 모실 것을 合意했다. 그렇게 해서 안덕면 사계리의 들녘 한가운데에 ‘白鳥일손至妙’라는 무덤이 생겨났다. 濟州島의 아름다운 風光과는 어울리지 않는, 그래서 더욱 悽然하게 느껴지는 歷史의 悲劇이 아닐 수 없다.

    이집 이맛

    海物과 된醬의 만남 ‘海物뚝배기’ 드세요


    겨울바람 뚫고 핀 ‘자주빛 생명’
    濟州島에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큰 漁港인 毛蝨浦項은 늘 濟州 뱃사람들의 억척스런 生活力과 活氣가 넘칠 뿐만 아니라 갖가지의 海産物도 豐富하게 쏟아져 나온다. 毛蝨浦項 初入의 三거리에 자리잡은지 20年쯤 된 海女食堂(064-794-3597)의 가장 든든한 밑천도 바로 毛蝨浦項의 豐富한 海産物이다. 이 집의 메뉴만 보더라도 毛蝨浦項 같은 魚缸을 咫尺에 두지 않으면 내놓을 수 없는 飮食들로 채워져 있다. 生鮮膾 자리膾 자리물膾 膾덮밥 성게국白飯 海物뚝배기… 等等.

    毛蝨浦項 隣近에서는 소문난 맛집이라 무엇을 시키든지간에 本錢 생각날 일은 없지만, 이맘때쯤의 初겨울에는 무엇보다 海物뚝배기가 제格이다. 이 飮食은 濟州島의 어디에서나 쉽게 맛볼 수 있지만 제대로 맛을 내는 집은 別로 흔치 않다. 이 집의 海物뚝배기는 성게 紅蛤 새우 굴 소라 쏙 맛 等의 海物에서 우러난 국물과 집에서 손수 담근 된醬으로 끓인 국물 맛이 絶妙하게 어우러져서 아주 시원하고도 담백하다. 防禦 都彌 쥐치 병어 等의 膾감이 듬뿍 들어간 膾덮밥도 맛이 一品이다. 海物뚝배기와 성게국白飯은 5000원이고, 膾덮밥은 6000원이다.




    댓글 0
    닫기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