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東亞日報
날짜選擇
  •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코로나19 이후 자원봉사 새 규칙 마련해야” 컨퍼런스 개최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 “코로나19 以後 自願奉仕 새 規則 마련해야” 컨퍼런스 開催

    韓國中央自願奉仕센터는 韓國自願奉仕센터協會와 新種 코로나바이러스 感染症(코로나19) 팬데믹 以後 自願奉仕 活性化를 摸索하는 內容의 컨퍼런스를 22日 서울 中區 페럼홀에서 開催했다고 23日 밝혔다. ‘突破, 連結, 우리, 自願奉仕로 만드는 連結의 神話’를 主題로 進行된 이番 컨퍼런…

    • 2023-06-23
    • 좋아요
    • 코멘트
  • 國際아시아學會 24~27日 경북대에서 開催

    國際아시아學會(AAS) 學術大會가 24~27日 大邱 北區 山格洞 경북대에서 열린다. 世界 50餘 個國, 5500餘 名의 會員이 活動하는 國際아시아學會는 每年 2月, 6月 美國과 아시아에서 學術大會를 연다. 경북대 人文學術院은 지난해 이 學會를 誘致했다. 이番 學術大會는 ‘流動하는 아시…

    • 2023-06-21
    • 좋아요
    • 코멘트
  • 했던 말 또 하는 ‘라떼’ 어르신… 행복 찾는 인생 ‘되새김질’ 중입니다[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했던 말 또 하는 ‘라떼’ 어르신… 幸福 찾는 人生 ‘되새김질’ 中입니다[최고야의 深深(心深)토크]

    大學生 이채영 氏(24)가 名節이나 生辰 때 할머니를 찾아뵈면 恒常 들어야 하는 똑같은 ‘레퍼토리’가 있다. 할머니 6·25戰爭 時期 避亂 떠났을 때나 먼 길을 걸어 學校 다녔던 記憶, 아이 낳고 바로 農事일하느라 힘들었던 時節 等 定해진 단골 素材를 처음인 것처럼 말씀하신다. 옛날이…

    • 2023-06-18
    • 좋아요
    • 코멘트
  • [온라인라운지]아시아社會科學協議會, 創立 50周年 國際學術大會

    아시아社會科學協議會 創立 50周年을 記念하는 國際學術大會가 14日부터 이틀間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열린다.‘아시아 社會科學: 過去, 現在, 그리고 未來’라는 主題로 열릴 이番 學術大會는 韓國社會科學協議會, 아시아社會科學協議會, 經濟人文社會硏究會가 共同으로 開催下…

    • 2023-06-11
    • 좋아요
    • 코멘트
  • “필즈상 감격이 연구 방해돼선 안돼… 15분 모래시계 놓고 집중”

    “필즈상 感激이 硏究 妨害돼선 안돼… 15分 모래時計 놓고 集中”

    “硏究에 目標는 없어요. 目標가 一時的으로 動機 附與가 될 수는 있겠지만, 目標 設定 自體가 그 目標에 다가가기 위한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境遇가 많습니다.” 지난해 韓國系 數學者 最初로 ‘數學界 노벨賞’인 필즈상을 受賞한 許埈珥 美國 프린스턴대 敎授(40·韓國 高等科學院 碩學敎授…

    • 2023-06-09
    • 좋아요
    • 코멘트
    PDF紙綿보기
  • 고대 동아시아엔 없던 흑인 차별… 노예 아닌 능력자로 불려[강인욱 세상만사의 기원]

    古代 東아시아엔 없던 黑人 差別… 奴隸 아닌 能力者로 불려[강인욱 世上萬事의 起源]

    《西洋 中心의 世界로 再編된 近代 以後에 形成된 人種差別에 對한 認識은 많은 努力에도 不拘하고 如前히 우리 곁에 남아 있다. 3年 前 黑人의 差別에 對한 큰 論爭을 觸發한 조지 플로이드 事件에서 보듯이 世界는 코로나를 거치면서 다른 皮膚色에 對한 差別과 誤解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 與…

    • 2023-06-08
    • 좋아요
    • 코멘트
    PDF紙綿보기
  • 9日 勞動法理論實務學會 定期總會, 高麗大서 開催

    社團法人 勞動法理論實務學會는 9日 午後 2時 고려대에서 勞動法理論實務學會 第59回 定期學術大會 및 定期總會를 연다. 高麗大 法學硏究院 勞動社會保障法센터 後援하는 이番 總會에는 박지순 고려대 勞動大學院腸, 이욱래 法務法人 太平洋 辯護士 等이 參席한다. 1部 企劃세션에서는 ‘違法 爭議行爲…

