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덴마크·英 硏究陣 “키스의 性的 意味는 紀元前 4500年 前부터”|동아일보

덴마크·英 硏究陣 “키스의 性的 意味는 紀元前 4500年 前부터”

  • 東亞닷컴
  • 入力 2023年 5月 19日 13時 57分


코멘트
기사와 상관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記事와 상관없는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적어도 4500年 前부터 人類가 親密함과 性的인 愛情表現으로 키스를 했다는 硏究結果가 유럽에서 나왔다. 덴마크와 英國의 學者들은 紀元前 2500年 前 메소포타미아에서 記錄한 粘土板을 分析해 이같은 硏究結果를 導出했다.

덴마크 코펜하겐代의 트로엘스 아르볼(Troels Arbøll) 敎授와 英國 옥스퍼드대의 소피 라스무센(Sophie Rasmussen) 博士가 이끄는 硏究陣은 18日(現地時間) 國際 學術誌 ‘사이언스’에 “키스는 다양한 地域과 文化에 걸쳐 普遍的으로 行해졌다”며 이같은 硏究 結果를 發表했다.

이番 硏究 結果로 性的인 意味의 키스에 對한 最初의 記錄은 靑銅器 時代인 紀元前 1500年頃 引渡의 文獻이라는 旣存 學界 通念보다 1000年 以上 앞서게 됐다.

硏究陣은 古代 메소포타미아 文明의 遺物로 나온 粘土板을 根據로 키스에 對한 記錄을 찾았다. 紀元前 2500年 前 製作된 것으로 推定되는 메소포타미아 粘土板에는 한 有夫女가 키스 後 不倫에 가까워진 狀況을 描寫했다. 같은 時期의 다른 粘土板에는 未婚 女性이 앞으로 男性과 키스와 性行爲를 하지 않겠다고 盟誓하는 內容이 담겨 있다.

硏究陣은 이같은 메소포타미아 文獻에서 結婚한 夫婦뿐 아니라 未婚者도 사랑에 빠졌을 때 키스를 欲望의 一部로 여겼다는 事實을 發見했다고 傳했다.

아르볼 敎授는 “키스는 어느 한 地域에서 始作돼 퍼져나간 慣習이 아니라 數千 年에 걸쳐 여러 古代 文化圈에서 이뤄졌다”고 말했다.

기원 전 1800년 무렵 고대 바빌로니아의 점토판. 남녀가 벌거벗은 상태로 키스와 성행위를 나누는 모습을 묘사했다. 영국 대영박물관 제공
紀元 前 1800年 무렵 古代 바빌로니아의 粘土板. 男女가 벌거벗은 狀態로 키스와 性行爲를 나누는 모습을 描寫했다. 英國 大英博物館 提供

硏究陣은 다만 愛情行爲人 키스를 하는 過程에서 疱疹 바이러스와 같은 感染病을 퍼뜨리는 意圖치 않은 結果를 發生시키기도 했다고 傳했다.

硏究陣은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알려진 單純布陣바이러스 1型(HSV-1)과 파르보바이러스(B19)는 主로 唾液을 通해 感染되기 때문에 古代 文明에서도 키스로 인해 바이러스가 퍼졌을 것으로 봤다.

硏究陣은 特히 古代 醫學 文獻에 나오는 ‘부샤누’라는 疾病이 HSV-1과 같은 傳染病이라고 推測했다.

아르볼 敎授는 “부샤누에 걸리면 입안이나 입 周圍에 水疱가 생긴다는 記錄에 비춰 볼 때, 이는 HSV-1에 感染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키스의 歷史는 大部分의 文化에서 수많은 獨立的인 起源을 가졌을 것으로 풀이된다. 2017年에는 先史 時代 네안데르탈人의 治石 分析을 통해 古代人들이 唾液 交換을 통해 微生物을 共有한 痕跡이 있다는 硏究 結果가 나왔다.

이 當時의 키스는 感情을 交流하는 行爲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키스가 意圖치 않게 여러 文化圈에서 오래도록 疾病의 傳染을 加速化시켰을 可能性 또한 言及됐다.

최재호 東亞닷컴 記者 cjh122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오늘의 推薦映像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