統一新羅의 文學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韓國 文學

統一新羅의 文學 은 8世紀 以後, 高句麗, 백제를 征服한 新羅 의 安定的인 政治·社會·文化 속에서 發展하였다.

背景 [ 編輯 ]

新羅 王政(王廷)은 每年 많은 遣唐留學生(遣唐留學生)을 糖으로 派遣하여 發展된 韓文化(漢文化)를 학습시키고, 아울러 佛敎를 積極的으로 받아들였다. 이리하여 新羅 의 貴族인 花郞 과 僧侶들은 高度로 發達된 韓文化와 佛敎思想을 바탕으로 統一新羅 의 文學을 創作, 발전시키기에 이르렀다.

鄕歌 [ 編輯 ]

鄕歌 는 이 時期 文學의 王座를 차지한 詩歌文學(詩歌文學)으로서, 統一新羅 貴族들의 生活 感情과 思想體系가 獨特한 搜査技巧(修辭技巧)를 빌어 遺憾없이 表現되고 있다. 特히 10句體 鄕歌 詞腦歌 (詞腦歌)는 그 形態에서 그들의 生活 感情이나 思想體系를 表現하는 데에 가장 適當하여 많은 有能한 作家와 優秀한 作品을 남기고 있다. 또 內容에서는 統一新羅의 貴族들이 現世에서 누리고 있는 富貴榮華를 내세(來世)에까지 保障받고자 하는 悲願(悲願)을 불타(佛陀)의 恩寵(恩寵)으로 이룰 수 있으리라는 굳은 信仰心으로 메우고 있다. 따라서 鄕歌(10句體 詞腦歌)의 主要한 作家는 新羅의 貴族層, 主流를 이루고 있는 內容은 佛敎的인 것으로 규정지을 수 있을 것이다. 이 鄕歌는 진성여왕 (眞聖女王) 때의 高僧 大矩和尙 (大矩和尙)과 角干 魏弘 (角干魏弘)에 依하여 《 三代目 (三代目)》이라는 이름으로 歌集(歌集)이 編纂된 바 있으나 오늘날 傳하지 않고 있다. 이 時期의 現存하는 鄕歌는 廣德(廣德)의 〈 願往生歌 (願往生歌)〉, 得烏(得烏)의 〈 慕竹旨郞歌 (慕竹旨郞歌)〉, 牽牛老翁의 〈 獻花歌 (獻花歌)〉, 臣忠(信忠)의 〈 原價 (怨歌)〉, 月明師(月明師)의 〈 兜率歌 (兜率歌)〉와 〈 祭亡妹歌 〉, 忠談師의 〈 讚耆婆郞歌 (讚耆婆郞歌)〉와 〈 安民歌 (安民歌)〉, 希明(希明)의 〈 千手大悲歌 (千手大悲歌)〉, 英才(永才)의 〈 遇賊歌 (遇賊歌)〉, 處容(處容)의 〈 處容歌 (處容歌)〉 等이 있다. 그 中에서도 月明師의 〈祭亡妹歌(祭亡妹歌)〉와 忠談師의 〈讚耆婆郞歌(讚耆婆郞歌)〉는 이 時期 鄕歌를 代表하는 酬酌(秀作)으로 評價받고 있으며, 〈處容歌〉는 高麗時代에 潤色 添加되어 朝鮮朝의 宮中音樂으로 오래 演奏되어 왔다.

오늘날, 비록 그 量은 얼마 되지 못하나 이 時期 詩歌文學의 모습을 接할 수 있게 된 것은 統一新羅의 貴族들이 비록 韓文化에 心醉하고 있었으나, 固有의 韓國語를 外國文字人 漢字를 빌어 表記할 수 있는 表記體系(表記體系)를 完成하고 그것을 實用하였다는 努力에 힘입었다 하겠다. 이 表記體系가 곧 鄕札(鄕札) 또는 吏讀(吏讀)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車字文字(借字文字)이다. 따라서 우리는 國文學史에서 鄕歌文學을 흔히 次子文學이라고도 일컫는다. 次子문학인 鄕歌文學을 創造 발전시킨 新羅의 貴族들은 한便으로 漢文文學度 발전시키는 데 게으르지 않았다. 外國의 言語요 外國의 文字인 漢字(漢字) 漢文을 빌어 그들은 傳來해 온 神話·傳說·說話를 蒐集 採錄하기도 하고, 한便으로는 本格的인 中國文學인 限時(漢詩)를 비롯하여 46騈儷文(騈儷文)에 이르기까지 아무런 不便도 없이 漢文文學을 제대로 발전시켰다. 新羅 統一을 이룩하고 臺當外交를 성공시키는 데 크게 活躍했던 降水 (强首)를 비롯하여, 吏讀文字를 統一한 薛聰 (薛聰)은 漢文學의 大家였고, 김인문 , 金大問 (金大問), 최치원 等 앞서 든 鄕歌 作家에 못지않은 有能한 文章家를 들 수 있다. 特히 崔致遠은 그 文明(文名)을 中國에까지 떨치게 되었음은 널리 알려져 있는 事實이다. 그의 詩文은 오늘날 《 桂苑筆耕 (桂苑筆耕)》에 남았고 《 東文選 (東文選)》과 金石文에 그의 詩文이 남아 있다.

評價 [ 編輯 ]

南北國時代 統一新羅의 文學은 크게 次子文學(借字文學)인 韓國語로 된 文學과 外國語文人 漢文文學의 두 갈래로 나뉘어 均衡있는 發展을 이룩하였다고 評價된다.

統一新羅의 文學은 後世의 韓國 文學의 淵源(淵源)으로 큰 影響을 주었다. 市價 方面에서 10句體, 鄕歌의 構造的인 特徵은 朝鮮朝에 發達한 時調시형(時調詩形)의 根幹이 되었고, 統一新羅의 說話는 朝鮮 後期에 發達한 古代小說 의 根源說話로 되살아나게 되었다. 또, 漢文文學 方面에서도 薛聰은 동국(東國)의 鴻儒(弘儒)로 후세 儒學者들의 스승으로 여겨져 왔으며 崔致遠은 동국文宗(東國文宗)으로 亦是 후세 文章家들의 龜鑑이 되어 왔었다.

이렇게 보면 統一新羅의 文學은 結局 韓國 文學의 母胎이고 根源이라 할 수 있으며, 비록 量에서는 뒤지지만 文化와 藝術의 水準이 높아, 뒤따르는 韓國의 어느 時代의 文學보다 優位韓 文學으로 評價되기도 한다.

參考 資料 [ 編輯 ]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