    • 2023-06-08
    • 좋아요
    • 코멘트
  • 한국소년병학회, ‘6·25참전 소년병들의 헌신’ 학술대회 개최

    韓國少年兵學會, ‘6·25參戰 少年兵들의 獻身’ 學術大會 開催

    韓國少年兵學會는 지난 6日 6·25參戰仁川少年兵 이경종記錄管에서 ‘6·25參戰 少年兵들의 獻身’ 이라는 主題로 學術大會를 開催했다. 仁川學生6·25參戰館 後援으로 3回째를 맞은 이날 學術大會에서는 戰死關聯學科 敎授와 軍事專門家들이 6·25戰爭當時 어린 나이에 自願 入隊하여 參戰한 …

    • 2023-06-07
    • 좋아요
    • 코멘트
  • 엄마 ‘등짝 스매싱’ 없어도 방 청소 꼭 해야 하는 이유[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엄마 ‘등짝 스매싱’ 없어도 房 淸掃 꼭 해야 하는 理由[最高야의 深深(心深)토크]

    精神 健康, 情緖 問題 等 마음(心) 깊은 곳(深)에서 일어나는 일에 對해 다룹니다. 日常 속 心理的 궁금症이나 苦悶이 있다면 이메일(best@donga.com)로 알려주세요. 記事로 알기 쉽게 說明해 드리겠습니다.어지러운 房이 腦를 疲困하게 한다본격적인 運動을 하기 前에 準備 運動을…

    • 2023-06-04
    • 좋아요
    • 코멘트
  • 공포심이 일으키는 전쟁, ‘투키디데스의 함정’은 반복된다[조대호 신화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사상]

    恐怖心이 일으키는 戰爭, ‘투키디데스의 陷穽’은 反復된다[조대호 神話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思想]

    《‘老人 한 사람이 죽으면 圖書館이 하나 없어지는 것 같다.’ 이제 이 말은 흘러간 노랫말처럼 들린다. 21世紀 科學·技術 時代의 老年은 키오스크 앞에서 唐慌하는 모습으로 찾아온다. 未來를 보고 疾走하는 時代에 老人을 위한 나라는 없다. 歷史를 對하는 우리 時代의 態度도 비슷하다. 下…

    • 2023-06-02
    • 좋아요
    • 코멘트
    PDF紙綿보기
  • 윤대원 학교법인일송학원 이사장, 아시아 첫 ‘린네 메달’ 수상

    윤대원 學校法人日송학원 理事長, 아시아 첫 ‘린네 메달’ 受賞

    윤대원 學校法人日송학원 理事長이 아시아 最初로 스웨덴 웁살라代가 主管하는 ‘린네 메달(Linnaeus Medal)’ 金메달을 받았다. ? 尹 理事長은 지난달 30日 江原 春川市 翰林大 일송아트홀에서 열린 ‘웁살라臺 린네 메달 授與式’에서 메달을 받았다. 行事에는 다니엘 볼벤 駐한스…

    • 2023-06-01
    • 좋아요
    • 코멘트
  • [단독]삼성호암상 수상자 최경신 “30년 지나도 과학이 재미있다”

    [單獨]三星湖巖上 受賞者 최경신 “30年 지나도 科學이 재미있다”

    “高等學校 化學 時間에 先生님이 ‘그럼 이건 왜 그럴까?’하고 물으시곤 했는데 나는 答을 알 것 같았어요. 그럼 그때부터 가슴이 막 두근두근했었죠.”올해 三星湖巖上 科學賞 化學·生命科學部門 受賞者인 최경신 美國 위스콘신대 敎授(54)를 31日 서울 中區 신라호텔에서 만났다. 崔 敎授는…

    • 2023-05-31
    • 좋아요
    • 코멘트
  • 정신 차리니 수북한 과자 봉지…먹을 때 딴짓하면 ‘뱃살 부자’[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精神 차리니 수북한 菓子 封紙…먹을 때 딴짓하면 ‘뱃살 富者’[最高야의 深深(心深)토크]

    한참 集中해서 일하거나 工夫하고 난 뒤 精神 차리고 冊床을 보니 다 먹은 초콜릿, 沙糖, 菓子 封紙가 수북이 쌓여 있는 것을 보고 놀란 經驗이 한 番쯤은 있을 것이다. “내가 이걸 언제 다 먹었지?” 하는 생각이 들 程度로 瞬息間에 많은 量을 먹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後悔는 늦었다.…

    • 2023-05-21
    • 좋아요
    • 코멘트
  • 덴마크·英 연구진 “키스의 성적 의미는 기원전 4500년 전부터”

    덴마크·英 硏究陣 “키스의 性的 意味는 紀元前 4500年 前부터”

    적어도 4500年 前부터 人類가 親密함과 性的인 愛情表現으로 키스를 했다는 硏究結果가 유럽에서 나왔다. 덴마크와 英國의 學者들은 紀元前 2500年 前 메소포타미아에서 記錄한 粘土板을 分析해 이같은 硏究結果를 導出했다. 덴마크 코펜하겐代의 트로엘스 아르볼(Troels Arbøll) 校…

    • 2023-05-19
    • 좋아요
    • 코멘트
  • 벼농사 매개로 성공적인 공동체 일궈낸 ‘쌀밥의 힘’[강인욱 세상만사의 기원]

    벼農事 媒介로 成功的인 共同體 일궈낸 ‘쌀밥의 힘’[강인욱 世上萬事의 起源]

    《따뜻한 밥 한 空氣만큼 우리의 마음을 달래는 飮食이 또 있을까.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우리의 一生과 함께한다고 해도 過言이 아닌 이 쌀밥은 언제부터 우리와 함께했을까. 元來 벼는 亞熱帶의 植物로 韓國 土着의 穀物이 아니다. 분명한 것은 新石器時代부터 조금씩 우리와 함께하던 쌀은 30…

    • 2023-05-12
    • 좋아요
    • 코멘트
    PDF紙綿보기
  • 低費用·高效率 그린 水素 生産에 성큼

    그린 水素 生産에 必要한 超高效率 觸媒 技術을 담은 이중희 전북대 敎授팀(나노融合工學科)의 論文이 에너지 素材 分野의 世界 最高 學術誌인 ‘어드벤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의 4月號 表紙 論文으로 選定됐다. 李 敎授팀이 糾明한 超高效率 觸媒 技術은 未來 에너지로 注目받는 그린 水素 生産 비…

    • 2023-05-08
    • 좋아요
    • 코멘트
  • 자연에서 ‘정신적 질서’ 찾은 아낙사고라스의 혁명[조대호 신화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사상]

    自然에서 ‘精神的 秩序’ 찾은 아낙사고라스의 革命[조대호 神話의 땅에서 만난 그리스 思想]

    《가을날 길거리의 菊花科 꽃들과 밤하늘 별들이 빛나는 宇宙는 모두 ‘코스모스’다. 이 말은 ‘裝飾’, ‘秩序’를 뜻하는 그리스어 ‘kosmos’에서 왔다. 古代 그리스인들에게 自然 秩序는 놀라움의 對象이었다. 어째서 太陽은 每日 東쪽에서 떠서 西쪽으로 질까?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

    • 2023-05-05
    • 좋아요
    • 코멘트
    PDF紙綿보기
  • “짜증나!” 이유없이 자꾸 화내는 아이의 진짜 신호는?[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짜증나!” 理由없이 자꾸 火내는 아이의 眞짜 信號는?[최고야의 深深(心深)토크]

    精神 健康, 情緖 問題 等 마음(心) 깊은 곳(深)에서 일어나는 일에 對해 다룹니다. 日常 속 心理的 궁금症이나 苦悶이 있다면 이메일(best@donga.com)로 알려주세요. 記事로 알기 쉽게 說明해 드리겠습니다.위기의 10代 精神健康…靑少年 憂鬱症(1)姨母 量(16)은 學校 保健室…

    • 2023-04-30
    • 좋아요
    • 코멘트
  • “딱 보니 XX네ㅋㅋ” 말로 휘두른 주먹, 뇌에 흉터 남긴다[최고야의 심심(心深)토크]

    “딱 보니 XX네ㅋㅋ” 말로 휘두른 주먹, 腦에 흉터 남긴다[최고야의 深深(心深)토크]

    精神 健康, 情緖 問題 等 마음(心) 깊은 곳(深)에서 일어나는 일에 對해 다룹니다. 日常 속 心理的 궁금症이나 苦悶이 있다면 이메일(best@donga.com)로 알려주세요. 記事로 알기 쉽게 說明해 드리겠습니다.악성 댓글 다는 사람들은 왜 그럴까(2)“경찰 앞에서 最大限 反省하는 …

    • 2023-04-23
    • 좋아요
    • 코멘트
  • 한국의 인문학 지성 해남에서 만난다…이창동·유홍준·김훈 등

    韓國의 人文學 知性 海南에서 만난다…이창동·유홍준·김훈 等

    땅끝 全南 海南에 國內 人文學 知性들이 모인다. 23日 海南郡에 따르면 5月부터 9月까지 每月 한次例 韓國 人文學界를 代表하는 名詞를 招請하는 ‘황지우 詩人과 함께하는 名詞招請 人文學 콘서트’를 開催한다. 첫 番째 人事로 이창동 映畫監督이 5月25日 海南을 찾는다. 映畫의 恍惚…

    • 2023-04-23
    • 좋아요
    • 코멘트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